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24457A -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 Google Patents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457A
KR20070024457A KR1020067007174A KR20067007174A KR20070024457A KR 20070024457 A KR20070024457 A KR 20070024457A KR 1020067007174 A KR1020067007174 A KR 1020067007174A KR 20067007174 A KR20067007174 A KR 20067007174A KR 20070024457 A KR20070024457 A KR 2007002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ail
building
platform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코르차긴
마리나 예브게예브나 코르차지나
블라디미르 아바노비치 말로레트코프
이고르 아이. 골드슈타인
바실리 빅토로비치 코세보이
비아체스라브 르보비치 크리멘토프
이반 파브로비치 코르차진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바라루시킨
레오니드 미카일로비치 페오크디스토프
이고라 라파엘레비치 카지모프
타티야나 페드로브나 야코블레바
일야 젠나디에비치 고르데에프
에카테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비노그라도바
스베트라나 에브게예브나 티르스카야
바레리 일리치 니키틴
안나 블라디미로브나 코세바야
니콜라이 니콜라에비치 엘리세프
Original Assignee
트리스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비치
마리나 예브게예브나 코르차지나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코르차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175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2445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0/663,260 external-priority patent/US7165650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680,369 external-priority patent/US719187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793,508 external-priority patent/US7290640B2/en
Application filed by 트리스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비치, 마리나 예브게예브나 코르차지나,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코르차긴 filed Critical 트리스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비치
Publication of KR2007002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ransmitt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고층 건물(2)의 외부에 부착된 레일(1) 위로 진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레일은 H 형태이고,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해 레일위의 채널위의 진행하는 케이블에 연결된 트롤리(37, 38)를 가진다. 모터(7)는 트롤리에 연결된 케이블(35,36)을 가지는 스풀(9, 10)을 회전시킨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위의 어떤 지점에도 도달할 수 있도록 부착된 텔레스코핑 암(18)을 가진다. 건설 중인 동안 텔레스코핑 암에 부착되는 플랫폼 또는 캐빈(20)은 건물로 자재를 운송할 수 있고 그 후 창문 세척과 같은 유지보수 위해 사용한다. 텔레스코핑 암은 화재시 고층건물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거나 소방수 또는 소방장비를 이송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른 기능을 위한 여러 가지 부착물을 가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 소방, 건물

Description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건물의 외부에 부착된 레일 위로 진행하는 승강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레일은 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2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두 객차,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과 엘리베이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층구조에서 사용하기 위해 건물 외부에 부착되는 레일위로 진행하는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두 객차,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과 엘리베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레일 시스템과 레일 결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동력을 공급하게 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레일 상하로 구동될 수 있거나 케이블이 엘리베이터를 승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일 섹션은 레일 섹션 위의 엘리베이터와 더불어 건물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레일 섹션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엘리베이터가 선회 암에 의해 레일에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영구적으로 건물 레일에 부착될 수 있거나, 건물로 이송될 수 있다. 크레인 부분은 또한 건물의 모든 부분에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방, 긴급구조, 건물 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도록 사이에 부착된 복도를 가지는 레일상의 두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방 및 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고층 구조의 건설과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고층 구조의 수직 운송은 계단과 엘리베이터에 제한된다.
건물의 외부의 소방대원은 소방작업을 하거나, 구조를 시도할 때 사다리가 도달하는 높이 정도에 제한을 받는다. 건물의 건설과 유지보수는 외부 벽과 건물의 지붕으로 접근이 제한된다. 예를 들면 창문 세척은 건물의 최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로프에 불확실하게 매달려 늘어지는 판자로 제한된다. 건물의 건설은 이와 유사하게 고층 건물의 외부에서 발판에 대한 필요성과 손쉬운 이송의 어려움 및 모든 영역으로부터의 접근성이 제한된다. 어떤 건물에는 건물의 외부에 엘리베이터가 있어 건물의 측면에서 승강하는 우수한 조망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은 표준적인 엘리베이터이며, 화재시 사용되지는 않는다. 엘리베이터는 케이블을 가지며, 엘리베이터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건물의 구조 내에 포함된다. 엘리베이터내의 사람들이 건물의 측면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벽은 통상 유리로 만들어진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화재시 건물에서 다수의 사람이 빠져나가는데 이용할 수 없고, 소화 또는 건물의 유지보수 또는 건설 공사를 수행에 유용하지 않다.
빌딩의 측면에서 상하로 진행하도록 플랫폼을 지지하는 플랫폼의 측면중 하나에 로프를 사용하는 창문-세탁 플랫폼이 사용된다. 상기 로프는 플랫폼에서 사람이 조작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배럴에 감긴다. 건물면의 어떤 지점에도 도달할 수 있도록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소방, 긴급 구조, 빌딩 유지보수 또는 창문 세척에 사용될 수 있는 건물의 전체 면에 미치는 장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크레인 부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건물의 외부의 수직으로 상하강하기 위한 것이다. 크레인 부분은 건물의 의도하는 위치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화재시 구조를 위해 캐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역시 건물의 모든 부분으로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질 수 있다. 크레인은 또한 건설 중인 건물의 어떤 위치로도 건물 자재를 끌어당길 수 있고, 건물의 외부에서 창문 세척 또는 다른 유지보수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 부분은 캐빈과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텔레스코핑 암을 가진다. 텔레스코핑 암은 양 단부에 피벗을 가진다. 한 피벗은 캐빈바닥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캐빈에 부착된다. 제 2 피벗은 텔레스코핑 암이 엘리베이터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있게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의 회전 부분은 텔레스코핑 암이 건물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스윙한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텔레스코핑 폴의 다른 단부상의 캐빈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텔레스코핑 폴을 가진다. 엘리베이터 부분에 부착된 피벗은 캐빈이 엘리베이터 부분에 대해 각을 위루는 위치에 있게된다.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은 휠로 연결되고 레일에 클램핑되어 엘리베이터 부분을 고정하고 레일상에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추진시킨다. 상기 클램핑 특성은 엘리베이터 부분이 건물에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 부분은 필요할 때 건물의 다른 부분의 부분으로 이동되거나 다른 건물로 이송될 수 있다.
텔레스코핑 암, 회전 메카니즘과 선회 메카니즘을 가지는 이송 차량은 연결을 위해 레일 부근의 엘리베이터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 상의 텔레스코핑 폴에 부착되는 캐빈 또는 플랫폼은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건설하는 동안 건물에 상품 또는 작업자를 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소방작업 또는 건물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역시 제 2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양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H형태의 레일 위에서 수직으로 진행한다. 상기 레일은 레일상서 엘리베이터를 상하강시키기 위한 채널내에 진행하는 두 분리된 트롤리에 연결된 두 분리된 케이블이 진행하기 위한 채널을 가진다. 레일은 엘리베이터를 안정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휠에 연결된다. 휠은 엘리베이터가 레일에 연결도리 수 잇도록 레일에 엘레베에터를 일시적으로 클램핑 또는 선회하는 암에 장착될 수 있거나 엘리베이터 휠이 레일에 영구히 연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같은 건물의 다른 레일에 또는 또 다른 건물의 레일에 이송될 수 있기 위해 선회 암이 레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제거하도록 열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엘리베이터는 H 레일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개구를 레일의 개구에 연결되는 기어휠과 함께 이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에서 레일을 연장하고 엘리베이터를 빌딩에 부착하기 위해 기존 레일에 추가된 레일 섹션에 부착된다.
텔레스코픽 암은 선회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서로 연결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텔레스코픽 암은 그 단부에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클램프에 부착되는 피벗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는 또한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장벽이 있는 플랫폼 외부에서 선회하고 캐빈은 플랫폼 위에 걸린다.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그 수직 축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슬라이딩 도어와 더불어 캐빈과 연결되기 위한 객실을 가진다. 계단을 가진 수직 개구는 비상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안전상의 이유로, 탄성 프로필은 엘리베이터 부분 접촉 표면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의 상부 표면에 사용된다. 탄성 프로필의 지지요소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접촉표면 아래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 위에 제공된다. 일정한 연료 및 액체 공급를 위해, 캐빈, 엘리베이터 부분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는 방화 폼 및 다른 액체 및 호스를 보관하는 구획부가 제공된다.
또한 작동 제어를 위해, 엘리베이터 부분의 객실은 추가적인 컨트롤 패널을 제공된다. 탄성 타이어와 H 형 레일 사이의 접촉 개선을 위해 작업표면은 안내 슬롯을 가진다.
건물 벽면의 레일위로 진행하는 한쌍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일제히 승하강 함에 따라 건물면의 어떤 지점에 접근하기 위해 이들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랫폼을 가진다.상기 플fot폼은 복도를 지지할 수 있어, 사람들이 인접 복도를 통해 걸어서 들어갈 수 있거나 긴급 구조작업을 위해 엘리베이터 외부에 연결되거나 복도내로 승하강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건물의 각 면에 있는 엘리베이터 쌍은 서로 협력하여 승하강될 수 있거나 구조를 위해 개별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다른 엘리베이터 또는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트는 그 후 즉시 또한 소방 또는 빌딩 건축 또는 유지를 위해 위에 플랫폼과 복도를 가진 엘리베이터 상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기능적인 구획부를 이용한다. 여기에는 슬라이딩 프레임이 잭 메카니즘의 도움을 받도록 이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슬라이딩 프레임은 건물의 외부한계 위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드는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에 장착된 안내 레일내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이 보장한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그 위에 장착되는 좌우 포켓 가이더를 가지는 수용패널과 함께 전면부분에 설치된다.
