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835A -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8835A KR20060018835A KR1020057021082A KR20057021082A KR20060018835A KR 20060018835 A KR20060018835 A KR 20060018835A KR 1020057021082 A KR1020057021082 A KR 1020057021082A KR 20057021082 A KR20057021082 A KR 20057021082A KR 20060018835 A KR20060018835 A KR 20060018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dispensing
- base unit
- base
- beve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30—Hand-operated cut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by 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stora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2—Main line flow displaces additive from shunt reservoir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Lasers (AREA)
- Gyroscop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Tea And Coffe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 음료 분배용 조립체 및, 그러한 음료 분배용 조립체에서 사용되도록 적합화된 콘테이너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and a container unit adapted for use in such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생맥주와 같이, 대형 체적의 탄산 음료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25 리터의 대형 체적을 유지하는 금속 통으로 소비 장소에 전달된다. 그러한 통은 콘테이너로부터의 음료를 냉각시키고 분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생맥주 냉각기, 이산화탄소 카트리지등을 구비하는 비싸고 정교한 분배 조립체를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그러한 통과 분배 조립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Like draft beer, large volumes of carbonated beverages are typically delivered to the place of consumption in a metal pail, for example holding a large volume of 25 liters. Such bins are intended for expensive and sophisticated dispensing assemblies with, for example, draft beer coolers, carbon dioxide cartridges, etc., to cool and dispense beverages from containers. Such pass distribution assemblies are known in the art.
금속의 통은 무겁고, 따라서 취급이 곤란하며, 과도한 운송 비용을 야기한다. 더욱이, 금속의 통들은 고가의 제조 비용이 소요되며, 완전히 비워지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비워진 이후에 재충전을 위하여 수집될 필요가 있다. 통은 그것이 긁히기 전에는 몇 번 재사용된다. 결국, 통은 그것의 수명이 다하는 동안에 긴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무거울수록 운송 비용이 비싸진다. 더욱이, 생맥주의 소비는 계절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여름 기간에는 소비가 활발하지만, 추운 기간에는 소 비가 적다. 따라서, 수요에 맞출 수 있도록 다수의 통들이 순환되어야 하며, 이는 소비가 적은 기간 동안에 다수의 빈 통들이 저장되는 것을 야기한다.Barrels of metal are heavy and therefore difficult to handle, resulting in excessive transportation costs. Moreover, metal barrels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need to be collected for refilling after they have been completely emptied or partially emptied. The keg is reused several times before it is scratched. As a result, the barrel travels long distances throughout its life, the heavier the transportation costs. Moreover, the consumption of draft beer is very sensitive to seasonal changes. Consumption is particularly active during the summer months, but less during cold periods. Thus, a number of bins must be cycled to meet demand, which causes a number of bins to be stored during periods of low consumption.
공지의 생맥주 조립체들의 다른 단점은 음료와 접촉하는 많은 부분들이 재사용되며 따라서 부품들을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세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세정은 시간 소모적인 것이며 모든 부품의 세정을 통하여 충분하게 세정하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음료와 접촉하는 부품들이 완전하게 세정되지 않는다면 음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Another disadvantage of known draft beer assemblies is that many parts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are reused and therefore require regular cleaning to keep the parts sanitary clean and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Cleaning is time consuming and can be difficult to fully clean through the cleaning of all parts. If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drink are not thoroughly cleaned, it will affect the quality of the drink.
이러한 단점들중 일부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볍고 보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제작된 분배 조립체용 음료 콘테이너들이 소개되었다. 내용물을 기계적으로, 공압으로, 또는 수압으로 가압함으로써 비워지게 하는 플라스틱 백들이 시험되었지만, 이들은 대부분의 실용적인 목적들에 대하여 너무 부서지기 쉬운 것이다.To overcome some of these shortcomings, beve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assemblies have been introduced that are made of lighter, more flexible materials. Plastic bags that have been emptied by pressurizing the contents mechanically,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have been tested, but they are too brittle for most practical purposes.
또한 예를 들면 PET 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접을 수 있는 음료 병들로부터 분배시키는 것도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병들은 기계적인 압력, 공압 또는 수압을 적용하여 저부 벽을 눌러서 비워지는 것으로서 내용물은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한 음료 병들은 수 리터와 같은 단지 작은 체적만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대량의 음료 체적을 유지하는 금속 통에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접을 수 있는 병들은 많은 면에서 금속 통에 비하여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It is also known in the art to dispense from collapsible beverage bottles made of plastic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PET. These bottles are emptied by pressing the bottom wall by applying mechanical,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tents come out. Such beverage bottles contain only a small volume, such as several liters, and are not directly comparable to metal canisters that maintain substantially a large volume of beverage. However, collapsible bottles have many advantages over metal barrels in many respects.
플라스틱 재료들은 분쇄될 수 있으며, 결과적인 입자들은 새로운 플라스틱 재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입자들은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따라서 대 형의 저장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된다. 병들은 가볍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저렴한 운송 비용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병들은 투명하게 제작되어서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어떤 소망되는 색채로 염색될 수 있다. 병은 고갈되었을 때 접혀지며 재활용을 위한 운반 동안에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다.The plastic materials can be ground and the resulting particles can be used to make new plastic materials. Particles occupy little space,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large storage. Bottles are lightweight and therefore easy to handle and include low shipping costs. Plastic bottles can be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contents can be visually inspected or dyed in any desired color. The bottles fold when exhausted and will take up little space during transportation for recycling.
접을 수 있는 음료 병을 가진 분배 조립체가 예를 들면 EP-A1-1 003 686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뚜껑, 시일링 수단, 압력 소스, 냉각 장치 및 분배용 탭을 구비하는 일체화된 분배 장치를 구성한다.A dispensing assembly with a collapsible beverage bottle is disclosed for example in EP-A1-1 003 686. Such a device constitutes an integrated dispensing device having a lid, sealing means, a pressure source, a cooling device and a dispensing tab.
조립체의 하우징은 병의 형상인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이러한 병에는 병의 목과 어깨부에 장착된 칼러(collar)가 제공되어서, 병의 어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병의 원통형 벽 부분을 지나서 연장된다. 플랜지에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 부분의 상부에 배치된 장미 장식(rosette) 위의 시일링 수단과 협동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장미 장식은 하우징의 상부 개구의 주위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된 일련의 구획부를 가진다. 각각의 구획부에는 스프링이 제공되어서, 탭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병이 설치되었을 때, 병 위의 플랜지는 장미 장식 구획부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안착되며, 유출 개구를 가지고 조작하는 것은 이러한 국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콘테이너는 아래로 밀려서 장미 장식의 구획부를 펼쳐서 하우징의 저부에 떨어진다. 병의 플랜지의 반경 방향 연장부는 장미 장식의 하부 표면에서 하우징의 내측벽과 시일링을 만들도록 적합화되어서, 하우징의 내측 표면, 병의 실린더형 벽 부분, 병의 어깨부 위의 플랜지 사 이에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뚜껑이 폐쇄될 때 압력 매체가 하우징 안으로 도입된다. 압력 챔버 안에서 상승하는 압력은 병의 플랜지 상부 부분이 장미 장식의 하부 표면상에 맞닿을 때까지 주위의 낮은 압력의 방향으로 병을 상부로 강제할 것이다. 음료는 이제 압력하에 있게 되며, 내용물이 도관을 통하여 장치와 일체화된 분배 탭(tap)에 이름으로써 병의 체적의 감소에 의해 밖으로 강제될 수 있다. The housing of the assembly is adapted to receive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the shape of a bottle. Such bottles are provided with collars mounted to the neck and shoulders of the bottle, extending beyond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of the bottl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houlder of the bottle. The flange is provided with means for cooperating with sealing means on a rosette disposed on top of the box-shaped housing part. This rosette has a series of compartments arranged circularly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housing. Each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spring so that the tab can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bottle is installed, the flange on the bottle rests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rose decorative compartment, and manipulating with the outflow opening can be performed in this phase. The container is then pushed down to unfold the rosette compartment and fall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radial extension of the bottle's flange is adapted to make a seal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t the lower surface of the rosette, so that pressur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of the bottle and the flange over the shoulder of the bottle Form a chamber. The pressure medium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hen the lid is closed. The rising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will force the bottle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urrounding low pressure until the flange upper portion of the bottle abut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sette. The beverage is now under pressure and the contents can be forced out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bottle by naming a dispensing tap integrated with the device through the conduit.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다수의 부적당한 단점을 가진다.However, this solution has a number of inadequate disadvantages.
분배 장치는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복잡한 디자인을 가지는데, 부품들 자체는 정교하고 비싼 장치들이다. 예를 들면, 장미 장식은 각각의 반경상으로 변위될 수 있는 구획부를 위한 다수의 협동 부품들과 스프링들 및, 병이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구획부를 펼치는 특별한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다. Dispensing devices have a complex design that includes a number of parts, which are themselves sophisticated and expensive devices. For example, the rose embellishment has a number of cooperating parts and springs for the compartment which can be displaced radially in each radius, and a special release mechanism that unfolds the compartment when the bottle needs to be replaced.
일단 병이 천공되었으면 완전하게 고갈되지 않은 병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때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출부가 폐쇄되거나 시일될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은 병이 새로운 병으로 교체될 때나, 또는 장치 부품들이 고장나거나 수리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멀리 있는 위치에 있는 바아나 레스토랑과 같이 단지 적은 소비만이 있는 장소에서는 보존 기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음료의 일부 분량을 폐기해야하는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Once the bottle has been perforated, the outflow cannot be closed or seal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spilling when the bottle that is not completely depleted is removed from the housing. Such a situation may occur when the bottle is replaced with a new bottle, or even when the device parts fail or are repaired. In addition, there may be a need to discard some portions of the beverage, as the shelf life is limited in places where there is only a small consumption, for example in bars or restaurants in remote locations.
예를 들면 바아(bar)나 또는 레스토랑 같이 몹시 바쁜 작업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분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은 중요하다. 분배 조립체를 취급하는 종업원은 병이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를 예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장치에 문제점이 있는 경우에 신속하게 문제점을 식별할 수 있을 필요성이 있다. 공지된 조립체의 병 은 냉각 및 가압 장치들도 포함하도록 적합화된 단열의 박스 형상 하우징에 배치된다. 그러한 하우징은 조립체의 부품들이나 병의 내용물을 육안 검사할 수 없게 한다.In very busy working environments, for example bars or restaurants, the need for reliable dispensing devices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for the employee handling the dispensing assembly to anticipate when the bottle needs to be replaced. There is also a need to be able to quickly identify a problem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device. The bottles of known assemblies are placed in a thermally insulated box shaped housing adapted to include cooling and pressurizing devices as well. Such housings make it impossible to visually inspect the contents of the bottles or the parts of the assembly.
