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28242A - 종이 시트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시트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242A
KR20070028242A KR1020060085400A KR20060085400A KR20070028242A KR 20070028242 A KR20070028242 A KR 20070028242A KR 1020060085400 A KR1020060085400 A KR 1020060085400A KR 20060085400 A KR20060085400 A KR 20060085400A KR 20070028242 A KR20070028242 A KR 20070028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take
bottom belt
takeou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께 미쯔야
신이찌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2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B65H2404/251Details of driv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7Arrangement of bel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종이 시트 취출 장치(1)는 복수장의 우편물(P)이 수직한 자세로 장착되는 장착 기부(2)와 장착 기부(2)로부터 부분 노출된 바닥 벨트(4a, 4b, 7)와 백업판(3)과 취출 롤러(11)와 보조 롤러(18)를 갖는다.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으로 하류측 상의 바닥 벨트(4a)가 권취된 풀리(5a)의 직경은 바닥 벨트(4b)가 권취된 풀리(5b)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바닥 벨트들은 동일한 바닥 모터(6)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바닥 벨트(4a)의 급송력이 바닥 벨트(4b)의 급송력보다 크게 설정한다.
종이 시트 취출 장치, 취출 롤러, 보조 롤러, 바닥 벨트, 백업판, 급송력

Description

종이 시트 취출 장치{PAPER SHEET TAKEOUT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도1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3a는 도1의 취출 장치의 각각의 롤러가 우편물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3b는 도3a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5는 도1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7은 도6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8은 도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9는 도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도10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12은 도10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13는 도10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15는 도14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16은 도14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17는 도14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19는 도18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20은 도18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21은 도18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23은 도22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24는 도22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25는 도22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26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는 취출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27은 도26의 취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28은 도26의 취출 장치의 작업을 도시한 흐름도.
도29는 도2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30은 도2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31은 도2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32는 도26의 취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취출 장치
2: 장착 기부
3: 백업판
4a, 4b: 하류측 바닥 벨트
5: 풀리
6: 바닥 모터
7: 상류측 바닥 벨트
8: 모터
10: 급송 유닛
11: 취출 롤러
11a: 하부 취출 롤러
11b: 상부 취출 롤러
18: 보조 롤러
20: 방출 유닛
본 발명은 우편물 시트와 같은 복수의 종이 시트를 낱장 단위로 취출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공지된 종이 시트 취출 장치로는 수직한 자세로 여러 장의 우편물을 한 장씩 취출하는 취출 장치가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5-145671호 참조). 이런 취출 장치는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하는 장착 기부와, 취출 위치로 종이 시트를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급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취출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서 장착 기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와, 급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취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장착 기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상류측 바닥 벨트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서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회전식으로 접촉되어 급송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즉 각 바닥 벨트의 배열 방향으로 마지막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종이 시트를 회전시켜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롤러의 취출 방향을 따라 취출 롤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취출 위치에서 나온 종이 시트와 회전식으로 접촉됨으로써 회전 구동되는 보조 롤러를 갖는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취출 장치에서, 취출 방향을 따라 하류측 상의 취출 위 치에 있는 종이 시트의 단부가 상류측 상의 단부로부터 백업판 쪽으로 경사진 경우,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하류측 바닥 벨트의 이동속도는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의 하류측 바닥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종이 시트의 자세는 취출 방향을 따라 곧바르게 정정된다. 이와 반대로, 취출 방향을 따라 상류측 상의 취출 위치에 있는 종이 시트의 단부가 하류측 상의 단부로부터 백업판 쪽으로 경사진 경우,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의 하류측 바닥 벨트의 이동속도는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하류측 바닥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종이 시트의 자세는 취출 방향을 따라 곧바르게 정정된다.
그러나, 종이 시트의 자세가 상술한 바와 같이 취출 방향을 따라 곧바르게 정정되는 경우, 종이 시트는 보조 롤러 상으로 강하게 압박되는 상태로 취출됨으로서 보조 롤러로부터 종이 시트를 취출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부하가 작용한다. 따라서, 취출 롤러에 의해 가해지는 방출력이 부하만큼 상쇄되며 방출력의 전달 효율이 악화되어 방출 작업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이 시트를 안정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각각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각각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고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및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며, 취출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급송력은 보조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고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을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각각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각각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고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및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며, 취출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가압력은 보조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가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바닥 벨트와,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제1 바닥 벨트로부터 사실상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이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제1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가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의 제2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높도록 제1 및 제2 바닥 벨트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 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제시하기로 하며 그 중 일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명하게 되거나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특히 이하에서 지적되는 수단들과 그 조합에 의해 구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취출 장치(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1)라 함]를 위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취출 장치(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취출 장치(1)는, 예컨대 한 묶음으로 투입된 복수 장의 우편물(P)을 후방 단계의 처리 구역으로 급송하기 위해 한 장씩 취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장치(1)는 취출 위치로 우편물(P)을 공급하는 급송 유닛(10)과,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을 한 장씩 방출하는 방출 유닛(20)을 갖는다.
