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119A -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2119A KR20070052119A KR1020050109780A KR20050109780A KR20070052119A KR 20070052119 A KR20070052119 A KR 20070052119A KR 1020050109780 A KR1020050109780 A KR 1020050109780A KR 20050109780 A KR20050109780 A KR 20050109780A KR 20070052119 A KR20070052119 A KR 20070052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op
- main body
- guide tube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팝업되어 열리는 팝업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팝업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커버 디자인으로 작동이 편리하고 전장(全長) 및 전후 폭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여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portable terminal, which provides a pop-up structure in which a cover is popped up and open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limmer b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메인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 전면을 대응하여 덮은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용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는 커버와, 커버 및 본체를 연결하여 본체에 대하여 커버를 팝업시켜 여는 팝업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keypad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the cover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in a state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he screen unit is installed, including a display scr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by connect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p-up hinge module for opening the cov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팝업, 휴대 단말기 Pop-up, handse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상태도.2 and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팝업 힌지모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p-up hinge module of FIG. 4;
도 6은 도 5의 가이드 관 및 하부 내관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사시도.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tube and the lower inner tube of FIG. 5 viewed from opposite direction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내관과 하부 내관의 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파일의 전개도.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ofile for explaining the profile of the upper inner tube and the lower inn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팝업 힌지모듈의 동작을 보여주는 참조도.8 and 9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p-up hinge module.
도 10은 도 2의 I-I'에 따른 횡단면도.10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전체의 분해사시도.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12 to 15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전체의 분해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 한 부분 분해사시도.17 to 19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커버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 전면판과 커버 후면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조도.2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front plate and the cover back plate to explai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본체 200 : 커버100: body 200: cover
300 : 팝업 힌지모듈 310 : 가이드 관300: pop-up hinge module 310: guide tube
311 : 가이드라인 323 : 결합체311 guideline 323: assembly
331 : 상부 내관 335 : 하부 내관331: upper inner tube 335: lower inner tube
338 : 회전링 340 : 스프링338: rotation ring 340: spring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팝업되어 열리는 팝업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팝업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커버의 디자인으로 작동이 편리하고 전장(全長) 및 전후 폭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여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pop-up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by popping up the terminal body, while the cover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pper wire according to the pop-up structure, the operation is convenient, and the overall length and the front-back width a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limmer b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n office or home telephon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typical example of a PCS, a cellular phone, or a PD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r mobile terminals because they provide portability and mobility to a user.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PD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등의 기능을 통합하는 지능형 멀티 단말기로 변화하고 있으며, 생활상에서 가장 중요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games, etc. to the user beyond the step of delivering only simple voice information, and provides PD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and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It is transforming into an intelligent multi terminal that integrates functions such as) and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necessity in life.
이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형태에 따라 크게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Such portable termin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bar type, flip type, and folder type according to their shape.
상기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상부 폴더와 하부 폴더의 일단부가 힌지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통화나 휴대시 힌지를 축으로 하부 폴더에 대해서 상부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 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하부 폴더에 대해서 하부 폴더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힌지 부분에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The folder-type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is connected to the hing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folder with respect to the lower folder with the hinge when the call or the portable is carried. The length problem can be solved, but the mechanical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hinge port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lower folder. Therefore, the hinge portion is easily damaged.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커버가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가 제시되어 왔다.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에 따라서 수동과 반자동으로 나눌 수 있다. 수동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커버를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는 방식의 휴대 단말기이다. 그리고 반자동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천이시점까지 커버를 이동시키면 그 이후에는 커버가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하게 개폐되는 방식의 휴대 단말기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over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type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erminal body has been proposed.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manual and semi-automatic according to the method of sliding the cover. The manu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user directly opens and closes a cover. The semi-automatic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moves after the cover is moved to the time of transi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전면 하부에 키패드(11)가 설치된 본체(10)와, 전면에 스크린(21) 및 보조 키패드(2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힌지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As show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이같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커버(20)를 위로 밀면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서 소정 위치까지 수동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힌지모듈(30)의 토션스프링(31)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커버(20)가 개방되도록 설계되어져 있다.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torsion spring of the hinge module 30 when the user pushes the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반자동 슬라이딩 타입일지라도 커버(20)를 열기 위해서는 최소한 천이시점이 형성되는 소정 위치까지는 커버(20)를 밀어 올려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cumbersome problem of pushing up the
또한, 상기 힌지모듈(30)은 토션 스프링(31)을 포함하기 때문에 좌우 폭이 넓은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같은 형태의 힌지모듈(30)은 스크린(21) 등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품들과 설치 영역이 중복되는 관계로 상기 힌지모듈(30)의 두께(3 내지 4[mm] 정도)만큼 휴대 단말기의 전후 폭도 증가되는 문제가 불가피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hinge module 30 includes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팝업되어 열리는 팝업구조를 갖는 팝업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p-up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to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팝업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작동이 편리하고, 전장(全長) 및 전후 폭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한 팝업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p-up portabl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in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pper wires according to the pop-up structure, the maximum suppression of the increase in full length and front and rear width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팝업형 휴대 단말기는,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팝업되어 열리는 휴대 단말기로서, 전면에 메인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을 대응하여 덮은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용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및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커버를 팝업시켜 여는 팝업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over is popped open with respect to a main body, and a main keypad is installed on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covers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pop-up hinge module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sliding in a state, and having a screen unit including a display screen installed therein, and a pop-up hinge module that opens the cover to the main body by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technical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팝업 힌지모듈은 상기 커버 및 본체의 일측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pop-up hinge modul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또한, 상기 팝업 힌지모듈은, 상기 커버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을 갖는 중공의 가이드 관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일부는 상기 가이드라인을 통해 상기 가이드 관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체와, 상기 가이드 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다가 상기 커버가 눌려지면 상기 가이드 관의 상승을 허용하여 상기 커버가 팝업되게 하는 팝업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p-up hinge module, the hollow guide tube having a guide lin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longitudinally and vertically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supported and part of the guide tube through the guide line A coupling body which is inserted inside and couples the guide tube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vertically slidable, a spring that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tube to provide lift force to the guide tube, and is installed i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tube i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p-up control means for allowing the cover to pop up when the cover is pressed while being restrained not to rise.
