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15644A -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 Google Patents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644A
KR20070015644A KR1020050004332A KR20050004332A KR20070015644A KR 20070015644 A KR20070015644 A KR 20070015644A KR 1020050004332 A KR1020050004332 A KR 1020050004332A KR 20050004332 A KR20050004332 A KR 20050004332A KR 20070015644 A KR20070015644 A KR 2007001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thermoplastic polymer
ethylene
poly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659B1 (ko
Inventor
진양석
박성기
진창우
이찬기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주)폴리머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머스넷 filed Critical (주)폴리머스넷
Priority to KR102005000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659B1/ko
Priority to US11/312,051 priority patent/US7834093B2/en
Priority to PCT/KR2006/000180 priority patent/WO2006075906A1/en
Priority to CN2006800024885A priority patent/CN101107313B/zh
Priority to JP2007551203A priority patent/JP2008531756A/ja
Priority to EP06702896A priority patent/EP1853663B1/en
Publication of KR2007001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69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with unsaturated acids, e.g. [meth]acrylic acid; with unsaturated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기재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중합시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상이 폴리올레핀 상 100중량부에 대하여 95 내지 995 중량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은 표면 극성이 우수하여 도료 부착성이 우수하다.
도료 부착성, 열가소성 고분자, 폴리올레핀, 아크릴레이트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Composition of Thermoplastic Polymer based on Polyolefi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극성이 높아서 도료 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외장재 및 가전 제품의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부품들은 미적 효과 및 표면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도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수지와 도료간의 양호한 부착성이 요구되어진다.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극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들의 경우, 도료와의 부착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도장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표면 전처리 방법 또는 기능성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표면 전처리 방법으로는 화염처리방법, 플라즈마처리방법, 자외선 조사처리방법, 프라이머 처리방법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적인 처리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 전처리 방법은 추가 설비 투자, 운전 및 유지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머 처리 방법은 염소화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표면에 먼저 도포하여 도료의 부착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비용 증가는 물론이고 환경에 친화적이지 않은 소재를 사용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면 전처리를 하지 않고, 기능성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폴리프로필렌-g-무수말레인산을 다량 투입하는 방법, 특수한 화학 구조의 폴리올을 투입하는 방법, 폴리올레핀에 기능성 첨가제를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도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 중 폴리프로필렌-g-무수말레인산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을 다량 투입하는 방법과 특수한 화학 구조의 폴리올을 투입하는 방법은, 고가의 소재를 다량 사용함으로 인한 원가 상승과 첨가제의 다량 투입에 의하여 최종 복합재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폴리올레핀에 기능성 첨가제를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도입하는 방법(USP6133374)은 기본적으로 화학 분해에 의한 제조 방법으로서 화학 반응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일정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폴리올레핀 복합재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제362824호, 제395399호에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제조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탄성체는 표면 극성이 높고 물리적 성질과 내화학성은 우수하나 흐름성이 매우 낮아 폴리올레핀계 복합재료의 표면 개질을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다량 투입하여야 하므로, 폴리올레핀 복합재의 물성이 저하되고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적용이 곤란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극성이 높아서 도료 부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기재(matrix)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중합시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상이 폴리올레핀 상 100중량부에 대하여 95 내지 995 중량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말레인산),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에틸렌-코-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 100중량부에 대하여 65 내지 455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에 대하여 15 내지 24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에 대하여 15 내지 30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중합개시제가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중합)
교반기,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가 부착된 반응기에 폴리올레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0 내지 200 중량부, 물 500 내지 1,000 중량부, 그리고 중합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 총합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몰%에 해당하는 양을 투입하고 반응기를 밀폐한다. 알킬 아크 릴레이트 단량체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2차 중합을 위한 단량체의 함침이 불량하고, 200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하면 폴리올레핀 기재에 흡수되지 않는 단량체의 함량이 높아 수율이 떨어지고 폐수처리의 문제가 발생한다. 투입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중합개시제를 0.5 몰% 미만으로 투입하였을 경우에는 고분자량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생성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투입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2.0몰%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초저분자량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생성되어 최종 생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공정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밀폐된 반응기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충전하고 방출하여 산소를 제거한다. 그 후 반응기의 온도를 선택된 중합개시제에 따라 45 내지 120도의 흡수 온도로 승온하여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폴리올레핀 펠렛에 흡수시킨다. 흡수 시간은 폴리올레핀의 종류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1시간 내지 5시간이 소요된다.