급송 유닛(10)은 복수 장의 우편물을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적재 상태로 한 묶음으로 투입된 복수 장의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편평한 장착 기부(2)를 갖는다. 도시된 장착 기부(2)의 우측 단부(즉, 취출 위치에서 이격된 단부)에는 백업판(3)이 배치된다. 백업판(3)은 장착 기부(2)를 사실상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백업판(3)은 우편물의 배열 방향, 즉 적재 방향[도1의 화살표(T1) 방향]으로 우편물(P)을 가압하여 우편물(P) 모두를 화살표(T1) 방향으로 공급한다. 그 결과, 급송 방향의 말단부에 존재하는 우편물(P)은 도시된 장착 기부(2)의 좌측 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로 급송된다.
취출 위치의 근처에는 두 개의 무단 하류측 바닥 벨트(4a, 4b)(제1 및 제2 바닥 벨트)가 마련된다.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는 우편물(P)의 급송 방향[화살표(T1) 방향]을 사실상 가로지르는 방향[도1의 화살표(T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실상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이들 벨트는 각각 우편물(P)의 급송 방향(T1)을 따라 연장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는 복수의 풀리(5) 둘레에 장력 권치되며 바닥 벨트의 일부는 장착 기부(2)로부터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 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는 하나의 바닥 모터(6)에 의해 무단식으로 주행되며, 장착 기부(2)로부터 상향 노출된 벨트의 부분이 우편물(P)을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와 접촉하도록 기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직경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풀리(5a, 5b)는 모터(6)의 구동축(6a)에 동축 상에서 부착되며, 우편물(P)의 취출 방향[화살표(T2) 방향]을 따라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바닥 벨트(4a)(제1 바닥 벨트)는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풀리(5a)(제1 풀리) 둘레에 권취되며, 화살표(T2)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바닥 벨트(4b)(제2 바닥 벨트)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리(5b)(제2 풀리) 둘레에 권취된다.
즉, 바닥 모터(6)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5a, 5b)의 직경은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4a, 4b)의 주행속도를 달리하기 위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 방향(T2)으로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바닥 벨트(4a)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은 취출 방향(T2)으로 상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바닥 벨트(4b)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급송력이란 적재 방향으로 우편물(P)을 급송시키는 힘, 즉 취출 위치로 우편물(P)을 급송시키는 힘이며, 이송 방향의 말단부에 있는 우편물(P)을 후술하는 취출 롤러(11)와 보조 롤러(18) 상으로 가압하는 힘(프레스 사용)을 나타낸다.
또한, 하나의 무단 상류측 바닥 벨트(7)가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4a, 4b) 사이에 배치된다. 상류측 바닥 벨트(7)는 복수의 풀리(5) 둘레에 장력 권취되며 벨트의 일부가 장착 기부(2)로부터 상향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런 상류측 바닥 벨트(7)는 모터(8)에 의해 구동되며, 노출된 부분은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한다.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는 취출 위치의 근처에서 상류측 바닥 벨트(7)로부터 상향 돌출하며, 상류측 바닥 벨트(7)에 의해 이동된 우편물(P)은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로 이송되어 이동한다. 즉, 하류측 바닥 벨트(4a, 4b)의 누출된 부분 은 장착 기부(2) 상에 장착된 우편물(P) 중에서 취출 위치에 인접한 단지 몇 장의 우편물(P)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류측 바닥 벨트(7)의 노출된 부분은 장착 기부(2) 상에 장착된 모든 우편물(P) 중에서 취출 위치에 인접한 단지 몇 장의 우편물(P)을 제외하고 우편물의 하부 모서리와 만난다. 즉, 백업판(3)에 인접한 우편물(P)은 상류측 바닥 벨트(7)에 의해 이동되고 하류측 바닥 벨트(4)로 이송되어 취출 위치로 급송된다.
백업판(3)은 우편물(P)의 급송 방향(T1)을 따라 연장된 샤프트(9)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되고 백업판의 하단부의 근처는 상류측 바닥 벨트(7)에 연결된다. 또한, 백업판(3)은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9)를 따라 우편물(P)의 급송 방향(T1)으로 이동한다. 즉, 백업판(3)은 상류측 바닥 벨트(7)와 동일한 속도로 모터(8)에 의해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된다.
