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090411A -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411A
KR20060090411A KR1020050010915A KR20050010915A KR20060090411A KR 20060090411 A KR20060090411 A KR 20060090411A KR 1020050010915 A KR1020050010915 A KR 1020050010915A KR 20050010915 A KR20050010915 A KR 20050010915A KR 20060090411 A KR20060090411 A KR 20060090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terminal
battery pack
charge
exter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50010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411A/ko
Publication of KR2006009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41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전지팩의 전원 출력커넥터에 이동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단말기의 충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 충전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는 내부에 외장형 2차전지 및 상기 외장형 2차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로부터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전전류의 크기에 의해 이동단말기로의 충전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 후에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스터, 외장형, 전지팩, 이동, 단말기, 충전

Description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EXTERNAL BATTERY PACK TO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외장형 전지팩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외장형 전지팩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를 갖느 외장형 전지팩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외장형 전지팩의 2차전지 전압과 전류 및 이동단말기 내장 전지팩의 2차전지 전압과 전류 특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90: 교류/직류 어댑터,
200: 외장형 전지팩, 210: MCU,
220: 충전입력 제어부, 230: 보호회로 및 2차전지,
240: 직류/직류 변환부, 250: 충전출력 제어부,
260: 스위칭부, 270: 충전전류 검출부,
280: 직류/직류 변환부, 290: 표시부,
300: 이동단말기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형 전지팩의 전력을 사용하여 이동단말기의 2차전지를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 충전 양태를 달리함으로써 외장형 전지팩 전력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Li1+)전지, 니켈카드뮴(Ni-Cd)전지 및 니켈메탈하이드리드(Ni-MH)전지와 같이 반영구적으로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2차전지라 한다. 이러한 2차전지는 근래 휴대용 컴퓨터, 캠코더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단말기의 기능이 급격히 고성능, 다기능화 되어감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필요한 구동전력의 부족현상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따라 기존에 내장된 전지용량을 높이는 방법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어서 충분한 기기 구동전력을 공급해 줄수 있는 보조전원(외장형 전지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하 이동단말기의 대표적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
한편, 국내에는 거의 보급이 되어 있지 않으나 미주 및 유럽의 거의 전지역 에서는 이러한 외장형 전지팩을 내장한 홀스터(holster)가 널리 보급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홀스터를 허리춤에 찬 상태에서 이동단말기를 홀스터에 삽입하여 이동단말기를 충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홀스터를 외장형 전지팩으로 정의하고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외장형 전지팩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인바, 2004년 특허공개 제36517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외장형 전지팩은 2차전지(10)를 내장하고, 외부전원 연결용잭(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충전커넥터(20)를 구비한다. 충전회로부(31)는 충전커넥터(2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2차전지(10)에 충전하기 적합한 전류, 전압의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변환하여 보호회로부(40)에 보낸다. 2차전지를 허용전압을 초과하여 과충전하면 유기 전해액의 분해반응이 진행되고, 반대로 과방전하면 내부저항의 증가 등이 일어나게 되어 전지의 성능열화나 안정성 저하 등의 원인이 되는데, 보호회로부(40)는 이러한 2차전지(10)의 과방전, 과충전을 검출하여 외부회로와의 접속을 차단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충전, 과방전을 미연에 방지하여 2차전지(10)를 보호한다.
한편, 충전회로부(31)와 보호회로부(40)를 통해 충전되기에 적합한 전류, 전압의 크기를 갖는 형태로 변환된 전원은 2차전지(10)에 충전된다. 이렇게 2차전지(10)에 충전된 전원은 직류/직류 전압변환회로부(50)에서 이동단말기에 사용되는 전압으로 변환된 후에 출력회로부(32)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출력회로부(32)는 직류/직류 전압변환회로부(50)를 통해 입력된 전압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유지함 과 동시에 전류도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정전압, 정전류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이동단말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동단말기의 내장 전지팩을 직접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전원 출력커넥터(60)는 이동단말기의 전원 입력단자 또는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압, 정전류로 제어된 전원을 공급한다. 전지잔량 표시회로부(70)는 2차전지(10)의 잔량 상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검출하여 전지잔량 표시부(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전지잔량 표시부(80)는 다색 LED를 사용하여 충전 상태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외장형 전지팩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은 2차전지(10) 및 각 회로부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우징 하면의 일측에는 의복이나 허리띠 등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펜형 고정대(9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는 충전커넥터(20), 전원 출력단자(60) 및 충전상태 표시부(80)가 하우징의 장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펜형 고정대(90)가 형성된 측과 가까운 단측면이나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원 입력단자(20), 전원 출력커넥터(60) 및 전지잔량 표시부(80), 핸즈프리 선택부(130)를 각각 다른 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하우징의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100)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스피커(140)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50은 마이크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외장형 전지팩에 따르면, 외장형 전지팩 의 전원 출력커넥터에 이동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단말기 내장 전지팩의 현재의 충전 상태에 관계없이 무조건 충전이 이루어져서 외장형 전지팩의 전력이 단시간 내에 고갈되고, 이에 따라 보조전지로서의 기능을 전혀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내장 전지팩에 무리한 전력을 공급하여 내장 전지팩이 과열되고 이에 따라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장형 전지팩의 전원 출력커넥터에 이동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단말기의 충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 충전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는 내부에 외장형 2차전지 및 