종래 특허에서는 펠렛과 단량체를 넣고 교반하여 단량체를 흡수시킨 후, 중합하기 전에 물을 넣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반응기의 온도조절에 실패할 경우 급격한 중합이 일어나 반응기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단량체 흡수과정에서 물을 사용하므로 단량체의 흡수 시간에 별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가열, 냉각 효과가 좋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폴리올레핀 펠렛에 흡수시킨 후에는 알킬 아크 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을 위하여 반응기 내부의 펠렛과 물을 교반하면서 승온하여 중합개시제의 분해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을 유도한다. 폴리올레핀 펠렛 내에 흡수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는 펠렛 내에서 중합반응을 일으켜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한다. 중합 반응 시간은 폴리올레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3 내지 10시간 소요된다.
(2차 중합)
1차 중합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기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고, 1차 중합생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85 중량부,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100 중량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80 중량부를 투입하고, 투입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몰%에 해당하는 양의 중합개시제를 반응기에 투입한다. 이후 1차 중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중합을 수행한다. 이 때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0중량부 미만 투입하면 가공성이 불량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85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하면 본 발명의 목적인 도료부착성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경우 10중량부 미만 투입하면 도료부착성 향상 효과가 낮아지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하면 가공 과정에서 분자내 가교 반응이 일어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등 기대하지 않은 부반응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0중량부 미만 투입하면 최종 생성물의 가공성이 불량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80중량부 초과하여 투입하면 도료부착성 향상 효과가 낮아진다. 중합개시제를 투입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0.5몰%미만으로 사용하면 가공성이 불량한 최종생성물을 얻으며, 투입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몰수와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2.0몰%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최종생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공정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를 충분히 냉각시키고 반응기 내의 반응액을 여과하여 펠렛을 얻는다. 이때 얻어진 펠렛은 흡수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이 펠렛 내에서 공중합되어 팽윤된 상태이다. 얻어진 펠렛을 열풍 오븐에서 건조한다.
이하 상기 반응에서 사용되는 각 성분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폴리올레핀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관능성기가 주 사슬에 화학결합에 의하여 도입된 폴리에틸렌 또는 관능성기가 분지에 화학결합에 의하여 도입된 폴리에틸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단량체로는 프로필렌, 부텐, 펜텐, 옥텐, 부타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 1,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아세테이트,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코닉산, 아크릴로니트 릴, 아크릴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관능성기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코닉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 피롤리돈, 스티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관능성기가 주 사슬에 화학결합에 의하여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관능성기가 분지에 화학결합에 의하여 도입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단량체로는 에틸렌, 부틸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관능성기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코닉산,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비닐 피롤리돈, 스티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블렌드일 수 있다.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블렌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말레인산),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코-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B)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본 발명에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1) 알킬 아크릴레이트, 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3)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알킬 사슬 내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알킬 사슬 내에 1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열가소성 고분자의 흐름성을 개선하고 분자 내 가교 반응 등 부반응을 줄여주는 작용을 하므로 이러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탄소원자가 1개 내지 4개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로는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중 알킬 사슬 내에 탄소원자가 1개 내지 18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것이 열가소성 고분자의 흐름성을 개선하고 분 자 내 가교 반응 등 부반응을 줄여주는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C) 중합개시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개시제로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자유 라디칼 반응을 일으켜 중합체를 얻기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며,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2,5-비스(t-부틸퍼옥시)-2,5-디메틸-3-헥신, 2,5-비스(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등과 같은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폴리올레핀의 종류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중합개시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차 중합)
폴리올레핀으로는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60g/10min) 50중량부와 폴리(에틸렌-코-부틸아크릴레이트)(듀퐁사 제품, 용융지수 4g/10min) 100중량부를 용융 온도 170 내지 190℃로 공회전 이축압출기(D=20mm, L/D=40, co-rotating twin-screw extruder)에서 블렌드하여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냉각수조에서 냉각하고 펠레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 하였다. 이후 펠렛을 80℃ 열풍오븐에서 3시간 건조하였다.
교반기,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가 부착된 50L 반응기에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 펠렛 6.0kg, n-부틸 아크릴레이트 6.0kg,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233g 및 물 27.5kg을 투입하고 반응기를 밀폐하였다. 교반기를 교반하면서 밀폐된 반응기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충전하고 방출하여 산소를 제거하였다. 산소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조작을 3회 실시하였다. 그 후 반응기의 온도를 55℃로 승온하여 2시간 동안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폴리올레핀 블렌드 펠렛에 흡수시켰다. 투입한 단량체의 완전한 흡수를 위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65℃로 승온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부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을 위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2시간 교반하였고, 중합반응에 의한 발열에 주의하면서 75℃로 승온하여 1시간 유지하였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펠렛을 85℃ 열풍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2차 중합)
상기 1차 중합에서 얻어진 펠렛을 사용하여 2차중합을 진행하였다.
