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090572A -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 Google Patents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72A
KR20060090572A KR1020057024546A KR20057024546A KR20060090572A KR 20060090572 A KR20060090572 A KR 20060090572A KR 1020057024546 A KR1020057024546 A KR 1020057024546A KR 20057024546 A KR20057024546 A KR 20057024546A KR 20060090572 A KR20060090572 A KR 2006009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members
vertical frame
hardware
mutu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치 가와이
가즈노리 후지하시
시게아키 도나이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41Joints substantially without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e.g. jointing by inter-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고, 또한 압축력 및 인장력 양 응력 모두를 전달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그 접합 철물을 사용한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와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를 연결하여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은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11)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11)에 걸쳐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수직 프레임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3)를 양측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서, 그 접합 철물(1)의 상하의 각층에 배치되는 접합부(3)가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부(3)와 수직 프레임재(11)에 걸쳐 횡방향으로 박히는 드릴 나사(2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사용한 접합 방법이다.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 접합용 플레이트, 수직 프레임재, 접합 철물, 드릴 나사

Description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JOINT FITTING BETWEEN MEMBERS, JOINT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FLOOR VERTICAL FRAME MEMBERS, AND METHOD OF JOINING}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스틸 하우스에 있어서의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 상호 또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나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弦材) 상호 등, 직접 또는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를 연결하고, 이러한 부재에 압축력 및 인장력을 직접 전달 가능하게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그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층측의 벽 패널과 하층측의 벽 패널을 연결하는 경우, 두 개의 홀다운 철물과 연결 볼트·너트의 3개의 철물로 이루어지는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층측의 벽 패널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홀다운 철물을 고정하고, 하층측의 벽 패널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홀다운 철물을 고정시키고, 이러한 홀다운 철물을 볼트·너트의 연결 철물에 의하여 연결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3개의 철물로 이루어지는 접합 철물을 사용한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지진 또는 바람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인장력 밖에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압축력을 바닥 골조 부분에서 전달하게 되어, 상하층 벽 패널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끼워지는 바닥 골조 내부에 압축 보강 철물를 삽입하는 등 복잡한 연구가 필요하고, 부품 수가 증대하여, 설계·시공이 복잡하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 골조 내부에 별개로 배치되는 압축 보강 철물을 대신하여,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체(27)의 상하에 플랜지(28)를 설치하여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9)를 구성하고, 그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9) 내에 연결 볼트(30)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하 홀다운 철물(31, 32)을 너트(33)에 의하여 연결하는 형태의 접합 구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311110호)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는 모두, 두개의 홀다운 철물(31, 32)과 연결 볼트·너트 (30, 33)와 압축 보강 철물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9)의 3개의 별개의 응력을 전달하는 강성이 큰 부재를 필요로 하고, 부재 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상하 각층측에서의 홀다운 철물(31, 32)의 배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이들 상하층의 홀다운 철물(31, 32)의 심 어긋남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볼트 삽통공을 대공(大孔)으로 하여 연결 볼트(30)의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홀다운 철물(31, 32)의 수직 프레임재(11)와의 접합부(X)로부터 연결 볼트 중심축선 C까지의 횡방향의 거리 L가 커져, 휨 강성이 큰 홀다운 철물(31, 32)을 필요로 하고,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 골조(34) 내부에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9)를 삽입하는 것은 고난이도의 시공 능력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 또는 횡방향 또는 경사된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쪽 모두의 응력의 전달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접합 철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고, 또한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쪽 모두의 응력의 전달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그 접합 철물을 사용한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는 단부가 각각 별개의 부재에 연결되어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와 다른 한쪽 부재에 걸쳐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부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는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를 연결하여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은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수직 프레임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1개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양단부가 눌려 변형되어 평탄부가 형성되고, 그 평탄부에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서는 제3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양단부의 형상이 평탄부의 폭 방향 양측에 볼록부를 구비한 단면 오목 홈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부분이 접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봉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접합부를 가지는 접합용 플레이트가 고착되고, 또한 상기 각 접합용 플레이트는 동일 면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에서는 제5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접합용 플레이트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그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목 홈에 봉강의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배치되고, 접합용 플레이트에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접합 철물은 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고 홈형 단면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로 이루어지고 그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양단부에 평탄부를 가지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접합 가능한 접합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에서는 제3, 4, 7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에 접합용 선공(starting holes)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중간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가 양단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에 비하여 작고, 상기 양단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는 상층측의 부재 및 하층측 등의 삽통되는 부재에 설치되는 각 관통공의 긴 변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상기 관통공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중간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는 상기 관통공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의 건축물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이 사용되고, 건축물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 상호 등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하의 접합부가 각각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부와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제11 