방출 유닛(20)은 우편물(P)의 취출 위치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방출 유닛(20)은 상기 급송 유닛(10)에 의해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과 접촉해서 취출 방향(T2)으로 회전하는 취출 롤러(11)를 갖는다.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롤러(11)는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가까운 일부와 접촉해서 회전하는 하부 취출 롤러(11a)와, 하부 취출 롤러(11a) 상부에 독립해서 회전 가능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취출 롤러(11b)를 갖는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취출 롤러(11b)는 상부 취출 롤러가 취출 장치(1)에 의해 조작될 가장 작은 우편물(Pmin)과 접촉할 수 있는 정도까지 하부 취출 롤러(11a)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취출 롤러(11a, 11b)[이하, 몇몇 경우 일반화시켜 취출 롤러(11)라 함]는 롤러들의 회전축이 각각 방향(T1, T2)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롤러들의 외주연면이 우편물(P)의 표면과 접촉해서 회전하도록 하는 자세로 배열된다. 취출 롤러(11)는 모든 크기의 우편물(P)이 취출될 수 있도록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으로 하류측 상에 경사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취출 롤러(11)가 도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은 적재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사실상 수평 방향(도1에서 화살표(T2) 방향)(이하, 취출 방향), 즉 도1의 상부 방향으로 취출된다.
취출 롤러(11a, 11b)의 회전축은 제1 아암(12)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아암(13)의 회전 말단부는 제1 아암(12)의 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토크 제어 서버 모터(14)는 제2 아암(13)의 근단부에 부착된다. 제1 아암의 사실상 중심부에는 제3 아암(15)의 회전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결과, 취출 롤러(11)는 이런 평행한 링크 기구에 의해 우편물(P)의 급송 방향, 즉 적재 방향에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롤러는 서보 모터(14)의 제어에 기초한 압력에 의해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우편물(P) 상에 가압된다.
또한, 취출 롤러(11a, 11b)의 회전축은 세 개의 타이밍 벨트(16a, 16b, 16c)를 거쳐 모터(17)에 연결되고 모터(17)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취출 롤러(11)를 회전시키도록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보조 롤러(18)는 취출 방향으로 급송되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을 따라 취출 롤러(11)의 상류측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보 조 롤러(18)는 보조 롤러(18)의 회전축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세 개의 롤러부(18a, 18b, 18c)를 갖는다. 롤러부(18a, 18b, 18c)는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보조 롤러의 외주연면은 취출된 우편물(P)을 따라 회전하도록 우편물(P)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예컨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우편물(P)을 방출하기 위해, 보조 롤러(18)는 취출 롤러(11)가 우편물(P)과 접촉한 위치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서 우편물(P)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롤러(18)의 회전축은 선회 아암(19)의 선회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선회 아암(19)은 선회 아암의 사실상 중심에 배치된 회전축(19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선회 아암(19)의 근단부는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아암의 회전축(19a)을 중심으로 선회 아암(19)을 압박하는 스프링(19b)에 연결된다. 즉, 선회 아암(19)은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우편물(P) 상으로 선회 아암의 말단부에 부착된 보조 롤러(18b)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한다.
또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의 하류측에는 급송 롤러와 역전 롤러(미도시)가 배열된다. 급송 롤러는 취출 롤러(11)가 우편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되는 측면 상에서 취출될 우편물(P)의 표면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급송 롤러가 급송 롤러 및 역전 롤러 사이에 유지된 우편물(P)과 함께 회전할 때, 우편물(P)은 화살표(T2) 방향으로 급송된다. 역전 롤러는 우편물의 취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우편물(P)에 분리 토크를 인가하며, 급송 롤러에 의해 취출된 한 장의 우편물(P) 다음에 제2 및 후속 우편물(P)을 분리 하는 기능을 한다.
안내판(21)은 상술한 급송 유닛(10)의 배면 상에, 즉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을 따라 장착 기부의 하류측(도1의 상부측) 상에서 장착 기부(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안내판(21)은 우편물(P)의 말단부를 취출 방향(T2)으로 안내하며, 이때 우편물은 백업판(3), 상부 바닥 벨트(7) 및 하류측 바닥 롤러(4a, 4b)에 의해 취출 위치로 급송된다. 안내판(21)은 우편물(P)의 취출 위치 근처에서 취출 방향(T2)으로 하류측 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방출 유닛(20)은 급송 유닛에 의해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을 따라 급송 유닛(10)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안내판(22)을 갖는다. 이 안내판(22)은 급송 유닛(10) 쪽으로 취출 롤러(11)와 보조 롤러(18)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개구(미도시)를 갖는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22)은 보조 롤러(18)의 최상측에 위치한 롤러부(18c)의 근처에서 급송 유닛(10)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약간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한 자세로 장착 기부(2) 상에 장착된 우편물(P)이 방출 유닛(20)측 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그 상단부에 가까운 우편물(P)의 일부는 안내판(22)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취출 장치(1)의 기능과 효과를 설명하다.