또한, 상기 팝업 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 관의 상부 내측에 끼워지고,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사점, 하사점이 반복되는 프로파일이 형성된 상부 내관과, 상기 상부 내관의 하단에 연접하도록 상기 가이드 관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관의 가이드라인과 부합되게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 내관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이격된 하사점, 상사점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일정 주기마다 상기 프로파일의 하사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을 갖는 하부 내관과, 상기 결합체 중 상기 가이드 관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내관 및 하부 내관의 프로파일에 걸쳐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다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과 일치하게 되는 순간 상기 가이드 관의 상승을 허용하는 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p-up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ide of the guide tube, the upper inner tube with a top dead center, the bottom dead center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guide tube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ner tube. A fixed and fixed incision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 of the guide tube,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 profile in which the bottom dead center, the top dead center sp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file of the upper inner tube is repeated periodically, the predetermined cycle A lower inner tube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downward from a bottom dead center of the profile, and rotatably installed at a portion located inside the guide tube among the combination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inner tube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rofile; Sliding protrusion to move to the guide tube is form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s bound to prevent the increase the sliding protrusion comprises a rotary ring which allows an increase in the moment of the guide tube to be in line with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내관 프로파일의 하사점과 상사점을 연결하는 상향 경사라인과 접촉하는 상측 경사변과, 하부 내관 프로파일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하향 경사라인과 접촉하는 하측 경사변을 갖는 삼각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liding protrusion may include an upper inclined side contacting an upward inclined line connecting a bottom dead center and a top dead center of the upper inner tube profile and a downward inclined line connecting a top dead center and a bottom dead center of the lower inner tube profi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rojection having a lower inclined side in contact with the.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하부 내관 프로파일의 하사점이 두 번 형성될 때마다 한번 꼴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한 번 눌려지면 팝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ce every time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lower inner tube profile is formed twice, so that the cover can be popped up when pressed once.
또한, 상기 하부 내관은 상기 절개부의 좌우 양측 주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의 가이드라인 내측단에 접하는 한 쌍의 돌출라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inner tube may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ci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protruding line in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guide line of the guide tube.
또한, 상기 팝업 힌지모듈은, 상기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신축을 안내하면서 뒤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바의 하단은 상기 회전링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체 중 가이드 관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pup hing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inserted into the spring to guid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pring, and a lower end of the guide bar penetrates the rotary ring to guide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to be rotatably fitted to the portion located in the support.
또한, 상기 가이드 관은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인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단턱지게 마감된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tub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inn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groove formed downwardly from the top and closed stepwise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able to slide the engaging projection. You can do
또한, 상기 가이드 관의 하단부에는 스냅용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냅용 통공에 스냅핑되는 스냅용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관 하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 관에 끼워지는 상기 상부 내관 및 하부 내관을 지지하는 고정 캡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is formed with a snap through hole, and provided with a snap protrusion for snapping to the snap through hol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to support the upper inner tube and the lower inner tube fitted to the guide tub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cap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은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여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커버의 하면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장식용 데코패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decorative panel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변부는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단차부위를 덮는 커버 측변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cover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inner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side side cover for covering the stepped portion of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 일측변부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팝업 힌지모듈이 출입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side edg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that the pop-up hinge module is accessible.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변부는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 측변덮개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단차부위를 덮는 본체 측변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inner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in body side cover to cover the stepped portion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side cover.
또한, 상기 본체와 커버의 타측변부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may be coupled to be slidably mutually.
또한, 상기 커버의 타측변부 후면에는 샤프트 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홈에는 슬라이드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over has a shaft groove is formed long and vertically, the shaft groove is provided with a slide shaft, the shaft guide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body and slidably fitted to the slide shaft is install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커버 내부에 장착된 커버 기판은 상기 샤프트 홈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타측변부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substrate mounted inside the cov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cut off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shaft groove.
또한,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스크린과 커버 기판 사이에 사각 틀체 형태를 갖는 포론 소재의 완충 및 이물질 방지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and foreign matter prevention pad of Poron material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between the screen and the cover substrate.
또한, 상기 커버의 전면 하부에는 보조 키패드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 키패드는 볼트체결을 위해 상단 모서리 각각에 통공을 갖는 링 형태의 체결편을 구비하고, 하단 모서리 각각에 반고리 형태의 보조 체결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keypad is installed o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cover, and the auxiliary keypad includes a ring-shaped fastening piece having holes at each of the upper corners for bolting, and a semi-cyclic auxiliary fastening piece at each of the lower edges. It can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본체에는 촬영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hotographing camera.