수용 패널과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수용 패널과 유사한 정방형의 구조를 가진 장착 패널이 설치된다.; 장착 패널의 두께는 연결을 도우는 수용패널의 외부 표면과 포켓 가이더사이의 틈보다 작다. 안전을 위해, 수용 패널에는 경사진 안내측면과 하부로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착 패널이 제공된다.; 기능적 구획부의 하부부분은 안전한 장착-재장착 작동을 위한 콘크리트 기초를 가진다.; 보조 부분은 객실로부터 보조 부분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이동가능한 사다리를 가진다.
캐빈의 도움으로 건물 벽과 창문을 완전히 기계화 세척하기 위해, 캐빈의 후방 표면에는 둥근 기계 브러시가 있는 탈착가능한 프레임과 유체 분사기 및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프로필이 설치된다. 부착가능한 프레임의 장탈착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 핸들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부표면 또는 지붕에 수직 및 수평이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부의 어떤 지점에 소방 설비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 또는 다른 긴급상황시 건물로부터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시 건물의 어떤 부분으로 건축 자재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작업하는 건축 또는 유지 인원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구조에 이동할 수 있는 소방 및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부상의 레일에 엘리베이터를 빠르고 쉽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상의 엘리베이터를 빠르게 설치하기 위해 추가된 레일 섹션상에 엘리베이터와 함께 건물 레일 시스템에 레일 섹션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 메카니즘와 상호연결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텔레스코픽 암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을 가진 클램프로 선회되고, 상기 클램프는 수직 축주위로 완전히 회전할 수 있도록 캐빈이 걸린 장벽이 제공된 외부 플랫폼에 선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객실이 있는 엘리베이터 부분,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로 안내되는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 상에 두 부분으로 구성된 계단을 가진 수직 개구, 독립와 수직 개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수직 개구아래에 해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을 위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의 지지요소 및 접촉 캐빈 플랫폼상에 탄성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인 추가 연료와 액체를 위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부분의 캐빈내에 구획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내에 추가적인 제어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타이어를 위해 H형 레일의 작업 표면에 안내 슬롯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및 다른 기능을 위해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를 가진 건물 벽면에 플랫폼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를 위해 건물면을 가로지르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건축과 유지에 사용하기 위해 빌딩면을 가로지르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획부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빌딩과 후방에 외부제한위로 슬라이딩 프레임이 움직이는 것을 돕는 잭 메카니즘과 연결되어 장착된다. 안전 및 프레임의 부드러운 슬라이딩은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내에 가이더와 서로 연결되는 지지휠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좌우측면상에 포켓 가이더를 가진 기능적 구획부이 전면에 수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패널과 함께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수용패널과 같이 동일한 정방형태의 장착 패널이 설치된다.; 장착 패널의 두께는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장착된 포켓 가이더와 수용패널의 외부표면사이의 틈보다는 작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연결을 위해 하부에 둥근 모서리를 가진 경사진 안내측면을 가진 수용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H형상의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안전한 장탈착을 위해 기능적 구획부의 하부부분에 콘크리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 섹션으로부터 보조 부분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사다리를 가진 보조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과 창문의 완전한 기계화된 세척을 위해 유체 분사기와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둥근 기계 브러시와 프로필을 가진 캐빈의 후방 표면에 부착가능한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의 후방 표면에 부착가능한 프레임의 장탈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핸들을 가진 부착가능한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소방 시스템을 지지하는 자기 추진 유닛을 가진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기둥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3은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와 이송 차량의 레일 섹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레일에 설치하는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레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레일로부터 해제디는 휠과 열린 암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레일에 배치되는 자기 추진 유닛을 가진 레일에 결합된느 휠과 닫힌 암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7은 레일과 트롤리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도 8은 H 형 레일 위의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도 9는 H 형 레일위의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이송 차량위의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건물에 부착된 크레인과 레일 섹션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 다.
도 12는 레일 위의 엘리베이터 휠과 기어 휠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레일위의 엘리베이터 휠과 기어 휠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레일 부착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건물에 설치된 부착 섹션 위의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건물에 엘리베이터와 부착 섹션을 설치하는 이송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소화와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차량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9는 차량에서 도 18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H형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H형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H형 레일의 부착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H형 레일의 부착 섹션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H형 레일에 설치된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소화 및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전입(moved-in) 슬라이딩 프레임을 가지는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29는 전출(moved-out) 슬라이딩 프레임을 가지는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30은 영구히 설치된 H-형 레일과 연결되어 운동하는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정면도.
도 31은 H형 레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사시도.
도 32는 소화 및 구조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건물 벽과 창문의 기계화 세척을 위해 설치된 장비를 가진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건물 외부의 두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도에 더하여 화재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캡 및 크레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두면을 도시한다.
도 35는 건물의 외부에 레일이 설치되고 복도를 지지하는 두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건물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건물면에 엘리베이터로 지지되는 복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복도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도시하는 건물의 모서리에서 복도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38은 건물의 외부표면과 엘리베이터의 복도 부분에서 레일에 연결되는 엘 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건물의 외부표면과 엘리베이터의 복도 부분에서 레일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의 엘리베이터와 크레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건물 기초의 측면도이다.
고층빌딩은 사다리, 체리 픽커 및 다른 설비와 같이 상부층에 비해 짧고 하부층에만 도달되는 소방설비만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시 매우 위험하다. 또 다른 위험은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에 갇힐 수 있거나, 연기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엘리베이터가 화재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시 내부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거나 소방작업을 하도록 고층건물을 소개시키는 것이 어렵다.
고층의 건물에서는 상부층 외부로부터 건물면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화재시 소방대원이 불을 끄고 상부층의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건물면에 접근해야한다.
또한, 창문 세척과 유지보수를 위해 건물의 외부 표면으로 접근하는 장비를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상기 장비는 또한 구축하는 동안 건물 외부 위치에서 자재와 노동자를 유입하거나, 구축시 상부층과 지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건물 외부에서 수직으로 상하강하는 엘리베이터 부분과 건물의 의도하는 위치로 암을 연장하기 위한 크레인 부분이 포함된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소방구조를 위해 객실 캐빈을 지지할 수 있고, 건물의 모든 부분에 접근하기 위한 소방 설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건물내의 사람을 구조하고 소방작업을 위해 건물면의 어느 부분이라도 캡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은 캐빈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및 후방)로 그리고 엘리베이터 부분으로부터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및 후방)직접 사람들을 이송하거나 피난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건물 구축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긴급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건물면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구조될 수 있는 사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건물 외부를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다른 특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부의 부착되는 레일상의 엘리베이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엘리베이터를 추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가 엘리베이터내에 있는 것 보다 케이블을 조작하기 위해 건물의 측면으로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캡이 더 가벼워지도록 한다.
또한 더 많은 사람들이 짧은 시간에 구조될 수 있기 위해 수송 능력을 증가시키는 제 2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와 크레인과 연결되는 레일 위로 진행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2)에 부착된 수직 기둥 또는 레일(1)과 엘리베이터 차량 또는 건물(2)외부에서 승하강하기 위해 레일(1)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차랑(3, 4)이 제공된다. 건물(2)의 측면의 레일(1)은 I 빔, H 빔 형 레일, 폴 또는 다른 지지수단일 수 있다. 레일(1)은 엘리베이터 부분(3)에 휠(27)을 연결하기 위해 높은 마찰 표면(26)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 찰 표면(26)을 가지는 H형 레일(1)은 건물(2)에 대해 레일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H 형의 중심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휠은 펴질 수 있는 암(54)에 부착되는 프레임(53)위로 지지된다. 암(54)은 힌지에서 선회하고 피스톤(56)을 움직임으로써 열고 닫힌다. 암(54)이 열릴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H형 레일(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암(54)이 H형 레일(1)에서 닫혀 클램핑될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레일(1)에 부착된다. H형 레일의 후방은 건물(2)에 부착된다.
레일(1)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부분(3)과 함께 제 1 세트의 휠에 90도 회전된 펼친 암의 부가적인 휠은 H형 레일(1)의 상부의 내부표면에 연결되는 타이어를 가진다.
타이어와 함께 부가적인 휠은 H형 레일(1) 상부의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H형 레일(1) 상부의 내외부 표면상의 휠은 레일(1)에 대해 부착되고 엔진 구획부(86)를 가압하도록 텔레스코핑 빔(58)을 연결하는 잭 장치(56)에 의해 서로 가압된다. 엔진 구획부(86)는 레일(1)을 따라 엘리베이터 부분(3)이 추직되도록 부착된 휠에 동력이 공급되도록 엔진 또는 전기 모터를 가진다.
레일(1)내로 만입된 가이드(30)는 레일을 고정 연결하기위해 레일(1)내의 개구에 연결되는 톱니휠(31)과 같은 휠에 연결된다. 브레이크(60)는 브레이크 케이블(62)에 dsuruf된 캐빈(3)내의 긴급 브레이크(61)를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부분(30을 중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톱니휠(31)이 구동휠로 사용될 수 있다.
건물(2)은 엘리베이터 차량(3, 4)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각각 두 분리된 케이블(10, 35)을 가지는 두 분리된 스풀(9)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7, 8)를 포함하는 상승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루프상의 하우징(5)을 가진다.
