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083487A -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487A
KR20060083487A KR1020050004205A KR20050004205A KR20060083487A KR 20060083487 A KR20060083487 A KR 20060083487A KR 1020050004205 A KR1020050004205 A KR 1020050004205A KR 20050004205 A KR20050004205 A KR 20050004205A KR 20060083487 A KR20060083487 A KR 2006008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in
forming means
heat exchanger
pin
turbulen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152B1 (ko
Inventor
신승학
양성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성기연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21D53/025Louvered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와; 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측벽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와, 상기 구획비드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너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와 제1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나사부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와 제2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로 이루어져 이너핀 소재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제2 평탄부 사이에서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과; 상기 이너핀 소재가 상기 제1,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상에 형성되는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브, 이너핀, 제조

Description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A heat exchang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도 1은 일반적인 적층형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너핀이 내장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인 튜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중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튜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튜브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시선 "A"부의 확대도로서, 난류 발생부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너핀의 제작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난류 발생부를 형성하기 위한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튜브
110,120 : 플레이트
111,121 : 유체통로
113,123 : 구획비드
112,122 : 탱크부
200 : 이너핀
210 : 핀부재
211 : 측벽
220 : 연결부재
213,215 : 루버
400 :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
410 : 제1 롤러
411 : 제1 나사부
412 : 제1 평탄부
420 : 제2 롤러
421 : 제2 나사부
422 : 제2 평탄부
600 :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
500 :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
510 : 제3 롤러
520 : 제4 롤러
본 발명은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냉난방시스템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이 유로내를 흐르는 작업유체를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소정의 공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의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플레이트(41)(42)가 상호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 플레이트(41)(42)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 유체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레이트(41)(4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공급측 탱크부(43)와 배출측 탱크부(44)를 구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튜브(45)들과, 이 튜브(45)들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핀(50)과, 상기 공급측 탱크부(43)와 배출측 탱크부(44)에 각각 구비되는 열교환 매체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공급/배출 매니폴드(46)(47)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튜브(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42a)(42b)를 두 개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구획 비드(41a)를 갖는 동일 형상의 상기 플레이트(41)(42) 한쌍이 일치되게 접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45)의 각 유체통로(42a)(42b)내에는 작업유체가 튜브(45)내를 통과할 때 난류 형태로 유동되도록 하는 이너핀(49)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튜브(45)를 구성하는 플레이트(41)(42)의 중앙에 구획 비드(41a)가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유체통로(42a)(42b)에 대응하여 이너핀(49) 역시 두 개가 내장되는데, 내장 설치 완료후 유체통로(42a)(42b)내에서 이너핀(49) 자체가 유동되어 작업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두 개의 이너핀(49)이 유체통로(42a)(42b)내에 개별적으로 내장되기 때문에 이너핀이 유체통로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종래 기술의 이너핀(49)은 루버가 없이 단순히 파형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류화를 촉진시키지 못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조립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와;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측벽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와, 상기 구획비드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너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와 제1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나사부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와 제2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로 이루어져 이너핀 소재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제2 평탄부 사이에서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과; 상기 이너핀 소재가 상기 제1,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상에 형성되는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중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튜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시선 "A"부의 확대도로서, 난류 발생부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너핀의 제작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난류 발생부를 형성하기 위한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적층형 열교환기와 동일하나, 그 차이점은 이너핀을 포함한 튜브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111)(121)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113)(123)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112)(122)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110)(120)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100)를 다수개 적층하여서 이루어진 적층형 열교환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111)(121)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일/양측벽(211)(211a)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210)와, 상기 구획비드(113)(12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2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로 이너핀(200)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난류 발생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의 마찰 저항을 높여 난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루버(213)(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루버(213)(2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11)(211a)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루버(213)는 상기 측벽(211)(211a)에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2)가 천공되도록 절개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1a)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6참조)
한편, 상기 루버(2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4)가 형성되도록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1a)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옵셋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너핀(200)은 연결부재(220)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내에 조립할 때, 상기 연결부재(220)를 플레이트(110)(120)의 구획비드(113)(123)에 안착시키게 되면, 나머지 핀부재(210)들은 자연적으로 플레이트(110)(120)의 유체통로(111)(121)에 안착되므로 조립을 아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너핀(200)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크게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과,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은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411)와 제1 평탄부(4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410)와, 상기 제1 나사부(4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421)와 제2 평탄부(4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4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너핀 소재(200)가 상기 제1, 제2 롤러(410)(4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2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제2 평탄부(413) 사이에서는 연결부재(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상기 이너핀 소재(200)가 상기 제1, 제2 롤러(410)(420)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a)(421a)상에 형성된다.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어느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a)상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각부(411b)와, 상기 음각부(411b)가 형성된 경사면(411a)이 접촉되는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나머지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21a)에 상기 음각부(411b)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양각부(42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난류 발생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다 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3 나사부(511)와 제3 평탄부(5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롤러(510)와, 상기 제3 나사부(5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3 평탄부(512)와 면접되는 제4 나사부(521)와 제4 평탄부(5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롤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은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하여 1차 가공된 이너핀 소재(200)를 재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의 제3 및 제4 나사부(511)(521)들의 피치는 상기 제1,제2 나사부(411)(421)의 피치보다 소정치 작게 형성되는데, 이너핀(200)의 핀피치를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에서 1차 가공된 상태보다 더 적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핀밀도를 보다 조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너핀 소재(200)를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구성하는 제1 롤러(410)와 제2 롤러(420)사이에 인입시키면, 서로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제2 롤러(410)(420)를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 형상으로 절첩된 1차 가공 상태의 이너핀이 제작된다.
이때,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에 의해 이너핀(200)에는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 가공된 이너핀은 제품 적용 대상에 따라 가공 작업을 중도에서 그만둘수도 있다.
그러나, 보다 조밀한 핀 밀도를 갖는 인너핀의 생산을 원하고자 할경우에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한 이너핀 소재(200)를 다시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을 통과시키면 된다.
여기서, 이너핀의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는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할때만 가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을 구성하는 제3, 제4 롤러를 통과할때에는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의 재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조립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111)(121)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113)(123)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112)(122)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110)(120)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100)와;
    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111)(121)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측벽(211)(211a)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210)와, 상기 구획비드(113)(12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2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로 이루어진 이너핀(2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부는, 상기 유체의 마찰 저항을 높여 난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루버(213)(215)이며, 상기 루버(213)(215)는 측벽(211)(211a)중 일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부는, 상기 유체의 마찰 저항을 높여 난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루버(213)(215)이며, 상기 루버(213)(215)는 측벽 (211)(211a)중 양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213)는 상기 측벽(211)(211a)에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2)가 천공되도록 절개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1a)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215)는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4)가 형성되도록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5)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옵셋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6.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411)와 제1 평탄부(4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410)와, 상기 제1 나사부(4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421)와 제2 평탄부(4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420)로 이루어져 이너핀 소재(200)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2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제2 평탄부(413) 사이에서는 연결부재(220)가 형성되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 (400)과;
    상기 이너핀 소재(200)가 상기 제1, 제2 롤러(410)(420)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421a)상에 형성되는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3 나사부(511)와 제3 평탄부(5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롤러(510)와, 상기 제3 나사부(5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3 평탄부(512)와 면접되는 제4 나사부(521)와 제4 평탄부(5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롤러(520)로 이루어져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하여 1차 가공된 이너핀 소재(200)를 재가공하는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의 제3 및 제4 나사부(511)(521)들의 피치는 상기 제1,제2 나사부(411)(421)의 피치보다 소정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어느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a)상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각부(411b)와,
    상기 음각부(411b)가 형성된 경사면(411a)이 접촉되는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나머지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21)에 상기 음각부(411b)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양각부(42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KR1020050004205A 2005-01-17 2005-01-17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KR10108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ko) 2005-01-17 2005-01-17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ko) 2005-01-17 2005-01-17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487A true KR20060083487A (ko) 2006-07-21
KR101087152B1 KR101087152B1 (ko) 2011-11-29