상술한 취출 장치(1)에서, 하류측 바닥 벨트(4a)[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4a)]가 권취된 풀리(5a)의 직경은 하류측 바닥 벨트(4b)[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4b)]가 권취된 풀리(5b)의 직경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급송 유닛(10)의 두 개 의 하류측 바닥 벨트(4a, 4b) 중에서, 바닥 벨트(4a)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2)으로 하류측에 배치되고 바닥 벨트(4b)는 취출 방향(T2)으로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풀리(5a, 5b)는 하나의 모터(6)의 구동축(6a)에 부착되기 때문에, 두 바닥 벨트(4a, 4b)의 주행속도 간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이동 속도)는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그 결과, 바닥 벨트(4a)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은 바닥 벨트(4b)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보다 커지며, 취출 롤러(11)와 우편물(P) 간의 압력은 보조 롤러(18)와 우편물(P) 간의 압력보다 커진다.
예컨대,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를 V1,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를 V2,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를 V3라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벨트(4a)는 다른 바닥 벨트(7, 4b)의 주행속도보다 높은 주행속도로 구동된다(V1 = V3 < V2).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편물(P)은 취출 방향으로 우편물의 말단부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되게 하는 위치로 변경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편물(P)이 역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취출 방향으로 우편물(P)의 후단부가 보조 롤러(18)과 접하는 자세]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비록 방출 작업이 계속되는 동안 우편물(P)의 자세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으로 우편물(P)의 말단부가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되도록] 점차 변경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우편물의 자세는 취출 방향에 사실상 평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취출 롤러에 대한 우편물의 압력은 보조 롤러에 대한 우편물의 압력과 사실상 동일하게 되며, 취출되는 우편물을 따르는 보조 롤러의 부하 저항은 우편물에 대해 크게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와 같이, 우편물의 자세가 취출 방향으로 사실상 평행하도록 제어될 경우, 우편물은 안내판 등과 용이하게 접촉된다. 우편물이 다른 부재와 접촉하게 될 경우, 부하 저항이 생성된다. 부하 저항이 이런 방식으로 취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우편물에 작용할 경우, 우편물의 방출 작업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출 장치(1)에서와 같이,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우편물의 자세가 상술한 자세로 제어될 경우, 우편물(P)은 보조 롤러(18)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또는 약한 힘으로 보조 롤러(18)에 가압되고] 보조 롤러(18)와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우편물(P)에 효율적으로 인가될 수 있고 우편물(P)은 안정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V1)가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V3)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V2)가 주행속도보다 크게 설정된 관계(V1 = V3 < V2)가 얻어지지만, 적어도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V2)가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V3)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V1)가 연계되지 않는 관계(V3 < V2)가 만족될 수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23)[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23)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취출 장치(1)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 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장치(23)는 하나의 모터(6)에 의해 동일한 주행속도로 구동되는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24, 25)를 갖는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풀리(5a, 5b)의 직경이 하류측 바닥 벨트(4a, 4b)의 주행속도를 다르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르게 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6)의 회전축(6a)에 부착된 두 풀리(5)의 직경은 동일하며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24, 25)는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그 대신, 본 실시예에서,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24)(제1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24)라 함]의 표면의 마찰계수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25)(제2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25)라 함]의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작용하는 바닥 벨트(24)의 마찰력(제1 마찰력)은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작용하는 바닥 벨트(25)의 마찰력(제2 마찰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바닥 벨트(24)에 의해 우편물(P)을 급송하는 급송력은 바닥 벨트(25)에 의해 우편물(P)을 급송하는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게 된다.
예컨대, 바닥 벨트(24, 25) 상에서 작용하는 우편물(P)의 중력을 W, 바닥 벨트(25)의 표면의 마찰계수를 μ1, 바닥 벨트(24)에 의해 작용하는 급송력을 F1, 바닥 벨트(25)의 표면의 마찰계수를 μ2 그리고 바닥 벨트(25)에 의해 작용하는 급송력을 F2라고 가정하면, μ1 > μ2이다. 따라서, F1(= μ1·W) > F2(= μ2·W)이다.
바닥 벨트(24, 25)의 마찰계수가 이런 방식으로 서로 다른 경우, 바닥 벨트(24)의 주행속도가 바닥 벨트(25)의 주행속도와 동일한 경우에도, 바닥 벨트(24)의 급송력(F1)은 바닥 벨트(25)의 급송력(F2)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취출 롤러(11)와 우편물(P) 사이의 가압력은 보조 롤러(18)와 우편물(P) 사이의 가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우편물(P)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한 자세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경우에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T1)의 말단부에 있는 우편물(P)이 취출 위치로 급송된 후, 취출 방향(T2)의 말단부에 가까운 취출 위치에 있는 우편물(P)의 일부는 취출 롤러(11) 상으로 비교적 강하게 가압될 수 있고 우편물(P)의 자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우편물(P)의 자세는 일부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되지 않지만, 취출 방향의 말단부에 가까운 우편물(P) 부분에 작용하는 바닥 벨트(24)에 의해 가해진 급송력은 취출 방향의 후방측 마지막에 가까운 우편물(P)의 일부에 작용하는 바닥 벨트(25)에 의해 가해진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다. 따라서, 우편물(P)에 작용하는 보조 롤러(18)에 의한 부하 저항과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저감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방출 작업은 안정화될 수 있다.