상기 외장형 2차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로부터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전전류의 크기에 의해 이동단말기로의 충전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 후에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방법은 내부에 외장형 2차전지, 상기 외장형 2차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 및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로부터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칭부를 미리 정해진 제1 시간(t1) 동안 온시켜서 이동단말기의 임시충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충전전류가 이동단말기의 충전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 경우에는 만충전이 될 때까지 충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임시 충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를 갖는 외장형 전지팩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300)의 충전 제어장치를 갖는 외장형 전지팩(200)은 외장형 전지팩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210), 외장형 전지팩의 2차전지(이하 간단히 ㅄ외장형 2차전지ㅄ라 한다)와 이의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하는 보 호회로로 이루어진 보호회로 및 2차전지(230), MCU(210)의 제어에 따라 교류/직류 어댑터(19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의 외장형 2차전지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입력 제어부(220), 외장형 2차전지의 출력 전원을 이동단말기(300)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압을 갖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240), 교류/직류 어댑터(19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으로 이동단말기(300)를 직접 충전하는 경우에 교류/직류 어댑터(19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이동단말기(300)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압을 갖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또 다른 직류/직류 변환부(280), 직류/직류 변환부(240),(280)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을 이동단말기(300)에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방식으로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250), 충전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이동단말기(300)로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270), 충전출력 제어부(250)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300)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260) 및 자체 또는 이동단말기(300)에의 현재의 충전 상태와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충전입력 제어부(220), 보호회로 및 2차전지(230), 표시부(290), 직류/직류 변환부(280) 및 충전출력 제어부(250)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충전회로부(31), 보호회로부(40) 및 2차전지(10), 전지잔량 표시회로부(70),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50) 및 출력회로부(30)에 상응한다. 스위칭부(260)는 FET와 같은 통상의 전자 스위치와 그 주변 회로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충전전류 검출부(270)는 충전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이동단말기 (300)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저항에 인가된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기 및 그 주변회로소자로 이루어져서 충전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이동단말기(300)로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를 상응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MCU(210)에 제공하고, MCU(210)에서는 이를 내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현재 이동단말기(300)로 흐르는 충전전류의 크기를 파악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MCU(210)는 내장된 프로그램 메모리, 예를 들어 EEPROM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이 담긴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어서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과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클럭 타이머 및 충전전류 검출부(270)로부터 파악된 충전전류에 의거하여 스위칭부(260)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이동단말기(300)에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MCU(210)는 또한 이동단말기(300)의 해당 출력단자로부터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외장형 전지팩(200)에 이동단말기(30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동단말기(30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MCU(210)의 해당 입력단자에는 어떠한 전압 신호도 입력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MCU(210)는 이동단말기(300)가 삽입되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 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MCU(210)를 주체로 하여 수행됨을 밝혀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에서는 이동단말기(300)가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삽입된 경우에는 단계 S12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의 임시충전 시간(t1), 예를 들어 3-5초 동안 스위칭부(260)를 온시킴으로써 임시충전을 수행하면서 충전전류 검출부(270)로부터 검출된 충전전류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는 이렇게 입력받은 충전전류가 이동단말기(300)의 충전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전류(RI1), 예를 들어 300ㅁ50㎃의 범위에서 정해진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14에서의 판단 결과, 충전전류가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 경우에는 이동단말기(300)의 내장 전지팩에 비축된 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6을 수행하여 스위칭부(260)를 지속적으로 온시킴으로써 충전을 지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을 지속하면서 단계 S18에서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간격(t2), 예를 들어 수 내지 수십초의 간격으로 충전전류 검출부(270)로부터 충전전류를 입력받고, 다시 단계 S20에서는 이렇게 입력받은 충전전류가 만충전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전류(RI2), 예를 들어 200ㅁ20㎃의 범위에서 정해진 제2 기준전류(RI2)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에서의 판단 결과, 충전전류가 제2 기준전류(RI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복귀하고, 이하인 경우에는 이동단말기(300)의 내장 전지팩이 만충전되었다고 판단하여 스위칭부(260)를 오프시킴으로써 충전을 중지한 후에 후술하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4에서의 판단 결과, 충전전류가 제1 기준전류(RI1)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현재 이동단말기(300)의 내장 전지팩에 전력이 충분히 비축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24로 진행하여 스위칭부(260)를 오프시킴으로써 임시 충전을 중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내장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수행하고, 단 계 S28에서는 계시된 시간이 이동 단말기의 내장 전지팩의 전력 고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제3 시간(t3), 예를 들어 1-10시간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제3 시간(t3)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클리어시킨 후에 단계 S12로 복귀하고,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6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외장형 2차전지 전압과 전류 및 이동단말기 내장 전지팩의 전압과 전류 특성을 보인 그래프인바, 이동단말기(300)로 휴대폰을 채택하여 테스트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형 2차전지와 이동단말기의 내장 전지팩이 모두 만충전이 된 상태에서 이동단말기를 외장형 전지팩에 삽입하면 그 즉시 제1 시간(t1) 동안 임시 충전을 수행하는데, 이 때의 충전전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전류(RI1)인 300㎃ 이하이기 때문에 바로 임시 충전을 중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형 2차전지의 전압이 그대로 유지됨을 알 수가 있었다. 