예를 들면 정부 규정, 환경상의 관점 및 재료비에 기인하여 병이 고갈되었을 때 재활용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는 종종 플라스틱 재료의 병을 수집하여 분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만약 콘테이너가 잔류의 내용물을 가진다면 복잡해질 것이다. 그러한 잔류물이 제거되어야 하거나, 세척되거나, 또는 병이 영구적으로 폐기되어야 한다. 접을 수 있는 플라스틱 병들은 접혀지기 때문에 그 어떤 잔류의 내용물이라도 세정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다. 접혀진 병의 잔류 내용물은 따라서 최소화되어야 한다. 명백히 잔류의 내용물이 막대하면 장치의 사용자에게는 손실이 된다. 공지의 분배 장치에서 병이 완전히 접혀질 때, 다량의 음료는 접혀질 수 있는 병의 접힘에 의해 만들어진 차단된 포켓(pocket)에 잡히게 될 것이다.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be recycled when a bottle is depleted due to government regulations, environmental aspects and material costs. This is often done by collecting and grinding bottles of plastic material. However, this process will be complicated if the container has a residual content. Such residues must be removed, washed or the bottle permanently discarded. Because collapsible plastic bottles are folded,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clean any residual contents. Residual contents of the folded bottle should therefore be minimized. Obviously a huge amount of residual content is a loss for the user of the device. When the bottle is fully folded in a known dispensing device, a large amount of beverage will be caught in a blocked pocket made by the folding of the bottle which can be folded.
공지의 분배 조립체의 접을 수 있는 음료 병의 저부는 취급하는 동안에 분배 조립체의 하우징 안에서 병이 서있게 하는 표면의 역할을 하도록 적합화되어야 한다. 결국, 저부는 병의 저부 부분의 최적의 접음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그리고/또는 강화되어야 하며, 따라서 접혀진 병 안에 차단 포켓의 형성을 허용하여 그곳에서 잔류의 음료가 포획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collapsible beverage bottle of a known dispensing assembly must be adapted to serve as a surface that allows the bottle to stand within the housing of the dispensing assembly during handling. Eventually, the bottom should be shaped and / or reinforced in such a way as to inhibit optimal folding of the bottom part of the bottle, thus allowing the formation of a blocking pocket in the folded bottle so that residual beverage can be captured there.
공지의 장치에서 음료는 분배 탭을 통하여 분배되도록 음료 병의 저부로부터 병의 상부에 있는 유출부로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커다란 압력을 필요로 한다. 큰 압력이 필요할수록, 압력 소스에 대한 요건들이 커지게 되며, 압력 소스의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In known devices the beverage needs to be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beverage bottle to the outlet at the top of the bottle so that it can be dispensed through the dispensing tab. This requires great pressure. The greater the pressure required, the greater the requirements for the pressure source and the more expensive the pressure source.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분배를 위한 방법, 분배용 조립체 및, 그러한 분배용 조립체에서 사용되기 위한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체적과 적용에 있어서 대형 체적의 금속 통에 적용되는 것들과 필적하는 것이고 접을 수 있는 병을 채용하는 종래 기술의 음료 분배용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a dispensing assembly and a container for use in such dispensing assemblies, which is comparable in volume and application to those applied to large volumes of metal barrels. It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beverage dispensing device employing a viable bottle.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collapsible container, the method comprising:
- 콘테이너의 유출부가 하방향으로 면하는 상태로 분배용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부분에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시일하는 베이스 유니트가 제공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 유니트와 상기 베이스 부분에는 베이스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에 밀폐 시일하기 위한 시일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Mounting a collapsible container provided with a base unit for sealing the outlet of the container which is collapsible to a substantially flat base portion of the dispensing assembly with the outlet of the container facing downwards, the base unit and the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sealing means for sealing the base unit to the base portion;
- 분배용 조립체의 외측에 위치된 폐쇄된 분배용 탭에 분배용 튜브의 자유 단부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배용 튜브는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시일된 유출부와 정렬된 중공형의 천공부에 연결되는 단계;Arranging the free end of the dispensing tube in a closed dispensing tab located outside of the dispensing assembly, the dispensing tube having a hollow perforation aligned with the sealed outle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Connecting;
-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베이스 유니트, 베이스 부분과 덮개 사이에 압력 챔버를 형성하도록 밀폐 시일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부분위에 덮개를 장착하는 단계;Mounting the lid over the base portion in a hermetically sealed manner to form a pressure chamber between the collapsible container, the base unit, the base portion and the lid;
- 시일된 유출부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공형의 천공부에 의해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시일된 유출부를 천공시키는 단계로서, 그에 의하여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안의 음료를 분배용 튜브와 소통되게 하는 단계;Perforating the sealed outle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by a hollow perforation disposed between the sealed outlet and the base portion, thereby causing the beverage in the collapsible container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pensing tube. ;
- 증가된 압력을 압력 챔버 안에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increased pressure into the pressure chamber;
-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가압하여 그것의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분배용 튜브를 통하여 주위에 음료의 적어도 일부를 분배하도록 분배용 탭을 개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Opening the dispensing tab to dispense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around through the dispensing tube by pressing the collapsible container to reduce its volume.
이러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들의 일부가 극복된다. 특히, 하방향으로 면하는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가진 압력 챔버 안에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장점들이 달성된다.By providing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container that is collapsible in this manner, some of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ior art are overcome. In particular, a number of advantages are achieved by arranging the collapsible container in a pressure chamber with the outlet of the container facing downward.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뒤집힌 배치는 압력 챔버 안의 콘테이너를 고갈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콘테이너가 접혀져 있을 때 포켓에 음료가 잡히는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음료 방울들이 콘테이너 안에 남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완전히 고갈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The inverted placemen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assists in depleting the container in the pressure chamber.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it doesn't happen to get drinks in the pockets. Only beverage drops can remain in the container, so it can be considered completely depleted.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부분위에 콘테이너 유니트를 장착시키는 것은 설치 과정을 상당히 단순화시키는데, 이는 종래 기술의 조립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테이너가 분배용 조립체의 벽 위로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에 의해서 커다란 음료 콘테이너 조차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해진다.Mounting the container unit on a substantially flat base portion greatly simplifies the installation process, as the container does not have to move over the walls of the dispensing assembly as in the case of prior art assemblies. This allows a structure in which even a larg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placed.
콘테이너의 뒤집힌 배향의 다른 결과는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고갈시키는데 필요한 압력이 감소되며, 따라서 분배용 조립체의 구성 부분들에 대하여 가벼운 재료들의 선택이 가능하다. 더욱이 분배용 조립체는 단순하고, 저렴하며, 저용량의 공기 펌프를 이용하거나, 또는 보통의 가정용 또는 정원용 수도 꼭지로부터의 물을 이용하여 가압될 수 있다.Another consequence of the container's inverted orientation is that the pressure required to deplete the collapsible container is reduced, thus allowing for the selection of light materials for the component parts of the dispensing assembly. Moreover, the dispensing assembly can be pressurized using a simple, inexpensive, low volume air pump, or using water from a regular household or garden faucet.
하방향으로 면하는 유출부 단부를 가진 콘테이너를 장착하는데 따른 일반적인 문제점은 콘테이너의 개방 및 폐쇄가 내용물이 쏟아질 위험성이 없이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이러한 곤란성이 극복되는데, 이는 분배용 조립체가 분배용 튜브에 연결된 중공형 천공부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공형 천공부가 콘테이너의 시일된 유출부를 아직도 천공하지 않았다면, 콘테이너가 하방향으로 면하는 유출부를 가지고 배향되었을 때조차도 분배용 튜브가 분배용 탭에 연결될 수 있다. A common problem with mounting containers having outlet ends facing down is that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iners is difficult without the risk of spilling the contents. This difficulty is overcome wit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since the dispensing assembly has a hollow perforation connected to the dispensing tube. Thus, if the hollow perforations have not yet perforated the sealed outlet of the container, the dispensing tube can be connected to the dispensing tab even when the container is oriented with the outlet facing downward.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베이스 유니트가 제공된 콘테이너는 증가된 하방향의 힘이 콘테이너에 적용될 때까지 탄성 수단에 의해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떨어져서 유지되며, 그에 의해서 콘테이너를 하방향으로 움직여서 천공부가 시일된 유출부를 천공하게 된다. 이것은 콘테이너의 유출부가 천공되기 이전에 콘테이너의 위로 덮개를 배치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또한 베이스 유니트를 가진 콘테이너가 베이스 부분상에 장착되기 이전에 이루어졌다면, 콘테이너 유니트가 베이스 부분상에 배치되었을 때 유출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분배용 튜브를 폐쇄된 분배용 탭에 배치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차후에 콘테이너는 콘테이너를 하방향으로 강제하여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을 극복함으로써 콘테이너의 유출부상의 시일을 천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증가된 하방향의 힘은 수동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압력 챔버 안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base unit is temporarily held away from the base portion by elastic means until an increased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thereby moving the container downwards to puncture the outflow portion where the perforations are sealed. Done. This allows time to place the cover over the container before the outflow of the container is punctured. Also, if a container with a base unit was made prior to mounting on the base portion, allow time for the container unit to be placed on the base portion to allow access to the outlet and to place the dispensing tube in a closed dispensing tab. Allow. The container can then be opened by perforating the seal on the outlet of the container by forcing the container downward to overcom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upport means. The increased downward force may be applied manually or by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분배용 튜브의 자유 단부는 천공부가 시일된 유출부를 천공하기 이전에 베이스 부분 안에 있는 개구를 통하여 분배용 조립체의 외측으로 분배용 탭에 대하여 움직인다. 그에 의하여 분배용 탭이 압력을 받지 않고 그것의 취급이 용이해지는 점이 달성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ree end of the dispensing tube moves relative to the dispensing tab out of the dispensing assembly through an opening in the base portion before the perforation punctures the sealed outlet. This achieves that the dispensing tab is not pressurized and its handling is easy.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 유니트에 시일된 유출부를 무균 시일하는 시일이 제공되며, 이러한 시일은 베이스 유니트가 제공된 콘테이너가 베이스 부분에 장착되기 이전에 제거된다. 베이스 유니트에 시일을 제공하는 것은 콘테이너가 분배 조립체 안에 설치될 때까지 베이스 유니트 안의 모든 부품들이 무균의 청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Preferably, a seal is aseptically sealed to the outflow portion sealed in the base unit, which seal is removed before th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base unit is mounted to the base portion. Providing a seal to the base unit ensures that all parts in the base unit remain sterile clean until th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dispensing assembly.