반응기에 1차 중합에서 얻어진 펠렛 6.0kg, n-부틸아크릴레이트 3.1k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1kg,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1.6kg 및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317g을 투입하고, 1차 중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중합을 수행하였다.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를 충분히 냉각시키고 반응기 내의 반응액을 여과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은 흡수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펠렛 내에서 중합되어 팽윤된 상태이다. 얻어진 펠렛을 85℃ 열풍오븐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의 수율은 98.4% 였다.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제조 및 도료부착성 시험)
상기 2차 중합반응에서 얻어진 완전 건조된 펠렛 15중량%를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60g/10min, 230℃, 2.16kg) 85중량%와 공회전 이축압출기에서 블렌드하여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사출 성형기에서 평판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평판 시험편에 스프레이형 도료를 적당량 도포한 후 24시간 건조하였다.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mm x 2mm 블록 필오프(peel-off) 테스트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고, 떨어지지 않은 도료 블록의 잔존 개수로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
2차 중합 단계에서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의 함량을 각각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열가소성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를 제조하였고, 평판 시험편을 제조하여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0]
알킬 아크릴레이트로서 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단, 제조된 열가소성 고분자의 함량을 각각 15중량%, 20중량%로 달리하여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를 제조하였고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알킬 아크릴레이트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단, 제조된 열가소성 고분자의 함량을 각각 15중량%, 20중량%로 달리하여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도료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 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3]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단, 제조된 열가소성 고분자의 함량을 각각 15중량%, 20중량%로 달리하여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실 시 예 1차 중합 펠렛 (kg) 알킬 아크릴레이트 함량 (kg)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함량(kg)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함량 (kg) 중합 개시제 함량 (g) 최종 생성물 수율 (%)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도료부착성 시험 결과 (도료 블록 100개 중 잔존 개수)
폴리 올레핀(중량%) 열가소성 고분자 (중량%)
1 6.0 3.1 3.1 1.6 317 98.4 85 15 100
2 6.0 3.7 2.5 1.5 311 98.7 85 15 100
3 6.0 3.1 2.1 2.1 303 98.1 85 15 100
4 6.0 3.0 2.4 2.1 309 98.2 85 15 100
5 6.0 3.2 2.3 2.1 304 98.0 85 15 100
6 6.0 3.2 2.0 2.3 304 98.3 85 15 100
7 6.0 1.5 1.6 4.5 185 96.4 85 15 100
8 6.0 2.9 0.4 4.2 223 94.2 85 15 95
9 6.0 1.0 1.0 5.6 278 96.3 85 15 94
10 6.0 1.0 1.0 5.6 278 96.3 80 20 100
11 6.0 1.4 1.6 4.5 316 98.3 85 15 100
12 6.0 3.1 2.1 2.1 291 97.9 85 15 100
13 6.0 3.7 2.5 1.5 260 98.2 85 15 100
14 6.0 1.1 1.1 5.5 357 97.9 85 15 96
15 6.0 1.1 1.1 5.5 357 97.9 80 20 100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올레핀만을 평판 시험편으로 사출성형하여 도료 부착성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올레핀은 도료부착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내지 3]
교반기,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가 부착된 50L 반응기에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용융지수 4, 보레알리스사 제조)와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6.0kg, n-부틸아크릴레이트 12.37k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15kg,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15kg,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194.60g 및 물 25kg을 투입하고 반응기를 밀폐하였다. 교반기를 교반하면서 밀폐된 반응기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충전하고 방출하여 산소를 제거하였다. 산소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조작을 3회 실시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55℃로 승온하여 1시간 동안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을 폴리올레핀 블렌드펠렛에 흡수시켰다. 물 중에 잔류하고 있을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을 흡수시키기 위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65℃로 승온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의 중합을 위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여 2시간 교반하였고, 중합반응에 의한 발열에 주의하면서 75℃로 승온하여 1시간 유지하였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펠렛을 75℃ 열풍오븐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펠렛과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60g/10min, 230℃, 2.16kg)을 공회전 이축압출기에서 블렌드하여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사출성형기에서 평판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단, 펠렛을 각각 15중량%, 50중량%가 되도록 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평판 시험편에 스프레이형 도료를 적당량 도포한 후 24시간 건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오프 테스트를 하여 도료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가교 결합을 가진 열가소성 고분자를 제조할 경우, 폴리올레핀계 복합재에 투입하여도 도장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미미하거나 전혀 없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된 1차 중합 펠렛 (폴리올레핀 블렌드) 6.0kg, n-부틸아크릴레이트 4.3k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2kg,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34g을 투입하였고,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 폴리올레핀 컴파운드에 투입하여도 도료부착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된 1차 중합 펠렛 (폴리올레핀 블렌드) 6.0k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2kg,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5.4kg, 중합 개시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189.5g을 투입하였고, n-부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n-부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 폴리올레핀 컴파운드에 투입하여도 도료부착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도료부착성 시험 결과 (도료 블록 100개 중 잔존 개수)
폴리올레핀(중량%) 열가소성 고분자(중량%)
1 100 0 0
2 85 15 0
3 50 50 20
4 80 20 0
5 80 20 0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은 표면 극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처리가 필요없이 직접 도료를 도장할 수 있어 도료 부착성이 우수하다.