이하,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3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3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취출 장치(23)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 바닥 벨트(24, 25)의 표면의 마찰계수를 달리하는 대신, 취출 장치(31)에는 복수의 멈춤쇠형 돌기(프로파일)(33)가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32)(제1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32)라 함]의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들 돌기(33)는 장착 기부(2) 상에 장착된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작용하며, 각각의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는 돌기(33) 사이에 끼워져서 적재 방향(T1)으로 이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바닥 벨트(32)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은 돌기를 전혀 갖지 않는 바닥 벨트(25)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P)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한 자세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경우에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방향(T1)의 말단부에 있는 우편물(P)이 취출 위치로 급송된 후, 취출 방향(T2)의 말단부에 가까운 취출 위치에 있는 우편물(P)의 일부는 취출 롤러(11) 상으로 비교적 강하게 가압될 수 있고 우편물(P)의 자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편물(P)과 취출 롤러(11) 사이의 가압력은 우편물(P)과 보조 롤러(18) 사이의 가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우편물(P)에 작용하는 보조 롤러(18)에 의한 부하 저항과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저감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방출 작업은 안정화될 수 있 다.
이하,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4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4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취출 장치(23)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24, 25)의 표면의 마찰계수를 달리하는 대신, 취출 장치(41)에는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42)(제1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42)라 함]의 T2를 따르는 폭이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25)(제2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25)라 함]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이처럼, 바닥 벨트(42)의 폭은 바닥 벨트(25)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됨으로써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접촉하게 되는 바닥 벨트(42)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바닥 벨트(42)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은 바닥 벨트(25)에 의한 우편물(P)의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P)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한 자세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경우에도,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방향(T1)의 말단부에 있는 우편물(P)이 취출 위치로 급송된 후, 취출 방향(T2)의 말단부에 가까운 취출 위치에 있는 우편물(P)의 일부는 취출 롤러(11) 상으로 비교적 강하게 가압될 수 있고 우편물(P)의 자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편물(P)과 취출 롤러(11) 사이의 가압력은 우편물(P)과 보조 롤러(18) 사이의 가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우편물(P)에 작용하는 보조 롤러(18)에 의한 부하 저항과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저감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방출 작업은 안정화될 수 있다.
이하, 도18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5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5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취출 장치(23)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바닥 벨트(24, 25)의 표면의 마찰계수를 달리하는 대신, 취출 장치(51)에서는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52)(제1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52)라 함]의 표면의 마찰 계수 및 폭이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25)(제2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25)라 함]의 마찰계수 및 폭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긴 모양의 스트립형 마찰부재(53)가 바닥 벨트(25)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마찰부재(53)는 수직한 자세로 장착 기부(2) 상에 장착된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 상에 소정의 마찰력을 작용하는 기능을 하며 우편물(P)의 급송 방향(T1)을 따라 연장된다. 특히, 본 마찰부재(53)는 우편물(P)의 취출 위치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 저항에 대한 주 요인인 보조 롤러(18)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안내판(22)에서 조금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마찰부재(53)는 취출 위치 쪽으로 급송된 우편물(P)의 하부 모서리에 대해 급송 방향(T1)의 역방향으로 마찰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마찰부재에 인접한 바닥 벨트(25)에 의해 가해지는 급송력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마찰부재(53)가 취출 위치까지 연장되면,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이 화살표(T2) 방향으로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는 경우, 취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가해지는 마찰력이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생성되어 본 발명의 범위에 반하는 단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마찰부재(53)는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될 우편물(P)이 마찰부재(53)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판(22)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바람직하지 않은 부하 저항이 화살표(T2) 방향으로 취출될 우편물(P)에 인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닥 벨트(25)에 의한 급송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약화될 경우, 취출 방향의 상류측에 있는 바닥 벨트(25)[마찰부재(53)]에 의해 가해지는 급송력은 취출 위치에서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바닥 벨트(52)에 의해 가해지는 급송력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편물(P)과 취출 롤러(11) 사이의 압력은 우편물(P)과 보조 롤러(18) 사이의 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될 수 있고 우편물(P)에 작용하는 보조 롤러(18)에 의한 부하 저항과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저감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방출 작업은 안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P)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한 자세로 취출 위치로 급송되는 경우에도,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P)이 취출 위치로 급송됨에 따라, 우편물(P)의 자세는 변경될 수 있으며 취출 방향(T2)의 말단부에 가까운 취출 위치에 있는 우편물(P)의 일부는 취출 롤러(11) 상으로 비교적 강하게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우편물(P)에 작용하는 보조 롤러(18)에 의한 부하 저항과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감소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방출 작업은 안정화될 수 있다.