또한, 카메라 모듈은, 촬영용 렌즈가 내설된 카메라와,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상기 카메라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카메라 노출용 통공이 형성된 사각 박스형의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is a camera with a lens for photographing,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front is open, the rear is a square formed with a camera exposure apertur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amera can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ox-shaped camera module case.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 표면 중 일부는 필요로 하는 송수신 신호를 입, 출력하기 위한 금속 도금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camera module case surfac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plating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requir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촬영용 플래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안착되는 플래시 안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플래시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선단부가 본체의 후방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플래시 노출용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photographing flash, and the camera module case further includes a flash seat on which the camera flash is seated, and a part of the flash seat is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camera flash.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sh exposure aperture is formed to enable.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 상부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하는 투명한 카메라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camera window installed at an upper rear of the main body to block the lens of the camera from external contact.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 설치되고, 음각 및 양각의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플래시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sheet installed in the camera window and having a pattern of intaglio and embossment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flash.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 설치되는 원형의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r reflector installed in the camera window.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 좌측면에 노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위한 데이터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접속단자를 덮는 연질의 접속단자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접속단자 덮개는 상하부 중 한쪽 끝단이 상기 본체의 좌측면에 접합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ata connection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ata exposed on the lower left side, and further provided with a flexible connection terminal cover covering the data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l cover is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nd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 좌측면에 노출되는 이어폰 접속잭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접속잭을 덮는 연질의 이어폰 접속잭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이어폰 접속잭은 상하부 중 한쪽 끝단이 상기 본체의 좌측면에 접합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ing jack exposed on the upper left side, and further comprises a soft earphone connecting jack cover covering the earphone connecting jack, the earphone connecting jack is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oin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anner.
또한, 상기 본체 전면의 좌우편에는 각각 폴리아세탈 수지 소재의 마찰방지용 슬립바가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승강시 상기 본체와 커버간 마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nti-friction slip bars of polyacetal resin, respectively, installed vertically to prevent the fri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when the cover is elevated.
또한, 상기 본체 전면은 상기 마찰방지용 슬립바가 안착되는 슬립바용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 bar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anti-friction slip bar is mounted.
또한, 상기 슬립바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융착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융착돌기의 용융에 의해 상기 슬립바용 안착홈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p b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sion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in a length direction, and may be bonded to the slip bar seating groove by melting of the fusion protrusions.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상태도이다.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팝업형 휴대 단말기는 커버(200)의 상면(210A)이 하방향으로 살짝 한번 눌려지면 커버(200)가 팝업되어 부드럽게 열리면서 본체(10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버(200)를 일일이 밀어 올릴 필요 없이 단지 가볍게 한번 누르는 것만으로도 커버(200)를 열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pop-up typ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커버(200)의 팝업을 위한 팝업구조가 제공되면서도 내부의 실장공간을 피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상하 전장(全長), 전후 폭 및 좌우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슬림화를 위해 매우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p-up structure for pop-up of th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팝업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동선이 고려된 인체 공학적 구성에 의해 커버(200) 개폐의 편리함은 물론, 전반적인 작동에서 편리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in opening and clo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미적요소가 가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디자인 측면에서도 미적감각을 살려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variety of aesthetic elements can be added to produce a competitive product utilizing the aesthetic sense in terms of desig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팝업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 상기 본체(100)와 커버(200)의 움직임이 상대적이긴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200)가 팝업되어 승강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op-up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although the movements of the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메인 키패드(150)가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전면을 대응하여 덮은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유닛(250) 및 보조 키패드(260)가 설치되는 커버(200), 상기 커버(200) 및 본체(100)를 연결하여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상기 커버(200)를 팝업시켜 여는 팝업 힌지모듈(300)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outlined above, is coupled to the
상기 본체(100), 커버(200) 및 팝업 힌지모듈(300)의 결합관계를 보면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대부분은 상기 커버(200)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결합체(323)는 상기 커버 전면판(2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후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홈(133)에 끼워져서 상기 본체(100)와 커버(200)를 연결한다. 이같은 결합관계에서 상기 결합체(323)는 본체(100)에 결합 되어 지지되지만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 중 많은 부분들은 상기 결합체(323)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버(200)를 승강시키게 된다.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아래에서는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op-
