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121483A - Sliding-typ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liding-typ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483A
KR20060121483A KR1020050043692A KR20050043692A KR20060121483A KR 20060121483 A KR20060121483 A KR 20060121483A KR 1020050043692 A KR1020050043692 A KR 1020050043692A KR 20050043692 A KR20050043692 A KR 20050043692A KR 20060121483 A KR20060121483 A KR 20060121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using
keypad
main body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483A/en
Publication of KR2006012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4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to optimize an interfacing environment in a mode, wanted by a user, among a communication mode, a camera mode or an MP3 mode by performing opening/closing operation of a sliding housing.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housing and a sliding housing(200). The sliding housing(200) performs two step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 for opening or closing a certain region while continuing to maintain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The sliding housing(200) opens or closes the first region on an upper 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via the first sliding movement from a closed position. The sliding housing(200) opens or closes the second region on an upper 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via the second sliding movement from a closed position.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SLIDING-TYPE MOBILE PHONE}Sliding type mobile device {SLIDING-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저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의 슬라이딩 하우징이 제1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state of a sliding housing of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저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portion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의 슬라이딩 하우징이 제2슬라이딩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in which a sliding housing of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cond sliding; FIG.

도 6은 도 5의 저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of FIG. 5. FIG.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카메라 폰, 게임 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 로서, 특히, 두 번의 슬라이딩이동으로 두 단계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ellular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Hand Held Phone), camera phone, game phone,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two steps in two sliding movements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wrist.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while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 장치 중,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특허 2002-71911호에 개시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점점 향후에는 멀티미디어화가 되며, 따라서 보다 다양한 모드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드인 경우, 카메라 모드와 관련된 키들의 조작이 번거로와서 피사체 촬영이나 화상 통화 시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음악청취 모드인 경우에도 음악청취 모드와 관련된 키들의 조작이 번거로와서 불편한 문제가 있다. 언급된 키 조작의 번거로움은 한번이 아니라, 여러 번 키들이 눌러져서 원하는 모드로 가려고 할 경우에 불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among the conventional portable devices, the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02-7191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creasingly, multi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and therefore, an interface environment optimized for various modes must be provid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portable apparatus, for example, when the camera mode, the operation of the keys associated with the camera mode is cumbersome,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convenient during subject shooting or video call. In addition, even in the music listening mode, operation of keys related to the music listening mode is cumbersome, resulting in inconvenience. The hassle of the key operation mentioned means that it is inconvenient when the keys are pressed several times, but not once, to go to the desired mo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 시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that provides an optimized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a user desired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엠피3 모드, 카메라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which is convenient for use in the MP3 mode and the camera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 사용 시,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that can protect the camera lens modul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not in us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본체 하우징; 및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1슬라이딩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제1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 후의 제2슬라이딩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제2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된다.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the first sliding along the main body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ontinuously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on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the second sliding after the first sliding. It is composed of a sliding housing for opening and closing an area.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슬라이딩 타입이며, 특히 두 번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두 단계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 장치이다. 본 발명의 휴대 장치는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0)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 단계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여 소정 영역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00)은 닫힌 위치에서 제1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면(101) 제1영역을 개폐하고, 제2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1) 제2영역을 개폐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type, in particular, a portable device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two steps by two sliding movements. The portabl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sliding movement of this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while maintaining the main body housing 100 and the state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100 so as to provide a predetermined area. It consists of a sliding housing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ing housing 100 opens and closes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101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by the first sliding movement in the closed position, and opens the second region of the upper surface 101 of the main body housing by the second sliding movement. Open and close.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101)에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이웃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영역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0)가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112)가 배치된다. 상기 제1키패드(110)는 주로 카메라 모드 시에 사용되는 키들이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드와 관련된 키는 모드 전환이나 셔터 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키패드(112)는 3×4 키배열로 구성되며, 주로 숫자키, 문자키, 기능키 등이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body housing upper surface 101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The first keypad 110 having a plurality of keys is arrang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keypad 112 having a plurality of keys is arranged in the second area. The first keypad 110 is mainly arranged keys used in the camera mode. The key related to the camera mode is composed of a mode switch or a shutter key. The second keypad 112 is composed of a 3 × 4 key array, and mainly includes numeric keys, character keys, function keys, and the lik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의 상면(201)에는 스피커 장치(210), 표시 장치(212),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패드(214) 가 배치된다. 상기 제3키패드(214)는 음악청취 모드와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FIG. 1, a speaker device 210, a display device 212, and a third keypad 214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ar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201 of the sliding housing 200. The third keypad 214 is preferably composed of keys related to the music listening mode.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의 저면(202), 구체적으로 저면 상부 영역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220)이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20)은 상기 제1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저면(202)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20)과 이웃하는 미러(2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미러(222)는 상기 제2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2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저면(202)에서 돌출형으로 제공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본체 하우징 상단(102)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220)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수단(120)이 제공된다. 상기 개방 수단(120)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수용할 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상기 미러(222)는 상대방과 화상 통화 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미러(222)는 비 사용 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긁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6, a camera lens module 220 is disposed on a bottom 202 of the sliding housing 200, specifically,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surface, and the camera lens module 220 is the first lens. It opens and closes by sliding movement.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202 of the sliding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mirror 222 adjacent to the camera lens module 220. The mirror 22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sliding. In particular, since the camera lens module 22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liding housing bottom surface 202, the opening means 120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lens module 22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ousing 102. do. The opening means 120 is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camera lens module. The mirror 222 is preferably used during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In addition, since the mirror 222 is protected by the body housing 100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etc. gene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서 제1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키패드(110)와 상기 제3키패드(214)는 서로 이웃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서 제2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키패드(110)와 상기 제2키패드(112)는 서로 이웃하고, 상기 제2키패드(112)와 상기 제3키패드(214)는 서로 이웃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liding housing 200 is first sliding in the body housing 100, the first keypad 110 and the third keypad 214 are adjacent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5, when the sliding housing 200 slides on the body housing 100 for the second time, the first keypad 110 and the second keypad 1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keypad 112 is adjacent to each other. ) And the third keypad 214 are adjacent to each other.