Family

ID=3717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ko) 2005-01-17 2005-01-17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90B1 (ko) * 2011-11-16 2013-07-26 디에스티 주식회사 내장형 스레트핀 성형장치
JP2016114320A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US11306943B2 (en) 2016-09-09 2022-04-19 Kyungdong Navien Co., Ltd. Tube assembly for tubular heat exchanger, and tubular heat exchanger comprising same
US20220349663A1 (en) * 2020-03-05 2022-11-03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turbulent flow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421A (ja) * 1998-02-10 1999-08-17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3624282B2 (ja) * 1999-05-12 2005-03-02 昭和電工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
JP2004025257A (ja) * 2002-06-26 2004-01-29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用コルゲートフィンの製造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90B1 (ko) * 2011-11-16 2013-07-26 디에스티 주식회사 내장형 스레트핀 성형장치
JP2016114320A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US11306943B2 (en) 2016-09-09 2022-04-19 Kyungdong Navien Co., Ltd. Tube assembly for tubular heat exchanger, and tubular heat exchanger comprising same
US20220349663A1 (en) * 2020-03-05 2022-11-03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turbulent flow
US11953273B2 (en) * 2020-03-05 2024-04-09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turbulent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152B1 (ko)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5854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heat-pump-type heating and hot-wat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same
US6938685B2 (en) Heat exchanger
US20060237166A1 (en) High Efficiency Fluid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118848B2 (en) Heat-exchanging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using same
CN102239379B (zh) 换热器
CN119245382A (zh) 间接热交换器
EP1702193B1 (en) A plate heat exchanger
US20070137843A1 (en) Heat exchanger core and heat exchanger equipped therewith
JP2003302176A (ja) 沸騰冷却器
CN112414185A (zh) 板式换热器
JP2006010130A (ja) 多流体熱交換器
KR101087152B1 (ko)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
TW202024554A (zh) 傳熱板
US7121331B2 (en) Heat exchanger
JP2006183969A (ja) 積層型オイルクーラの熱交換コア
JPH07294175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0337784A (ja) 三液用プレート式熱交換器
TW202043691A (zh) 熱交換器板及板式熱交換器
JP4714375B2 (ja) 積層型熱交換器
CN214250665U (zh) 一种板式换热器
JP4547205B2 (ja) 蒸発器
JPH10170184A (ja) 熱交換器
JP2001255093A (ja) 蒸発器
CN112284165A (zh) 一种板式换热器
US7028766B2 (en) Heat exchanger tubing with connecting member and fins and methods of heat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