이하,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6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6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취출 장치(1)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취출 장치(61)는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4a)(제1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4a)]를 구동하는 바닥 모터(62)(제1 모터)와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하류측 바닥 벨트(4b)(제2 바닥 벨트)[이하, 간단히 바닥 벨트(4b)]를 구동하는 바닥 모터(63)(제2 모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취출 장치(61)는 두 개의 하류측 바닥 벨트(4a, 4b)를 독립 적으로 운행시키는 두 개의 바닥 모터(62, 63)를 갖는다. 즉,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6)가 사용되고 풀리(5a, 5b)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하류측 바닥 벨트(4a, 4b)의 주행 속도를 다르게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바닥 모터(62, 63)가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바닥 벨트(4a, 4b)의 운행 속도를 다르게 한다.
예컨대,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를 V1,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를 V2,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를 V3라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벨트(4a)는 다른 바닥 벨트(7, 4b)의 주행속도보다 높은 주행속도로 구동된다(V1 = V3 < V2). 따라서,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T2)에 사실상 평행한 우편물(P)은 취출 방향으로 우편물의 말단부가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되게 하는 위치로 변경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편물(P)이 역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취출 방향으로 우편물(P)의 후단부가 보조 롤러(18)와 접하는 자세]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방출 작업이 계속됨에 따라 우편물(P)의 자세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방향으로 우편물(P)의 말단부가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되도록] 점차적으로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바닥 벨트(4a, 4b)의 주행 속도가 서로 다르게 될 수 있음으로 해서 보조 롤러(18)로부터 우편물(P)을 분리시킬 수 있고(또는, 우편물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될 수 있고) 보조 롤러(18) 및 안내판(22)에 의한 부하 저항은 저감될 수 있고 취출 롤러(11)에 의한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고 우편물(P)은 안정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V1)가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V3)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V2)가 주행속도보다 높게 설정된 관계가 얻어지지만(V1 = V3 < V2),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V2)가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V3)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V1)가 연계되지 않은 관계(V3 < V2)가 만족될 수 있다.
이하, 도26 및 도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71)[이하, 간단히 취출 장치(7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6 실시예의 취출 장치(61)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장치(71)는 안내판(22)으로부터 취출 위치 쪽으로 돌출된 취출 롤러(11)가 화살표(T1) 방향으로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값 정도로 밀렸는지는 검출하는 제1 검출부(72)와, 안내판(22)으로부터 취출 위치 쪽으로 돌출된 보조 롤러(18)가 화살표(T1) 방향으로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값 정도로 밀렸는지는 검출하는 제2 검출부(73)를 갖는다. 취출 장치(71)는 또한 두 개의 바닥 모터(62, 63)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제어부(74)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취출 장치(71)는 이들 두 개의 검출부(72, 73)와 제어부(74)가 배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취출 장치(61)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제1 검출부(72)는 취출 롤러(11) 근처에서 안내판(22)의 근처에 우편물(P)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취출 롤러(11)의 돌출된 위치는 취출 롤러(11)를 우편물(P)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서보 모터(14)에 설치된 인코더(72)에 의해 검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서보 모터(14)는 제1 검출부(72)로서도 작용한다.
제2 검출부(73)는 보조 롤러(18) 근처에서 안내판(22)의 근처에 우편물(P)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진판독기(73)는 보조 롤러(18)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회 아암(19)이 특정 회전 위치에서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따라서, 보조 롤러(18)는 소정의 문턱값보다 높은 값으로 밀렸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검출부(72)로서 인코더가 사용되지만 사진판독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 등이 사용되는 방법도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취출 롤러(11)와 보조 롤러(18)가 우편물(P)에 의해 특정 문턱값보다 높은 값으로 밀릴 때, 제1 및 제2 검출부(72, 73)는 턴-온된다. 우편물(P)이 안내판(22)에서 분리될 때 제1 및 제2 검출부는 턴-오프된다.
이하, 도28의 흐름도와 도29 내지 도32의 작업 설명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취출 장치(71)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속도를 V1, 상류측 바닥 벨트(4a)의 주행속도를 V2, 하류측 바닥 벨트(4b)의 주행속도를 V3로 가정한다.
처리 대상물로서 복수장의 우편물(P)이 취출 장치(71) 내로 투입되어 급송 작업을 시작하면(도28의 단계 1), 제어부(74)는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하류 측 바닥 벨트(4a)를 상류측 바닥 벨트(7)와 하류측 바닥 벨트(4b)보다 높은 주행속도(일반속도: V1 = V3 < V2)로 구동한다.
그 후, 제어부(74)는 제1 검출부(72) 및 제2 검출부(73)를 거쳐 취출 위치로 급송된 우편물(P)의 상태를 점검하고(단계 2), 도29 내지 도32에 도시된 상태들 중 하나가 판단된다(단계 3). 또한, 판단 결과에 기초해서, 바닥 모터(62)(제1 모터)와 바닥 모터(63)(제2 모터)가 구동되어 제어되며, 바닥 벨트(4a)와 바닥 벨트(4b)의 구동이 제어된다(단계 4).