본 발명은 또한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음료 분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suitable for carrying out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which is
-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이고, 접을 수 있는 벽 부분,-Generally cylindrical, collapsible wall parts,
- 유출 단부,-Outflow end,
- 유출 단부에 있는 목 부분을 구비하는,With a neck at the outflow end,
-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Collapsible drink container;
- 압력 유니트를 압력 매체 소스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Means for connecting the pressure unit to a pressure medium source,
-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부분,A substantially flat base portion,
- 상기 베이스 부분과 덮개가 시일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하는, With a lid, said base portion and lid being sealably interconnected,
- 압력 유니트;A pressure unit;
- 하우징,- housing,
-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시일하기 위한 천공 가능한 폐쇄부,Perforated closures for sealing collapsible containers,
- 베이스 유니트를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목 부분에 분리 불가능하고 밀폐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한 잠금 수단,-Lock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se unit to the neck of a collapsible container in a detachable and hermetic manner,
-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베이스 부분에 밀폐되게 시일링 하기 위한 시일링 수단;을 구비하는,Sealing means for sealingly sealing the collapsible container to the base portion;
- 베이스 유니트;A base unit;
- 천공 가능한 폐쇄부를 천공하도록 적합화된 중공형 천공부;Hollow perforations adapted to perforate the perforable closures;
- 중공형 천공부에 연결된 폐쇄 가능한 분배용 튜브;를 구비하고,A closing dispensing tube connected to the hollow perforation;
베이스 유니트와 목 부분은 콘테이너의 하부 단부에 제공되고, 베이스 유니트의 상기 하우징은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벽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하방향으로 상기 목 부분을 지나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벽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외측 벽 연장부를 지지하도록 적합화된 표면을 가진다. The base unit and the neck portion ar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the housing of the base unit having an outer wall extending axially beyond the neck portion substantially downward in an extension of the wall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The base portion has a surface adapted to support the outer wall extension.
베이스 부분과 협동하도록 적합화된 베이스 유니트의 후자의 구조는 콘테이너와 베이스 유니트로 이루어진 콘테이너 유니트가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하방향으로 면하게 하는 상태로 똑바로 서게 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니트는 콘테이너 유니트가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손상시킬 그 어떤 위험성 없이도 그 어떤 다른 표면 뿐만 아니라 베이스 부분상에 서 있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는 베이스 유니트의 외측 벽이 콘테이너의 목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유출 단부에 반대편에 있는,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상부 단부가 최적의 접음 성능을 위한 방식으로 형상화되도록 한다. The latter structure of the base unit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base portion can cause the container unit consisting of the container and the base unit to stand upright facing the outlet of the container downward. The base unit allows the container unit to stand on the base portion as well as any other surface without any risk of damaging the outflow of the container, since the outer wall of the base unit extends beyond the neck of the container. This also allows the upper end of the generally cylindrical collapsible container, opposite the outlet end, to be shaped in a manner for optimal folding performance.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부분은 콘테이너의 설치를 상당히 단순화시키는데, 이는 종래 기술의 조립체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콘테이너는 분배용 조립체의 벽 위로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에 의해서 다량의 음료 콘테이너 조차도 용이하게 배치되는 구조가 가능하다.The substantially flat base portion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installation of the container since the container does not have to move over the wall of the dispensing assembly as in the case of prior art assemblies. This allows a structure in which even a large amount of beverage containers are easily arranged.
본 발명의 음료 분배용 조립체에서, 덮개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위로 연장되는데, 이는 압력 챔버가 뚜껑을 가진 박스 형상의 하우징 안에 제공되는 종래 기술의 분배 조립체에 반대인 것이다. 본 발명의 덮개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러한 재료는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더욱이, 이는 덮개가 투명하게 될 수 있어서, 콘테이너도 투명하다면 콘테이너의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된다.In the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extends from the substantially flat base portion over the collapsible container vertically, as opposed to the prior art dispensing assembly in which the pressure chamber is provided in a box-shaped housing with a lid. will be.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plastic,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handle. Moreover, this allows the lid to be transparent, allowing visual insp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f the container is also transparent.
베이스 유니트에는 베이스 유니트를 가진 콘테이너를 베이스 부분에 시일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압력 챔버는 콘테이너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 위에 배치하고 덮개를 콘테이너 유니트 위에 배치하고 그것을 베이스 부분에 시일함으로써 간단하게 만들어진다. 또한, 콘테이너 유니트는 과정을 단순히 역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해체된다.Since the base unit is provided with means for sealingly connecting the container with the base unit to the base part, the pressure chamber is simply made by placing the container unit over the base part, placing the cover over the container unit and sealing it to the base part. . In addition, the container unit is easily dismantled by simply reversing the process.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에 밀폐되게 시일링하기 위한 시일링 수단이 베이스 유니트상의 칼러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공되어, 칼러(collar)는 콘테이너의 목 부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것의 축방향 연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압력 챔버는 단순히 콘테이너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상에 배치하고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또는 부가적으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베이스 부분에 밀폐되게 시일링하기 위한 시일링 수단은 베이스 유니트의 외측 벽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sealing means for sealingly sealing the collapsible container unit to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llar on the base unit and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collar is downward from the neck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extend substantially in its axial extension. The pressure chamber can thus be formed by simply placing a container unit on the base portion and closing the lid. In another embodiment, or additionally, sealing means for sealingly sealing the collapsible container to the base portion are provided between the base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ase unit.
다른 구현예에서 분배 조립체에는 콘테이너와 베이스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탄성의 지지용 수단이 제공된다. 이는 하방향의 압력이 콘테이너 유니트에 적용할 때까지 천공부에 의해서 콘테이너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테이너의 의도되지 아니한 개방이 방지된다. 또한 이것은 예를 들어서 분배용 튜브를 배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콘테이너의 유출부 단부를 조작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탄성의 지지용 수단은 베이스 유니트 안에 제공되어 그로부터 아래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지만, 탄성의 지지용 수단은 베이스 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ensing assembly is provided with resilient support means for temporarily separating the container and the base unit from the base portion. This prevents the container from being opened by the perforations until downward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unit. In this way, unintended opening of the container is prevented. This also allows time for manipulating the outlet end of the container, if necessary, for example to place a dispensing tub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ilient support means is provided in the base unit and extends axially downward therefrom, but the resilient support means may also be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베이스 유니트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시일된 유출부와 정렬된 중공형의 천공부는 베이스 유니트 안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공부는 예를 들어 콘테이너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상에 장착시키는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우발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천공부를 베이스 유니트 안에 배치하는 것은 새로운 천공부가 각각의 새로운 콘테이너 유니트와 일체로 전달되어서 사용 이전에 세정될 필요가 있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들의 수를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llow perforations aligned with the sealed outle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disposed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base portion are provided in the base unit. In this way, the perforations can be protected from accidental shock which can occur, for example, during mounting of the container unit on the base part. Placing the perforations in the base unit means that the new perforations are delivered integrally with each new container unit to minimize or possibly reduce the number of reusable parts that need to be cleaned prior to use.
바람직스럽게는 중공형 천공부가 베이스 부분상에 맞닿음 수단을 가지는 반면에, 베이스 부분은 대응하는 맞닿음 수단을 가진다. 이는 콘테이너 유니트가 베이스 부분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강제될 때 천공부가 시일된 유출부를 자동적으로 천공함으로써 콘테이너를 개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베이스 부분과의 맞닿음이 천공부를 베이스 유니트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강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테이너 유니트를 분배용 조립체 안에 배치하기 이전에 콘테이너의 개방을 수동으로 취급할 필요성이 회피된다. Preferably the hollow perforations have abutment means on the base portion, while the base portion has a corresponding abutment means. This allows the container to open by automatically drilling the sealed outlet when the container unit is forced downward towards the base portion, which forces the abutment with the base portion to move the aperture relative to the base unit. Because. Thus, the need to manually handl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prior to placing the container unit in the dispensing assembly is avoided.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탄성 수단은 중공형 천공부와 베이스 유니트 사이에 제공되는데, 만약 콘테이너가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면 탄성 수단은 콘테이너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천공부가 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테이너 유니트가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해체될 때 자동적으로 콘테이너를 폐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분배 조립체의 수리 또는 조정의 경우에 콘테이너 유니트는 완전하게 비워지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나 또는 영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means are provided between the hollow perforation and the base unit, wherein the elastic means provide a means for closing the container if the container must be removed from the base part. This allows the perforation to function as a valve, which automatically closes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unit is disassembled from the base part. Thus,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pair or adjustment of the dispensing assembly, the container unit can be removed temporarily or permanently without being completely emptied.
다른 구현예에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시일된 유출부와 정렬된 중공형 천공부는 베이스 부분 위에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ollow perforations aligned with the sealed outle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are provided above the base portion.
음료 분배용 조립체의 다른 구현예에서 베이스 유니트는 탄성의 컵 형상인 부분을 구비하는데, 상기 컵 형상인 부분은 측벽, 베이스 부분상의 중앙 상승부와 협동하도록 적합화된 저부 및, 중공형 천공부를 구비하며, 베이스 유니트는 컵 형상 부분의 상부 테두리상에 형성된 폐쇄부를 더 구비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the base unit has an elastic cup-shaped portion, the cup-shaped portion having a sidewall, a bottom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entral rise on the base portion, and a hollow perforation portion. The base unit further includes a closur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up-shaped portion.
다른 구현예에서 천공부는 베이스 유니트를 통하여 중앙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erforations are arranged asymmetrically about the central axis through the base unit.
다른 구현예에서 베이스 유니트는 분배용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형 공간을 가진다. 그에 의해서 콘테이너 유니트를 분배용 탭에 연결시키기 위한 새로운 무균 분배용 튜브가 각각의 콘테이너 유니트와 함께 전달될 수 있는데, 이는 재사용 부품들이 최소한의 개수가 되는 것을 보장하며 그에 의해서 오염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킨다. 바람직스럽게는 분배용 튜브의 자유 단부에 분배용 밸브도 제공된다. 이러한 분배용 밸브는 분배용 탭에 대하여 적합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배용 조립체의 재사용 가능한 부품들이 음료와 접촉될 필요는 없다. 음료와 접촉하는 모든 부품들은 따라서 오직 일회용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unit has an annular space for receiving a dispensing tube. Thereby a new sterile dispensing tube for connecting the container unit to the dispensing tab can be delivered with each container unit, which ensures a minimum number of reused parts and thereby minimizes the risk of contamination. Preferably a dispensing valve is also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dispensing tube. Such a dispensing valve can be adapted to the dispensing tab. In this way, the reusable parts of the dispensing assembly do not have to be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All parts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are therefore only disposable.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분배용 조립체용으로 적합화된 베이스 유니트와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구비하는 콘테이너 유니트에 관한 것인데, 상기 베이스 유니트는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구비하는 하방향으로 면하는 목 부분을 시일하고, 베이스 유니트는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벽의 실질적으로 연장부로서 아래로 상기 목 부분을 지나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벽을 구비하며, 유출부를 덮는 제거 가능한 무균 시일이 제공된다. 무균 시일은 운송 동안에 콘테이너의 유출부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며, 콘테이너 유니트를 베이스 부분에 장착하기 이전에 제거되도록 의도된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ntainer unit having a collapsible container and a base unit adapted for a dispensing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base unit being provided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an outlet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And the base unit has an outer wall extending axially downward beyond the neck portion as a substantially extension of the wall of the collapsible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 removable sterile seal covering the outlet. . Sterile seals protect the outflow of the container from contamina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are intended to be removed prior to mounting the container unit to the base portion.