발명 또는 제12 발명의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 내지 제10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접합부 중 어느 한쪽 접합부를,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시키고, 접합부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다른 한쪽 접합부를 다른 한쪽의 접합하여야 할 부재에 접촉시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제11 또는 제12 발명의 접합 구조와 함에 있어서, 제 1 발명 내지 제10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접합부 중 어느 한쪽 접합부를, 상하의 어느 한쪽 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시키고, 접합부와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횡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부를 다른 한쪽 층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하여 횡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단부가 각각 별개의 부재에 연결되어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이며,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와 다른 한쪽 부재에 걸쳐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부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으므로, 접합 철물의 구성을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다수의 부품에 의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하나의 부재로 교체하여 인장력과 압축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므로, 염가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틸 하우스의 설계·시공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시공 효율의 향상과, 시공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연속된 하나의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를 구비한 접합 철물로 구성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접합 철물의 구성을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상층측 및 하층측의 홀다운 철물의 보강 철물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 및 그 내측에 배치되는 볼트 등의 다수의 부품에 의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보강 철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1개의 부재로 교체하여 인장력과 압축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염가의 부재 상호 간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틸 하우스의 설계·시공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시공 효율의 향상과, 시공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를 강관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염가의 강관의 양단부를 단지 눌러 변형시켜 평탄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그 평탄부에 필요에 따라 선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접합부를 가지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보다 염가의 부재 상호 간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평탄부의 폭 방향 양측에 볼록부를 구비한 단면 오목 홈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합부의 휨 강성을 높인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를 강봉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염가의 강봉의 양단부에 접합용 플레이트를 고착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보다 염가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접합용 플레이트에 절결부을 형성하고, 그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에 봉강의 단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봉강의 단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배치되어 고착되어 있으므로, 접합 플레이트의 접합면과 봉강 중심축선을 접근시킬 수 있고, 즉, 수직 프레임재와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중심축선을 접근시키고, 이들에 작용하는 휨력를 작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단지, 강판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홈형 단면의 휨 강성이 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로 할 수 있고, 또한, 홈의 깊이를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부재의 길이 방향의 휨 강성을 조정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접합 가능한 접합부로 되어 있으므로, 시판하는 염가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평탄부에 접합용 선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선공을 이용하여, 드릴 나사를 박거나 볼트 삽통용 선공을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재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자전시의 외경 치수가 부재 단부보다 작은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중간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상층측의 부재 또는 하층측의 부재에 있어서의 부재 폭 방향의 관통공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휨 강성이 큰 부재로 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 상호 등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를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접합할 수 있으므로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 구조가 간단한 구조가 됨과 동시에, 시공도 용이하게 되고, 그 밖에도 압축력 및 인장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접합 구조로 할 수 있고, 또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경사된 방향 등의 적당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높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양단부에 접합부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를 가지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하 접합부를,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하여 횡방향으로 박히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고정하고,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패스너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의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접합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서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제 연결 부재를 수직 프레임재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접합하는 구조이므로, 상하의 수직 프레임재로부터 금속제 연결 부재 중심축선까지의 편심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 인장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수직 프레임재 및 금속제 연결 부재의 굽힘 모멘트의 부담이 작은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각 접합부 중 어느 한쪽 접합부를,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고, 접합부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다른 한쪽 접합부를 접합하여야 할 다른 한쪽 부재에 접촉하여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므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그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접합부를 드릴 나사 등이 간단한 접합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직렬 또는 간격을 두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별개의 부재 상호를 용이하게 연결 접합할 수 있어, 시공도 용이하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 가능한 하나의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를 구비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상층 및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배치하고,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상하의 접합부를 각각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접합하기 때문에, 시공의 간소화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이다. 또한, 상층측 및 하층측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도, 상하층에 걸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수직 프레임재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의 자유도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다른 부품에 있어서의 관통공과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다른 부품에 있어서의 관통공과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b는 상하의 플랜지에 긴 구멍을 형성하였을 경우의 부재 상호의 접합철물과 긴 구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에 나타내는 단면 형태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고, 상하 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관통공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2b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관통공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에 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의 K-K선 단면도이다.