그 후, 장착 기부(2) 상에 급송 대상물로서 우편물(P)이 전혀 없을 때까지(단계 5: 예), 단계 2 내지 4까지의 과정이 반복됨으로써(단계 2 내지 4), 급송 작업을 종료한다. 비록 도28의 흐름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류측 바닥 벨트(7)는 바닥 벨트(4a)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 및 중단을 반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P)이 취출 롤러(11)와 보조 롤러(18)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즉 제1 검출부(72)와 제2 검출부(73)가 각각 턴-오프되는 경우, 바닥 벨트(4a)는 바닥 벨트(4b)보다 높은 주행 속도로 작동된다(V2 > V3). 따라서, 바닥 벨트(4a, 4b)가 이전과 같이 계속 구동될 때,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는 취출 방향으로 말단부에 가까운 우편물(P)의 일부가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되도록 변경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3에서 우편물(P)이 도30에 도시된 자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단지 제1 검출부(72)만이 턴-온된 경우, 우편물(P)의 자세는 적절하며, 따라서 바닥 벨트(4a, 4b)는 정지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3에서 우편물(P)이 도31에 도시된 자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단지 제2 검출부(73)만이 턴-온된 경우, 바닥 벨트(4a)[및 상류측 바닥 벨트(7)]는 취출 방향으로 우편물(P)의 말단부를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하도록 구동된다. 동시에, 보조 롤러(18)에서 우편물(P)로 인가되는 부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 롤러(18)와 대면하는 바닥 벨트(4b)는 역전된다. 본 작업에 따르면, 우편물(P)은 도31에 도시된 자세로부터 도30에 도시된 자세로 변경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3에서 우편물(P)이 도32에 도시된 자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제1 및 제2 검출부(72, 73) 모두 턴-온된 경우, 취출 방향의 말단부에 가까운 우편물(P)의 부분은 이미 취출 롤러(11) 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바닥 벨트(4a)[및 상류측 바닥 벨트(7)]는 정지된다. 동시에, 보조 롤러(18)에서 우편물(P)로 인가되는 부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 롤러(18)와 대면하는 바닥 벨트(4b)는 역전된다. 본 작업에 따르면, 우편물(P)은 도32에 도시된 자세로부터 도30에 도시된 자세로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취출 장치(71) 내로 투입된 우편물(P)의 자세에 관계없이, 보조 롤러(18)와 안내판(22)으로부터 우편물(P)로 인가되는 부하 저항은 감소될 수 있으며, 취출 롤러(11)의 방출력은 양호한 효율로 우편물(P)에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모터(8, 62, 63) 각각의 구동은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 속도(V1)가 바닥 벨트(4b)의 주행 속도(V2)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바닥 벨 트(4a)의 주행 속도(V3)가 상기 주행 속도보다 높게 설정되도록(V1 = V3 < V2) 제어된다. 그러나, 적어도 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바닥 벨트(4a)의 주행 속도만이 상류측 상의 바닥 벨트(4b)의 주행 속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V3 < V2),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주행 속도(V1)는 연계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작업(구동 또는 정지 타이밍)은 바닥 벨트(4a)의 작업에 맞춰지지만, 상류측 바닥 벨트(7)의 작업 타이밍은 바닥 벨트(4b)의 작업 타이밍에 맞춰질 수 있다.
다른 장점과 변경예가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쉽게 발견될 것이다. 따라서, 광의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특정의 세부 사항과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일반적 발명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와 그 균등물에서 벗어나지 않은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이 시트를 안정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2)

  1.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각각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각각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고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및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며,
    취출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급송력은 보조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급송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는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바닥 벨트를 구동하는 하나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고 그 둘레에 제2 바닥 벨트가 권취된 제2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고 그 둘레에 제1 바닥 벨트가 권취되고 그 직경이 제2 풀리의 직경보다 큰 제1 풀리를 더 포함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에 의해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되는 제1 마찰력은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에 의해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되는 제2 마찰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바닥 벨트의 표면의 마찰계수는 제2 바닥 벨트의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제1 바닥 벨트의 폭은 제2 바닥 벨트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의 표면에는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하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에 인접해서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부재가 적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는 보조 롤러와 대면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는 취출 방향으로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된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1.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각각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각각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고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및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며,
    취출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압력은 보조 롤러에 대한 종이 시트의 압력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는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바닥 벨트를 구동하는 하나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고 그 둘레에 제2 바닥 벨트가 권취된 제2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고 그 둘레에 제1 바닥 벨트가 권취되고 그 직경이 제2 풀리의 직경보다 큰 제1 풀리를 더 포함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에 의해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되는 제1 마찰력은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에 의해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되는 제2 마찰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바닥 벨트의 표면의 마찰계수는 제2 바닥 벨트의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바닥 벨트의 폭은 제2 바닥 벨트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하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의 표면에는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작용하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제2 바닥 벨트에 인접해서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 상에 마찰력을 작용하는 마찰부재가 적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는 보조 롤러와 대면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는 취출 방향으로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된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21. 복수의 종이 시트를 수직한 자세로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종이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종이 시트들의 하부 모서리가 접해 있는 장착 기부와,
    적재 방향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종이 시트를 취출 위치로 급송하기 위해 종이 시트의 적재 방향으로 장착 기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종이 시트를 압박하는 백업판과,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되어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노출된 부분이 적재 방향을 따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바닥 벨트와,
    적재 방향과 사실상 직각으로 교차하는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제1 바닥 벨트로부터 사실상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장착 기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이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하부 모서리를 취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바닥 벨트와,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와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종이 시트를 취출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롤러와,
    취출 위치와 대면하도록 취출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상기 취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취출 위치로 급송된 종이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롤러와,
    제1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가 제2 바닥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높도록 제1 및 제2 바닥 벨트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취출 롤러가 문턱값보다 높은 값으로 밀리는지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보조 롤러가 문턱값보다 높은 값으로 밀리는지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와,
    제1 및 제2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제1 및 제2 모터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종이 시트 취출 장치.
