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985A -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 Google Patents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6985A KR20060116985A KR1020050039660A KR20050039660A KR20060116985A KR 20060116985 A KR20060116985 A KR 20060116985A KR 1020050039660 A KR1020050039660 A KR 1020050039660A KR 20050039660 A KR20050039660 A KR 20050039660A KR 20060116985 A KR20060116985 A KR 200601169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media file
- multimedia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은, 인쇄물과 상기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하는 인쇄 구분자가 인쇄물에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인쇄 저작물과, 상기 인쇄 저작물과 일치하는 내용의 문자, 음향 또는 영상 등의 미디어파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저작물 및 상기 인쇄 저작물의 인쇄 구분자를 인식하여 그 인쇄 구분자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을 재생/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을 포함한다.In a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 work in which a print separator for distinguishing a printed matter and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displayed on the printed matter, and a character, sound, or image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work. And a multimedia reproducing means for recognizing a digital delimiter composed of a media file, such as a print file, and a print delimiter of the print work, and reproducing / outputting a media file corresponding to the print delimiter.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하는 고유의 인쇄 구분자를 항목별로 부여하여 인쇄물에 표시하고, 이 인쇄 구분자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인식하여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재생함으로써 인쇄물을 통한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unique print separator for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given to each printed item, and the printed separator is recognized by the multimedia player, and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are reproduced in multimedia for education and You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방법의 순서도,3 is a flow chart of a multimedia playback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of a multimedia playback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30: 인쇄 저작물 12,32: 인쇄 구분자10,30: Printed
14,34: 인쇄물 20: 멀티미디어 재생수단14, 34: printed matter 20: multimedia playback means
40: 전자사전 50: 외부기기40: electronic dictionary 50: external device
60: 디지털 저작물60: digital assets
본 발명은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쇄물에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인쇄 구분자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쇄 구분자를 읽어 들여 관련된 내용 및 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재생함으로써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displaying a print separator so as to distinguish the contents of a printed matter on a printed matter, and reading the displayed print separator to reproduce related contents and information in multimedi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education and learning effects.
종래 책자나 교재 등의 인쇄물을 통해 스스로 학습을 하거나, 강사의 수강을 통해 학습을 하는 경우, 인쇄물의 내용이 문장 데이터와 사진, 도면 등의 시각적 요소와 평면적인 요소 등으로 한정되어 눈을 통해서만 인쇄물의 내용을 학습하고, 수강의 기회가 한정되어 있어 교육 및 학습 효과가 매우 적다.In the case of self-learning through a printed book or textbook, or through a lecturer's lecture, the printed matter is limited to visual elements such as sentence data, photographs, and drawings, and flat elements. You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school and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take classes, so th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 is very small.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인쇄물과, 그 인쇄물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저작물을 함께 이용해서 공부를 하다.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related art, the printed matter and the multimedia work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are studied together.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저작물은 소정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가 저장된 카세트테이프, CD 타이틀, 비디오테이프 등의 저장 매체를 의미한다.Here, the multimedia asset refers to a storage medium such as a cassette tape, a CD title, a video tape, and the like, in which cont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predetermined printed matter are stored.
예를 들어 상기 카세트테이프가 멀티미디어 저작물인 경우, 눈으로는 인쇄물을 보면서 귀로는 카세트테이프 리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여 학습하기 때문에 단지 눈으로만 학습을 하는 경우보다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assette tape is a multimedia asset, it can improve the education and learning effect than if only the eye is learning because the eye learns by watching the printed matter with the eyes and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cassette tape recorder with the ears. have.
그러나 종래 멀티미디어 저작물과 그 멀티미디어 저작물을 재생하는 장치의 사이즈가 매우 커서 휴대하고 다니기가 불편하고, 새로운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업그레이드기 매우 어려웠다.However,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multimedia asset and the device for playing the multimedia asset is very larg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t was very difficult to upgrade the new multimedia asset.