도 5는 도 4의 팝업 힌지모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 관 및 하부 내관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내관과 하부 내관의 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파일의 전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p-up hinge module of FIG. 4, and FIG.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tube and the lower inner tube of FIG. 5 viewed from opposite directions, and FIG. 7 is a profile of the upper inner tube and the lower inn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evelopment of the profile to illustrat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은 중공의 가이드 관(310)과, 상기 본체(100)와 가이드 관(310)을 결합시키는 결합체(323)와, 상기 커버(200)의 팝업을 위해 상기 가이드 관(310)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40)과, 상기 가이드 관(310)의 상승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팝업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pop-
상기 가이드 관(31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관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변부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도 4 참조). 상기 가이드 관(31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라인(310A, 도 6 참조)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관(310)의 하단부에는 스냅핑(snapping)에 의해 착탈되는 고정 캡(315)이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관(310)의 하단부에는 스냅용 통공(31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캡(315)에는 상기 스냅용 통공(313)에 스냅핑되는 스냅용 돌기(316)가 구비된다. 이같은 구성으로 상기 고정 캡(315)은 상기 가이드 관(310) 하단에 스냅핑에 의해 간단히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 관(310) 내부에 끼워지는 상부 내관(331) 및 하부 내관(335)을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결합체(323)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처럼 커버(200) 내부에 위치하는 팝업 힌지모듈(300)의 다른 부분들과는 달리 일부가 커버(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 전면에 형성된 결합홈(133)에 끼워져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결합체(323)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라인(310A)을 통해 상기 가이드 관(310) 내부에 인입되어 위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체(323)는 상기 가이드 관(323) 내부에 인입되어 위치하는 머리부(323A)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부(323A)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관(310)의 개구된 하측을 통해 상기 가이드라인(310A)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323A)는 상기 가이드라인(310A)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결합체(323)는 상기 가이드 관(310)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Unlike the other parts of the pop-
여기서, 상기 결합체(323)와 가이드 관(310)의 상호 결합이 상기 가이드라인(310A)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에 주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체(323)와 가이드 관(310) 서로의 결합이 상기 가이드라인(310A)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커버(200)의 개폐시 상기 결합체(323)와 가이드 관(31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상하 전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이드라인(310A)에 의한 결합이 배제된다면 상기 커버(200)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 관(310)의 이동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상당폭의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팝업구조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상하 폭의 증가를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Here, it can be noted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상부 내관(331)과 하부 내관(335) 속에 삽입 설치되 고 상기 결합체(323) 및 가이드 바(321)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가이드 관(310)에 상승력을 제공한다.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상기 가이드 관(310)을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The
상기 팝업 힌지모듈은 압축스프링(340)의 신축을 안내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340)을 신축으로 인한 뒤틀림 및 꼬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 바(3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321)는 상기 결합체(323)의 머리부(323A)에 지지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3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바(321)는 전체적으로 샤프트 형태를 하고 있지만 하단에는 회전링(338)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체(323)의 머리부(323A)에 끼워지도록 끼움부(321A)가 형성된다.The pop-up hinge module further includes a
상기 팝업 조절수단은 대부분 상기 가이드 관(310)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상승력에 의해 가이드 관(31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다가 상기 커버(200)가 눌려지면 상기 가이드 관(310)의 상승을 허용하여 강기 커버(200)가 팝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팝업 조절수단은, 상부 내관(331), 하부 내관(335), 회전링(338)을 포함한다. 이들을 각각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ost of the pop-up control means is installed in the
상기 상부 내관(331)은 상기 가이드 관(3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이드 관(310) 상부 내측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관(310)은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용 돌기(31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내관(331)은 상기 걸림용 돌기(311)가 인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를 받는 슬라이딩 홈(332)을 외주면에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홈(332)은 상기 상부 내관(331) 외주면 상단에 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걸림돌기(311)가 걸리도록 단턱지게 마감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 내관(331)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상기 가이드 관(310)의 개구된 하측으로 끼워진 후 상기 기이드 관(31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모양으로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332)의 단턱진 하단부는 상기 걸림용 돌기(311)에 걸리면서 상기 상부 내관(331)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내관(33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사점(333A), 하사점(333B), 상기 상사점(333A) 및 하사점(333B)을 연결하는 경사라인(333C)이 반복되는 프로파일(333)이 형성된다. 편의상 도면에는 상기 상사점(333A), 하사점(333B), 경사라인(333C)이 네 차례 반복된 것으로 도시되었다.The upper
상기 하부 내관(335)은 상기 상부 내관(331)의 하단에 연접하도록 상기 가이드 관(310)의 내측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하부 내관(335)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부 내관(331)의 프로파일(333)에 대응하도록 하사점(336B), 상사점(336A), 상기 하사점(336B)과 상사점(336A)을 연결하는 경사라인(336C)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프로파일(3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내관(335) 프로파일(336)의 하사점(335B) 및 상사점(335A)은 상기 회전링(338)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내관(331) 프로파일(333)의 상사점(333A) 및 하사점(333B)보다 각각 조금 앞에, 조금 뒤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 내관(335)에는 하사점(336B)이 두 번 형성될 때마다 상기 가이드 홈(337)이 상기 하사점(336B)으로부터 한번 꼴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커버(200)가 한 번 눌려지면 팝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홈(337)이 형성되는 간격을 달리하는 간단한 변경만으로 상기 커버(200)가 여러번 눌려지면 팝업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내관(335)은 상기 가이드 관(310)과 대응하는 장공의 절개부(335A, 도 6 참조)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내관은 절개부(335A)의 좌우 양측 주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라인(335B)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라인(335B)은 상기 가이드 관(310)의 가이드라인(310A)을 따라 끼워져서 그 내측단에 접하게 된다. 상기 돌출라인(335B)은 상기 가이드 관(310)에 대한 하부 내관(335A)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lower