이어서 제3 시간(t3), 즉 대략 600분이 경과한 상태에서 임시 충전을 행하여 검출된 충전전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전류(RI1)인 300㎃를 초과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지속 충전을 행하는데, 이동단말기 내장 전지팩의 전력이 아직은 충분하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충전이 지속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형 2차전지의 전압이 크게 줄어들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러나 대략 3000분(50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임시 충전을 행하여 검출된 충전전류는 제1 기준전류(RI1)인 300㎃를 크게 초과 하기 때문에 지속 충전을 행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형 2차전지의 전압이 초기에 비해 많이 줄어듦을 알 수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동단말기(300)의 내장 전지팩의 전력이 부족할 때마다 외장형 2차전지에서 이를 보충해주기 때문에 거의 70시간에 가까운 긴 시간 동안 이동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임시충전 시간(t1), 제1 기준전류(RI1), 상기 시간 간격(t2), 제2 기준전류(RI1) 및 상기 제3 시간(t3)은 외장형 전지팩의 특성이나 이동단말기(300)의 사용 양태 및 내장 전지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원 출력커넥터에 이동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단말기의 충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 충전 수행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외장형 전지팩의 급속하고도 불필요한 전력 고갈을 방지함가 아울러 이동단말기 내장 전지팩의 과열에 따른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외장형 2차전지 및 상기 외장형 2차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로부터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전전류의 크기에 의해 이동단말기로의 충전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 후에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전자 스위치 및 주변회로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는 상기 충전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 및 상기 변환된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 장치.
  4. 내부에 외장형 2차전지, 상기 외장형 2차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정전류 충전후 정전압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출력 제어부,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부 및 상기 충전출력 제어부로부터 이동단말기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칭부를 미리 정해진 제1 시간(t1) 동안 온시켜서 이동단말기의 임시충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충전전류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충전전류가 이동단말기의 충전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기준전류(RI1) 이상인 경우에는 만충전이 될 때까지 충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임시 충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만충전 여부의 판단은, 미리 정해진 제2 시간(t2) 간격마다 상기 충전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받은 충전전류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전류(RI2)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만충전이 완료되거나,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제1 기준전류(RI1) 미만이어서 임시 충전을 중지한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제3 시간(t3)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단계 (a)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 방법.
KR1020050010915A 2005-02-05 2005-02-05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Ceased KR20060090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15A KR20060090411A (ko) 2005-02-05 2005-02-05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15A KR20060090411A (ko) 2005-02-05 2005-02-05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411A true KR20060090411A (ko) 2006-08-11

Family

ID=3757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915A Ceased KR20060090411A (ko) 2005-02-05 2005-02-05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0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08A3 (en) * 2007-11-21 2009-08-20 Dani Co Ltd Portable charge/discharge apparatuses
KR101294102B1 (ko) * 2012-11-22 2013-08-08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급속 충전 가능한 멀티 통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08A3 (en) * 2007-11-21 2009-08-20 Dani Co Ltd Portable charge/discharge apparatuses
KR101294102B1 (ko) * 2012-11-22 2013-08-08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급속 충전 가능한 멀티 통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7816B2 (en) Portable power supply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US6127801A (en) Battery pack assembly
AU72145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battery temperature during charging
JP2001224139A (ja) 充電装置,電池パック及び二次電池充電方法
KR20070119034A (ko) 양방향 배터리 충전 제어기
JP3823503B2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KR20010071761A (ko) 휴대용 통신 장치용 전원 어셈블리
JP3088296B2 (ja) 携帯電話装置
US6154010A (en) Battery charging docking cradle for a mobile computer
JP2009247161A (ja) 充電器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KR100321945B1 (ko) 충전전류의인가를제어하기위한내부충전조절기를갖는전자장치및재충전가능전원의재충전방법
EP0824778B1 (en) Intelligent battery charging in a hand-held phone
JP3104747U (ja) 太陽電池式充電装置
JP2007110820A (ja) パック電池
JP4894165B2 (ja) 二次電池用放電回路並びにそれを具備した二次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KR20060090411A (ko) 외장형 전지팩의 이동단말기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94062B1 (ko) 다중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JPH11146570A (ja) 2次電池の制御装置、2次電池の制御装置を備えた電池パック及び2次電池の制御方法
JP4013289B2 (ja) 非水系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JP3557004B2 (ja) 充電方法
JP3280356B2 (ja) 携帯電話用充電器
KR100249892B1 (ko) 무선호출기내장형 휴대폰 배터리팩
KR200396555Y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