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50106553A -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553A
KR20050106553A KR1020040031324A KR20040031324A KR20050106553A KR 20050106553 A KR20050106553 A KR 20050106553A KR 1020040031324 A KR1020040031324 A KR 1020040031324A KR 20040031324 A KR20040031324 A KR 20040031324A KR 20050106553 A KR20050106553 A KR 2005010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herbet
vibr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표
마사유끼이타무라
Original Assignee
홍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표 filed Critical 홍준표
Priority to KR102004003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6553A/ko
Priority to JP2004141631A priority patent/JP2005318869A/ja
Publication of KR2005010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55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0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Confectione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련되지 않고도 간단하게 과냉각된 음료를 이용해 샤베트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음료수를 과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용기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는 단계와, 진동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된 용기에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of sherbet,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nd super-cooling apparatus of drink}
본 발명은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를 특별한 노력과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샤베트 음료는 액상의 음료수 내에 얼음 알갱이 또는 얼음 가루 등의 빙정(氷晶)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음료를 말한다. 이는 여름철에 보다 시원한 음료를 즐길 수 있으며, 음료 내에서 얼음이 녹아가는 과정을 음미할 수 있다.
통상, 이러한 샤베트 음료는 물로 만들어진 얼음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후, 이 얼음 가루에 콜라와 같은 청량음료 또는 과일 쥬스와 같은 과즙 음료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샤베트 음료는 물로 이루어진 얼음과, 음료를 혼합한 것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료 자체의 농도가 물로 이루어진 얼음에 의해 희석되어 음료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음료 자체를 과냉각시켜 이로부터 빙정이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주로, 청주나 와인과 같은 술에 사용되고 있는 데, 술을 액상인 상태로 빙점 이하로 만들어 과냉각시키고, 이를 용기에 주입함으로써, 액상 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과냉각 액체를 이용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특개평10-9739호에는 과냉각용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데, 이 과냉각용 냉각 장치는, 냉각대상을 수납하는 냉동고와, 이 냉동고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져, 냉각대상을 냉각함에 따라 상기 냉각대상을 과냉각하도록 냉각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냉동고에는, 냉동고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센서는 제어장치에 접속되며, 제어장치에는 냉동고 내의 냉각대상의 온도와 진동의 강도로부터 냉동고 내의 냉각대상의 고화 유무를 감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3-214753호에는 음료수의 과냉각용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각장치는, 본체 내의 수납실의 일측벽을 따라 설치된 냉기 공급 덕트와 대향하는 타측벽을 따라 설치된 냉기 흡입 덕트와, 상측벽을 따라 설치되어 냉기 공급 및 흡입 덕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덕트를 구비하고, 연결 덕트 내에 냉기 팬이 설치되어 있으며, 냉기 공급 덕트는 수납실의 일측에 대향하는 냉기 유출구를, 냉기 흡입 덕트는 하단부에 냉기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수납실 내의 냉기의 흐름이 대략 균등해진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4-365468호에는 과냉각 액체음료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청주 등의 액체 음료의 냉동고 내에서 과냉각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냉동고로부터의 취출 타이밍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일 없이 동결음료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소정 두께를 갖는 발포 스티롤제의 용기 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진 단열용기의 수납부에, 청주 등의 액체 음료를 충진한 포장체를 수납하고, 이 단열용기를 냉동고 내에 넣어 음료의 응고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냉각한다. 이 때, 단열용기 내의 액체음료는 서냉되기 때문에, 과냉각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5-153953호에는 빙정핵 첨가에 따른 농축 또는 희석 알콜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과냉각상태의 알콜 음료에 빙정핵을 첨가해 빙결정을 석출시키고, 석출한 빙결정을 제거하거나, 과냉각상태의 알콜 음료에 빙정핵을 첨가해 빙결정을 석출시키고, 석출된 빙결정을 분리, 융해시키는 방법이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11-304315호에는 액체를 과냉각상태로 만드는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각장치는, 냉동고에 술 등의 과냉각 대상 액체가 충진된 용기를 수납배치하고, 설정수단에 설치된 각종 설정부에 의해 필요한 내용을 설정한다. 이 경우, 취출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취출시간이 완전히 제어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연산부는 취출시간 및 다른 설정내용에 의해 취출시간까지 액체를 과냉각상태로 만들도록 냉동고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고내온도제어패턴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인출해, 이 제어 패턴에 따라 컴프레서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냉동고내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 설정내용에 의해서는 취출시간까지 과냉각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재설정요구표시수단에 의해 취출시간연장, 수납용기개수감소 등을 구체적으로 표시해 재설정을 행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1-46029호에는 과냉각음료가 개시되어 있는 데, 이는, 캔 내에 수납된 음료를 과냉각시키고, 뚜껑을 개방하기 전에 이를 흔들어 얼음을 발생시켜 음용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모두 액상의 음료를 과냉각시키는 단계에서 과냉각되었는지 여부를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라도 간단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샤베트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액체를 과냉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용기에 따를 때에 소정 높이에서 용기에 떨어뜨려야 빙정 발생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그런데, 이렇게 높은 위치에서 과냉각된 액체를 용기에 주입시키면, 액체가 용기에 주입되면서 용기 외측으로 튀기 쉽다. 또한, 액체의 낙하되는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지 않으면, 액체가 용기 밖으로 주입되어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들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과냉각 음료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이를 용기에 주입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숙련된 사람만이 샤베트 음료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숙련되지 않고도 간단하게 과냉각된 음료를 이용해 샤베트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와, 음료수의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
음료수를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가 샤베트상이 되는 높이 이상의 높이로부터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상기 냉각된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
음료수를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용기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는 단계; 및
진동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된 용기에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진동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이거나, 전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상선 온도 이하로 과냉각된 음료수가 주입되는 용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킨 액상의 음료수를 주입할 때에, 이 음료수가 샤베트상으로 되는 높이로 상기 음료수의 주입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상선 온도 이하로 과냉각된 음료수가 주입되는 용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과냉각 상태의 음료수를 상기 용기에 주입할 때에, 상기 음료수가 샤베트상으로 될 정도의 진동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가하는 진동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동 인가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 진동장치이거나, 전자기장 진동을 가하는 전자기장 인가장치일 수 있다.