도 15a는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관통공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5b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관통공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대표 형태를 사용하여, 상측 프레임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접합 구조에 있어서의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합 철물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에 나타내는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층측과 하층측을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도 6a, 도 6b 및 도 7a,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은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의 상단부로부터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의 하단부에 걸친 길이를 가지는 강관 등의 한 개의 금속제 파이프재의 양단부가 눌려 변형되고, 양단부에 평탄부(2)를 구비하고 있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가 구성되고, 그 금 속제 연결 부재 본체(4)에 있어서의 상기 각 평탄부(2)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접합 가능한 접합부(3)가 형성된 접합 철물로 이루어지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 이루어져 있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관(4a)의 양단부 전체가 횡단면에서 반경 방향의 한쪽 편으로 기울어지도록 편평하게 눌려 변형되고, 양단부에 편평한 평탄부(2)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부(2)에 드릴 나사용 선공(5)이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드릴 나사용의 선공(5) 이외에도,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사용하여 접합하기 위한 구멍으로 하여도 된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상하 양단부의 평탄부(2)는 동일 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접촉하는 면이 동일 수직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에 있어서 평탄부(2)를 형성하는 경우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의 폭 방향 중간부를 편평하게 눌러 변형시킴과 동시에, 평탄부(2)의 폭 방향의 양측을, 내면 상호를 이간시킨 볼록부(6)로 하고, 부재의 단부에 있어서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6)를 구비한 단면 오목 홈상의 접합부(3)로 하여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접합부(3)의 강성(휨 강성 좌굴 내력)을 높인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후기의 각 실시 형태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철물(1)은 상하 대칭 형상으로 되고, 반전 배치하여도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상호의 접합 철 물(1)의 단부의 접합부(3)에 있어서 횡축 방향의 외형 치수(L1)에 비하여, 종방향 중간부의 상기와 같은 가로 폭 방향의 외형 치수 d는 작고, 또한 종방향 중간부에서는 접합부(3)의 직각 방향(수직 폭 방향)의 치수는 크게 되어 있어 휨 강성 및 좌굴 내력이 커지고, 상기 양단부의 외형 치수(L1)는 상층측의 부재(17, 19) 및 하층측의 부재(13, 15)에 설치되는 각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긴 변 방향의 치수(L2)보다 작고, 상기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 D보다 크고 양단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L3)는 각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 D보다 작고, 또한 상기 중간부의 회전시의 최대 외형 치수는 상기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 D보다 작아,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부분에 상기 접합 철물(1)의 중간부를 위치시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하층 수직 프레임 접합 철물(1)의 상하 양단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L1)를, 상하층의 부재(13, 15, 17, 19)에 설치되는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긴 변 방향의 치수(L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층측 및 하층측의 어느 한 방향에서 상하층의 부재(13, 15, 17, 19)에 설치되고 있는 가로로 긴 관통공(20)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삽입 배치하는 경우에도,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가로로 긴 방향에 맞추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단부의 가로로 긴 방향을 맞추어 삽통할 수 있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가로 폭 치수가 작고 휨 강성 및 좌굴 내력을 높인 중간부를 상하층의 부재(13, 15, 17, 19)의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부분에 배치한 상태로 거의 수평 회전시켜 설치 자세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즉,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 단부가 광폭부로 되어 있는 접합부(3)를 상하층의 부재(13, 15, 17, 19)의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부분에서 수평 회전시키지 않고,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횡단면의 작은 외경 치수 부분을, 상층측의 가로로 긴 관통공(20) 및 하층측의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부분에 위치시키고,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자전시키도록 거의 수평 회전시켜, 접합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a, 도 4b(또는 도 3a, 도 3b 참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층측 및 하층측의 부재(13, 15, 17, 