바람직스럽게는 제거 가능한 무균 시일이 베이스 유니트의 저부에서 외측 벽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 가능한 무균 시일이 상기 콘테이너 유니트의 저부 부분에 제공된 상기 언급된 고리형 공간을 폐쇄하여 무균의 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무균 공간 안에서 중공형 천공부 및, 분배용 튜브와 같은 분배용 조립체를 위한 무균 부품들이 콘테이너 유니트의 운반 동안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필요한 완전한 조작 방지의 무균 세트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러한 세트는 음료와 접촉될 필요가 있는 모든 부품들을 포함한다.Preferably, a removable sterile seal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t the bottom of the base unit. A sterile seal removable in this way closes the aforementioned annular space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to provide a sterile space, in which the hollow perforation and the dispensing assembly, such as a dispensing tube, are provided. Sterile parts for the can be stor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ontainer unit. This enables the delivery of a complete, tamper resistant sterile set necessary for dispensing the beverage, which includes all the parts that ne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것으로서, 이것은 압력 챔버 안에 장착된 베이스 유니트를 가진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를 구비한다.1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has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with a base unit mounted in a pressure chamber.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1 구현예에 대한 세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2A-2C show in detail in cross-section a first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세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3 shows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second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3 구현예에 대한 세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4 shows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third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4 구현예에 대한 세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5A and 5B show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fourth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5 구현예에 대한 세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6a and 6b show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fifth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조립체의 분배 밸브를 도시한다.7a and 7b show a dispensing valve of a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d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다른 구현예의 세부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8a 는 베이스 유니트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8b 및 도 8c 는 도 8a 의 다른 부분을 통해서 취한 부분적인 단면도이고, 도 8d 는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베이스 유니트와 협동하도록 적합화된 베이스 부분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8A-8D show details of another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A shows a base unit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S. 8B and 8C are taken through different parts of FIG. 8A 8D shows a cross section through a base por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base unit shown in FIGS. 8A-8C.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분배 조립체(1)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분배 조립체(1)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배 탭(dispensing tap, 4)을 통하여 콘테이너의 소비 내용물을 분배하도록 분배 조립체(1)의 압력 유니트 안에 배치된 베이스 유니트(3)를 가진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를 구비한다. 압력 유니트는 베이스 부분(5), 덮개(6) 및, 압력 유체 유입부(7)를 구비하는데, 압력 유체 유입부(7)는 베이스 부분(5), 덮개(6), 콘테이너(2) 및 베이스 유니트(3) 사이의 공간에 의해 구성된 압력 챔버(8)와 소통된다. 베이스 부분(5)의 측벽, 즉, 주위 부분(13)을 통하여 연장된 압력 유체 유입부(7)는 압력원(미도시)과 소통되는데, 예를 들면, 종래의 생맥주 분배 조립체의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소형 공기 펌프 또는 단순히 수돗물과 소통된다. 따라서 가압된 유체는 이용될 수 있는 액체이거나 또는 기체일 수 있다.A dispensing assembly 1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a
설치를 위해서는 덮개(6)가 베이스 부분(5)으로부터 분리되고, 콘테이너(2) 의 유출부(9)가 실질적으로 하방향으로 면하고 적어도 베이스 부분(5)을 면하는 상태로 베이스 부분(3)을 가진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가 베이스 부분(5)상에 장착된다. 유출부(9)와 정렬된 천공부(11)에 연결된 분배 튜브(10)의 자유 단부는 분배 탭(4)에 연결된다. 콘테이너(2)가 베이스 부분(5)에 장착되었을 때, 덮개(6)는 공기 밀폐 연결로써 베이스 포트(5)에 연결되어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캡슐화시키며(encapsulating), 압력이 압력 유체 유입부(7)를 통하여 가해진다. 덮개(6)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포트(5)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주위 부분(13) 둘레에 끼워지는 플랜지(12)가 제공되며, 덮개(6)와 베이스 부분(5)은 고리형의 U 형상인 잠금 핀(14)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예를 들면 배요넷(bayonet) 결합 또는 나사화된 부품들과 같은 다른 적절한 결합 수단이 덮개(6)를 베이스 부분(5)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12)와 협동하는 O 링(15)과 같은 시일링 수단이 베이스 부분(5)의 주위 부분(13)과 플랜지(12) 사이에 제공되어 2 개 부분들 사이의 공기 밀폐 상호 연결을 보장한다.For installation, the
도 1 은 사용 준비가 된 상태의 음료 분배 조립체(1)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출부(9) 또는 콘테이너(2)가 천공되었으며 음료는 분배용 튜브(10)를 통하여 분배용 탭(4)과 소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압력 챔버(8) 안의 압력은 소망되는 높은 수준을 가지며, 분배용 탭이 개방되었을 때 콘테이너(2)가 접혀지면서(미도시) 음료는 분배용 튜브(10)를 통하여 강제된다. 콘테이너가 비었을 때, 따라서 완전히 접혀졌을 때, 잠금 링(14)은 해제되고 덮개(6)는 베이스 부분(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접혀진 콘테이너(2)는 가득 찬 새로운 콘테이너(2)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1 shows the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1 ready for use, in which the
설치 과정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인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1 구현예를 도시하는 것이다.The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next with reference to FIGS. 2A-2C, which illustrates a first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a 는 콘테이너(2)가 베이스 부분(5) 위에 배치되었고 덮개(6)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핀(14)에 의해서 베이스 부분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황을 도시한다. 압력 챔버(8)에는 아직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이스 유니트(3)의 외측 벽(16)은 예를 들면 베이스 부분(5)과 베이스 유니트(3) 사이에 배치된 O 링(17)이나 또는 다른 적절한 시일링 수단에 의해서 베이스 부분(5)의 주위 부분(13)과 시일링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FIG. 2A shows the situation where the
베이스 유니트(3)에는 베이스 유니트(3)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3 개 또는 그 이상의 탭(18)의 형상인 탄성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탭(18)들은 베이스 부분(5)에서 상승된 고리형 플랫폼(19)에 맞닿으며, 실질적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된 힘이 콘테이너(2)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가득 채운 콘테이너(2)를 지지할 정도로 충분히 강하다. 그러나, 압력 챔버(8) 안의 압력이 증가될 때, 베이스 유니트(3)를 가진 콘테이너(2)는 압력 챔버(8)의 안과 밖에서 우세한 상이한 압력들에 기인하여 하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경험한다. 압력 편차가 특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 탭(18)들은 더 이상 하방향으로 배향된 힘에 저항할 수 없으며 이들은 굽혀지거나 또는 파괴되어 콘테이너(2)와 베이스 유니트(3)는 하방향으로 움직인다. The
중간 위치가 도 2b 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콘테이너(2)와 베이스 유니트(3)는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였다. 외측 벽(16)은 여전히 베이스 부분 (5)의 주위 부분(13)과 시일 접촉되어 있다. 도시된 위치에서,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천공부(11)는 콘테이너의 유출부(9)와 정렬되고 베이스 유니트의 지지벽(20)과 미끄러질 수 있는 관계이며, 베이스 부분(5)의 중앙 상승부(21)와 맞닿는다.The intermediate position is shown in FIG. 2B, where the
도 2c 에 도시된 마지막 위치에서, 천공부(11)는 콘테이너(2)의 유출부(9)의 폐쇄부(22)를 천공하였다. 따라서, 콘테이너 폐쇄부(22)의 천공은 압력이 압력 챔버(8)에 가해질 때 자동적으로 수행된다.In the last position shown in FIG. 2C, the
이러한 위치에서 베이스 유니트(3) 및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의 더 이상의 하방향의 운동은 베이스 부분(5)에 있는 표면(28)과 맞닿은 베이스 유니트(3)의 하우징의 외측 벽(16)의 하부 주위에 의해서 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3)를 가진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는 베이스 부분(5) 위에 지지된다.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도 2c 는 외측벽(16)이 더 이상 베이스 부분(5)의 주위 부분(13)과 시일 접촉되지 않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압력 챔버(8)는 이제 베이스 유니트상의 칼러(collar,23)에서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 사이의 시일링에 의해서 제한되는데, 이것은 콘테이너(2)의 목 부분과 상승된 고리형 플랫포옴(19)의 내측으로 면하는 표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그것의 연장부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O 링(24)과 같은 시일링 수단이 베이스 부분(5)과 베이스 유니트(3) 사이의 밀봉 시일링 맞물림을 보장하도록 배치된다.2c shows that the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구현예의 천공부(11)는 베이스 유니트(3)의 일체화된 부분으로서 제작된다. 천공부(11)에는 지지용 벽(20)의 외측에서 하부 맞닿 음 부분으로부터 접힐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를 항하여 연장된 칼러(25)가 제공된다. 칼러(25)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릿(미도시)이 제공되며 바람직스럽게는 천공부(11)의 다른 부분과 같은 재료로 구성된다. 칼러(25)의 슬릿들은 칼러(25)에 탄성을 제공하며,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한 부분에서 폐쇄부(22)를 천공하도록 천공부가 콘테이너(2)를 향하여 강제될 때 칼러(25)를 외측으로 굽히게 한다. The
콘테이너(2)가 베이스 부분(5)으로부터 이탈되어 들리워진다면, 탄성 칼러(25)는 천공부(11)가 그것의 처음 위치로 다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를 폐쇄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천공부(11)는 자체 폐쇄 밸브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것은 콘테이너가 완전히 비워지기 이전에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익하다. 자체 폐쇄 메카니즘에 기인하여 콘테이너(2)는 아무런 메카니즘이 제공되지 않았던 경우에서와 같이 제거 이전에 분배용 탭(4)을 통하여 완전히 비워질 필요가 없다. If the
베이스 부분(5)에는 개구(26)가 제공되어, 베이스 유니트를 가진 콘테이너(2)가 베이스 부분(5) 위에 위치되기 이전에 개구를 통하여 분배용 튜브(10)(도 1 참조)를 조작할 수 있다. Th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상세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설명의 편리함을 위하여 작은 차이가 발생할지라도 도 1 내지 도 2c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들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들이 사용될 것이다.3 shows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second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ease of explan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parts as shown in FIGS. 1 to 2C, although small differences may occur.