Claims (8)

  1. 폴리올레핀 기재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중합시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상이 폴리올레핀상 100 중량부에 대하여 95 내지 995 중량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블렌드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말레인산),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아 미드)및 폴리(에틸렌-코-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 100중량부에 대하여 65 내지 455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에 대하여 15 내지 24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상에 대하여 15 내지 30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 몰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
KR1020050004332A 2005-01-17 2005-01-17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KR10070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32A KR100705659B1 (ko) 2005-01-17 2005-01-17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US11/312,051 US7834093B2 (en) 2005-01-17 2005-12-20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PCT/KR2006/000180 WO2006075906A1 (en) 2005-01-17 2006-01-17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N2006800024885A CN101107313B (zh) 2005-01-17 2006-01-17 聚烯烃基热塑性聚合物复合物
JP2007551203A JP2008531756A (ja) 2005-01-17 2006-01-17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高分子組成物
EP06702896A EP1853663B1 (en) 2005-01-17 2006-01-17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32A KR100705659B1 (ko) 2005-01-17 2005-01-17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644A true KR20070015644A (ko) 2007-02-06
KR100705659B1 KR100705659B1 (ko) 2007-04-10

Family

ID=3667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332A KR100705659B1 (ko) 2005-01-17 2005-01-17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34093B2 (ko)
EP (1) EP1853663B1 (ko)
JP (1) JP2008531756A (ko)
KR (1) KR100705659B1 (ko)
CN (1) CN101107313B (ko)
WO (1) WO2006075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59B1 (ko) 2005-01-17 2007-04-10 (주)폴리머스넷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KR100705656B1 (ko) 2005-02-17 2007-04-10 (주)폴리머스넷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소재 조성물
KR100690975B1 (ko) * 2005-02-24 2007-03-09 (주)폴리머스넷 표면 인쇄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866652B1 (ko) * 2007-05-18 2008-11-03 (주)폴리머스넷 폴리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WO2011085224A1 (en) 2010-01-08 2011-07-14 Abs Materials, Inc. Modified sol-gel derived sorbent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1085235A1 (en) 2010-01-08 2011-07-14 Abs Materials, Inc. Porous, swellable, sol-gel derived sensor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1100532A1 (en) 2010-02-12 2011-08-18 Abs Materials, Inc. Sol-gel derived sorbent material containing a sorbate inter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11162836A1 (en) 2010-02-17 2011-12-29 Abs Materials, Inc Method for extracting a metal particulate from an aqueous solution using a sol-gel derived sorbent
KR101170364B1 (ko) * 2010-03-15 2012-08-01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
WO2011156663A1 (en) 2010-06-10 2011-12-15 Abs Materials,Inc Method of treating a material using a sol-gel derived composition
CN107641256A (zh) * 2017-10-19 2018-01-30 中广核俊尔(上海)新材料有限公司 汽车可喷涂外饰件用的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5082A (en) * 1959-03-23 1963-04-09 Monsanto Chemicals Compatible blends of rigid vinyl chloride polymers and alpha olefin polymers containing compatibilizing amounts of a halogenated polyolefin
US3410931A (en) * 1963-10-11 1968-11-12 Als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panels of polystyrene foam and aluminum
JPS58198529A (ja) 1982-05-17 1983-11-18 Toa Nenryo Kogyo Kk ポリオレフイン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S61272217A (ja) 1985-05-29 1986-12-02 Ube Ind Ltd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EP0229156B1 (en) * 1985-06-19 1990-09-05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4748822A (en) 1986-12-04 1988-06-07 Carrier Corporation Speed control of a variable speed air conditioning system
US4863995A (en) * 1987-07-16 1989-09-05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5095063A (en) * 1988-03-31 1992-03-1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composition
JPH04270708A (ja) * 1991-02-26 1992-09-28 Nippon Oil & Fats Co Ltd グラフ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950007662B1 (ko) * 1991-12-24 1995-07-14 주식회사럭키 우수한 도장성을 가진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H05194843A (ja) 1992-01-21 1993-08-03 Teijin Ltd 樹脂組成物
KR950000766B1 (ko) 1992-02-11 1995-02-02 이영화 매실의 가공방법
US5288548A (en) * 1992-07-31 1994-02-22 Mobil Oil Corporation Label face stock
FR2694756B1 (fr) 1992-08-12 1994-10-07 Atochem Elf Sa Perfectionnement pour la préparation de polyacrylates superabsorbants.