엘리베이터(4)는 필요할 때까지 하우징 5에 보관되고,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사람들을 피난시키기 위해 건물(2) 외부의 비상구(11)와 함께 정렬된다.
기둥(1)의 기초에서 스프링(12)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는 건물(2)의 기초에서 엘리베이터 차량(4)이 부드럽게 멈추는 것을 돕는다.
보조 전원(13)은 건물(2)에서 정전시 엘리베이터(3, 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모터(7, 8)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13)은 기둥(1)의 전기 커넥터(14)에 끼워진다. 엘리베이터(3, 4)의 제어수단은 엘리베이터 내에 있거나, 지상의 제어 스테이션(15)으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3)는 상부에 부착되는 크레인 부분을 가진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선회 메카니즘(16), 회전 메카니즘(17), 텔레스코핑 암(18), 선회 메카니즘(19)과 캐빈(20), 플랫 폼을 가진 캐빈 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캐빈 또는 플랫폼(20)은 소화 장비(22)와 소방수(23)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빈(20)은 회전 메카니즘(24)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크레인 부분은 승하강하는 엘리베이터(3)의 조합으로 건물(2)면을 따라 의도하는 위치로 캐빈을 위치시킬 수 있고 크레인 부분은 선회 메카니즘(16)을 사용하여 텔레스코핑 암(18)을 선회시켜 의도하는 각으로 위치시키고 그후 건물(2) 부근의 의도하는 위치로 연장 또는 수축된다. 회전 메카니즘(17)은 건물(2)을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캐빈(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메카니즘(24)은 건물과 캐빈상의 도어를 정렬하거나 건물과 소방 설비를 정렬하도록 캐빈(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캐빈(20)은 비상구(11)에 도달할 수 없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텔레스코핑 암에 대해 서술하지만, 어떠한 형태의 암도 암을따라 이동하기 위한 레일과 휠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캐빈은 유인 또는 무인일 수 있다. 소화 장비는 지상으로부터 원격 조정될 수 있다.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연기 탐지기 및 캐빈 내 다른 장치가 내부에 갇히는 사람을 구조하고 건물외부로부터 화재진압을 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캐빈(3)은 다른 사용를 위해 많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소화 캐빈으로써, 소방용 호스, 열 센서 및 절연된 내화벽을 가질 수 있다. 캐빈(3)은 고층건물에 갇힌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건물에 인접한 도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캐빈은 또한 건물의 구축시 서서 일하는 작업자를 위한 작업 플랫폼일 수 있다. 캐빈 (16)은 또한 구축하는 동안 건물에 자재를 도입하기 위해 훅과 같은 플랫폼 또는 지지 장치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건물의 외부에서 설치, 창문세척, 패널 설치 또는 유지를 위해 유용하다.
수직 기둥(1)은 건물이 구축됨에 따라 건물(2)에 부착되거나 기존 건물(2)에 부착될 수 있다. 수직 기둥(1)은 레일(1)의 섹션 사이의 팽창 조인트(2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팽창 조인트(25)는 방화 물질 또는 합금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온도에 따른 저팽창율을 가진다. 건물의 외부에 있는 레일은 화염과 연기를 피해 건물의 외부에서 운송될 수 있다. 캐빈은 위험 지대에 있는 건물로부터 이격되어 스윙될 수 있다. 캐빈은 건물의 측면 부근 또는 건물의 상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수직 기둥 또는 레일(1)은 H형상을 가지고 엘리베이터(3, 4)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몇가지 특징을 가진다. 수직 기둥(1)은 엘리베이터(3, 4)상의 타이어(27)와 접촉을 개선하도록 고마찰 코팅(260을 가진다. 상기 H 형상 수직 기둥(1)내의 전원 케이블 채널(28)은 전원 케이블(29)이 모터(7, 8)를 구동하도록 지붕에 접근하도록 한다. 수직 기둥(1)의 외부면상의 가이드(30)는 엘리베이터(3, 4)의 휠(27) 또는 톱니 휠(31)이 수직 기둥(1)의 톱니에 연결되도록 하고 기둥(1)상에 엘리베이터(3, 4)의 정렬을 유지시킨다. 라이트(33)는 밤시간의 작동을 돕기 위해 수직 기둥(1)에 설치될 수 있다.
H 형상 수직 기둥(1)은 또한 내부로 진행하는 케이블(35, 10)을 위한 트롤리 채널(34)을 가진다. 케이블(35, 10)은 트롤리 채널(34)내에 분리되어 진행하는 트롤리(37, 38)에 연결된다. 트롤리(37)는 엘리베이터 차량(3)에 부착되고 트롤리(38)는 엘리베이터 차량(4)에 부착된다. 틀롤리 휠(39)은 트롤리 가이드(40)를 트롤리 채널(34)에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와 크레인 부분은 트럭(41)과 같은 것으로 건물(2)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3)가 소화를 위한 것이면, 트럭(41)은 전문적인 소방차일 수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가 구축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되면 트럭은 건설 트럭일 수 있다. 트럭(41)이 건물(2)에 도달할 때 엘리베이터(3)는 레일(1)에 부착되고, 작업이 끝나면, 엘리베이터(3)는 레일(1)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같은 건물의 또 다른 부분 위에서 사용 또는 다른 건물로 옮겨가게 될 수 있다.
도 4는 수직 기둥(1) 위에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3)를 도시한다. 트럭(41) 건물(2)부근에 있다. 트럭(41)의 상부 표면(42)에는 부착되는 텔레스코핑 암을 가지는 선회 메카니즘(44)을 돌리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43)이 있다. 텔레스코핑 암(45)은 엘리베이터(3)를 수직 기둥(1)에 연결되기 위한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메카니즘(47)에 연결되는 선회 메카니즘(46)에 연결된다.
도 9는 엘리베이터(3)가 고정 메카니즘(47)에 의해 얼마나 상승하는가를 도시한다. 포크리프트 타인(48)는 엘리베이터(3)의 부분으로 삽입된다. 포크 리프트 타인(48)은 엘리베이터(3)가 레일(1)에 대하여 배치되는 동안 포크 리프트 타인(48) 위에 엘리베이터(3)를 잠그는 잭 요소(50)로 연결되는 개구(49)를 가진다. 엘리베이터(3)의 안정화 슬롯(51)은 슬롯에 끼워지는 고정 메카니즘(47)상의 위치로 엘리베이터(3)를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전자석(52)은 고정메카니즘에 대한 위치내에 엘리베이터(3)를 고정하거나 엘리베이터(3)가 적절히 고정되는 포크 타인와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5,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 기둥(1)은 건물(2)에 관련된 레일(1)상의 좌우운동을 차단하도록 휠(27)상의 탄성 타이어(27)로 연결된다. 휠(27)은 펼칠 수 있는 암(54)에 부착되는 프레임 (53)으로 지지된다. 암(54)은 힌지(55)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열리거나, 작동 피스톤(56)으로 닫힌다. 암(54)이 열릴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H 형 레일(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암(54)이 H 형 레일(1)에서 닫혀 클램핑되면 엘리베이터 부분(3)이 레일(1)에 부착된다.
레일(1)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부분(3)과 더불어 제 1 세트의 휠(27)에 90 도로 회전하는 펼쳐지는 암(54)에 타이어(27)를 가지는 부가적인 휠(27)은 H 형상의 레일(1)의 상부의 내부 표면에 연결하기 위한 타이어를 가진다. 타이어(27)를 가진 부가적인 휠(27)은 H 형 레일(1)의 상부의 외부표면에 연결된다. H 형 레일(1)의 상부의 내외부의 휠(27)은 레일(1)에 대해 타이어(27)를 가압하도록 텔레스코핑 빔(58)을 연결하는 잭 장치(57)로 서로 가압된다.