또한, 인쇄물의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인쇄물의 특정 구간에 해당되는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특정 구간을 수동으로 찾아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정확한 구간을 찾기 어려워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교육 및 학습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In addition, if a user wants to repeatedly learn a specific section of a printed matter, the user needs to manually find a specific section of a multimedia work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ction of the printed document, and thus it is difficult to find an accurate section. .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하는 고유의 인쇄 구분자를 항목별로 부여하여 인쇄물에 표시하고, 이 인쇄 구분자를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이나 전자사전으로 인식하여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재생함으로써 인쇄물을 통한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assigning a unique print separator for distinguishing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for each item to display on the printed matter, and recognizes the print separator as a multimedia playback means or electronic dictionary content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And it is a primary object to provide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that can enhance the education and learning effect through the printed material by reproducing the information in a multimedi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가 문자, 음향 및 영상 등의 미디어파일로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이나 전자사전에 저장되어 종래에서처럼 멀티미디어 저작물 등을 소지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미디어파일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are stored in a multimedia file such as text, sound, and video, and are stored in a multimedia playback means or an electronic dictionary, so that it is convenient to carry without carrying a multimedia asset as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that can be easily upgra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경우 편리하고 정확하게 특정 구간을 항목별로 검색하여 재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that can continually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learning by searching for and playing a specific section by item in a convenient and accurate manner when repeatedly playing a specific section. hav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은 인쇄물과 상기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하는 인쇄 구분자가 인쇄물에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인쇄 저작물, 상기 인쇄 저작물과 일치하는 내용의 문자, 음향 또는 영상 등의 미디어파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저작물 및 상기 인쇄 저작물의 인쇄 구분자를 인식하여 그 인쇄 구분자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을 재생/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work in which a print separator for distinguishing a printed matter from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displayed on the printed matter. And a digital reproduction means for recognizing a print delimiter of a media file such as a text, sound, or video, and a print delimiter of the printed work, and reproducing / outputting a media file corresponding to the print delimit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방법은 인쇄 저작물에 인쇄물의 내용별로 구분되게 표시된 인쇄 저작물을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에 구비된 구분자 인식부에서 인식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인쇄 구분자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미디어파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미디어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미디어파일을 재생/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media reproduction method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print work displayed on a print work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rint in a separator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multimedia play mean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Searching whether the media file corresponding to the print separator is stored in the media file storage unit; and if the corresponding media file is stored, playing / outputting the media fil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It includ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using a pri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저작물(10), 디지털 저작물(60),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인쇄 저작물(10)은 통상적인 인쇄물(14)과 상기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 하는 인쇄 구분자(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inted
상기 인쇄 구분자(12)는 2차원 바코드와 같이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로 이루어지고, 인쇄물(14)의 내용을 구분하고자 하는 항목별, 단원별, 페이지별 등으로 부여하며, 사용자가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쇄물(14)의 위치에 표시된다. The
디지털 저작물(60)은 인쇄 저작물(10)과 일치하는 내용의 문자, 음향 또는 영상 등의 미디어파일로 이루어지며, 인쇄물의 구분되는 내용에 따라 미디어파일의 내용이 구분되어 미디어파일의 내용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저작물(60)의 미디어파일은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에 저장되어 재생된다. The media file of the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은 상기 디지털 저작물(60)의 미디어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구분자 인식부(21), 미디어 재생부(22), 출력부(23), 제어부(24), 외부기기 연결부(25), 미디어파일 저장부(26) 및 입력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ultimedia reproducing means 20 is a device capable of playing the media file of the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은 PDA나 퍼스널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와 같은 휴대용이거나, 보조 교육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ultimedia reproducing means 20 is preferably portable or used as an auxiliary educational tool such as a PDA or a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상기 입력부(27)는 키나 버튼의 조합 또는 마우스, 전자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원하는 것을 입력한다.The