JPH0665438A (ja) 1992-08-21 1994-03-08 Nippon Oil & Fats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3268612B2 (ja) 1993-06-22 2002-03-25 スズ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US5374686A (en) 1993-07-02 1994-12-20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segmented copolymers
AU4261696A (en) 1994-12-23 1996-07-19 Optatech Corporation A polyolefine-polyacrylate 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DE19629823A1 (de) 1996-07-24 1998-01-29 Basf Lacke & Farben Beschichtungsmittel auf Basis einer verzweigten hydroxylgruppenhaltigen, polyestermodifizierten Polyacrylatharzes und seine Verwendung 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schichtlackierung
ATE296855T1 (de) 1998-12-17 2005-06-15 Basell Poliolefine Spa Polyolefinpfropfcopolymere/polyamid mischung
KR20010009459A (ko) 1999-07-09 2001-02-05 유현식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510179B2 (ja) 2000-04-28 2004-03-22 平岡織染株式会社 印刷膜材
US6433088B1 (en) * 2000-08-04 2002-08-13 Equistar Chemicals, Lp Clear and printable polypropylene films
US6455602B1 (en) * 2000-10-24 2002-09-2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High-speed processable cellular insulation material with enhanced foamability
US6869653B2 (en) * 2001-01-08 2005-03-22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 tube closure assembly
JP2003313332A (ja) 2002-04-26 2003-11-06 Kansai Paint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用プライマー
JP2004051808A (ja) * 2002-07-22 2004-02-19 Kansai Paint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用プライマー
JP2004161946A (ja) * 2002-11-15 2004-06-10 Nof Corp グラフト共重合体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成形体
KR100705659B1 (ko) 2005-01-17 2007-04-10 (주)폴리머스넷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KR100866652B1 (ko) 2007-05-18 2008-11-03 (주)폴리머스넷 폴리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659B1 (ko) 2007-04-10
EP1853663A4 (en) 2010-04-21
CN101107313B (zh) 2011-06-22
US7834093B2 (en) 2010-11-16
US20060183864A1 (en) 2006-08-17
WO2006075906A1 (en) 2006-07-20
CN101107313A (zh) 2008-01-16
EP1853663A1 (en) 2007-11-14
JP2008531756A (ja) 2008-08-14
EP1853663B1 (en)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3663B1 (en)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5331046A (en) Polyolefin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paintability
US20120065333A1 (en) Crosslinkable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resins
WO2006088330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CN107987449B (zh) 一种用于汽车保险杠的微发泡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50133256A (ko) 기능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조방법
JP279220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0099645A1 (zh) 一种聚烯烃分子链的偶联方法
CN111825801B (zh) 一种增韧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41023B2 (ko)
JP2643388B2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1170364B1 (ko)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
WO2006091012A1 (en) Polyolefin based resin composition
EP0612800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CN114380951B (zh) 一种极性组分接枝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80025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N111825802A (zh) 一种环氧化乙烯-辛烯共聚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S60166332A (ja) 樹脂成形物の表面処理方法
KR100738023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738024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EP1564231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olyolefin modified with a polar monomer
KR940006461B1 (ko)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 올레핀 수지 조성물
US5208286A (en) Cross-linkable ethylene-vinyl alcohol-acrylate polym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0143896A (ja) 官能化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TWI858129B (zh)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530

Effective date: 2007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