기둥(1)내에 만입된 가이드(30)는 기둥(1)을 고정 연결하기 위해 기둥(1)내의 개구에 연결되는 톱니휠(31)과 같은 휠을 연결한다. 톱니휠(31)(도 9)에 부착된 디스크(60)상에서 작동하는 브레이크 캘리퍼스(59)를 가지는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30의 캐빈(20) 또는 엘리베이터(4)내의 브레이크 레버(61)위를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엘리베이터(3)를 중단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케이블(62)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레버(61)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기둥에 적절하게 고정되는 엘리베이터로(3)와 더불어 케이블의 단부상에 아이 커넥터(65)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트롤리(37)에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246)에 의해 트롤리(37)에 부착되는 후크(66)위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4)는 엘리베이터(3)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둥(1)에 부착된다. 이들의 차이는 엘리베이터(4)가 기둥(1)에 영구히 연결되어 따라서, 휠(53)이 기둥(1)에 대해 휠(27)상의 타이어(27)를 영구적으로 고정하도록 위치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톱니휠(31)은 구동 휠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엔진구획부(9)는 기둥(1)을 따라 엘리베이터 부분(3)을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또는 전기 모터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블(35, 10), 트롤리(37, 38), 트롤리 채널(34) 및 이와 연결된 모터 (7, 8)를 가지는 하우징(5) 및 스풀(9)이 필요하지 않다. 모든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4) 또는 캐빈(3)은 승객을 운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방화 문(67)과 방화 창문(68) 및 벽을 가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4)는 레일(1)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없이 트롤리(3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내부에 엔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이 도시되었으나, 케이블 시스템 또는 수력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부분을 건물에 부착된 레일위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일을 연결하기 위해 휠을 가진 레일과는 다른 건물에 엘리베이터 부분을 부착하는 다른 수단도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캐빈(20)은 레일을 놓거나 개설하기 위해 평평한 지붕을 가지며, 캐빈(20)의 상부로 올라가기 위한 접근 해치(69)를 가진다. 노즐과 같은 소화 장비(22)가 화재시 물, 거품 또는 화학제품을 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캐빈(20)의 지붕이 해치(68)는 캐빈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이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레일(1)과 연결된 텔레스코핑 빔(58)에 엘리베이터를 부착하기 위한 암(54), 힌지(55) 및 작동 피스톤(56)이 제거될 수 있음에 따라 시스템의 중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터(7, 8), 케이블(35) acl 상승 메카니즘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는 지붕 위의 하우징(5)은 제거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3) 또는 엘리베이터들(3, 4)로부터 직접적인 구동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크레인(3)이 화재와 같은 긴급 사태에서 또는 다른 사용을 위해 건물(2)에서 필요할 때, 선회 메카니즘(44)과 부착된 회전 메카니즘(43)과 더불어 베드(102)를 가지는 트럭(101)은 기존 레일(1)의 아래의 건물(2)에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과 엘리베이터(3)를 부착하기 위해 레일(1) 근처 건물(2)에 도달한다. 선회 메카니즘(44)과 회전 메카니즘(43)은 건물(2)을 향하여 메카니즘(120)을 움직이도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핑 암(45)을 상승시키고 회전시킨다. 선회 메카니즘(127)과 회전 메카니즘(16)은 레일(1) 아래에서 직접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건물(2)에 부착하기 위한 직립 위치로 고정 메카니즘(53)을 기울인다.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은 지상에 모든 방법으로 연장되지는 않고 부착되는 레일(1)을 가진다.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은 건물(2)상의 포크 요소(125)로 스릿 가이드(128)를 슬라이드함으로써 건물(2)에 대해 위치된다.
제거가능한 레일섹션(72)은 건물(2)에 대한 위치로 안내되고 고정 메카니즘(120)은 그후 홀더(120)상의 포크 요소(186)내의 슬릿 가이드(186)와 개구(186)내의 태핑된 홀(188)로부터 스크류를 제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3)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포크 요소(186)는 그후 텔레스코핑 암(18)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고,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은 핸들(131)로 조작될 수 있어 건물(2)내의 볼트 홀(130)과 스크류(136)가 결합되는 개구(137)로 건물(2)에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고정하기 위해 삽입된다.
스크류 캡(129)은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이 건물에 부착되지 않을 때 볼 트 홀(130)에 끼워 이들을 보호하도록 건물(2)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댐퍼(190)는 설치 및 제거시 안전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에 장착된다.
스크류(136)는 건물(2)의 레일(1)에 대해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적절히 수용하고 정렬하기 위해 톱니가 형성된 요소(135)를 사용함으로써 레일 가이드(132)에 각도 요소(134)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정렬은 건물에 영구히 부착된 레일(1)내의 톱니가 형성된 캐리지 레일92)과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의 인터페이스에서 구동 기어휠(93)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가진 캐리지 레일(92)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
상기 기어휠(93)은 엘리베이터(3)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다. 기어휠(93)은 역시 엘리베이터(3)를 멈추기 위한 브레이크를 가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는 레일(1)에 있어서의 슬릿 가이드(95)에 올려지는 휠(94)을 가진다. 휠(94) 세트는 레일(1)에서 두 엘리베이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치하도록 서로 수직으로 위치한다.
지상에서 건물(2)에 부착되는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 대신에 지상의 레일섹션(72)의 부착 위치로 접근가능하도록 플랫폼(107)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은 눈, 주차된 차 또는 다른 장애물로 피해 지상에서 레일 기초로 접근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상의 의도된 위치에 암(텔레스코픽)을 연장하기 위해 건물의 외부 및 크레인 부분에서 수직으로 승강하는 장치(146)와 엘리베이터 부 분(98)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선회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상호연결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텔레스코픽 암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크랩프에 부착되는 단부에 피벗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는 또한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장벽이 제공된 이부 플랫폼을 선회하고 캐빈은 플랫폼에 걸린다.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그 수직축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작업자의 작업과 사람의 구출을 보장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승객 구획부를 내부에 가진다. 장벽을 가지는 외부 플랫폼은 건물의 모든 부품에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진다. 크레인 부분은 또한 구축 중인 건물의 어떤 부분에도 건물 자재를 유입할 수 있거나, 벽과 창문 세척 또는 건물의 다른 유지보수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은 지지휠(6) 및 구동 톱니휠(93)과 함께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과 연결된다.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영구 설치된 H 형 레일(106)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건물 벽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6,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기능적 구획부(169)가 제공되며 여기에는 슬라이딩 잭 메카니즘(171)과 연결된 프레임(170)이 설치된다.
슬리이딩 프레임은 상기 잭 매카니즘(171, 120)의 도움으로 건물 한계선 및 후방위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프레임의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딩은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에 장착된 가이더(173, 121)내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에 의해 보장된다. 전면 부분내의 슬라이딩 구획부에는 지지 패널(174)의 좌우측면에 장착된 포켓 가 이더(175)가 장착된 수용 패널(174)이 제공된다.
도 28, 29, 30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는 수용 패널(174)과 같이 동일한 정방형 구조를 가진 수용패널(174)과 연결성을 보장하도록 장착 패널(176)이 제공된다.
장착 패널(176)의 두께는 연결을 용이하게 위하여 장착된 포켓 가이더와 수요패널(174)의 외부표면사이의 간극보다 작다. 도 30을 참조하면, 수용 패널(174)에는 안전한 연결을 위해 하부가 둥근 모서리(178)를 가진 장착 패널(176)과 나선형 안내측면(177)이 제공된다.
도 28, 28, 16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5)의 기능적 구획부(169)의 하부 부분에는 안전한 장착을 위해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재장착하는 콘크리트 기초(179)가 제공된다. 도 16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부분(107)에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의 객실 구획부로부터 보조 부분(107)과 후방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동식 사다리(180)가 제공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후방표면에는 건물 벽과 창문의 캐빈(100)의 도움으로 완전히 기계화된 세척을 위하여 유체의 분무기 및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프로필(183)과 둥근 기계 브러시(182)를 가진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이 제공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에는 캐빈(100)의 후방표면의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의 장탈착을 보장하도록 고정핸들(184)이 제공된다.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은 텔레스코 픽 암(99)과 캐빈(100)을 가지는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뿐만 아니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섀시(101)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특정한 격납고(화재시 저장소)내에 보관된다. 상기 저장소에 화재가 경보되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함께 상부 표면(102)에 보관되는 섀시(101)는 화재시 즉시 건물로 운송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1)가 화재시 건물로 이송되면, 상기 섀시(101)는 건물과 건물의 보조 부분(107)에 영구히 위치되는 H 형 레일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그후, 도 28, 29, 30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설치 과정이 시작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 및 H형 레일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을 건물벽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도 높이로 상승된다. 이 때,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으로 인해, 고정되는 베드 메카니즘(120)이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그 후, 수평 회전 메카니즘(168)의 도움으로,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건물(5)을 향하여 회전한다. 그 후,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수직 위치로 정확하게 90도 회전한다. 동시에, 선회 메카니즘(124)과 수평 회전 메카니즘(123)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이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수직 축에 대해 약 45도로 건물 (105)을 향해 하강 한다. 선회 메카니즘(108)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의 두 번째 부분은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에 대해 약 90도로 하강한다. 이와 더불어, 수직 회전 메카니즘(110)의 도움으로 클램프(109)는 정확히 수직 위치로 놓인다. 동시에 클램프(109)를 가지는 캐빈(100)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과 수평 회전 메카니즘(113)에 의해 정확히 수직 및 수평 위치로 정렬된다. 그것이 있는 같은 시간에, 잭 메카니즘 171은 행동에 넣어진다. 그것은 건물 105의 기능적인 구획 169로부터 통합하는 프레임 170으로부터 움직인다.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단부에 설치된 수용 패널(174)은 콘크리트 기초 (179)(약 1.5미터) 위로 옮겨진다. 프레임(170)과 같이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드 움직임은 기능적 구획부(169)의 설치되는 가이더(173)내에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95)에 의해 보장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 (119)은 장착 패널(176)의 외부표면의 하부가 수용 패널(174)의 외부표면의 상부와 접촉하는 방법으로 건물벽(50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후, 회전 메카니즘(121, 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장착 패널이 수용패널(174)에 대해 모든 표면에 대해 정확하게 평행하도록 설치될 때까지 정렬된다. 그 다음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0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회전 폴이 하강한다.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장착 패널(176)의 하부 둥근 모서리(178) 및 수용 패널(174)의 경사진 안내 측면(177)에 의해 안전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보장된다.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로 완전히 설치(하강)되고 난 후,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상부 경사 표면이 H형 레일의 하부 경사 표면보다 수 밀리미터 낮게 위치되고 두 레일(98, 106)의 수직 축이 정확히 평행이 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텔레스코픽 암(99)과 캐빈(100)이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설치후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에서 재설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포크 요소 (139)의 홀(138)은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잭 래치(140)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을 옮김으로써,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 내에 위치하는 슬롯(141)이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후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고정 베드(120)는 감겨서, 섀시(101)의 상부 표면(102)상의 이송 위치에 놓인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탈거 작동이 반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동시에 건물(105)의 기능적 구획부(169)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을 움직임으로서 잭 메카니즘(171)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단부에 설치된 수용 패널(174)와 그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가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건물 벽(5)을 향해 움직인다. 상기 작동이 완료된 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5, 98)의 상부 경사표면이 H 형 레일의 하부 경사 표면아래에(수 밀리미터 이내)위치하고 그 수직 축은 도 28 및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한다. 그 결과, H 형 레일에 영구적으로 설치된 부착가능한 섹션(98)은 건물 벽(105)에 H 형 레일(1)39의 통합된 라인을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구동 구조(142)가 활성화되고, 회전하여 가이드 슬롯(144)의 안내 랙(92)과 연동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상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이동하기 시작하는 구동 톱니휠(93)이 작동한다. 동시에, 휠(94)은 H 형 레일에 엘리베이터 부분을 안정된 위치로 고정하도록 안내 슬롯(95)내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은 H 형 레일(106)의 부착가능한 섹션으로부터 H 형 레일의 영구적으로 장착된(건물(105)에) 부착가능한 섹션(98)으로 진행하고 이제 건물(5)의 어떤 층에서도 H 형 라인의 길이를 따라 양측면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105)의 위험 층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즉시 움직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장벽을 가진 외부표면(112)에 장착된 화재/거품 파이프(146)의 도움으로 소방작업을 시작할 수 있게된다. 동시에 위험층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상승시켜 독립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을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분리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이 탈거되고, 다음 결과가 나타난다.:
잭 메카니즘(171)이 활성화되어 건물(5)의 기능적 구획부(169)로부터 슬라이딩 프레임(170)으로 움직인다. 상기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 수용 패널(174)과 H 형 레일(98)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콘크리트 기 초(179)(약, 1.5미터) 위로 움직이게 된다. 수평 회전 메카니즘(168)과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회전하고 건물(105)-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위치를 향해 상승된다.