상기 회전링(338)은 상기 가이드 바(321)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21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돌기(339)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는 상부 내관(331) 프로파일(333)의 상향 경사라인과 접촉하는 상측 경사변(339A)과, 하부 내관(335) 프로파일(336)의 하향 경사라인과 접촉하는 하측 경사변(339B)을 갖는 삼각 형태의 돌기(336)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변(339A,339B)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와 프로파일(333,336)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상기 회전링(338)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상기 회전링(338)은 상기 커버(200)가 눌려져서 상기 가이드 관(310)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을 반복할 때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링(338)의 회전은 상기 회전링(338)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부 및 하부 내관(331,335)의 프로파일(333,336)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상기 회전링(33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기 하부 내관(335)의 가이드 홈(337)에 일치하게 되는 순 간 상기 가이드 관(310)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승을 허용하게 된다. 하지만 평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기 하부 내관(335)의 프로파일(336)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 관(310)의 상승을 구속하고 있다. The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에서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뿐 상하방향의 움직임은 거의 없고, 대신 상기 가이드 관(310), 상부 내관(331) 및 하부 내관(335)이 상하방향 움직임을 갖는 것이지만 편의상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도시되었다.The operation of the pop-
상기 커버(200)가 본체(100)에 대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가 하부 내관(335)의 하사점(336B)과 접촉하고 있다(1S). 하지만 상기 커버(200)가 외력에 의해 가볍게 눌려지면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기 상부 내관(331)의 상향 경사라인(333C)에 위치하면서(2)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내관(333)의 상사점(333A)에 머무르게 된다(3).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관(310)이 다시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는 상기 하부 내관(335)의 하향 경사라인에 위치하면서(4) 이동하여 가이드 홈(337)과 일치하게 된다(5). 그러면 상기 가이드 관(310)이 상기 슬라이딩 돌기(336)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도 8에서 도 9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급속히 상승한다. 즉, 본체(100)에 대하여 커버(200)가 팝업되어 열린다(6). 이후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커버(200))가 눌려져 닫히면 상기 가이드 관(310) 역시 상기 커버(200)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수순을 밟게 된다(7,8,9).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관(310)이 약간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기 하부 내관(335)의 하향 경사라인에 위치하면서(10) 이동하여 처음과 같이 하부 내관(335)의 하사점(336B)에 위치하게 된다(1). 이후 커버(200)가 팝업에 의해 개폐될 때 전술된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In the state wher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따른 본체(100) 및 커버(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0은 도 2의 I-I'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 전체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골격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10, rear case)와 전면판(130), 상기 리어 케이스(110)와 전면판(130)에 부속되는 각종의 부속품들(121,123,125,126,127,128), 본체 기판(140), 조립체로 이루어진 메인 키패드(150), 촬영용 카메라(161)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60 번대) 및 배터리 유닛(171,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본체(100)를 구성하는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As shown, the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12 to 15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main components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리어 케이스(110)와 전 면판(130), 상기 리어 케이스(110)와 전면판(130)에 부속되는 각종의 부속품들(121,123,125,126,127,128) 및 본체 기판(14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2, the
상기 리어 케이스(110)와 전면판(130)은 본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좌측면에는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위한 데이터 접속단자(141),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키(126), 이어폰을 접속되는 이어폰 접속잭(143)이 나란히 집약되어 위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좌측면에는, 상기 데이터 접속단자(141)의 외부 노출을 위한 사각의 접속단자 개구부(115), 볼륨키(126)의 설치를 위한 볼륨키 개구부(116), 이어폰 접속잭(143)의 외부 노출을 위한 이어폰 접속잭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The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좌측면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데이터 접속단자(141)와 이어폰 접속잭(143)을 덮기 위한 연질의 접속단자 덮개(125)와 접속잭 덮개(127)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 덮개(125) 및 접속잭 덮개(127)는 각각 상하부 중 한쪽 끝단에 상기 리어 케이스(1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125A,127A)을 구비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10)는 상기 결합편(125A,127A)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구(115A,117A)를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접속단자 덮개(125) 및 접속잭 덮개(127)를 여닫이식으로 개폐하면서 필요한 경우 상기 접속단자 덮개(125) 및 이어폰 접속잭(143)을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 개구부(115)와 접속잭 개구부(117)의 주변은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덮개(125) 및 접속잭 덮개(127)가 일부 요입되어 안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접속단자(141)까지 뷸륨키(126) 및 이어폰 접속잭(143)과 함께 본체(100) 좌측면에 집중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였다.A soft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었다. 이로써 마찬가지로 상면과 하면이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커버(200)와 조화를 이룬다(커버(200)의 경우 차후 설명).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장식용 데코패널(123)이 부착된다. 상기 데코패널(123)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123A,123B)들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23A,123B)들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1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패널(123)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리어 케이스(110)에 부착된다.The decorative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일측변부는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단차부위를 덮는 본체 측변덮개(121)가 구비되어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 측변덮개(121)의 내측면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끼움돌기(121A,121B)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10)의 일측변부에는 상기 본체 측변덮개(121)의 끼움돌기(121A,121B)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111) 및 끼움구(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패널(123)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리어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One side of the