구분자 인식부(21)는 인쇄 저작물(10)에 표시된 인쇄 구분자(1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인식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하고, 예를 들어 카메라, 스캐너, 리 더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는 외부기기 연결부(25)를 통해 PC 또는 인터넷 단말기 등의 외부기기(50)에 저장된 디지털 저작물(60)의 미디어파일이 저장된다.The media
이때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는 미디어파일이 인쇄 구분자(12)별로 구분되게 저장된다. In this case, the media
이와 같이 외부기기(50)와의 연동을 통해 미디어파일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미디어파일 저장부(26)의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인쇄 저작물(10)과 디지털 저작물(60)을 연동하여 교육 및 학습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pgrading the media fil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미디어 재생부(22)는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고,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한다.The
상기 출력부(23)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부, LCD 또는 EL과 같은 영상 출력부로 구성되고, 미디어파일을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한다. The
제어부(24)는 상기 구분자 인식부(21)에서 인식한 인쇄 구분자(1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미디어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재생부(22)를 제어하여 그 미디어파일을 재생해서 출력하게 한다.The
이때 미디어파일의 출력은 내부의 출력부(23)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외부기기 연결부(25)를 통해 PC 또는 동영상 재생장치, 음향 재생장치의 외부기기(50)와 연동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media file may be output not only through the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25)는 FM, USB,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방식으로 외부기기(50)와 연결된다.The external
상기 외부기기는 PC, 인터넷 단말기, 동영상 재생장치, 음향 재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PC, an Internet terminal, a video player, and a sound playe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쇄 저작물(30), 인쇄 구분자(32), 인쇄물(34)의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약하고, 전자사전(40)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ed
전자사전(40)은 구분자 인식부(41), 제어부(42), 사전파일 DB(43), 입력부(44), 출력부(45), 재생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입력부(44)는 키나 버튼의 조합 또는 마우스, 전자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검색할 단어를 입력한다.The
구분자 인식부(41)는 인쇄 저작물(30)에 표시된 인쇄 구분자(3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인식하여 제어부(42)로 전송하고, 예를 들어 카메라, 스캐너, 리더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사전파일 DB(43)에는 각각의 단어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단어정보가 조합되어 인쇄 구분자(32)별로 이루어진 정보가 인쇄물(34)의 내용별로 구분되게 저장된다.Each wor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재생부(46)는 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사전파일 DB(43)에 저장된 사전파일을 재생하고 이를 출력부(45)를 통해 출력한다.The
상기 출력부(45)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부, LCD 또는 EL과 같은 영상 출 력부로 구성되고, 미디어파일을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한다.The
제어부(42)는 상기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즉, 사용자가 자신이 알고 싶은 단어를 입력부(44)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42)에서 사전파일 DB(43)로부터 입력된 단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재생부(46) 및 출력부(45)를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word he / she wants to know through the
또한, 구분자 인식부(41)에서 인쇄 구분자(32)를 인식하여 제어부(42)에 전송하면, 제어부(42)에서 인쇄 구분자(3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에 해당하는 사전파일이 사전파일 DB(43)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사전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재생부(46) 및 출력부(45)를 통해 그 사전파일을 재생해서 출력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ultimedia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lowchart of the system of FIG.
인쇄 구분자(12)가 인쇄물(14)의 내용별로 구분되게 표시된 인쇄 저작물(10)을 사용자가 구독하고 있는 중에(S302), 인쇄 저작물(10)과 관련된 내용의 미디어파일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S304),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에 구비된 구분자 인식부(21)를 인쇄 구분자(12)에 근접시키거나, 입력부(27)를 통해 미디어파일의 재생을 선택한 후 구분자 인식부(21)를 인쇄 구분자(12)에 근접시키면, 구분자 인식부(21)에서 인쇄 구분자(12)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인식하여 제어부(24)로 전송한다(S306).When the user is subscribing to the
제어부(24)는 인쇄 구분자(1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읽어 들여 해당하 는 미디어파일을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서 검색하여(S308),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0).The
제어부(24)는 인쇄 구분자(12)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부(22)를 제어하여 이 미디어파일을 재생,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한다(S312).If the media file corresponding to the
이때 외부기기 연결부(25)를 통해 PC 또는 동영상 재생장치, 음향 재생장치 등의 외부기기(50)를 통해서도 미디어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dia file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이와 같이 인쇄 저작물(10)과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을 연동하여 학습을 하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arning by linking the
다음 입력부(27)를 통해 반복재생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4)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미디어파일을 재생/출력하는 S312단계를 수행한다.In the case where the repeat play is selected through the
상기 S310단계에서 인쇄 구분자(12)에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 없는 경우, 출력부(23)를 통해 해당하는 미디어파일이 없어 미디어파일을 재생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316).If the media file corresponding to the
사용자는 미디어파일이 저장된 PC나 인터넷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기기(50)에 멀티미디어 재생수단(20)을 연결하여, 외부기기 연결부(25)를 통해 미디어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미디어파일 저장부(26)에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미디어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onnects the multimedia playback means 20 to a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2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ultimedia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lowchart of the system of FIG.