KR1020060085400A 2005-09-07 2006-09-06 종이 시트 취출 장치 KR20070028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9323A JP4468272B2 (ja) 2005-09-07 2005-09-07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JP-P-2005-00259323 2005-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42A true KR20070028242A (ko) 2007-03-12

Family

ID=3749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00A KR20070028242A (ko) 2005-09-07 2006-09-06 종이 시트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52154A1 (ko)
EP (1) EP1762515A3 (ko)
JP (1) JP4468272B2 (ko)
KR (1) KR200700282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75B1 (ko) * 2019-02-14 2020-04-06 주식회사 삼성포장기 기능성 낱장 자동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666A (ja) * 2007-04-26 2008-11-13 Toshiba Corp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2010143750A (ja) * 2008-12-22 2010-07-01 Duplo Corp 折丁供給装置
FR2948108B1 (fr) * 2009-07-20 2011-08-05 Neopost Technologies Dispositif d'alimentation a adherence amelioree
JP5524151B2 (ja) * 2011-08-31 2014-06-18 株式会社東芝 給紙装置
JP6509984B2 (ja) * 2017-09-29 2019-05-08 株式会社プレッシオ 紙葉類取り出し装置
EP3747809B1 (en) * 2019-06-05 2023-11-08 G.D S.p.A.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blanks to a machine for further processing
FR3097453B1 (fr) * 2019-06-20 2021-10-01 Solystic Dispositif d’alimentation pour alimenter en articles de courrier postaux un convoyeur de tri post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193A (en) * 1975-03-12 1976-06-29 Pitney-Bowes, Inc. Mail handling stacking and feeding apparatus
US4884797A (en) * 1987-10-16 1989-12-05 Bell & Howell Company Feeder module for use in a document forwarding system
US5297785A (en) * 1992-08-28 1994-03-29 Bell & Howell Phillipsburg Company Pre-feed shingling device for flat-article feeder
IT1266198B1 (it) * 1994-08-12 1996-12-23 Finmeccanica Spa Dispositivo di smistamento singolo per oggetti postali
US6315286B1 (en) * 1999-12-07 2001-11-13 Pitney Bowes Inc. Jogger system for a mixed mail cancellation feeder
JP2005145671A (ja) * 2003-11-17 2005-06-09 Toshiba Corp 紙葉類取出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75B1 (ko) * 2019-02-14 2020-04-06 주식회사 삼성포장기 기능성 낱장 자동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70058A (ja) 2007-03-22
US20070052154A1 (en) 2007-03-08
EP1762515A2 (en) 2007-03-14
EP1762515A3 (en) 2008-03-19
JP4468272B2 (ja)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493B1 (en) Paper sheet separation and transfer apparatus
EP2441715B1 (en)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KR20070028242A (ko) 종이 시트 취출 장치
KR100516757B1 (ko) 시트 취출 장치
JP4469671B2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US20120223473A1 (en) Sheet loading unit and sheet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8280139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478507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JP2008044708A (ja) 紙葉類分離繰出機構
WO1997011901A1 (en) Separator with hold back belt for feeder
JP3586608B2 (ja) 紙葉類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3573224B2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3620198B2 (ja) 紙葉類の分離装置
JPH0692491A (ja) 紙葉類繰出装置
JPH05266316A (ja) カード類の重送検知装置
JP2851403B2 (ja) 紙葉類繰出し装置
EP0852563B1 (en) Separator with hold back belt for feeder
JP6042155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H0735210B2 (ja) カ−ド分離給送装置
JPS63196424A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2000128414A (ja) 紙葉類集積装置
JPH05301648A (ja) 紙葉類の繰り出し機構
JP2003321155A (ja) 紙葉類集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