도 1은 휴대 장치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200)이 제1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제1슬라이딩 이동 후에 연속적으로 제2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음악청취 모드에 사용되는 상태이고, 도 3은 카메라 모드에 사용되는 상태이고, 도 5는 통화 모드에 사용되는 것이 편리하다.1 illustrates a closed state of a portable device, FIG. 3 illustrates a first sliding state of the sliding housing 200, and FIG. 5 illustrates a second sliding of the sliding housing 200 continuously after a first sliding movement. Indicates the state. 1 is a state used in the music listening mode, FIG. 3 is a state used in the camera mode, and FIG. 5 is conveniently used in the call mod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단계로 슬라이딩 하우징이 개폐시킴으로서, 원하는 모드 시, 통화 모드, 카메라 모드, 엠피3 모드에서 인테페이싱 환경의 최적화를 제공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비 사용 시에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optimization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in the call mode, the camera mode, the MP3 mode when the sliding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in this step.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protected when the camera lens is not used.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the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본체 하우징; 및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1슬라이딩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제1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 후의 제2슬라이딩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제2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the first sliding along the main body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ontinuously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on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the second sliding after the first sliding.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sliding housing for opening and closing a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저면 상부에 카메라 렌즈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제1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The sliding type portabl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lens modul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and wherein the camera lens modu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sli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저면 소정 위치에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이웃하는 미러가 더 구비되어지고, 상기 미러는 상기 제2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The sliding type portabl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a mirror adjacent to the camera lens module is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and the mirro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sli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저면에 돌출형으로 제공되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단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수단이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The sliding type portabl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mera lens module is protru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 opening means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lens modu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가 배치되어지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first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keys is arranged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keys is arranged in the second area.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상면에는 스피커 장치, 표시 장치 및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패드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And a third keypad including a speaker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패드는 카메라 모드 시에 관련된 키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키패드는 3×4키 배열로 구성되어서 숫자 키나 문자 키 및 기능 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6. The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keypad comprises keys associated with the camera mode, and the second keypad comprises a 3 × 4 key array, which is composed of numeric keys, letter keys, and function key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제1키패드는 상기 제2키패드와 이웃하고, 상기 제2키패드는 상기 제3키패드와 이웃하고, 상기 제3키패드는 상기 표시 장치와 이웃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liding housing is completely opened on the main body housing, the first keypad is adjacent to the second keypad, the second keypad is adjacent to the third keypad, and the third keypad is A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by a display device and a neighborhood.
KR1020050043692A 2005-05-24 2005-05-24 Sliding-type mobile phone KR200601214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92A KR20060121483A (en) 2005-05-24 2005-05-24 Sliding-typ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92A KR20060121483A (en) 2005-05-24 2005-05-24 Sliding-type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83A true KR20060121483A (en) 2006-11-29

Family

ID=3770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692A KR20060121483A (en) 2005-05-24 2005-05-24 Sliding-typ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4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281B2 (en) 2008-06-26 2013-04-0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281B2 (en) 2008-06-26 2013-04-0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62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95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phone
KR10071341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up/down keys
KR100790088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18169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38980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63550B1 (en) Folding tyoe portable telephone
KR20050100478A (en) Portable phone with automatic sliding pop-up type display unit
KR20050105791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pop up type keypad
KR100640342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compensated mechanism
KR100678200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KR100689468B1 (en) Sliding/swing type mobile phone
KR100640388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touch key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3510B1 (en)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optical zoom lens assembly
KR100663501B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21483A (en) Sliding-type mobile phone
KR101058654B1 (en)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509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game function
KR100532272B1 (en)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101075648B1 (en) Sliding/sw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KR10046985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49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for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