도 3 에 도시된 제 2 구현예는 베이스 유니트(3)의 외측 벽(16)과 베이스 부분(5)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주위 부분(13) 사이의 시일링이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2c 에 도시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다. 처음에 베이스 부분(5) 위의 베이스 유니트(3)로 콘테이너(2)를 지지하는 탭(18)들도 여전히 존재하며,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포트(5) 사이의 시일링 맞물림이 없기 때문에, 압력 챔버가 처음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O 링(24)에 의한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 사이의 시일링 접촉을 가지는 도 3 의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하방향으로 배향된 힘을 수작업으로 베이스 유니트(3)와 함께 콘테이너(2)로 가할 필요가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3 shows that the sealing between the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3 구현예의 상세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다시, 비록 작은 차이가 발생할지라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도 1 내지 도 2c 의 부품들과 같은 부품들을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4 shows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third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Again, although small differences may occu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parts such as those of FIGS. 1-2C.
이러한 제 3 의 구현예에서, 베이스 부분(5)과 베이스 유니트(3) 사이의 시일링 맞물림은 베이스 유니트의 외측벽(16)과 베이스 부분(5)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주위 부분(13) 사이에만 제공된다.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의 구성은 그에 따라서 수정된다.In this third embodiment, the sealing engagement between the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4 구현예의 상세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다시, 비록 작은 차이점이 있을지라도 같은 참조 번호들이 도 1 내지 도 2c 의 부품들과 같은 부품들에 대하여 사용될 것이다.5A and 5B show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fourth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Aga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parts such as those of FIGS. 1-2C although there are small differences.
이러한 제 4 의 구현예는, 탄성 칼러가 제공되지 않은 천공부(11)의 구성을 제외하고, 도 4 에 도시된 제 3 의 구현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 4 구현예의 천공부(11)는 일단 폐쇄부(22)가 천공되었다면 콘테이너(2)의 유출 부를 폐쇄시킬 수 없는 단순한 일회용의 천공부이다. This fourth embodiment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4,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조립체의 제 5 구현예에 대한 상세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다시, 비록 작은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더라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도 1 내지 도 2c 의 부품들과 같은 부품들에 대해서 사용될 것이다.6a and 6b show in detail in cross section a fifth embodi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Again, although small differences may occu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parts such as those of FIGS. 1-2C.
천공부(11)에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작용하는 탄성의 칼러(25)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 5 의 구현예에서, 천공부(11)와 분배 튜브(10) 사이의 연결은 변경되었다. 천공부(11)의 유출부는 분배 튜브(10)가 베이스 부분(5)의 맞물림 부분의 저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분(5) 안에 배치된 연결편(27)과 정렬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그 어떤 분배 튜브도 처음에 천공부(11)에 연결되지 않으며, 베이스 부분(5)에는 분배 탭과 소통되는 영구적인 분배 튜브(10)가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분리된 상호 교환 가능한 분배 튜브가 연결편(2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3)를 가진 콘테이너(2)가 베이스 부분(5)을 향하여 힘을 받을 때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의 내부와 분배 탭 사이의 소통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확립된다. The
제 4 및 제 5 의 구현예들에 있는 천공부(11)의 구조는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 사이의 그 어떤 시일링 수단들과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외측 시일링이 도시되었을지라도, 베이스 유니트의 외측 벽(16) 및/또는 콘테이너의 목 부분에 시일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에서, 시일링 수단은 칼러(23)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45)와 중앙의 상승부(21) 또는 그것의 일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조립체의 분배용 밸브(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분배용 밸브(30)는 분배용 튜브(10)의 자유 단부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7a and 7b schematically show a dispensing
분배용 밸브는:Dosing valves are:
- 분배용 튜브(미도시)와 마찰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유입 단부를 가진 실린더형 튜브(31);A
- 튜브의 유출 단부에 축방향 연장부로서 연결되고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튜브(31)상의 제 1 칼러(32);A
- 실린더형 튜브(31)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그것의 축방향 연장부로 연장된 컵 형상의 튜브형 부분(33);A cup-shaped
- 튜브형 공간이 제 1 칼러(32)와 컵 형상인 부분(33)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튜브형 컵 형상 부분(33)과 실린더형 튜브(31)를 연결하는 탭(34);A
- 제 1 칼러(32)와 마찰 및 미끄럼 가능한 맞물림 상태인 제 2 칼러(35); A
- 분배용 밸브(30)의 유출 단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 2 칼러(35) 안의 내부 맞닿음 부분(36);을 구비한다.An
베이스 유니트(3)에 분배 튜브(10)가 제공되었다면 분배용 밸브(30)는 분배용 튜브(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체화된 무균 유니트로서 초기에 베이스 유니트(3) 안에 위치될 수 있다. If the dispensing
분배용 밸브(30)는 분배용 탭 안에 배치되도록 적합화되는데, 상기 분배용 탭은 분배용 밸브(30)의 칼러(32,35)와 맞물린 적절한 수단(미도시)에 의해서 분배 용 밸브(30)를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적합화된 것이다.The dispensing
분배용 밸브(30)의 장점은 이것이 용이하게 저렴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어서, 분배용 밸브가 음료 용기 및 분배용 튜브와 함께 배달되는 1 회용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의 다른 장점은 분배용 밸브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분배용 탭에 배치되었을 때 세척을 필요로 하고 음료를 오염시킬 수 있는 그 어떤 재사용 부품에 대하여 음료의 내용물이 접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The advantage of the dispensing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분배용 밸브(30)는 정확한 분배용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예를 들면 전통적인 생맥주 장치들이나 또는 청량 음료용으로 특화된 분배용 시스템과 같은 다른 종류의 분배용 시스템들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Dispensing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2)는 유출부(9)가 하방향으로 면하면서, 즉, 중력의 중심을 향하여 면하면서 직립의 위치로 배치된다. 따라서 콘테이너(2)는 완전히 고갈될 수 있다. 중력의 힘은 콘테이너(2)를 고갈시키는 것을 보조할 것이며, 따라서 분배용 조립체(1)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분배용 조립체들보다 콘테이너(2)를 완전하게 고갈시키는데 적은 압력을 필요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figures, the
베이스 유니트(3)는 유출부 벽(16), 베이스 유니트(3)를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에 분리될 수 없게 연결시키는 수단, 콘테이너(2)를 시일시키는 폐쇄 수단(22) 및, 콘테이너(2)의 내용물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폐쇄부(22)를 천공하는 천공부(11)를 구비한다. 고리형 공간이 제공되어, 그것이 바람직스럽게는 콘테이너(2)의 유출부(9)를 분배용 탭(4)과 연결시키도록 분배용 튜브를 유지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 유니트(3)가 유출부 벽(16)의 하부 가장자리에 고정된 시일(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 유니트(3)가 콘테이너에 연결되기 이전에, 유출부 벽(16)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된 시일(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러한 시일들은 베이스 유니트(3)의 제조시에 적용되어 이후의 단계에서 콘테이너(2)에 연결될 수 있는 무균 유니트를 제공한다. 무균 유니트는 시일의 제거시에 사용될 준비가 된 것이다.The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3)는 중앙의 위치에서 무균 유니트로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양조업자나 또는 와인 양조업자와 같은 원격의 음료 공급업자에게조차도 이송될 수 있다. 음료 콘테이너(2)들은 충전 장소로 분리되어 운반될 수 있다. 그러한 음료 콘테이너(2)들은 그것들이 음료로 충전되기 직전에 그것들의 최대 크기로 항상 부풀려지는 것은 아니다. 제조 장소에서 음료 콘테이너(2)들은 그것의 최대 크기로 부풀려지는데, 콘테이너(2)는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의 벽을 가진 동체 부분과, 어깨 부분과, 유입 및 유출부(9)를 구성하는 목 부분을 가진다. 콘테이너(2)가 그러한 형상으로 부풀려진 이후에, 콘테이너(2)는 상부 시일을 제거하고 소망되는 음료로 채워져서 베이스 유니트(3)를 목 부분 위로 가압함으로써 폐쇄된다. 베이스 유니트의 저부에 있는 시일은 정위치에 유지된다.Thus, the
콘테이너(2)가 바람직스럽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특히 PEN 또는 PET 와 같은 폴리머로 제조된다. 따라서, 콘테이너(2)는 얇은 벽의, 자체 지지되는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외부 압력이 분배용 조립체(1)에 가해질 때 접혀지기에 적절한 것이다. 콘테이너(2)는 콘테이너의 음료 내용물을 보존하기 위한 산소 방벽(barrier)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콘테이너(2)는 음료의 품질이 광에 예민한 경우에 광에 대한 방벽을 형성하도록 채색되거나 또는 염색될 수 있다. 그러한 광 방벽은 산소 방벽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과정들은 콘테이너(2)를 코팅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내표면을 플라즈마 코팅하고 그리고/또는 외부 표면을 에폭시 코팅하는 것이다.The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 유니트(3)와 콘테이너(2) 사이의 연결이, 일단 베이스 유니트(3)가 콘테이너(2)에 연결되었다면 콘테이너(2) 및/또는 베이스 유니트(3)를 손상시키지 않고는 제거될 수 없는 특성의 것이어서, 따라서 소비 장소로 배달될 준비가 되어 있는 음료를 포함하는 조작 방지된 콘테이너를 제공한다. 그러한 분리 불가능한 연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연결이 베이스 유니트를 콘테이너(2)의 목 위로 가압 맞춤(press fitting)시킴으로써 획득되는데, 목과 베이스 유니트(3)에는 예를 들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탭(tap)/미늘(barb) 및 요부/칼러(collar)의 형상이거나, 또는 그 어떤 다른 종류의 스냅 메카니즘(snap mechanism)인 협동하는 잠금 수단이 제공된다. 이와는 다르게, 베이스 유니트(3)가 콘테이너(2)의 목에 접착되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나사에 베이스 유니트(3)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었다면 베이스 유니트(3)가 콘테이너(2)의 목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바람직스럽게는, 콘테이너(2)의 목과 가압 맞춤된 베이스 유니트(3)의 연결은, 베이스 유니트(3)와 콘테이너(2) 사이의 밀폐 연결을 제공하도록 고리형 또는 원형 멤브레인의 형상인 얇은 시일로써 라이닝(lining) 된다. 멤브레인이 바람직스 럽게는 종래의 유리 맥주병의 금속 뚜껑 내측을 라이닝하는데 사용되는 유형이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of the neck of the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 유니트가:Preferably, the base unit is:
- 바람직스럽게는 실린더형인 외측 벽(16);An
- 벽의 형태로서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의 어깨부에 대하여 지탱되기 위한 수단;Means for bearing against the shoulder of the
- 벽의 형태인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의 목에 대하여 지탱되기 위한 수단;Means for bearing against the neck of the
- 콘테이너(2)의 목에 있는 고리형 상승부와 협동하는 3 개 또는 그 이상의 고리형 상승부들의 형태로서,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에 가압 맞춤되는 베이스 유니트(3)의 분리 불가능 연결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리형 상승부는 대응하는 원주상으로 배치된 요부, 탭 또는 미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Non-separable connection of the
- 분배용 튜브가 말려질 수 있는 경우에 (미도시), 공간의 형태로 운반되는 동안에 살균 상태로 분배용 튜브(10)를 유지하는 수단;Means for maintaining the dispensing
- 벽의 형태인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의 유출부(9)를 시일링하기 위한 폐쇄부(22);A
- 벽 안에 형성되고, 소정의 힘을 적용함으로써 천공이 허용되도록 벽의 일부를 약화시킨 톱니부;Teeth formed in the wall and weakening part of the wall to allow perforatio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 베이스 유니트(3)가 베이스 부분(5) 안으로 강제되어 이후에 천공부(11)를 손상시키는 것을 일시적으로 방지하도록 베이스 부분의 상승부에 대하여 맞닿는 칼러(collar) 또는 돌기(stud)의 형태인 수단;The
- 베이스 부분(5)과의 공기 밀폐 연결을 제공하는 수단;Means for providing an airtight connection with the
- 바람직스럽게는 실린더형인 지지용 벽의 형태인, 천공부(11)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holding the
- 실린더형 지지용 벽의 축을 따라서, 지지용 벽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관계로 유지된 천공부(11) 및,
- 취급하는 동안에 베이스 유니트(3)에 대한 의도되지 않은 충격에 대하여 천공부(11)를 보호하기 위하여 천공부(11)를 둘러싸는 벽 또는 벽들의 세트 형태인, 베이스 유니트(3)의 중앙 부위 안의 시일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그리고 천공부(1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수단;을 구비한다.The central part of the