이처럼 상기 데코패널(123) 및 본체 측변덮개(121)가 구비되면 획일적인 본체(100)의 형태 및 색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적감각을 살리는데 용이하다. 예컨다. 상기 데코패널(123) 및 본체 측변덮개(121)의 색상을 리어 케이서(110)와 다른 색으로 구성하여 투톤 이상의 색상을 갖는 본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30)은 메인 키패드(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커다란 개구부(13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130)에는 커버(20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용 슬립바(128)가 설치된다. 상기 슬립바(128)는 상기 전면판(130)의 좌우편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판(130)에는 상기 슬립바(128)가 안착되는 슬립바(128)용 안착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슬립바(128)는 본체(100) 및 커버(200)의 형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다섯으로 분산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슬립바(128)는 접촉하는 커버(200)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폴리아세탈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아세탈 소재는 마찰계수가 상당히 작아서 상기 슬립바(128)의 소재로 적당하다. 상기 슬립바(128)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융착돌기(128A)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융착돌기(128A)를 가열하여 녹인 다음 상기 전면판(130)의 안착홈(135)에 부착하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슬립바(128)를 안정되게 접합할 수 있다.The
상기 본체 기판(140)은 상기 데이터 접속단자(141) 및 이어폰 접속잭(1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키패드(15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내부 기능들을 위한 회로 및 칩들을 구비한다.The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키패드(150)는 하나의 조립체로서, 다양한 종류의 키(151A)들이 모인 키 유닛(151)과, 수용패드(153)와, 발광판(155)과, 키 러버(157)가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Referring to FIG. 13, the
여기서, 상기 키 유닛(151)의 상단변과 하단변에 돌출된 끼움편(151B)은 상 기 본체(100) 전면판(130)에 형성된 개구부(131) 주변에 끼워져서 상기 키 유닛(151)이 상기 전면판(130)에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패드(153)는 상기 키 유닛(151)과 발광판(155) 사이에서 상호간에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케 하는 역할을 하며 키 유닛(151)에 속한 각 키(151A)들에 부합되는 키 홈(15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판(155)은 전원을 받아 발광하면서 상기 키 유닛(151)에 조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키 러버(157)는 상기 키 유닛(151)에 가해진 접촉력을 전달받고 이를 수용하면서 상기 본체 기판(140)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161)와, 플래시(162)와, 상기 카메라(161) 및 플래시(162)를 수용하여 본체(100)에 안정되게 장착시키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163)와, 카메라용 윈도우(165)와, 확산시트(167)와, 반사경(16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4,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카메라(161)는 내부에 렌즈군이 설치된 경통(161A)과 렌즈를 통해 입사된 빛을 촬상하기 위한 CCD 또는 CMOS를 구비한다.The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163)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를 갖고, 상기 리어 케이스(110) 내부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163)는 후면에 상기 카메라(161)의 선단부가 본체(100) 후방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카메라 노출용 통공(16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163)에는 플래시(162)가 안착되는 플래시 안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플래시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카메라 플래시(162)의 선단부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플래시 노 출용 통공(163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163) 표면 중 일부에는 휴대폰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송수신 신호를 입, 출력하는 금속 도금(미도시됨)을 입혀 일명 인테나를 형성한다.The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는 상기 본체(100)의 리어 케이스(110) 상부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61)의 렌즈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는 부합되는 형상을 갖는 윈도우용 양면테이프(166)에 의해 상기 리어 케이스(110)에 접착된다. 이때 상기 윈도우용 양면테이프(166)에서 상기 카메라(161) 선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은 통공(166A)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로 투사되는 빛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는 상기 확산시트(167) 및 반사경(168)이 상기 윈도우용 양면테이프(166)에 직접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확산시트(167) 및 반사경(168)에 부합된 형태로 절개된 관통공(165A,165B)을 구비한다.The
상기 확산시트(167)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플래시(162)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음각 및 양각의 패턴(167A)을 구비한다. 단, 상기 양각 및 음각의 패턴(167A)은 상기 카메라 플래시(162)의 선단면에 형성되고, 그 후단면은 상기 윈도우용 양면테이프에 접착되기 용이하도록 매끈한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반사경(168)은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모습을 반사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165)를 관통하여 상기 윈도우용 양면테이프 (166)에 직접 접착된다.The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유닛(171,173)은 사각 평판형의 배터리(171) 및 상기 배터리(171)를 리어 케이스(110)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배터리 케이스(173)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73)는 상기 배터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안착용 홈(173A)을 구비하고, 리어 케이스(11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173B)들을 상단과 하단에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전체의 분해사시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200)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10)와 후면판(230),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와 후면판(230)에 부속되는 각종 부속품들(221,223,224,225), 커버 기판(240), 스크린 유닛(250), 조립체를 이루는 보조 키패드(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커버(200)를 구성하는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As shown, the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커버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 전면판과 커버 후면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17 to 19 are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ack plate to explai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200)는 프론트 케이스(210)와 후면판(230),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와 후면판(230)에 부속되는 각종의 부속품들(221,223,224,225) 및 커버 기판(24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7, the
상기 커버(200)의 프론트 케이스(210)와 후면판(230)은 커버(2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스크린 유닛(250) 및 보조 키패드(260)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211,213) 및 내장된 스피커의 소리를 내보내기 위한 스피커용 개구부(217)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상면(210A)은 팝업을 위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기 편하도록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하면(210B) 역시 상면(210A)과 조화되게 전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100) 및 커버(200)의 상면(210A)과 하면(210B)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어 팝업을 위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다른 휴대 단말기와 차별되는 멋진 형태를 창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하면(210B)에는 리어 케이스(110)와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장식용 데코패널(223)이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코패널(223)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223A,223B)들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하면(210B)에는 상기 끼움돌기(223A,223B)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미도시됨)들이 상기 리어 케이스(11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용 데코패널(223)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에 부착된다. The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일측변부는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단차부위를 덮는 커버 측변덮개(221)가 구비되어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측변덮개(221)의 내측면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도출된 두 종류의 끼움돌기(221A,221B)들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일측변부에는 상기 끼움돌기(221A,221B)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미도시됨) 및 끼움구(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패널(223)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에 부착 가능하다.One side edge portion of the