그 후, 회전 메카니즘(121, 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그 포크 요소(139)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트레이(190)의 슬롯(186)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방법으로 정렬된다. 동시에 스크류 고정 메카니즘(187)이 트레이(190)의 스크류 홀(188)에 나사결합되고, 슬롯(186)내부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가 위치한다.
그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가 슬롯(186)으로 완전히 옮겨질 때까지 움직인다. 다음에, 스크류 고정 메카니즘(187)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고정함으로써 트레이(190)의 스크류 홀(188) 뒤에 나사결합된다. 그 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175)로부터 옮겨질 때까지 상승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의 도움으로, 상기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보조 부분(107)의 근처의 건물(5) 부근의 여분의 주차 공간으로 이송되고, 내려진다. 이제, 수용 패널(174)이 자유로와 지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섀시 (101)가 엘리베이터 부분(97)을 건물(105)에 운송할 때 섀시(101)가 건물(107)의 보조 부분으로부터 진행하여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08)를 가지는 또 다 른 섀시(101)을 위해 비어 있게 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더불어 섀시(101)를 주차가 완료된 후(건물(107)의 보조부분에서 빈 공간에), 구조 엘리베이터는 건물(105)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같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탄성 타이어 휠(94)과 구동 기어의 톱니휠(93)을 통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 연결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운송되는(건물(105)로) 섀시(101)는 운송되는(회전 메카니즘 (121, 122, 168, 126, 127)과 함께) 엘리베이터 부분(97) 및 텔레스코픽 폴(119)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지는 상기 섀시(l01)에서와 같이 동일한 적하(loading-unloading) 메카니즘을 가진다.
상기 관점에서, 건물(105)에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작업을 시작하는 순서(탈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는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동일하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H 형 레일에 설치된 후, 상승하고 엘리베이터 부분이 설치된후 화재시 건물층으로 상승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이미 필요한 높이에 있는 동안 장벽을 가진 외부 표면(112)에 설치된 화재/폼 파이프(146)와 함께 소방작업을 시작한다. 동시에 소방작업과 더불어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캐빈(100)은 계단과 비상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캐빈(100)은 사람 위치하는 건물(5) 창문 총안(embrasure)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탄성 프로필 요소(147)의 도움으로 슬라이딩 도어(148)의 주위를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캐빈의 표면(1100)을 창문 총안에 안전하게 연결하게 된다. 다음, 슬라이딩 도어(148)가 열리고 사람이 건물의 위험층으로부터 창문 총안을 통해 캐 빈(100)으로 탈출한다.
그 때,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위험층에 도달하고 엘리베이터 부분의 상부층에 장착된 탄성 프로필 요소(149)의 도움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하부표면에 정렬된다. 탈출한 사람과 함께 캐빈(100)은 방화 유리(151)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115)와 더불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외부 표면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48)를 가진 캐빈(100)의 표면은 슬라이딩 도어(115)를 가진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외부 표면과 정렬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캐빈(100)을 정밀하고 안전하게 결합하는 것은 탄성 프로필 요소(147)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탄성 개스킷(152)을 가진 지지요소의 도움으로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의 외주를 따라 이루어진다.
다음에,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15)가 열리고 대피하는 사람들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타기 위해 캐빈(100)을 빠져나온다. 그 후, 모든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며, 캐빈(100)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건물(5)의 위험층으로 복귀하여 독립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사람들을 건물 (107)의 보조부분으로 이송한다. 상기 작동은 위험층에 있는 모든 사람을 대피시킬 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은 또한 건물의 위험층으로부터 사람들의 매우 빠르게 대피시키도록 한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위험층에 있거나 매우 고층일 때, 특히 중요하다.
변형예 A- 외부 표면에 방화 유리 창문(151)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115)가 제공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
변형예 B-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의 수직 축에 대칭인 건물(5)의 각 층에 위치하는 건물의 비상구(154)
변형예 A- 캐빈(100)이 가득차고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엘리베이터 부분(97)으로 복귀하지 않을 때 피신할 새로운 사람들을 태우기 위해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 이 경우 피신되는 사람들이 있는 캐빈(100)이 엘리베이터 부분의 승객 구획부(114)로 이송되어 정렬된며, 이는 도 25에 도시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114)의 표면에 캐빈(100)을 정밀하고 안전한 결합(정렬)하는 것은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탄성 프로필 요소(147) 및 엘리베이터 부분(97)의 탄성 개스킷(152)을 가진 지지요소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캐빈(100)과 슬라이딩 도어(115)와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가 열리고 사람들이 캐빈(100)을 나와 승객 구획부(114)로 간다. 상기 모든 문은 그 후 닫힌 상태가 된다; 캐빈(100)은 승객 구획(114)와 연결의 해제되고 새로운 사람들을 태우기 위해 건물(5)의 위험층으로 복귀한다.
이 때,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107)(대피한 사람들을 내려놓는 곳)의 보조 부분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부분(97)으로 이미 진행하고 이와 정렬된다. 상기 정렬이 완료되고 난 후 승객 구획부(114)의 해치(156)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 터(118)의 해치(157)가 열리고 사람들은 계단(117)의 수직 총안(116)을 통해 승객 구획부((114)로부터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로 내려온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수용력이 캐빈(100)의 몇 배가 되기 때문에 동시에 캐빈(100)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정렬할 수 있고 또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캐빈(100)으로부터 구조 엘리베이터(118)로 피신을 위해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의 결과로, 시간의 낭비 없이 캐빈(100)은 항상 위험층으로부터 사람들을 적절하게 피신시키도록 한다.
변형예 B- 불과 연기가 미치지 않는 계단과 같이 위험층 아래 위치하는 건물의 일부가 붕괴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대피를 위해 사용될 때 건물의 비상구(154)가 사용된다. 이 경우로,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5)의 최하층에서 보조 부분으로 내려갈 필요가 없다.(특히 고층빌딩인 경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일단의 대피하는 사람들을 태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의 안전한 층으로 하강한다. 거기서,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멈추고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가 상기 층의 피난 출구(154)에 정렬된다.
건물의 비상구(154)의 도어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가 열리고 사람들은 건물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떠난다. 이제,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와 같이 대피하는 사람들은 내부의 비상 계단으로 내려가고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새로운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작업을 계속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 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는 컨트롤 패널(158)과 리모트 컨트롤(159)의 도움으로 내외부 모두에서 사람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는 밀봉 열 절연 외부 코팅을 가진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에는 원격검침 장비(온도, 거리 제어 및 오염 센서, 캠코더, 장거리 조명 서치라이트 프로젝터(160) 등, 스피커와 라디오)가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거품, 물과 산소, 터미널 (163) 및 공급 호스(164)와 같은 소화 자재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치를 위해 구획부(161)를 가진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에는 이들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와 터미널(163)이 제공된다. 어떤 층에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소방작업을 하기 위해, 캐빈(100)에는 장벽, 화재-펌프(146), 해치(65) 및 계단(166)을 가지는 외부의 표면(112)이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에는 밀봉 폐쇄 슬라이딩 도어(따라서, 115, 148, 115, 155)와 방화 유리 창문(151)이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승객 구획부(114)에는 긴급 의료지원을 위한 약품세트와 산소 마스크 및 청소와 공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H 형 레일에는 야간에 전체라일을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명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화재시 H형 레일의 과열( 및 이에따른 가능한 변형)을 피하기 우해, 열 절연 섹션(167)(예를들어 석면으로 만들어진)이 레일표면에((같은 거리로 윤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설치된다. 안전을 위해, 스프링 충격-흡수 장치(190)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트레이(190)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H 형 레일(106)은 건물(5)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는 수직 총안(98)내에 설치된다. 총안(98)의 깊이는 H 형 레일(106)의 외부 표면이 건물(5)의 외부 한계위로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도 25 및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선회 메카니즘(108)과 연결되고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암(99)을 제공한다. 텔레스코픽 암(99)은 단부에서 클램프(109)가 수직 회전 메카니즘(110)과 함께 선회한다.