모든 구현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유니트(3)의 부품들은 PET 또는 PE 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것은 낮은 구성 비용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들이 분쇄되어서 새로운 플라스틱 부품들, 예를 들면 새로운 베이스 유니트(3)를 위하여 재활용될 수 있게 한다. 시일은 베이스 유니트(3)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일들을 위한 재료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종이, 종이,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것일 수 있다.In all embodiments the parts of the
음료를 분배하기 이전에 음료를 냉각시키는 것이 소망된다면, 다양한 방법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으로써는 음료가 냉각 유니트 안에서 음료 콘테이너로부터 분배용 탭으로 가는 동안에 냉각되는 경우에 베이스 유니트(3)와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를 가진 가압 유니트가 공지의 생맥주 및 청량 음료 분배 조립체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체 가압 유니트를 냉장고와 같은 냉각 환경 안에 두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차가운 가압 유체를 적용하는 것도 선택할 수 있다.If it is desired to cool the beverage prior to dispensing the beverage, it can be done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izing unit having a beverage container (2) which is collapsible with the base unit (3) when the beverage is cooled while going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dispensing tab in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with a known draft beer and soft drink dispensing assembly. Can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choose to place the entire pressurization unit in a cooling environment such as a refrigerator. The application of cold pressurized fluid may also be chosen.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음료 분배용 조립체를 위한 다른 베이스 유니트(3)의 사시도 및,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b-c 및 도 8d 는 다른 베이스 유니트(3) 및 그에 대응하는 다른 베이스 부분(5)을 통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작은 차이점들이 발생할지라도, 같은 참조 번호들은 전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들에 대하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베이스 부분(5)과 베이스 유니트(3)의 전체적인 특징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현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3)는 외측 벽(16)을 가진 하우징,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의 유출 단부(9)에 부착되기 위한 수단 및, 베이스 부분(5)과 협동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분(5)은 베이스 유니트(3)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 베이스 유니트(3), 베이스 부분(5) 및, 분배용 유니트의 덮개(6) 사이에 제공된 압력 챔버(8)를 가압하기 위한 압력 유체 유입부(7)를 구비한다. 8a show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도 8a 내지 도 8c 에 있어서, 베이스 유니트(3)는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어서, 베이스 유니트(3)의 내부 부품들이 보다 잘 보인다. 이러한 대안의 구현예에 있어서 베이스 유니트(3)는 콘테이너(2)의 유출 부분(9)을 덮는 유연성의 컵 형상 부분(40) 및, 그것의 내부 연장부를 구비한다. 컵 형상의 부분(40)은 상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서와 같이 칼러(2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컵 형상의 부분(40)은 저부(42), 측벽(43) 및, 컵 형상의 부분(40)의 저부(42)에 형성된 중공형의 신장된 천공부(11)를 구비한다. 상기 천공부(11)의 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바람직스럽게는 분배용 튜브(10)의 길이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이러한 튜브(10)가 그것의 다른 자유 단부에서 분배용 탭(4)에 부착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분배용 밸브(30)가 구비되어 있다. 천공부(11)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는 베이스 유니트(3)의 하우징 안에 제공된 폐쇄부(22)를 천공하도록 적합화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바람직스럽게는, 폐쇄부(22)가 별도의 시일을 구비하는데, 상기 시일은 바람직스럽게는 고리형인 컵 형상 부분(40)의 상부 테두리(41)에 대하여 그 위에 시일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시일/폐쇄부(22)가 바람직스럽게는 공기 및 유체 밀폐 금속이나 또는 폴리머 포일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이들은 베이스 유니트(3)에 용접되거나, 접착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그에 시일될 수 있다. 컵 형상인 부분(40)은 베이스 유니트(3)의 둘러싸는 부분들보다 작은 재료의 두께로 측벽(43)을 바람직스럽게 형성함으로써, 고유한 탄성을 가지거나 또는 탄성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8A to 8C, the
도 8d에서 베이스 유니트(3)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5)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부분(5)은 베이스 부분(5) 안에 제공된 중앙 상승부(21)상에 상방향으로 면하는 표면의 형태로 맞닿음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맞닿음 표면은 컵 형상인 부분(40)의 저부 부분(42)과 협동하도록 적합화된다.In figure 8d the
중앙 상승부(21)상의 맞닿음 표면에 대하여 컵 형상 부분(40)의 저부 부분(42)을 가압함으로써 벽(42)은 그것의 고유한 탄성에 기인하여 굴복하여 굽혀져서, 콘테이너(2)를 향하는 방향에서 베이스 유니트(3)의 다른 부분들에 대하여 저부 (42)가 움직이게 하고, 따라서 천공부(11)가 폐쇄부(22)에 대하여 그것을 통해 강제됨으로써, 폐쇄부는 그에 의해 천공되며, 콘테이너(2)의 내용물에 대한 유체 접근이 제공된다.By forcing the
이러한 구현예에서 컵 형상 부분(40)의 탄성은 상기에 설명된 구현예들과 함께 언급된 탭(18)들과 같은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탭(18)들 및/또는 컵 형상의 부분(40)은 폐쇄부(22)를 천공하기 이전에 접을 수 있는 음료 콘테이너(2)를 지지할 것이며, 이러한 탭(18)들 및/또는 컵 형상 부분(40)의 고유한 탄성은, 압력 챔버(8) 안에서의 압력이 경감될 때 탄성이 콘테이너(2)를 상방향으로 밀어낼 것이라는 점에서, 베이스 유니트(3)와 함께 콘테이너(2)의 제거를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컵 형상 부분(40)의 탄성은 컵 형상 부분(40)이 탭(18)들 대신이나 또는 탭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ity of the cup-shaped
이러한 구현예에서 베이스 부분(5)은 상승된 고리형 플랫포옴(19)과 칼러(23) 사이에, 예를 들면 O 링(24)의 형태인 시일링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시일링은 컵 형상 부분(40)의 측벽(42)과 상승된 고리형 플랫포옴(19)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모든 구현예들에서 플랜지(45)는 사용하는 동안에/탭을 다는 동안에 베이스 부분(5)에서 베이스 유니트(3)로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2)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외측 벽(16)을 보조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In all embodiments the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구현예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칼러(23)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컵 형상의 부분(40)을 보호하는 플랜지(45)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트들이 제공될 수 있어서, 그러한 포트들을 통하여 분배용 튜브(미도시)가 연장될 수 있다. 그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러한 플랜지(45)의 목적은 취급하는 동안에 우발적인 타격으로부터 천공부(11)를 보호하는 것이다.As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B, one or more ports are provided on the
도 8d 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베이스 부분(5)은 상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서와 같이 분배용 튜브(10)를 분배용 탭(4)으로 연장시키는 개구(26)를 구비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8D, the
바람직스럽게는, 이러한 구현예에서 천공부(11)는 도 8c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을 통한 중심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분배용 튜브(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더 큰 공간이 상기 언급된 플랜지(45)에 의해 한정된 공간 안에 허용된다. 또한, 천공부(11)의 비대칭 위치는 베이스 부분(5)상에 중앙의 상승부(21)를 위한 공간을 허용함으로써, 컵 형상 부분(40)의 저부 부분(42)과 중앙 상승부(21) 사이의 맞닿음이 발생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는 달리, 상승부는 중앙에 배치되는 것과는 반대로 비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천공부(11)는 다음에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비대칭적으로 위치된 상승부(21)나 또는 천공부(11)는 위에서 설명된 구현예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ise can be positioned asymmetrically as opposed to being arranged centrally, and the
여분의, 고리형 벽(46)은 베이스 부분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47)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공간(47)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분배용 튜브(10) 및, 예를 들면 분배용 밸브(30)를 포함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An extra,
이러한 구현예에서 컵 형상의 부분(40), 천공부(11) 및 고리형 벽(46)이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 유니트(3)의 나머지 부분들과 일체로 형성되고,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몰딩 과정에서 천공 가능한 시일/폐쇄부(22)는 예외적으로 제외된다. 베이스 유니트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측벽(16)의 상부 및/또는 하부 주위에서 시일들이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up-shaped
도 8b 내지 도 8c 와 도 8d 는 각각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 사이의 다른 외측 시일링을 도시한다. 상승된 고리형 플랫폼(19)과 칼러(23) 사이에 제공된 시일링(24)에 더하여, 예를 들면 베이스 부분(5)의 부가적인 상승부(50)의 외측으로 면하는 측벽에 배치된 O 링(17) 형태인, 외측 시일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b 에 도시된 구현예들에 대하여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폐 시일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일링 수단(17)은 베이스 유니트(3)의 외측 벽(16)의 하부 부분의 내측으로 면하는 표면과 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시일링 수단(17)은 베이스 부분(5)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주위벽(13)의 내측 표면상에 제공되었으며, 베이스 유니트(3)의 외측벽(16)의 하부 부분의 외측 표면과 협동하도록 적합화된다.8b to 8c and 8d show different outer sealings between the
부가적인 상승부(50)에 부가적인 시일링 수단(17)을 가지는 구조에 의하여, 베이스 유니트(3)의 벽(16)의 하부 주위는 예를 들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rib,48)의 세트로써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시일링(17)은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의 취급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베이스 유니트(3)에 대한 우발적인 타격에 의해 야기되는 벽(16)의 변형으로부터 보호된다.By virtue of the structure having additional sealing means 17 in the
또한, 압력 챔버(8)를 위한 압력 유체 유입부(7)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부분(5)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주위 벽(13) 안에 보다 큰 공간이 제공된다. 압력 유체 유입부(7)는 도 8d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시일링의 특징은 위에 설명된 제 1 구현예 내지 제 5 구현예들에 적용될 것이라는 점이 명백하다.Furthermore, a larger space is provided in the upwardly extending
벽(16)의 내측과 상승부(50)의 외측 사이의 외측 시일링(17)과 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패스 채널(49)들이 베이스 유니트(3)의 외측 벽(16)의 내측 표면 안에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바이패스 채널(49)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유니트(3)와 베이스 부분(5)이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구현예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외측 시일링(17)은 폐쇄부(22)의 천공을 위해서 컵 형상 부분(40)의 가압 동안에만 사용된다. 천공시에, 압력 챔버(8)는 이제 상승된 고리형 플랫포옴(19)과 칼러(23) 사이의 시일링(24)에 의해서 제한된다. In combination with the
이러한 점은 압력 챔버(8) 안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콘테이너는 연장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2 주 동안 탭을 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조체, 특히 외측벽(16)에 대한 연속적인 고압은 구조체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이는 바이패스 채널(49)을 이용함으로써 힘을 칼러(23)와 상승부(19) 사이 시일링(24)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회피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는 보다 얇고, 보다 약하고 그리고/또는 보다 저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re the pressure in the
이전의 구현예들에서와 같이 천공은 외측 시일링(17) 없이, 예를 들면, 콘테이너에 대한 수동의 하방향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또는 칼러(23)와 상승부(19) 사이의 내측 시일링(24)만으로 달성될 수 있다.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perfo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벽(16)의 외측 저부 외주상의 강화용 리브(48)는 음료 콘테이너의 안정된 자 리를 제공한다. 그러한 리브(48)들은 몰딩 과정에서 베이스 부분(3)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Reinforcing
본 발명은 음료 콘테이너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everage containers and the like.