인쇄 구분자(32)가 인쇄물(24)의 내용별로 구분되게 표시된 인쇄 저작물(30)을 사용자가 구독하고 있는 중에(S402), 사전파일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S404), 전자사전(40)에 구비된 구분자 인식부(41)를 인쇄 구분자(32)에 근접시키거나, 입력부(44)를 통해 사전파일의 재생을 선택한 후 구분자 인식부(41)를 인쇄 구분자(32)에 근접시키면, 구분자 인식부(41)에서 인쇄 구분자(32)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인식하여 제어부(42)로 전송한다(S406).The
제어부(42)는 인쇄 구분자(32) 고유의 식별부호나 번호를 읽어 들여 해당하는 사전파일을 사전파일 DB(43)에서 검색하여(S408), 해당하는 사전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10).The
제어부(42)는 인쇄 구분자(32)에 해당하는 사전파일이 사전파일 DB(43)에 있는 경우, 재생부(46)를 제어하여 이 사전파일을 재생, 출력부(45)를 통해 출력한다(S412).When the dictionary file corresponding to the
이와 같이 인쇄 저작물(30)과 전자사전(40)을 연동하여 정보를 취득하고 학습을 하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다음 입력부(44)를 통해 반복재생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42)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사전파일을 재생/출력하는 S412단계를 수행한다.When the repeat play is selected through the
상기 S410단계에서 인쇄 구분자(32)에 해당하는 사전파일이 사전파일 DB(43)에 없는 경우, 출력부(45)를 통해 해당하는 사전파일이 없어 사전파일의 재생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416).If the dictionary file corresponding to the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pecific terms used abov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It is not.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from this,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물의 내용을 구분하는 고유의 인쇄 구분자를 항목별로 부여하여 인쇄물에 표시하고, 이 인쇄 구분자를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이나 전자사전으로 인식하여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재생함으로써 인쇄물을 통한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print separator for dividing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assigned to each item to be displayed on the printed matter, and the print separator is recognized as a multimedia reproducing means or an electronic dictionary to display cont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By playing in multimedia, the effect of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printed materials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물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가 문자, 음향 및 영상 등의 미디어파일로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이나 전자사전에 저장되어 종래에서처럼 멀티미디어 저작물 등을 소지하고 않아도 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미디어파일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ed matter are stored in a media file such as text, sound, and video, which are stored in a multimedia reproducing means or an electronic dictionar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a multimedia asset or the like as conventionally. It's easy to upgra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경우 편리하고 정확하게 특정 구간을 항목별로 검색하여 재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교육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icular section is repeatedly played back,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efficiently increas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learning by searching for and playing the specific section for each item.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9660A KR20060116985A (en) | 2005-05-12 | 2005-05-12 |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9660A KR20060116985A (en) | 2005-05-12 | 2005-05-12 |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6985A true KR20060116985A (en) | 2006-11-16 |
Family
ID=3770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9660A Ceased KR20060116985A (en) | 2005-05-12 | 2005-05-12 |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1698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0194A1 (en) * | 2007-05-09 | 2008-11-20 | Unich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output of media contents via character recognition |
KR101532482B1 (en) * | 2013-08-20 | 2015-06-29 | 김희정 |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
-
2005
- 2005-05-12 KR KR1020050039660A patent/KR2006011698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0194A1 (en) * | 2007-05-09 | 2008-11-20 | Unich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output of media contents via character recognition |
KR101532482B1 (en) * | 2013-08-20 | 2015-06-29 | 김희정 |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85371C (en) | Reproducing apparatus, program, an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 |
JP5634853B2 (en) | Electronic comic viewer device, electronic comic browsing system, viewer program, and electronic comic display method | |
CN103348338A (en) | File format, server, view device for digital comic, digital comic generation device | |
US20130129310A1 (en) | Electronic book | |
CN101930779A (en) | Video commenting method and video player | |
KR101968599B1 (en) |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tory video according to input text | |
US20080046818A1 (en) | Non-electronic books with displays | |
KR101789057B1 (en) | Automatic audio book system for blind peop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JP2005527000A (en) | Talking E book | |
JP2005078086A (en) | Educational learning controller | |
US9406340B2 (en) | Talking paper authoring tools | |
JP7279754B2 (en) | Learning control method and learning system | |
KR20060116985A (en) | Multimedia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ing print separator | |
Schreiner | Uniting the paper and digital worlds | |
AT&T | untitled | |
WO2008108512A1 (en) | User created contents toy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987644B1 (en) | System for providing effect based on a reading | |
US20180253986A1 (en) | Electronic flash card methods and systems | |
KR20020006620A (en) | Portable CD player displaying caption data and audio CD having caption index data and System for providing caption data | |
KR200486582Y1 (en) |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reading of publication using mobile device | |
KR200432663Y1 (en) | Learner with MP3 function and content search function | |
CN102456122B (en) | Data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operation method using optical reading device | |
KR20040040960A (en) | Digital study apparatus | |
KR20140049102A (en) | The sound book providing system using smartifact and the sound book | |
KR20180074238A (en) |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