클램프는 또한 캐빈(100)이 달리는 장벽이 혀성된 외부 플랫폼(112)으로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과 함께 선회한다.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113)의 도움으로 그 수직 축 주위에 완전히 회전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은 캐빈(100)과의 통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115)를 가지는 승객 구획부(114)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통하기 위한 계단(117)을 가지는 수직 개구(116)를 가진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은, 그 탄성 코팅된 타이어(94)와 구동 톱니휠(93)을 통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과 연결된다. 도 18과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암 99와 캐빈(100)과 더불어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뿐만 아니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을 가지는 엘리베 이터 부분(97)이 섀시(101)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작동하지 않을 경우, 특별한 격납고(화재시 저장소)에 보관된다. 상기 보관소에 화재 경보가 울리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함께 상부 표면(102)에 유지되는 섀시(101)가 즉시 화재가 난 건물로 이송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가 화재가 난 건물로 이송되면 섀시는 건물의 H형 레일과 보조 부분(107)에 영구적으로 근접하여 위치한다. 그후,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설치과정이 시작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을 건물 벽(105)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도 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그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으로 인해,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이 정확한 수평을 유지한다. 그 다음, 수평 회전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 72가 있는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건물(105)에 향하여 회전한다.
그 후,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도움으로 정확하게 수직 위치로 90도 회전한다. 동시에, 선회 메카니즘(124)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이 건물(105)을 향하여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수직 축에 대해 약 45도로 하강한다. 선회 메카니즘(108)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의 제 2부분이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에 대해 약 90도로 하강한다. 이에따라, 수 직 회전 메카니즘(110)의 도움으로 클램프(109)가 정확하게 수직위치에 있게된다. 클램프 (109)와 동시에, 캐빈(100)이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에 의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정렬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후방 패널과 건물(105)의 포크 요소(125)가 접촉할 때 까지 건물 벽(105)을 향해 회전한다.
그 다음, 선회 메카니즘(121)과 회전 메카니즘(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위치가 H형 레일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28)이 정확하게 대칭이 될대까지 건물(105)의 포크 요소(125)에 대해 모든 표면에서 정렬된다. 그 전에, 장착하는 작업자는 건물(105)의 톱니 형성요소(130)로부터 모든 스크류 데드너(129)를 나사결합한다.
그 다음, 핸드-레일(131)의 도움으로 장착 작업자는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을 - 포크 요소(125)의 모든 외부 단부가 슬롯(128)내에 위치할 때까지 을 이끄는 것에 놓일 때까지 수동정정한다. 그 다음,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후방 패널이 건물(105)과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을 이동시킨다.
이에따라 포크 요소(125)는 완전히 안내 슬롯(128)내에 있게되고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상부 부분이 안내 금속 프로필(132)내에 있게된다. 이 때문에, 모서리 요소(134)의 홀(133)은 안내 금속 프로필(132)의 모서리 요소(135)와 함께 수직 축에서 정렬된한다. 장착 작업자는 그 다음 상기 모서리 요소(134)와 모서리 톱니 요소(135)를 스크류(136)가 완전히 정지하도록 나사연결한다. 또한, 작업자는 건물 벽(105)내 톱니 요소(130)로 홀(137)을 통하여 스크류(136)가 완전히 정지하도록 나사연결한다.
상기 장착 작동의 결과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
- 건물(105)의 포크 요소 상의 수직 평면내 하부부분에 의해 설치된다.
- 건물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H 형 레일(106)과 더불어 수직 평면내 상부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 수평 평면내 중간 부분에 의해 건물 벽(105)으로 가압된다.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 벽 위의 영구적으로 장착된 H 형 레일(106) 하부 단부 부분이고, 이와 완전히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과 건물에 영구히 장착된 H형 레일은 건물벽(105)에서 통합된 라인을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과 캐빈(100)을 가진)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에 영구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베드 구조(120)로부터 상기 부착가능한 구조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포크 요소(139)의 홀(138)에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잭 래치(140)가 해제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를 옮김으로써,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슬롯(141)에서 고정 베드(120)의 포크 요소(139)가 해제된다.
상기 작업후 해제된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고정 베드(120)는 감겨서 섀시(101)의 상부 표면(102)의 이송 위치에 놓인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부착 가능한 섹션(72)의 탈거 작업이 이와 반대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구동 구조(142)가 활성화되고, 안내 슬롯(144)의 안내랙과 연동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움직이기 시작하도록 톱니휠(93)이 구동된다. 동시에, 안내 슬롯(95)내에서 쉴(94)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H형 레일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안정된 위치로 고정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은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으로부터 영구적으로 장착된 H형 레일(106)로 진행하고, H형 라인의 길이를따라 양방향에서 건물의 어떤 층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장벽과 함께 외부표면(112)에 장착된 화재/폼 파이프(146)의 도움으로 소방작업을 시작하고 건물(105)의 위험(화재)층으로 엘리베이터 붑ㄴ(97)을 즉시 옮길 수 있게된다. 동시에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더불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장착하여 위험층으로의 상승이 시작된다.
상기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H형 레일의 분리된 부착가능한 섹션(72)이 탈거된다. 이것은 다음 절차로 이루어진다:
텔레스코핑 회전 폴이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 도 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베드 메카니즘(120)은 그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 때문에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그 다음, 수평 회전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과 더불어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건물(105)을 향하게 된다. 그 후 고정 베드 메 카니즘(120)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정확한 수직 위치로 90도 회전한다. 그 다음, 포크 요소(139)가 슬롯(186)에 인접 배치될 때까지 회전 폴(119)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도록 텔레스코핑 건물 벽(105)을 향해 회전한다.
그 다음, 선회 메카니즘(121)과 회전 메카니즘(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위치는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86)이 정확하게 대칭이 될 때까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에 대해 모든 표면에서 정렬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포크 요소(139)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86)내에 완전히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몽타주 작업자는 건물 벽(105)내의 톱니 요소(130) 및 안내 금속 프로필(132)의 모서리 요소로부터 스크류를 결합 및 해제한다. 그 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 건물 벽(105)에서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의 도움으로, H 형 레일의 상기 부착가능한 섹션(72)은 포크 요소 (125)에서 제거되고, 일시적인 보관을 위해 건물(105)의 보조 부분(107)에 근접한 높이의 지상으로 하강한다. 이것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이 후에 엘리베이터 부분(97)에서 탈거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제, 건물 벽(105)의 자유 영역에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연결된 H 형 레일의 또 다른 부착가능한 섹션(72)을 설치할 수 있게된다.
설치 절차가 다음 실시예에서 서술된다.
도 3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화재시의 건물(191)이 도시된다. 건물에 소화 및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건물은 건물면상의 레일(192)이 제공된다. 동일 높이로 작동하는 레일지지 엘리베이터들(193)은 이들사이의 복도(194)로 지지된다. 상기 복도(194)는 다수의 사람들을 운송하기 위한 큰 바닥 공간이 있다. 복도(194)는 인명구조에 필요한 바닥으로 상하강 된다. 사람들은 그 후 복도(194)내의 반대도어로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의 비상문(195)을 사용하여 복도(194)로 접근할 수 있다. 사람들은 건물(191)의 창문 맞은편 도어(197)를 통해 복도(194)로 접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람들은 건물면 따라 어떤 지점에서도 복도(194)의 상부에서 발판(199)의 상부로 접근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난간(200)이 발판(199) 주위에 제공된다.
사다리(201)와 트랩 도어(202)는 사람들이 발판(199)으로부터 복도(194)로 이송되도록 한다. 복도(194)는 지상으로 하강될 수 있고 사람들은 그 후 도어(203)를 통하여 복도(194)를 나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도(194)는 일층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엘리베이터(204)는 복도로 둘러싸이게 될 수 있으며, 사람들은 복도 바닥의 트랩도어(205)로 접근함으로써 엘리베이터(204)상부의 트랩도어(209) 및 트러스(205)내의 계단 및 개구부를 통하여 복도(1940로부터 엘리베이터(204)로 이송될 수 있다. 복도(19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건물(191)의 일측면에 있는 두 엘리베이터(193)사이에서 연장되나 건물면이 모든 엘리베이터 사이의 복도보다 더 길 경우 셋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있을 수 있 다.
엘리베이터(193)는 역시 건물의 모서리로 연장되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을 가지게 되어 건물(191)의 인접 모서리상의 두 상기 모서리 복도 부분(210)은 사람들이 건물의 모서리로 대피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212)를 가지는 인접 벽(211)을 형성하기 위해 45도 각도를 이루게 된다.