Claims (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KPA200300678 | 2003-05-06 | ||
DKPA200300678 | 2003-05-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8835A true KR20060018835A (en) | 2006-03-02 |
Family
ID=3342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1082A KR20060018835A (en) | 2003-05-06 | 2004-05-06 |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
Country Status (23)
Country | Link |
---|---|
US (1) | US8028857B2 (en) |
EP (4) | EP1626925B1 (en) |
JP (1) | JP4741461B2 (en) |
KR (1) | KR20060018835A (en) |
CN (3) | CN101734599B (en) |
AT (4) | ATE517841T1 (en) |
AU (1) | AU2004235874B2 (en) |
BR (1) | BRPI0410014A (en) |
CA (1) | CA2524292C (en) |
DE (2) | DE602004032394D1 (en) |
DK (4) | DK1626925T3 (en) |
EA (1) | EA007367B1 (en) |
ES (1) | ES2284010T3 (en) |
HK (1) | HK1090623A1 (en) |
HR (1) | HRP20070257T3 (en) |
NO (1) | NO331475B1 (en) |
NZ (1) | NZ543280A (en) |
PL (1) | PL1626925T3 (en) |
PT (3) | PT1798194E (en) |
SI (1) | SI1626925T1 (en) |
UA (1) | UA81478C2 (en) |
WO (1) | WO2004099060A2 (en) |
ZA (4) | ZA200706073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48570B2 (en) * | 2005-07-29 | 2010-07-06 | David Bordino | Refrigerator-mounted hot beverage dispenser |
MY163766A (en) * | 2005-08-12 | 2017-10-31 | Carlsberg Breweries As |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
ATE432911T1 (en) * | 2005-08-12 | 2009-06-15 | Carlsberg Breweries As | METHOD AND ARRANGEMENT FOR GUIDING A DISPENSING LINE THROUGH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
ATE539031T1 (en) | 2005-08-12 | 2012-01-15 | Carlsberg Breweries As |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
EA012817B1 (en) * | 2005-09-03 | 2009-12-30 | Артекс-Ролплаг Лимитед | Cartridge dispenser |
ITPN20050069A1 (en) | 2005-10-06 | 2007-04-07 | Electrolux Professional Spa | REFRIGERATOR UNIT FOR THE COOLING OF PRESSURIZED DRINKS |
JP2009517301A (en) | 2005-11-29 | 2009-04-30 | レクサム・ペタイナー・リドチエピング・アー・ベー |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dispensing beverages |
WO2008013819A2 (en) * | 2006-07-25 | 2008-01-31 | Antheil William L | Beer keg and method of assembly |
JP4575397B2 (en) * | 2007-02-14 | 2010-11-04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dispenser and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
WO2008105001A1 (en) * | 2007-02-26 | 2008-09-04 | Mauro De Mei | Hermetic packaging system of a consumer fluid within a container for the preservation of such consumer fluid from contamination and deterioration during the phases of storage as well as of induction and/or delivery |
SE533208C2 (en) | 2007-06-05 | 2010-07-20 | Petainer Lidkoeping Ab | Seal for beverage containers |
JP2009274730A (en) * | 2008-05-13 | 2009-11-26 | Asahi Breweries Ltd | Cooling system for beverage container |
EP2025640A1 (en) * | 2007-08-10 | 2009-02-18 | Carlsberg Breweries A/S | Cooling device for a beverage keg |
PT2181063E (en) * | 2007-08-20 | 2012-03-23 | Carlsberg Breweries As | Modular pressure distributing system for beverages and module therefor |
DE102007054431A1 (en) | 2007-11-13 | 2009-05-14 | Krones Ag | Device for removing liquids from a container |
NL2001612C2 (en) * | 2008-05-22 | 2009-11-24 | Heineken Supply Chain Bv | Pillar column, tapp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
EP2154102B1 (en) * | 2008-08-07 | 2013-05-22 | ELECTROLUX PROFESSIONAL S.p.A. |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
EP2157044A1 (en) * | 2008-08-19 | 2010-02-24 | Carlsberg Breweries A/S | A method for installing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a beverage distribution unit |
EP2179961A1 (en) | 2008-10-22 | 2010-04-28 | Carlsberg Breweries A/S |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
US8146780B2 (en) * | 2008-12-16 | 2012-04-03 | Cryovac, Inc. | Interlocking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a pumpable products |
EP2213614A1 (en) | 2009-01-29 | 2010-08-04 | Carlsberg Breweries A/S |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
NL2003133C2 (en) | 2009-07-03 | 2011-01-04 | Heineken Supply Chain Bv | Tapping apparatus and compressible bottle therefore, and a preform for forming such container. |
NL2003131C2 (en) | 2009-07-03 | 2011-01-04 | Heineken Supply Chain Bv | Preform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
NL2003132C2 (en) | 2009-07-03 | 2011-01-04 | Heineken Supply Chain Bv |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
KR20130000431A (en) | 2009-07-09 | 2013-01-02 |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 Substantially rigid collapsible liner and flexible gusseted or non-gusseted l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for limiting choke-off in liners |
BE1018940A3 (en) * | 2009-09-25 | 2011-11-08 | Global Project Solutions Belgium Bv Met Beperkte Aansprakelijkheid | DEVICE FOR TAPING DRINK FROM A REUSABLE DRAIN AND A REUSABLE DRAIN PROVIDED WITH THIS DEVICE. |
EP2504272B1 (en) | 2009-11-23 | 2013-11-13 | Carlsberg Breweries A/S | A method for installing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
PL2504269T3 (en) * | 2009-11-23 | 2014-11-28 | Carlsberg Breweries As | A system for rapid contact cooling of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
DK2470466T3 (en) | 2010-07-15 | 2015-06-29 |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 Disposable container with fittingpåsats. |
EP2643094A4 (en) | 2010-11-23 | 2017-05-24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Liner-based dispenser |
IL217852A (en) * | 2011-02-08 | 2013-03-24 | Strauss Water Ltd | Beverage dispenser with an initiation pump |
KR20140008418A (en) | 2011-03-01 | 2014-01-21 |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
US20130056504A1 (en) | 2011-09-02 | 2013-03-07 | Ottocom, Llc |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nd Controlling,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
US10870565B2 (en) | 2011-09-02 | 2020-12-22 | Bevolution Systems, Llc |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
DK2809609T3 (en) * | 2012-02-03 | 2021-04-12 | Carlsberg Breweries As | Method for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a collapsible container |
US9067718B2 (en) | 2012-02-06 | 2015-06-30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Folded liner for use with an overpack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DE102012101503A1 (en) * | 2012-02-24 | 2013-08-29 | Krones Ag | Removal device for removing liquids from containers |
FR2990200A1 (en) * | 2012-05-04 | 2013-11-08 | Bcm Cosmetique |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fluid product e.g. cosmetic product, has flexible container including exhaust pipe connected to valve, and compressor pressurizing interior of rigid enclosure by compressed air |
JP5248716B1 (en) * | 2013-02-28 | 2013-07-31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cooling system |
US20140326752A1 (en) * | 2013-05-06 | 2014-11-0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Dispensing vessel having a self-supporting secondary container for use in a printing apparatus for depositing a liquid composition on a backplane |
DE202013005658U1 (en) * | 2013-06-22 | 2014-06-23 | Krones Ag | Dispenser and container |
EP2826744A1 (en) | 2013-07-15 | 2015-01-21 | Carlsberg Breweries A/S |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
DE102013109265A1 (en) * | 2013-08-27 | 2015-03-05 | Krones Ag | Device and method for emptying containers with control of a drive torque |
EP2889262A1 (en) * | 2013-12-27 | 2015-07-01 | Anheuser-Busch InBev S.A. |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for mixing one or more beverage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carbonated liquid |
DE202014001720U1 (en) * | 2014-02-27 | 2015-03-02 | Gerhard Brugger | donor |
US10035115B2 (en) * | 2014-09-26 | 2018-07-31 |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Inc. | Re-fillable syrup bin for beverage machine |
EP4374704A3 (en) | 2014-10-09 | 2024-08-14 | True Essence Food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ensing chocolate |
US11064712B2 (en) | 2014-10-09 | 2021-07-20 | Trade Secret Chocolates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ensing chocolate |
US9902549B2 (en) * | 2014-12-08 | 2018-02-27 | Gojo Industries, Inc | Elastic bladder dispenser |
US10196254B2 (en) * | 2015-01-28 | 2019-02-05 | Pik Six LLC | Compact portable cooling container and keg dispenser |
US9809238B2 (en) * | 2015-01-28 | 2017-11-07 | Pik Six LLC | Compact portable cooling container and keg dispenser |
BR112017019768A2 (en) | 2015-03-18 | 2018-05-29 | Carlsberg Breweries As | Method and system for introducing nitrogen into beverage |
US11027960B2 (en) | 2015-08-13 | 2021-06-08 | David G. Kraenzle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liq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 of liquids in containers |
US10005654B2 (en) * | 2015-08-13 | 2018-06-26 | David G. Kraenzle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fl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transport of fluids in containers |
BE1023386B1 (en) * | 2015-08-25 | 2017-03-01 | CARDIFF GROUP,naamloze vennootschap | Beverage holder |
ES2939370T3 (en) | 2016-01-12 | 2023-04-21 | Freezio Ag | Dispensing system with cartridge holder |
KR101835577B1 (en) * | 2016-03-07 | 2018-03-08 | 엔피씨(주) | Bottle assembly for beverage |
CN109071202A (en) * | 2016-04-06 | 2018-12-21 | 丰特精品酒业私人有限公司 | beverage dispenser |
NL2017109B1 (en) * | 2016-07-05 | 2018-01-12 | Heineken Supply Chain Bv |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
CH712695A1 (en) | 2016-07-07 | 2018-01-15 | Mühlemann Ip Gmbh | One-serving pack for mak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concentrate. |
