KR20070057486A - A wet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 wet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7486A KR20070057486A KR1020050116995A KR20050116995A KR20070057486A KR 20070057486 A KR20070057486 A KR 20070057486A KR 1020050116995 A KR1020050116995 A KR 1020050116995A KR 20050116995 A KR20050116995 A KR 20050116995A KR 20070057486 A KR20070057486 A KR 200700574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air
- cleaning liquid
- chamber
- water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leaner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Figure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케이스 20: 뚜껑 30: 수조10: case 20: lid 30: water tank
40: 필터부 50: 세정액 공급부 60: 송풍부40: filter part 50: washing liquid supply part 60: blower part
본 발명은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부에 다수의 필터가 적층되게 구성하여, 이 필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각각의 필터에 세정액 수막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각각의 세정액 수막에 차례로 걸려지게 필터링 하므로써 공기정화 효율을 높이며, 또한 필터부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조가 본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지보수 및 내부세척이 용이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air purifier,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in a filter part, and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on the filter to form a cleaning liquid water film on each filter, whereby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is removed. As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each of the cleaning liquid film membranes in order to pass through them,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filter unit and the cleaning liquid is housed in the main body for easy maintenance and internal cleaning. One wet air cleaner.
일반적으로 습식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먼지, 냄새 등을 물과 같은 세정액 등을 이용하여 필터링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형태로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보습을 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57935호가 있다.In general, a wet air purifier forcibly sucks indoor air, filters foreign substances, dust, and odor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water, and then purifies the air by discharging it back into the room. As a moisturizer, such a conventional wet air purifier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57935.
상기한 종래의 습식 공기청정기의 구조는 본체의 하부케이스(120)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디스크(211)가 직렬로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한 쌍의 디스크 롤러(210)로 이루어지는 필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wet air cleaner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회전하는 각각의 디스크(211)표면상에 형성되는 세정액 수막 및 기포에 오염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시켜 토출하는 것이나, 이는 오염된 공기가 디스크 표면의 일부분만 통과하여 바로 토출되므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미처 다 걸러지지 못한 상태로 토출되므로 공기정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롤러는 다수매의 디스크가 서로 유격되게 촘촘히 조립하여 구성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유지보수 및 내부세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wet air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asses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cleaning liquid water film and bubbles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rotating disks 211 to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Since only a part of the air is immediately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are discharged without being filtered out. In addition, the disk roll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ks are tightly assemb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and internal cleaning is inconveni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한 것으로, 필터부에 다수의 필터가 적층되게 구성하여, 이 필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각각의 필터에 세정액 수막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각각의 세정액 수막에 차례로 걸려지게 필터링 하므로써 공기정화효율을 높이며, 또한 필터부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조가 본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지보수 및 내부세척이 용이한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in the filter unit, by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filter to form a cleaning liquid water film on each filter,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As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lter part to be filtered to each of the cleaning liquid water membranes in turn,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filter part and the cleaning liquid is housed in the main body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interior. It is to provide a wet air cleaner that is easy to clea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에 수조수납실과 공기유도실과 필터수납실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마련하고, 내벽을 따라 흐르는 세정액이 바닥으로 흐르지 않고 수조수납실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수조수납실의 상부에 유도턱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유동실의 측면에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필터수납실의 하부에 가이드턱을 갖는 케이싱과;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 상면에 끼워지는 뚜껑과; 세정액이 보관되고 상기 