이처럼 상기 커버용 데코패널(223) 및 커버 측변덮개(221)가 구비되면 다양한 미적감각을 살릴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유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본체(100)와 잘 조합한다면 더욱 더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hus, when the cover
상기 커버 측변덮개(221)의 설치를 위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단차진 일측변부에는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이 출입 가능한 개구부(미도시 됨)가 형성된다. 이같은 개구부는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최초 설치시나 고장 수리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는 평소에는 상기 커버 측변덮개(221)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상기 커버(200)의 후면판(230)은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고정을 위해 안착되는 힌지모듈용 안착부(231,232)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모듈용 안착부(231,232)는 상기 후면판(230)의 일측변부에 상하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모듈 안착부(231,232) 중 상기 후면판(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위(231)는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의 결합체(323)를 관통시킨 후 안내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를 도 20을 참조하면 보다 상세히 볼 수 있는데, 상기 힌지모듈용 안착부(231,232)의 상부(232)는 상기 팝업 힌지모듈(300) 중 가이드 관(310) 상부로 돌출된 상부 내관(331)이 안착된다. 상기 힌지모듈용 안착부(231,232)의 하부(231)는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상기 가이드 관(231)이 안착되며, 결합체(323)는 상기 안착부(231,232)의 최하단부에 보다 넓게 절개된 절개부위를 통해 관통한 후 상기 본체(100) 전면판(130)에 형성된 결합홈(133)에 끼워져 결합된다. The
상기 커버(200)의 후면판(230)은 팝업 힌지모듈(300)이 설치된 반대편인 타측변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샤프트 홈(233)을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 홈(233)은 상기 커버(200) 후면판(230)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요입되어 길다란 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샤프트 홈(233)에는 슬라이드 샤프트(224)가 샤프트 홈(233)의 하단부에 형성된 통공(233A)을 통해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샤프트 가이드(225)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2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3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와 커버(200)의 타측변부를 연결한다. 이같은 샤프트 홈(233), 슬라이드 샤프트(224) 및 샤프트 가이드(225)는 상기 커버(200)와 본체(100)의 타측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커버(200)의 개폐시 상기 커버(200)와 본체(100)의 일측변부를 연결하는 팝업 힌지모듈(300)과 함께 커버(200)가 한쪽으로 불균형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해 준다.The
상기 커버 기판(240)은 상기 커버(200)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커버(200)의 후면판(230)에 형성된 샤프트 홈(233)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타측변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기판(240)은 보조 키패드(26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250)을 위해 필요한 각종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및 칩들을 구비한다.The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250)은 상기 커버(200) 내에 설치되는 스크린(251)과, 상기 스크린(251)과 커버 기판(24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및 이물질 방지패드(253)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 및 이물질 방지패드(253)는 상 기 스크린(251) 영상을 막지 않도록 중앙에 큰 개구부(253A)가 형성된 사각 틀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완충 및 이물질 방지패드(253)는 포론(PORON, Perfomance Urethanes) 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 및 커버 기판(240) 상호 간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더욱 중요하게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커버(20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250)에는 상기 스크린(251)을 외부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용 스크린 윈도우(255)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린 윈도우(255)는 양면테이프(257)에 의해 상기 커버(200) 외측에 접착된다. 상기 스크린 윈도우용 양면테이프(257)는 상기 완충 및 이물질 방지패드(253)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크린(251) 영상을 막지 않도록 중앙에 큰 개구부(253A)가 형성된 사각 틀체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스크린 윈도우(255)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에 돌출 없이 안착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상기 스크린 윈도우(255)에 부합되는 깊이와 너비로 스크린 윈도우용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8, the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키패드(260)는 하나의 조립체로서 상기 커버(2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다양한 종류의 키(261A)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보조 키 유닛(261)과, 보조 키 러버(263)와, 보조 키 돔시트(265, dome sheet)와, 보조 키 연성기판(267, FPCB)와, 보조 키 베이스(269)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19, the
여기서, 상기 보조 키 러버(263, rubber)는 상기 보조 키(261A)의 클릭(click)시 접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해진 하중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상기 보조 키 돔시트(26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키 러버(263)는 가 장자리 측변을 따라 자리잡기용 홀(263A)을 구비한다. 이는 상기 보조 키 유닛(261)과 커버(200)의 프론트 케이스(210)와의 조립시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 위함이다. In this case, the auxiliary
상기 보조 키 돔시트(265) 보조 키(261A)에 가해져서 상기 보조 키 러버(263)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받아 상기 보조 키 연성기판(267)에 접촉하면서 온(on), 오프(off) 접점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The auxiliary
상기 보조 키 베이스(269)는 상기 보조 키 연성기판(267)을 후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연성기판(267)이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키 베이스(269)는 조립을 위해 체결편(269A,269B,269C)을 구비하는데, 상단 모서리 양편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통공을 갖는 링 형태의 체결편(269A)을 구비하고, 하단 모서리 각각에는 이분의 일 정도와 사분의 삼 정도가 개구된 반고리 형태의 보조 체결편(269B,269C)을 구비한다. 이로써 보조 키패드(260)를 커버(200)의 프론트 케이스(210) 내에 보다 용이하게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auxiliary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커버(200) 개폐를 위한 팝업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p-up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먼저, 커버(200)가 본체(100) 전면을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200)를 팝업시켜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커버(200)를 위에서 아래로 살짝 눌러주면 가이드 관(310)이 압축스프링(340)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커버(200)가 팝업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when the
상기 가이드 관(310)은 상기 커버(200)가 아래로 가볍게 눌려지면 압축스프 링(340)이 가하는 힘에 반하여 약간 하강하였다가, 외력이 사라지는 즉시 압축스프링(3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된다. The