CN106185772B (en) * | 2016-08-29 | 2018-05-08 | 上海爱杯网络科技有限公司 | One kind divides cup machine to be inverted out wine device |
US20200283281A1 (en) * | 2017-03-08 | 2020-09-10 | The Coca-Cola Company |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ing compressed air |
CN110612267B (en) | 2017-03-10 | 2021-09-21 | 嘉士伯酿酒有限公司 | Beverage dispensing system,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method of operat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pressure housing |
CN110831890B (en) * | 2017-05-03 | 2022-02-25 | 耐普罗公司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quid level monitor |
NL2018955B1 (en) * | 2017-05-19 | 2018-11-28 | Heineken Supply Chain Bv |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
NL2018956B1 (en) * | 2017-05-19 | 2018-11-28 | Heineken Supply Chain Bv |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
PT3644802T (en) | 2017-06-26 | 2021-07-06 | Freezio Ag |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
WO2019110554A1 (en) * | 2017-12-05 | 2019-06-13 | Carlsberg Breweries A/S |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beverage stored in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
US10351413B1 (en) * | 2017-12-22 | 2019-07-16 |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 Fluid dispenser having pressure regulator |
CN112236654A (en) | 2018-05-03 | 2021-01-15 | 耐普罗公司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volume monitor |
WO2019213564A1 (en) | 2018-05-03 | 2019-11-07 | Nypro Inc.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olids level monitor |
CN111938413B (en) * | 2019-08-16 | 2024-09-03 | 上海爱餐机器人(集团)有限公司 | Quick liquid container replacing device, frying pan device and frying machine |
US11827508B2 (en) | 2021-08-31 | 2023-11-28 | Versabev,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
CN115417365B (en) * | 2022-11-02 | 2023-02-10 | 澳诺(中国)制药有限公司 | Filling and sealing device for oral solutio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WO2024178008A1 (en) * | 2023-02-23 | 2024-08-29 | Bubbled Box, Llc | Packaging system for carbonated beverages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66096A (en) * | 1961-10-03 | 1965-01-19 | Lang Helmut | Dispenser for liquid additives to fluid streams |
FR785809A (en) | 1935-02-19 | 1935-08-20 | Sany Freres | Automatic spout or non-drip tap, applicable to any outlet for liquid under load or under pressure |
FR1311109A (en) * | 1960-03-28 | 1962-12-07 | Anciens Etablissements T M B S | Valve, tap or the like |
US3380628A (en) * | 1965-09-27 | 1968-04-30 | Herbert F. Cox Jr. | Liquid measuring device |
NL1015411C2 (en) * | 2000-06-09 | 2001-12-14 | Heineken Tech Services |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chamber with a flexible dispensing line and with positioning means. |
US3945534A (en) * | 1972-12-20 | 1976-03-23 | Baker & Ady, Inc. | Food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
US3926339A (en) * | 1974-06-21 | 1975-12-16 | Nat Can Corp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plural can piercing tools |
US4416395A (en) | 1980-05-05 | 1983-11-22 | Gaubert Rene Jean Marie | Bulk liquid container, tap and tap assembly therefore |
US4445551A (en) * | 1981-11-09 | 1984-05-01 | Bond Curtis J |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assembly |
GB2146705B (en) * | 1983-09-21 | 1987-08-05 | Guiness Son And Company Arthur | A unit for dispensing beverage |
DE3618634A1 (en) * | 1986-06-03 | 1987-12-10 | Jean Pierre Denis | DISPENSER FOR BEVERAGES |
US5102010A (en) * | 1988-02-16 | 1992-04-07 | Now Technologies, Inc. |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for liquid chemicals |
IL88894A (en) | 1989-01-06 | 1994-06-24 | Feldman Joseph | Beverage dispenser |
US4921135A (en) * | 1989-03-03 | 1990-05-01 | Lawrence Pleet |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system |
GB8906409D0 (en) | 1989-03-21 | 1989-05-04 | Lambrechts Nv | Container for liquids |
GB8924953D0 (en) * | 1989-11-04 | 1989-12-28 | Carters Drinks Group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pensers |
US5301838A (en) | 1991-01-23 | 1994-04-12 |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DE69117307T2 (en) * | 1991-03-26 | 1996-08-08 | Indigo Nv | DEVICE FOR FEEDING LIQUID TONER |
US5551601A (en) | 1991-11-27 | 1996-09-03 | Camm; James O. | Dispenser with internal diaphragm |
IT1255344B (en) | 1992-07-15 | 1995-10-31 | D'uva Antonio | SYSTEM FOR ASEPTIC EMPTYING OF FLEXIBLE CONTAINERS FOR FOOD PRODUCTS |
JPH0692394A (en) * | 1992-09-02 | 1994-04-05 | Takuma Co Ltd | Liquid supplying apparatus |
US5732853A (en) * | 1992-11-03 | 1998-03-31 | Bentfield Europe B.V. | Dosing unit comprising a dispensing device and a container bag unit |
IE960204A1 (en) | 1996-03-04 | 1997-09-10 | Loctite Ireland Ltd | Fluid flow connector and fluid pressure mechanism for fluids¹such as adhesives |
DE19641746C2 (en) * | 1996-10-10 | 1999-04-01 | Henkel Ecolab Gmbh & Co Ohg | Paste dispenser |
DE69820846T2 (en) | 1997-09-04 | 2004-06-17 |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 BEVERAGE SCHANK DEVICE |
US6182863B1 (en) * | 1997-09-04 | 2001-02-06 |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TR200000583T2 (en) | 1997-09-04 | 2000-07-21 |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 A device for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beer and other carbonated drinks. |
SE515112C2 (en) * | 1997-09-29 | 2001-06-11 | Asept Int Ab | Packaging, ways of making this and coupling for the same |
DE19751154C2 (en) * | 1997-11-19 | 2001-04-05 | Henkel Ecolab Gmbh & Co Ohg | Device for dosing a pasty product |
DE10000195C2 (en) * | 2000-01-05 | 2002-06-13 | Sartorius Gmbh | Valves for liquids and gases |
US20020125271A1 (en) * | 2001-03-12 | 2002-09-12 | Scott Zeitlin | Method of dispensing surgical lubricant |
AUPR429801A0 (en) * | 2001-04-09 | 2001-05-17 | Neverfail Springwater Limited | Water cooler |
NL1019526C2 (en) | 2001-12-10 | 2002-12-30 | Heineken Tech Services | Container e.g. for beer, has central bridge containing chamber which accommodates flexible dispensing line and its short side is surrounded by transverse wall sections |
-
2004
- 2004-05-06 PL PL04731311T patent/PL1626925T3/en unknown
- 2004-05-06 AT AT07103591T patent/ATE517841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DK DK04731311T patent/DK1626925T3/en active
- 2004-05-06 US US10/555,226 patent/US8028857B2/en active Active
- 2004-05-06 EA EA200501467A patent/EA0073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ES ES04731311T patent/ES2284010T3/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CA CA2524292A patent/CA2524292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DE DE200460032394 patent/DE602004032394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AT AT07103589T patent/ATE522472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UA UAA200510428A patent/UA81478C2/en unknown
- 2004-05-06 DK DK07103591T patent/DK1798194T3/en active
- 2004-05-06 AT AT04731311T patent/ATE356076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ZA ZA200706073A patent/ZA200706073B/en unknown
- 2004-05-06 CN CN200910175858.0A patent/CN101734599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DK DK07103592T patent/DK1798190T3/en active
- 2004-05-06 EP EP20040731311 patent/EP162692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SI SI200430308T patent/SI1626925T1/en unknown
- 2004-05-06 PT PT07103591T patent/PT1798194E/en unknown
- 2004-05-06 AT AT07103592T patent/ATE506317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EP EP20070103591 patent/EP179819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CN CN2009101758576A patent/CN10169846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06 ZA ZA200706071A patent/ZA200706071B/en unknown
- 2004-05-06 ZA ZA200706072A patent/ZA200706072B/en unknown
- 2004-05-06 ZA ZA200508651A patent/ZA200508651B/en unknown
- 2004-05-06 PT PT04731311T patent/PT1626925E/en unknown
- 2004-05-06 CN CNB2004800121405A patent/CN100558626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DK DK07103589T patent/DK1798193T3/en active
- 2004-05-06 PT PT07103592T patent/PT1798190E/en unknown
- 2004-05-06 AU AU2004235874A patent/AU2004235874B2/en not_active Expired
- 2004-05-06 JP JP2006504373A patent/JP4741461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BR BRPI0410014 patent/BRPI041001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6 DE DE200460005182 patent/DE602004005182T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EP EP20070103589 patent/EP179819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6 WO PCT/DK2004/000315 patent/WO2004099060A2/en active IP Right Grant
- 2004-05-06 NZ NZ543280A patent/NZ543280A/en unknown
- 2004-05-06 KR KR1020057021082A patent/KR2006001883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5-06 EP EP20070103592 patent/EP179819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
- 2005-12-02 NO NO20055713A patent/NO331475B1/en unknown
-
2006
- 2006-10-18 HK HK06111434A patent/HK1090623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6-05 HR HR20070257T patent/HRP20070257T3/en unknown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18835A (en) |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 |
EP2206677B1 (en) |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 |
US6375048B1 (en) |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 |
ES2694357T3 (en) | Pressurized liquid dispenser with three way valve to ventilate a container | |
RU2430010C2 (en) | Reservoir for drink and unit assembled from such reservoir and dispenser | |
US20070205218A1 (en) | Concentrate cartridge | |
EP3990361A1 (en) |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receptacle | |
MXPA00002248A (en) |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