수조수납실에 수납되는 수조와; 다수의 판형의 필터와, 상기 다수의 필터를 내측에 수납하며 상기 가이드턱을 따라 필터수납실에 슬라이딩하여 안착되는 필터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필터부와;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배관되어 상기 세정액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배관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배관되며 상기 필터수납실 상부에 설치되어 펌핑된 세정액(w)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하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지는 세정액 공급부와;상기 공기유동실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유도실을 통해 필터부로 강제 송풍하여 정화가 이루어지 도록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n open shape of the upper surface, the tank storage chamber, the air induction chamber and the filter storage chamber in the inner space sequentially provided from the bottom, the cleaning liquid flowing along the inner wall to the bottom A casing having a guide jaw in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storage chamber to guide the inside of the tank storage chamber without flowing, having a suction port at a side of the air flow chamber, and a guide ja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storage chamber; A lid having a discharge port and fit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A water tank in which a cleaning liquid is stored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storage chamber; A filter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filters and a filter bracket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filters inside and sliding by sliding in a filter storage chamber along the guide jaw; A suction pipe located in the water tank, a pump piped with the suction pipe to pump the cleaning liquid, a supply pipe piped with the pump, and a cleaning liquid w pumped to the supply pipe and installed above the filter storage chamber. And a cleaning solution supply unit comprising a spray pipe spraying the filter unit; a blower unit installed in the air flow chamber to forcibly blow indoor air to the filter unit through the air induction chamber to purify the wet air cleaner. hav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본 발명인 습식 공기청정기의 구성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에 수조수납실(11)과 공기유도실(12)과 필터수납실(13)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케이싱(10)과; The configuration of the we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shape, the casing in which the
토출구(21)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10) 상면에 끼워지는 뚜껑(20)과; A
세정액(w)이 보관되고 상기 수조수납실(11)에 수납되는 수조(30)와; A
다수의 판형 필터(42)를 적층한 필터브라켓(41)이 필터수납실(13)에 수납되는 필터부(40)와;A
상기 수조(30)내의 세정액(w)을 펌핑하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에 펌핑된 세정액(w)을 공급받아 필터부(40) 상부로 분사하는 분사관(52)을 갖는 세정액 공급부(50)와;A
상기 공기유동실(12)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유도실(12)을 통해 필터부(40)로 강제 송풍하여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풍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And a
특히, 상기 케이싱(10)의 수조수납실(11)은 측면에 도어(11b)로 개폐가능한 수납구(11a)가 형성되며, 상기 수조수납실(11)과 공기유동실(12) 경계부는에 하향경사지게 돌출되는 테두리 형상의 유도턱(14)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그리고, 상기 수조(30)가 이 수납구(11a)를 통해 수조수납실(11)에 수납된 후 상기 도어(11b)로 수납구(11a)를 닫아 밀폐하며, 또한 상기 유도턱(14)은 케이싱(10) 내측 벽면을 따라 흐르는 세정액이 케이싱(10)과 수조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압착 차단하는 것이다.After the
상기 공기유동실(12)의 측면에는 송풍부(60)가 설치되는 흡입구(15)가 구비된다. Side of the
상기 필터수납실(13)의 측면에는 도어(13b)로 개폐가능한 수납구(13a)가 형성되며 필터수납실과 공기유동실 경계부에 돌출된 테두리 형상의 가이드턱(16)이 형성된다.A sid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필터부(40)가 수납구(13a)를 통해 가이드턱(16)에 슬라이딩 하여 안착 지지된 후, 상기 도어(13b)로 수납구(13a)를 밀폐하게 구성된다.After the
상기 판형 필터(42)의 테두리에는 프레임(43)이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판형 필터(42)는 메쉬판 형태로 그물눈의 크기가 비교적 조밀한 1~2mm인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메쉬표면 상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메쉬표면의 그물눈에 세정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형성되는 수막이 효율적으로 형성되게 한다.The
이는 그물눈 크기가 상기한 크기 이상이 되면 그물눈에 발생하는 세정액의 표면장력이 약해져서 수막 형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mesh size is more than the above-mentioned size, the surface tension of the cleaning liquid generated in the mesh becomes weak, making water film formation difficult.
또한, 그물눈 크기가 상기한 크기 이하이면 필터브라켓(41)에 다수로 적층된 최상단의 판형 필터(42)에만 세정액 수막이 형성된 상태로 그 하측에 배치되는 나머지 필터에 세정액 공급이 어려워 수막층 형성이 곤란해진다. In addition, if the mesh size is less than the above-described size, the cleaning solution is difficult to supply to the remaining filters disposed below the washing liquid water film only in the uppermost plate-
즉, 그물눈 사이에 세정액이 수막층을 형성하면서 연속 공급되는 나머지 세정액 잔량이 물방울 형태로 그물눈을 빠져나가 다음 필터 표면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상기 물방울의 크기가 그물눈 크기보다 크면 그물눈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기때문이다. In other word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leaning solution that is continuously supplied while forming the water film layer between the mesh eyes should exit the mesh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nd be supplied to the next filter surface, because if the size of the water droplets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esh, it will not pass through the mesh. to be.