19)(벽 패널 12, 18을 구성하는 프레임재에 있어서의 상하의 홈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측 프레임재(19) 및 상측 프레임재(13)의 웹(35))에 설치되는 관통공(20)이 부재 길이 방향으로 긴 가로로 긴 관통공(20)으로 되어, 부재(13, 19)의 폭 방향 단부(플랜지 36)에 가로로 긴 관통공(20)이 접근하지 않기 때문에, 부재 폭 방향 단부측에 있어서 벽 패널면에 평행한 인장력(플랜지에 평행한 인장력)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힘을 구조용 면재(14)로부터 받았을 경우에, 웹(35)의 폭 방향의 단면 결손이 작기 때문에, 웹(35)의 강성의 큰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다른 형태로서 평면 형상이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의 평면 형상과 상사형이고, 약간 큰 치수의 관통공으로서 이것에 수직 프레임재(11)(도 2 참조) 측의 웹 접합면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가로로 긴 관통공(2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의하여,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11)를 접합하였을 경우에는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11)와의 접합면과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중심 수직 축선까지의 횡방향의 편심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11)와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대하여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및 그 철물을 이용한 접합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 이외에도, 도시를 생략하지만, 건축물에 있어서 직렬로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을 구성하는 현재 상호 등,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직렬로 서로 이웃하는 부재 단부 상호 또는 간격을 둔 부재 단부 상호 또는 지붕틀에서는 직렬 또는 접근하도록 경사하여 병렬하는 부재 단부 상호 간에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에 적용할 수 있고,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경사된 방향이어도 좋고, 부재 간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접합이 되지만, 이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사용하여, 일례로서 상층 및 하층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재(11) 상호를 접합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a,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형태의 스틸 하우스에서는 하층측에 배치 고정되어 있는 하층측 벽 패널(12)은 박강판을 오목 홈상으로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 단면 홈형 상측 프레임재(상측 수평 프레임재)(13)와 하측 프레임재(하측 수평 프레임재, 도시 생략)와 이들에 단부가 연결되는 횡단면 립이 있는 홈형의 수직 프레임재(11) 및 이러한 측면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나사 또는 드릴 나사 등의 고착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고 정되는 박강판 등의 구조용 면재(14)를 구비하고 있다.
기초 또는 하위의 벽 패널 등에 하층 측벽 패널(12)은 연결되어 세워지고 그 하층 측벽 패널(12)의 상측 프레임재(13) 위에, 이것에 따라서 목제 각재 등 상측 프레임 보강재(15)가 재치되어 드릴 나사 등의 고착구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상측 프레임 보강재(15)에, 단 장선(end joist) 또는 측 장선(side joist)(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프레임재(13)등의 내력이 큰 경우에는 대표 형태로서 도16 및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프레임 보강재(15)를 생략하고, 상측 프레임재(13) 위에 직접,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설치된다.
상기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는 도시를 생략한 바닥 장선 또는 천정 장선이 가설 고정되고,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 및 바닥 장선의 상측 플랜지(21)에 바닥 밑판(floor sub-lining material)(17)이 재치되어 드릴 나사 등의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바닥 밑판(17) 상에, 상기 하층 측벽 패널(12)과 동일한 구조의 상층 측벽 패널(18)이 하층 측벽 패널(12)과 동일 수직 면상에 세워지고 상층 측벽 패널(18)에 있어서 홈형 단면 하측 프레임재(19)의 웹(35)은 바닥 밑판(17) 상에 재치되어 드릴 나사 등의 고착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바닥 밑판(17) 상에 재치되어 있는 상층 측벽 패널(18)에 있어서 홈형 단면의 하측 프레임재 (19)의 웹(35)과 바닥 밑판(17)와 상측 프레임 보강재(15)와 하층측벽 패널(12)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재(13)의 웹 (35)에는 도 4a, 도 4b(및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폭 방향 중앙부에 부재 길이 방향에 긴 가로로 긴 관통공(20)이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또한,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 선단부에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의 축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V자상 등의 절결부(22)를 형성하거나,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플랜지(21)의 폭 방향 중간부에 구멍이 천설되어 예를 들면 부재 길이 방향으로 긴, 긴 구멍(22)이 형성된다.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상층 또는 하층에 걸쳐 배치하는 경우의 한 형태로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의 하부의 접합부(3)를, 상층측으로부터 상기 각 부재(19, 17, 15, 13)의 가로로 긴 관통공(20)에, 접합부(3)의 광폭 방향을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긴 변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삽통하고 하층측에 하부의 접합부(3)를 배치한다.