복도(194)에 화재 차단 통로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복도(194)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을 통해 모서리 주위의 인접 복도(194)로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바닥에 대기될 수 있다. 사람들은 또한 복도(194)의 상부 및 모서리 복도 부분(210)의 상부의 발판(199)을 안전 이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거나, 게이트(213)를 통과함으로써 인근 발판(199)으로 이송될 수 있다. 사람들은 그 후 제 1 복도(194) 또는 제 2 발판(199)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고, 화재를 피해 건물로 다시 들어갈 수도 있고, 건물에서 대피하기 위해 내부 건물 계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복도(194)와 모서리 복도 부분(210)은 내부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내외부 방화 벽과 방화 천정 및 마루를 가질 수 있다. 복도(194)내의 내열성 유리 창문(214)은 복도(194)를 주시하고 복도로 빛이 들어오게 하여 승객 보호를 돕는다. 복도(194)는 가볍고 강한 구조를 위해 트러스(208)로 지지된다 트러스(208)를 엘리베이터(19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트러스가 회전 연결 유닛(215)을 가진다. 복도(194)를 엘리베이터(193)에 연결하는 것은 움직이는 금속 브리지(216)와 주름진 탄성 시쓰(217)를 복도(194)와 엘리베이터(193)사이의 틈에 이음으로써 이 루어진다. 탄성 울타리 섹션(200)은 난간(200)을 엘리베이터(193)의 상부 부분(220)에 연결한다. 엘리베이터(193)내에 창문(214)을 가지는 도어(218)는 사람이 엘리베이터로부터 복도(194)또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으로 접근하도록 열릴 수 있다.
엘리베이터(193)의 하부 부분(219)은 승객 캐빈이고 그 상부 부분(220)은 화제 억제 폼(221)과 라이트(223)에 동력을 공급하고 잭(225)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2)(축적기)(조명, 관리 장비,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가 제어수단(224)과 같은 장비를 운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호스 연결(226)은 화재시 컨테이너(2210로부터 화재 억제 폼을 분사하기 위해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건물(191)은 외면에 레일(192)이 부착된다. 상기 레일(192)은 요소에 대한 보호를 위해 빌딩 표면내의 그루브(227)내로 들어가고 H 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192)은 레일(192)에 엘리베이터를 안정시키도록 엘리베이터상에 트러스트 휠(229)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228)을 가진다. 상기 레일(192)은 바람직하게는 전기로머인 구동 유닛(232)으로 회전된느 톱니휠(231)을 연결하기 위한 톱니(230)를 가진다. 상기 구동유닛(232)은 엘리베이터(193, 233, 204)를 승강시키거나, 멈추게 한다.
레일(192)은 열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레일길이 변화를 흡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열저항 섹션(234)을 가진다. 상부에 발판(199)을 가진 복도(194)는 소방수와 소방장비를 소방작업이 필요한 층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재는 또한 발판(199) 또는 복도(194)로부터 방재될 수 있다. 사이에 복도(210)를 가진 엘리베이터(193)는 보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격납고(235)내 건물(191)의 상부에 보관될 수 있거나 지상, 지하 또는 건물의 면을 따른 어떤 장소에도 보관될 수 있다.
화재는 크레인(236)을 가지는 엘리베이터(233)의 사용함으로써 방재될 수 있다. 크레인은 사람들을 구조하고, 건물, 복도(194) 또는 발판(199), 엘리베이터(204) 또는 지상의 안전한 장소에 사람들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포드(237)는 또한 물 또는 화재용 화학제품 또는 폼을 분무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즐(237)을 사용함으로써 소방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드(237)는 또한 건물 또는 지붕 면에 접근하도록 건축 또는 빌딩 유지보수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크레인(236)으로 지지되는 도시된 실시예의 포드(237)는 발(199)위 또는 엘리베이터(204)의 상부위의 지상의 건물(191)의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04)는 필요한 소방수, 작업자 또는 설비를 마루에 가져오거나 건물(191)의 어떤 층으로부터 지상으로 사람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33, 204)는 엘리베이터(193)를 레일위로 승강시키도록 동일한 휠(229)과 톱니휠(231)과 구동 유닛(232)을 가진다. 엘리베이터(233)는 건물 차고내와 같은 지상이하의 제 1 층(232)인 지하층에 보관될 수 있다. 사다리(239) 또는 다른 구조물은 제 1층(238)에 보관된 엘리베이터(233) 또는 크레인(236)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04)는 제 2층(240)에서 지하에 보관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204)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239) 또는 다른 구조물을 가질 수 있 다.
어떤 엘리베이터(193, 233, 204)도 지하에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는 안전을 위해 건물 부근의 지상1층에 개구부 또는 수직 슬롯(242) 주위에 펜스(24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지붕(243)이 지하의 엘리베이터를 요소 외부에 보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복도(194)가 지상층에 배치되면 계단(244) 또는 다른 구조물은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발판(199) 접근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193, 233, 204)는 어떤 순서로 동일한 레일(192)상의 건물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들은 엘리베이터(233, 204)가 서로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될 레일 위에 있을 수 있다.
화재 또는 다른 긴급상황시, 복도(194)는 상부로부터 하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233, 204)는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상승될 수 있거나, 소방대원, 구조인원 및 장비를 건물의 외부면의 어떤 장소에도 운송할 수 있다. 발판(199), 엘리베이터(204)및 크레인(236)과 포드(237)를 가진 엘리베치터(233)와 함께 복도(194)가 적절한 배치 및 통합되어 사용된다. 불은 꺼질 수 있고 사람들은 건물 내부의 위험 지역 외부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조될 수 있다. 동일한 복도(194), 발판(199), 엘리베이터(204) 및 크레인(236)과 포드(237)를 가진 엘리베이터 (233)가 건설과 예를들어 창문세척과 같은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도(194)는 엘리베이터(233, 204)과 연결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분명히,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화는 상술한 바로부터 가능하고,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서술된 바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2)

  1. 건물의 외부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에 부착된 레일에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움직이는 레일 연결 부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과 암의 한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과 선회 메카니즘을 가지는 크레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은 건물의 어떤 위치에도 도달할 수 있는 텔레스코핑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건물내에 제공된 기능적 구획부;
    슬라이딩 프레임이 상기 구획부내에 장착되고 건물과 후방의 외부 한계 위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움직이는 것을 도우는 잭 메카니즘과 연결되고, 프레임의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에 가이더와 연동되는 지지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패널의 좌우측면에 포켓 가이더를 가지고 기능적 구획부의 전면 부분에 형성된 수용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H 형단면을 가지고 상기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에 수요 패널이 연결가능하고, 수용패널과 동일한 정방형의 장착 패널이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패널의 두께가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수용패널의 외부표면과 장착된 포켓 가이더 사이의 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수용패널에 경사 안내 측면이 장착되고, 장착 패널이 하부가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구획부의 하부 부분에 콘크리트 기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사다리가 제공된 보조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캐빈과 둥근 기계 브러시를 가지는 부착가능한 프레임;
    유체 스프레이를 위한 홀을 가지는 프로필;
    캐빈의 후방 표면에 형성된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고정 핸들이 형성된 부착가능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건물 외부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부분이 빌딩구조에 부착되는 레일에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움직이기 위한 레일 연결 부분을 가지고, 구조에 인접하여 플랫폼을 배치하기 위해 크레인 부분이 엘리베이터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수직 회전 메카니즘에 의해 단부에서 클램프로 부착되는 선회 메카니즘과 연동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텔레스코핑 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장벽이 제공된 플랫폼 외부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0항에 있어서, 수직 축 주위를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 캐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빈이 외부 플랫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부분에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승객 구획부가 형성되고 계단을 가지는 수직 개구가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 구조 엘리베 이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독립구조 엘리베이터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 10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가 엘리베이터 부분의 하부 접촉 표면과 지지요소가 제공된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구조 엘리베이터에 방화 폼 액체, 호스 및 다른 보조 설비를 보관하기 위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승객 구획부에 부가적인 제어 패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 14항에 있어서, H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에 안내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 10항에 있어서, 레일 연결 부분이 필요할때 이들이 연결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 10항에 있어서, 레일 연결 부분이 필요할때 타이어가 레일을 연결할 수 있는 타이어를 가지는 휠을 지지하는 선회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 10항에 있어서, 제 2 단부에서 암에 부착되는 선회 메카니즘과 암의 제 2 단부에서 선회 메카니즘에 부착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암의 제 1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과 선회 메카니즘을 크레인 부분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텔레스코핑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3. 제 20항에 있어서, 사기 플랫폼이 캐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소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이 방화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6. 제 10항에 있어서, 긴급상황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를 멈추기 위해 엘리베이터 부분에 부착되는 비상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7. 제 10항에 있어서, 부착 또는 탈거를 위해 레일 부근의 엘리베이터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부분 이송 및 복귀 메카니즘을 가지는 이송 차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부분 이송 및 복귀 메카니즘이 이송 차량에 부착된 회전 메카니즘, 상기 회전 메카니즘에 부착된 선회 메카니즘, 텔레스코핑 폴 및 엘리베이터 부분이 레일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엘레베이터 부분과 텔레스코핑 폴사이에 부착된 제 2 선회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9. 제 23항에 있어서, 캐빈의 측면에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0. 제 10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캐이블이 레일위에서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1. 제 10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의 모터가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해 레일을 연결하는 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이 소방장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이 화재시 사람을 구조하기ㅟㅇ해 건물로부터 사람을 이송할 수 있는 수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4. 제 10항에 있어서, 레일 연결 부분이 레일을 연결하도록 부착된 휠을 가지는 선회 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5. 건물 외부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엘리베이터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제 1 면, 제 2 면 및 이들사이의 단면 부분;
    하나이상의 트롤리 가이드에 형성되는 제 1 면 내의 채널 및
    제 1 면상의 엘리베이터 휠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면상에 하나이상의 가이드 채널과 더불어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36. 제 35항에 있어서, 라이트를 설치하기 위해 레일에 하나이상의 라이트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37. 제 35항에 있어서, 건물면에 부착된 레일의 섹션사이에 연장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38. 제 35항에 있어서, 레일상에 엘리베이터에 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39. 제 35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상에 톱니휠을 연결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안내 채널내에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0. 제 35항에 있어서, 레일상에 엘리베이터 캡을 안내하고 H 형 빔을 연결하기 위한 타이어와 휠을 가지는 엘레베이터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1. 제 35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토롤리 가이드내에 하나이상의 토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레일상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위해 엘레베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2. 제 35항에 있어서, 파워 케이블을 위해 제 2 표면상에 하나이상의 라이트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3. 제 10항에 따른 건물 외부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엘리베이터 레일에 있어서,