또한, 필터 브라켓(41)은 상기 다수의 판형 필터(42)를 하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되게 하여 다수의 필터층을 갖게하는 것으로, 전면에 상기 판형 필터(42)가 삽입되는 삽입구(41a)를 형성하되, 그 양측면에 다수의 지지홈(41b)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43)이 이 홈(41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세정액 공급부(50)는 수조(30) 저부에 위치하는 연질의 흡입관(53)과, 상기 흡입관(53)과 배관되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와 배관되는 공급관(54)과, 상기 공급관(54)과 배관되며 필터수납실(13)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관(52)으로 이루어진다.The cleaning
특히, 분사관(52)은 도 5에서와 판형 필터(42) 표면 전체에 세정액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다수의 분사구(52a)를 갖는다. In particular, the
송풍부(60)는 상기 케이싱(10)의 흡입구(15)에 송풍팬(61)을 갖는 송풍모터(62)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The
이하 본 발명의 공기정화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습식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는 크게, 수조(30)의 세정액(w)을 필터부(40) 상부에 공급 분사하여, 적층된 다수의 필터(42) 표면에 세정액 수막층을 형성시키며, 송풍부(60)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세정액 수막층이 형성된 필터부(40) 하부로 송풍하여 필터링 한 후 상부의 토출구(21)로 정화된 공기와 수분을 토출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air purification of the we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by supplying and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w of the
특히, 세정액(w)이 필터(42)에 공급되어 세정액 수막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우선 펌프(51)가 작동되면서 수조(30)내의 새정액(w)을 흡입관(53)을 통해 흡입하여 공급관(54)을 통해 분사관(52)으로 공급한다.In particular,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w) to the
이후 분사관(52)의 분사구(52a)를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한 판형 필터(42)에 분사되어 그물눈에 세정액 수막층이 형성되며, 또한 세정액(w)은 계속 하부로 낙하되면서 소정간격을 가지며 다수로 적층된 다음의 판형 필터(42) 표면에 세정액 수막층을 차례로 형성하면서 수조(30)로 낙하된다.Thereafter, the
이때, 낙하되는 세정액(w) 중 일부는 케이싱(10) 내벽을 따라 흐르면서 수조 상단의 유도턱(14)에 케이싱 바닥으로 흐르지 않고 수조(30)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다시 수조(30)에 모인 세정액(w)은 다시 펌프(51)를 통해 분사관(52)에 공급되어 다시 필터부(40)로 분사된다. 즉 세정액이 계속 필터부(40)에 순환 공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ome of the cleaning liquid (w) that is dropped is collec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그리고, 이와 같이 다수의 세정액 수막층을 갖는 필터부(40)를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필터링 되는 과정은, 송풍모터(62)에 의해 송풍팬(61)이 회전하면서 흡입구(15)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 이후 오염된 공기는 공기유동실(12)을 지나 필터부(40)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가게 송풍되며 이때, 다수의 세정액 수막층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정화된 공기는 수분과 함께 필터부(40) 상부의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Then, the process of filtering while the contaminated air passes through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필터교환이나 내부청소과정은 상기 필터수납구(13a)의 도어(13b)를 열고 필터 브라켓(41)을 필터수납실(13)에서 빼낸 후, 필터브라켓(41)의 홈(41a)에 삽입된 상태의 필터(42)를 빼내어 청소하거나 교체 할 수 있으며, 또한 수조수납구(11a)의 도어(11b)를 열어 수조(30)를 수조수납실(11)에서 빼내어 세정액(w)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과정이 용이하다.The we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filter replacement or internal cleaning process, open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부에 다수의 필터가 적층되게 구성되어, 이 필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각각의 필터에 세정액 수막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각각의 세정액 수막에 차례로 걸려지게 필터링 하므로써 공기정화효율을 높아지며, 또한 필터부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조가 본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유지보수 및 내부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in the filter unit, by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filter to form a film of the cleaning liquid in each filter, so that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Filter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each of the cleaning liquid film in turn to increase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nd the filter and the water tank for the cleaning liquid is configured to be housed in the main body there is an easy maintenance and internal cleaning effect. .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6995A KR20070057486A (en) | 2005-12-02 | 2005-12-02 | A wet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6995A KR20070057486A (en) | 2005-12-02 | 2005-12-02 | A wet air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7486A true KR20070057486A (en) | 2007-06-07 |
Family
ID=3835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6995A KR20070057486A (en) | 2005-12-02 | 2005-12-02 | A wet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57486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483B1 (en) * | 2008-05-16 | 2008-09-04 |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 Device for purifying air i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partment house |