또한, 도 4b에 2점 긴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중간부를 상기 각 부재(19, 17, 15, 13)에 위치시킨 상태로, 수평 자전시키도록 90˚회전시켜, 상층측의 접합부(3)에 있어서의 평탄부(2)를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에 있어서의 웹(23)에 가로 이동시켜 접촉시키고,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의 절결부(22)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의 중간부를 위치시키고,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 횡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등 패스너재(24)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하층측에 배치된 접합부(3)를, 상기 하층측의 벽 패널(12)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 스터드로 이루어지는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에 접촉시키고, 이것에 드릴 나사(24)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 다.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상층 또는 하층에 걸쳐 배치하는 경우의 다른 한 형태로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의 상부의 접합부(3)(또는 하부의 접합부(3)를, 하층측으로부터 상기 각 부재(13, 15, 17, 19)의 가로로 긴 관통공(20)에 삽입하여 상층측에 상부의 접합부(3)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 철물(1)을 90˚수평 회전시켜 수직 프레임재(11) 측에 수평 이동시킴과 동시에,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 플랜지(21)의 절결부(22)에, 상기 접합 철물(1)의 중간부를 위치시키고, 접합부(3)를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에 있어서의 웹(23)에 접촉시키고, 횡방향의 드릴 나사(24)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층측에 배치된 접합부(3)를, 상층측의 벽 패널(12)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로 이루어지는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에 드릴 나사(24)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의하여 연결된 상층 측벽 패널(18) 및 하층 측벽 패널(12)에서는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상층 측벽 패널(18)에 위를 향한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상층 측벽 패널(18)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상층측의 접합부(3),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 하층측의 접합부(3),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하층 측벽 패널(12)의 웹(23)을 사이에 두고 하층 측벽 패널(12)에 전달되고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게 할 수 있 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상층 측벽 패널(18)에 아래를 향한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상층 측벽 패널(18)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상층측의 접합부(3),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 하층측의 접합부(3),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하층 측벽 패널(12)의 웹(23)을 사이에 두고 하층 측벽 패널(12)에 전달되어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는 않는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하층 측벽 패널(12)에 상방향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하층 측벽 패널(12)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하층측의 접합부(3),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 상층측의 접합부(3),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상층 측벽 패널(12)의 웹(23)을 사이에 두고 상층 측벽 패널(18)에 전달되어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하층측벽 패널(12)에 아래로 향한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하층 측벽 패널(12)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하층측의 접합부(3),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 상층측의 접합부(3),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상층 측벽 패널(12)의 웹(23)을 사이에 두고 상층 측벽 패널(18)에 전달되고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는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도 8 및 도 9a, 도 9b, 도 9c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및 이것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가 나타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와 상위한 부분은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구성이 주로 상위하므로, 상위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봉강(7)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로 이루어지고, 그 봉강(7)의 양단부에 있어서, 일단측에 선공(5)을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의 폭 방향 중간부에 절결 홈(8)을 가지는 장방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절결 홈이 있는 접합용 플레이트강을 용접(W)하여 평탄한 접합부(3)로 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 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단측에 단부를 향하여 개방된 절결 홈이 있는 접합용 플레이트(10)가 사용되고, 그 절결 홈이 있는 접합용 플레이트(10)에 있어서 타단측에 복수의 드릴 나사용의 선공(5)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 홈(8)에 봉강(7)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감합 배치되고, 봉강(7)은 접합용 플레이트(10)에 봉강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용접 W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이 구성되고 이러한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이 사용되어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웹(23) 상호가 접합되어 있으나, 그 외의 구조 및 시공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을 사용하면, 봉강(7)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휨 강성 및 좌굴 내력이 높은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로 할 수 있고, 또한, 봉강(7)과 접합용 플레이트(10)를 별개로 제작한 정밀도 높은 부품을 사용한 접합 