이때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기 상부 내관(331) 및 하부 내관(335)의 프로파일(333,336)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338)의 슬라이딩 돌기(339)는 상기 가이드 관(310)이 하강 후 상승하는 순간 더욱 이동하여 상기 하부 내관(335)의 가이드 홈(337)과 일치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관(310)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 관(310)이 압축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을 받아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0)가 상기 가이드 관(310)과 함께 순간적으로 부드럽게 팝업되어 열려진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sliding
한편, 상기 커버(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면 상기 커버(200)를 길게 한번 누르면 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200)와 가이드 관(310)이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가 상부 내관(331)의 프로파일(333)과 접촉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스프링(340)에 의해 상기 가이드 관(310)이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지만 상기 하부 내관(335)의 프로파일(336)이 상기 슬라이딩 돌기(339)에 걸리면서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속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닫혀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다시 상기 커버(200)를 가볍게 누르면 전술된 동일한 팝업 동작이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tur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팝업형 휴대 단말기는 커버의 팝업구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p-up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p-up structure of a cover.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커버를 가볍게 누르기만 하여도 커버가 상방향으로 팝업되어 열리기 때문에 커버를 열기 위해 일일이 손으로 밀어 올리는 번거로움이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push up the hand manually to open the cover because the cover pops up and opens upwards, just by lightly pressing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은 팝업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동선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설계로 작동하는데 편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operate in an ergonomic design considering the user's finger movement according to the pop-up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하 길이를 최소화한 팝업구조에 의해 팝업구조를 갖는데도 불구하고 휴대 단말기 전장(全長)의 전장이 증가하거나 전후 폭이 증가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increase in the overall length of the entire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increase in the front and rear widths, despite having the pop-up structure by minimizing the vertical length.
또한, 본 발명은 팝업 힌지모듈이 실장공간을 피하여 일측변부에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커버의 개폐시 편심에 의한 치우침이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pop-up hinge module is installed on one side side to avoid the mounting space, there is no bias due to the eccentricit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은 측변 덮개 및 데코패널을 구비함으로 획일적인 디자인을 탈피하고 형태 및 색상에서 보다 다채로운 미적 감각을 발휘하는데 유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to provide a more aesthetic sense in form and color to escape the uniform design by having a side cover and a decorative panel.
Claims (3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780A KR20070052119A (en) | 2005-11-16 | 2005-11-16 |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780A KR20070052119A (en) | 2005-11-16 | 2005-11-16 |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2119A true KR20070052119A (en) | 2007-05-21 |
Family
ID=3827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9780A KR20070052119A (en) | 2005-11-16 | 2005-11-16 |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5211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88983A1 (en) * | 2014-12-04 | 2016-06-09 |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window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7278A (en) * | 2003-01-22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20050027669A (en) * | 2003-09-16 | 2005-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20060044557A (en) * | 2004-10-13 | 2006-05-16 | 조필제 | Portable phone of double open type |
KR20060093163A (en) * | 2005-02-21 | 2006-08-24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60107125A (en) * | 2005-04-07 | 2006-10-13 | 김중철 | Pop-up and rotary type hinge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it |
-
2005
- 2005-11-16 KR KR1020050109780A patent/KR20070052119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7278A (en) * | 2003-01-22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20050027669A (en) * | 2003-09-16 | 2005-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20060044557A (en) * | 2004-10-13 | 2006-05-16 | 조필제 | Portable phone of double open type |
KR20060093163A (en) * | 2005-02-21 | 2006-08-24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60107125A (en) * | 2005-04-07 | 2006-10-13 | 김중철 | Pop-up and rotary type hinge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88983A1 (en) * | 2014-12-04 | 2016-06-09 |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window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2820C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EP1775596B1 (en) |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US6495784B2 (en) |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 |
KR100417248B1 (en) | Slide type mobile phone using slide module | |
EP1720326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 |
US7068259B2 (en) |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JP2013051220A (en) | Keypad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 |
KR19990000037A (en) | Portable terminal with flip cover in both directions | |
KR100283185B1 (en) | Haunted speaker unit | |
KR100743005B1 (en) | Portable terminal apparatus | |
CN100518463C (en) |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 |
CA2519814C (en) | Keypad assembly for mobile station | |
KR20070052119A (en) |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899741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US7557856B2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hooting device and manual focus switch ring that is engaged with shooting device holder in housing | |
KR200174762Y1 (en) |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mobile phone | |
KR100325246B1 (en) | Hing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unit in flip-type portable telephone | |
KR101171395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126380B1 (en) |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821140B1 (en) | Multistag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293949Y1 (en) | Integral Keypad Structure of Telecommunication Terminal such Cellular Phone | |
KR200372884Y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forder | |
KR20010026579A (en) | Digital camera phone | |
KR20060099279A (en) | A hinge apparatus of a swivel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104018A (en) | Slide type mobile phone having inten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