    레일상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상에 톱니휠을 연결하기 위한 레일상의 톱니와 레일상에 엘리베이터가 진행하도록 레일을 연결하기 n이해 엘리베이터상의 잇는 하나이상의 가이드 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4. 제 43항에 있어서, 레일섹션이 건물로 엘리베이터를 이송하기 위해 건물상의 레일섹션과 건물에 연결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5. 제 44항에 있어서, 톱니휠을 구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내에 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6. 제 45항에 있어서, 건물의 길이에 따라 결합된 레일상의 엘리베이터가 승강하도록 건물상의레일섹션에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레일섹션을 결합하기 위해 건물에 레일섹션을 부착하고 건물부근의 엘리베이터와 레일섹션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과 엘리베이터를 가진 레일섹션을 가지는 이송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7. 건물의 외부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엘리베이터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제 1 면, 제 2 면 및 이들 사이의 단면 부분을 가지고,
    하나이상의 트롤리 가이드를 형성하는 제 1 면내의 채널과 상기 제 1 면상에 엘리베이터 휠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면상의 잇는 하나이상의 가이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8. 제 47항에 있어서, 라이트를 설치하기 위해 레일상에 하나이상의 라이트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49. 제 47항에 있어서, 건물면에 부착된 레일의 섹션사이에 연장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0. 제 47항에 있어서, 레일상에 엘리베이터에 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1. 제 47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상에 톱니휠을 연결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안내 채널내에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2. 제 47항에 있어서, 레일상에 엘리베이터 캡을 안내하고 H 형 빔을 연결하기 위한 타이어와 휠을 가지는 엘레베이터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3. 제 47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토롤리 가이드내에 하나이상의 토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레일상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위해 엘레베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4. 제 47항에 있어서, 파워 케이블을 위해 제 2 표면상에 하나이상의 라이트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55. 건물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에 있어서,
    건물의 면에 부착된 한쌍의 레일과 동일높이로 건물의 면에서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진행할때 건문의 면을 승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들 사이에 연장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56. 제 55항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해 레일의 톱니부분에 연결하는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톱니 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57.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각 엘리베이터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58.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복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59. 제 58항에 있어서, 복도의 상부에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0. 제 58항에 있어서, 건물의 모서리에 다른 모서리 복도 부분에 연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부착된 모서리 복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1. 제 55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레일위로 진행하는 제 2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2. 제 55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레일위로 진행하는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3. 제 58항에 있어서, 복도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건물에 면하는 복도상에 내화 절연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4. 제 64항에 있어서, 복도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복도상에 내화 절연 마루와 지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5. 제 58항에 있어서 플랫폼을 지지하는 트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6. 제 58항에 있어서, 복도로부터 건물로 접근하도록 복도상에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67.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면에 이격된 레일상을 부착하고;
    각 레일에 엘리베이터를 부착하고;
    엘리베이터들 사이에 플랫폼을 부착하고;
    건물의 표면에 접근하기 위해 의도하는 위치로 플랫폼을 승강시키도록 동일높이로 건물면을 엘리베이터가 승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빌딩이 면 및 엘리베이터와 플랫폼에 접근하기 위해 레일위로 승강하도록 하나이상의 레일에 제 2 엘리베이터를 부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69. 제 67항에 있어서,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와 플랫폼과 제 2 엘리베이터가 레일위로 승강하도록 하나이상의 레일에 크레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부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70. 제 69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건물, 엘리베이터와 플랫폼과 제 2 엘레베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포드를 크레인에 부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71. 제 67항에 있어서, 플래폼에 복도를 통합하여 이들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72. 제 67항에 있어서, 건물의 면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복도에 발판을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07174A 2003-09-16 2004-09-13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KR20070024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3,260 US7165650B2 (en) 2002-07-26 2003-09-16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10/663,260 2003-09-16
US10/680,369 US7191873B2 (en) 2003-10-07 2003-10-07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10/680,369 2003-10-07
US10/793,508 US7290640B2 (en) 2002-07-26 2004-03-04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10/793,508 2004-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457A true KR20070024457A (ko) 2007-03-02

Family

ID=3431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174A KR20070024457A (ko) 2003-09-16 2004-09-13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725489B1 (ko)
JP (1) JP2007505799A (ko)
KR (1) KR20070024457A (ko)
AT (1) ATE455071T1 (ko)
AU (1) AU2004271689A1 (ko)
BR (1) BRPI0414459A (ko)
CA (1) CA2518236A1 (ko)
GB (1) GB2421940B (ko)
TR (1) TR200505388T1 (ko)
WO (1) WO200502528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23A (ko) 2015-05-07 2016-11-16 권동현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20230157548A (ko) 2022-05-09 2023-11-17 장진문 고층 건물용 조립식 소방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1873B2 (en) * 2003-10-07 2007-03-20 Pavel V. Korchagi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0838760B1 (ko) * 2007-06-12 2008-06-17 한용섭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JP2010280251A (ja) * 2009-06-02 2010-12-16 Bin Mamdooh Bin Abdul Aziz Al Saud Naief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1112611B1 (ko) 2011-04-13 2012-03-15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고층소화설비장치
CN102518292B (zh) * 2011-12-20 2014-06-0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物料平台及其使用方法
CN103741939B (zh) * 2013-12-25 2015-10-21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建筑物外部爬升式建筑施工操作平台及安装方法
CN105727473A (zh) * 2016-04-12 2016-07-06 华北科技学院 平面域导轨式高层建筑火灾救援设备
KR101755263B1 (ko) 2016-10-31 2017-07-07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JP6586490B2 (ja) * 2017-12-22 2019-10-02 西尾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CN108412187B (zh) * 2018-04-27 2024-01-05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超高连体群塔外框结构的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3622701B (zh) * 2021-08-09 2022-11-25 常熟理工学院 多层建筑加装电梯的连廊结构
KR102380406B1 (ko) * 2021-11-16 2022-03-30 홍성우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JP7288620B1 (ja) 2022-03-29 2023-06-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469A (en) * 1974-01-04 1976-03-23 Dorcich Roy L Escape elevator
US4098371A (en) * 1976-12-20 1978-07-04 Fmc Corporation Mobile scaffold
US4469198A (en) * 1982-04-16 1984-09-04 Crump Robert F Outside rescue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865155A (en) * 1988-07-21 1989-09-12 Pegasus International, Inc. High-rise fire fighting and rescue system
JP3002079B2 (ja) * 1992-12-07 2000-01-24 秀夫 谷田 伸縮式タワー
US5497855A (en) * 1994-09-15 1996-03-12 Moore; Chester G.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JPH08208155A (ja) * 1995-02-02 1996-08-13 Ando Corp 建設工事用エレベータ
IL122059A (en) * 1997-10-28 2003-02-12 Herstik Arie Rescue apparatus
KR100436423B1 (ko) * 1999-10-28 2004-06-16 다케우치 프리시젼 워크스 가부시키가이샤 비상탈출용 베란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23A (ko) 2015-05-07 2016-11-16 권동현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20230157548A (ko) 2022-05-09 2023-11-17 장진문 고층 건물용 조립식 소방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21940B (en) 2007-08-15
EP1725489A2 (en) 2006-11-29
EP1725489B1 (en) 2010-01-13
GB0523797D0 (en) 2006-01-04
TR200505388T1 (tr) 2006-11-21
ATE455071T1 (de) 2010-01-15
GB2421940A (en) 2006-07-12
BRPI0414459A (pt) 2006-11-14
CA2518236A1 (en) 2005-03-24
JP2007505799A (ja) 2007-03-15
WO2005025288A2 (en) 2005-03-24
AU2004271689A1 (en) 2005-03-24
WO2005025288A3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US7165650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191873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JP2009507146A (ja) 高層建築物用リフティング・システム
US4350224A (en) Rescue system on high rise buildings for evacuating persons in the case of fire
US7597175B2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US20060144639A1 (en)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US4042066A (en) Portable emergency fire fighting and rescue elevator
RU200914746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з зданий при пожаре
US7204344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20070004492A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US7036630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GB2435641A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20050016794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290640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GB2435642A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EA008405B1 (ru) Подъёмная система, рельс подъёмной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поверхности здания
RU2355623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варианты)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IT202100015215A1 (it) Impianto ascensore di emergenza per grattacieli che scorre verticalmente e trasla orizzontalmente, oppure sub verticalmente, restando sempre parallelo alla facciata del fabbricato
RU21740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спуска пожарного-спасателя
CN116085029A (zh) 一种移动式火灾智能预警设备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