철물(1)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접합용 플레이트(10) 의 판 두께에 의한 판 두께 방향의 봉강(7)의 편심된 설치를 크게 줄이고, 접합 플레이트(10)의 접합면(F)과 봉강(7)의 중심, 축선 간의 편심 거리(L4)(도 9c를 줄여, 수직 프레임재(11)와 상하층 외측 프레임재 접합 철물(1) 사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고정재(1)에 있어서의 단부의 가로 폭 치수가 작은 고정재(1)가 되므로, 상하층측의 부재(19, 17, 15, 13)에 설치되는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긴 변측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a, 도 11b, 도 11c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및 이것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가 나타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와 상위한 점은 강판으로 만든 접합용 플레이트(10)에 의하여 절결부을 형성하지 않고, 접합용 플레이트(10)의 표면에 봉강(7)의 단부 양측을 용접(W)에 의하여 고정하고, 그 용접부(W)의 양측에 선공(5)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용 플레이트에 절결 홈 등이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접합용 플레이트(10)부의 강성이 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용 플레이트(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층측 및 하층측의 부재(19, 17, 15, 13)에 설치하는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긴 변측의 치수를 비교적 길게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19)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5a, 도 15b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및 이것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은 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고, 웹(25)의 양측에 플랜지(26)를 구비한 단면 홈형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의 양단부의 웹(25)은 광폭으로 한다. 웹(25)에 의한 평탄부(2)에 복수의 선공(5)이 형성된 접합부(3)로 하고, 그 접합부(3) 부분의 웹(25)의 폭 치수(L1)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웹(25)의 폭 치수보다 넓게 하고, 또한,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플랜지(26)의 폭 치수(d1)를 넓게 하고, 중간부의 휨 강성이 커지도록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4) 및 접합용 플레이트(10)로서는 강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강도 및 강성이 큰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강관 또는 강판 등의 시판되는 강 제품 재료이면, 염가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가로로 긴 관통공(20)의 형상으로서는 타원형 구멍 이외에도, 장방형상 등, 적당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절결부(22)로서는 V자상 이외의 적당의 형상이라도 좋다.

Claims (14)

  1. 단부가 각각 별개의 부재에 연결되어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와 다른 한쪽 부재에 걸쳐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부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부재.
  2.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를 연결하여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은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와 그 양단부에 각각 이러한 수직 프레임재에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개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양단부가 눌려 변형되어 평탄부가 형성되고, 그 평탄부에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양단부의 형상이 평탄부의 폭 방향 양측에 볼록부를 구비한 단면 오목 홈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부분이 접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접합부를 가지는 접합용 플레이트가 고착되고, 또한 상기 각 접합용 플레이트는 동일 면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용 플레이트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그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목 홈에 봉강의 단부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배치되고, 접합용 플레이트에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가 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어 오목 홈형 단면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금속제 연결 부재 본체의 양단부에 평탄부를 가지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접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9. 제3항,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에 접합용 선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중간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가 양단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에 비하여 작고, 상기 양단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는 상층측의 부재 및 하층측의 부재 등의 삽통되는 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긴 변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상기 관통공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보다 크며, 또한 상기 중간부의 폭 방향 외형 치수는 상기 관통공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이 사용되고, 건축물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 상호 등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건축물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구조.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접합부가 각각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부와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구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접합부 중 어느 한쪽 접합부를, 접합하여야 할 다른 한쪽 부재에 접촉시키고, 접합부와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부를 다른 한쪽의 접합하여야 할 부재에 접촉시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접합부 중 어느 한 접합부를, 상하의 어느 한쪽 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시키고, 접합부와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횡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부를 한쪽 층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하여 횡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