KR100977900B1 (en) * | 2008-05-23 | 2010-08-24 | 이승훈 | A wet air cleaner |
KR100981103B1 (en) * | 2010-06-10 | 2010-09-08 | (주)동세기술 | Flue gas treatment apparatus of sewage sludge drying treatment process |
KR101469509B1 (en) * | 2012-10-10 | 2014-12-05 | 주식회사웰트리 | Water pur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device utilizing methods |
KR20180003415U (en) * | 2017-05-29 | 2018-12-07 | 김상식 | A air cleaner using water |
CN109230229A (en) * | 2018-06-30 | 2019-01-18 | 湖州博得物流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bucket elevator with dedusting function |
KR102052851B1 (en) * | 2019-04-25 | 2019-12-05 | 김정대 | Air purifiers using raindrops |
WO2020067671A1 (en) * | 2018-09-28 | 2020-04-02 | 주식회사 포스코 | Foreign substance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same |
KR20200121431A (en) * | 2019-04-15 | 2020-10-26 | 이-시웅 린 | Air Cleaner |
CN112403146A (en) * | 2020-11-07 | 2021-02-26 | 钱美昌 | Liquid filters formula exhaust treatment device |
KR102329241B1 (en) * | 2021-09-13 | 2021-11-22 | 류이하 | Wet type air purifier |
US12138709B2 (en) | 2018-09-28 | 2024-11-12 | Posco Co., Ltd | Foreign substance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same |
-
2005
- 2005-12-02 KR KR1020050116995A patent/KR2007005748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483B1 (en) * | 2008-05-16 | 2008-09-04 |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 Device for purifying air i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partment house |
KR100977900B1 (en) * | 2008-05-23 | 2010-08-24 | 이승훈 | A wet air cleaner |
KR100981103B1 (en) * | 2010-06-10 | 2010-09-08 | (주)동세기술 | Flue gas treatment apparatus of sewage sludge drying treatment process |
KR101469509B1 (en) * | 2012-10-10 | 2014-12-05 | 주식회사웰트리 | Water pur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device utilizing methods |
KR20180003415U (en) * | 2017-05-29 | 2018-12-07 | 김상식 | A air cleaner using water |
CN109230229A (en) * | 2018-06-30 | 2019-01-18 | 湖州博得物流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bucket elevator with dedusting function |
CN112752602A (en) * | 2018-09-28 | 2021-05-04 | Posco公司 | Foreign matter trapping device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same |
US12138709B2 (en) | 2018-09-28 | 2024-11-12 | Posco Co., Ltd | Foreign substance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same |
WO2020067671A1 (en) * | 2018-09-28 | 2020-04-02 | 주식회사 포스코 | Foreign substance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including same |
KR20200036294A (en) * | 2018-09-28 | 2020-04-07 | 주식회사 포스코 | Alien substance 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reof |
KR20200121431A (en) * | 2019-04-15 | 2020-10-26 | 이-시웅 린 | Air Cleaner |
KR102052851B1 (en) * | 2019-04-25 | 2019-12-05 | 김정대 | Air purifiers using raindrops |
CN112403146A (en) * | 2020-11-07 | 2021-02-26 | 钱美昌 | Liquid filters formula exhaust treatment device |
KR102329241B1 (en) * | 2021-09-13 | 2021-11-22 | 류이하 | Wet type air purifier |
WO2023038178A1 (en) * | 2021-09-13 | 2023-03-16 | 류이하 | Humidifying air purif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0559B1 (en) | Air purifing apparatus with water | |
KR100908464B1 (en) | Air cleaner | |
KR101649974B1 (en) | Condensed water storage tank apparatus for auto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101768009B1 (en) | A Dust Clearing Device | |
KR101152015B1 (en) | air purifing apparatus with water | |
KR20070057486A (en) | A wet air cleaner | |
JP2018054165A (en) | Range hood | |
TW200540922A (en) | Air-purifying equipment in a semiconductor wafer container | |
KR20180107656A (en) | Air Cleaner | |
KR20160024507A (en) | Air cleaning system | |
KR20080104482A (en) | Air purifier by water cleaned | |
KR20090003597A (en) | Filter device for exhanst gas | |
JP6475044B2 (en) | Disinfection device and disinfection method | |
KR20200064310A (en) | Wet type air purifier | |
KR102530232B1 (en) | Air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1533798B1 (en) | A hood for exhausting air in the kitchen | |
KR101998337B1 (en) |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 |
KR20210018684A (en) | water spray air cleaner | |
KR102091526B1 (en) | A dust collector | |
KR102105454B1 (en) | Air filtering equipment window sash | |
KR20100024775A (en) | Vacuum cleaner | |
KR20100051324A (en) | Composite air cleaner with humidifier function | |
KR101633498B1 (en) | Anion generating air purifier | |
KR100998519B1 (en) |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ozonied-water | |
KR102521924B1 (en) | Indoor air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