KR1020057024546A 2004-11-25 2005-09-05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KR20060090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0092 2004-11-25
JP2004340092A JP4369859B2 (ja) 2004-11-25 2004-11-25 部材相互の接合金具および上下階縦枠材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72A true KR20060090572A (ko) 2006-08-14

Family

ID=3549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546A KR20060090572A (ko) 2004-11-25 2005-09-05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5271B2 (ko)
JP (1) JP4369859B2 (ko)
KR (1) KR20060090572A (ko)
CN (1) CN100590273C (ko)
TW (1) TWI280305B (ko)
WO (1) WO2006057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734B2 (en) 2004-05-18 2011-08-23 Simpson Strong-Tie Co., Inc. Moment frame links wall
JP4974023B2 (ja) * 2005-10-25 2012-07-11 株式会社タナカ 接続用金物、建物の補強構造
JP4869901B2 (ja) * 2006-12-19 2012-02-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構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部構造
US8286499B2 (en) 2008-07-19 2012-10-16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ttachment joints
HRP20110582A2 (hr) * 2011-08-04 2013-04-30 Tomislav PRLIĆ Zidna montažna struktura za pasivne zgrade, primjena i postupak proizvodnje
CN112709321B (zh) * 2019-10-24 2022-03-04 深圳市建筑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轴心受力构件的节点连接方法
JP2022024788A (ja) * 2020-07-28 2022-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筐体フレーム構造、筐体フレーム組立方法
WO2022203821A1 (en) * 2021-03-24 2022-09-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mounting fram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48A (en) * 1885-05-19 Anchor for buildings
JPS52915U (ko) * 1975-06-21 1977-01-06
JPS52915A (en) 1975-06-24 1977-01-06 Sumitomo Metal Ind Nonnburned bricks
JPS5397218A (en) * 1977-02-03 1978-08-25 Mitsuaki Soga Fittings for fixing building
GR74598B (ko) * 1980-06-02 1984-06-29 Krebs Arthur
JPS58191835A (ja) * 1982-04-30 1983-11-09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造建築用補強具の製造方法
DE3717816C2 (de) 1987-01-13 1993-10-14 Unistrut Europ Plc Bedford Halte- und Traganker
US5819484A (en) * 1995-07-28 1998-10-13 Kar; Ramapada Building structure with friction based supplementary damping in its bracing system for dissipating seismic energy
US5813181A (en) * 1995-08-21 1998-09-29 Ashton; Roger Wall Continuity tie
US5735087A (en) * 1996-07-19 1998-04-07 Mitek Holdings, Inc. Truss with integral hold down strap
JPH10102602A (ja) * 1996-10-01 1998-04-21 Kazuhiro Tsuchie 木造建築用構造材の連結ボルト
JPH10311110A (ja) 1997-05-13 1998-11-24 Sugimoto Kenchiku Kenkyusho:Kk 建築物の接合構造
JP4444555B2 (ja) * 2002-09-24 2010-03-31 東京地下鉄株式会社 土木構造物の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5271B2 (en) 2010-02-23
US20070125034A1 (en) 2007-06-07
JP2005344500A (ja) 2005-12-15
TW200617250A (en) 2006-06-01
CN1878918A (zh) 2006-12-13
CN100590273C (zh) 2010-02-17
WO2006057099A1 (ja) 2006-06-01
JP4369859B2 (ja) 2009-11-25
TWI280305B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244B2 (en) Joint structure using a gusset plate, a building using the joint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or reinforcing a building
KR100715374B1 (ko)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US5685114A (en) Structural member, floor structure, and roof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and a method of building with the same
US20030213194A1 (en) Joint 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in and lightweight shaped-steel
KR20060090572A (ko)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JP3981037B2 (ja) 柱梁接合構造
KR100341363B1 (ko) 스틸하우스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결합구조
US20020124521A1 (en) Wooden trussed structural systems, such as frameworks, bridges, floors
JP4937833B2 (ja) 耐力壁並列式の壁構造および建築構造物
KR20090092533A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KR100963587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963586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KR100963583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JP2004156291A (ja) 橋桁構造及び橋桁の架設方法
JP4260736B2 (ja) スチールハウスの耐力壁構造
JPH10131394A (ja) 鋼板ウェブ材を用いた組立補強梁
KR100511651B1 (ko) 박판 경량 형강을 이용한 건축물의 접합 구조
JP5004434B2 (ja) スチールハウス
JP4869901B2 (ja) 鋼構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部構造
KR100963585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US20050120658A1 (en) Joint 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in and lightweight shaped-steel
JP4357444B2 (ja) 薄肉鋼材製梁
JP267445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