상기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수가 수납 가능한 복수개의 수납실;
상기 각 수납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상기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의 냉각 시간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타이머;
상기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의 과냉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수납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각 온도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 각 수납실의 온도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에 기초해, 이들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하여,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음료수의 과냉각 상태를 연산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각 수납실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베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 원리를 설명한다.
음료와 같이, 수용액의 경우, 어는 온도는 한 점이 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액상에서 고상으로의 액화가 시작되는 액상선 온도(Tl)와, 고상에서 액상으로의 액화가 시작되는 고상선 온도(Ts)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료는 액상으로만 존재하는 액상 영역(L), 고상으로만 존재하는 고상 영역(S), 및 액상과 고상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 영역(L+S)이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음료는 A점의 고상선 온도(Ts)를 지나도 곧바로 얼지 않고, B점의 온도까지 과냉각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A 점에서 동결이 시작되면, 응고잠열의 방출에 의해 온도는 C점의 고상선 온도(Ts)까지 상승하면서 1차 동결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으로, 음료는 온도가 천천히 떨어지면서 완전히 동결되게 된다. 이렇게 A점에서 B점에 이르는 과냉각 상태에서는 고상으로 되려는 힘과, 액상으로 되려는 힘이 밸런스를 이루고 있으며, 과냉각되어 있는 음료는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음료에 충격을 가해 에너지를 주게 되면 음료 내에서 불균일 핵생성을 유발하게 되어 얼음 결정이 생성된다. 특히, B점 부근에서는 음료에 작은 진동이 가해져도 급격한 동결이 발생된다.
이렇게 A점과 B점의 사이에 존재하는 과냉각 음료를 어느 시점(예컨대 D점)에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냉동고(5)로부터 취출해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음료는 고상선 온도(Ts)까지 온도가 상승되면서 동결이 시작되어, 얼음 핵들이 생성되며, 이와 아울러 음료의 온도는 혼합 영역(L+S) 내인 E점으로 온도가 상승된다.
이 E점은 고상과 액상이 공존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 E점에서 고상과 액상의 비율은 레버 룰(Lever Rule)에 따른다. 즉, E점에서의 액상율은 가 되고, 고상율은 가 된다.
따라서, 고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첫째, 음료를 A점과 B점 사이의 과냉각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고, 둘째, 이 과냉각 음료를 취출해 샤베트로 만들 때에 에너지, 즉, 충격을 가해 줘야 하며, 셋째, 얼음들을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해 음료를 고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영역에 어느 정도 유지시켜 줘야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음료를 과냉각시키는 방법인, 위 첫째 조건에만 주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간단하게 샤베트 음료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위 세가지 요건을 별다른 숙련도 없이도 만족시켜 줘야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을 고안하였다.
먼저, 음료수를 주입할 용기를 충분히 냉각시킨다. 이 때, 용기는 이 용기에 대한 냉각이 끝난 후에도 어느 정도 냉기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무기재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 글라스재, 사기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글라스재로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를 냉각시키는 것과 별도로, 음료수를 과냉각시킨다. 이 때, 음료수는 청량음료, 과즙음료 등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용기에 주입된 음료가 다채로운 색을 띨 수 있도록 여러 색상을 갖는 음료수를 같이 과냉각시킬 수 있다. 음료수의 과냉각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음료수가 수납되어 있는 냉동고(5)의 냉각온도와 냉각시간을 조절해, 음료수가 A점과 B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렇게 음료수의 과냉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는, 음료수를 과냉각상태로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다른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용기와 음료수를 각각 냉각 및 과냉각시킨 후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냉각한 용기(2)에 대해 소정의 높이(t)로부터 수납용기(21)에 수납되어 있는 과냉각상태의 음료수를 상기 용기(2)에 주입한다. 이에 따라, 이 과냉각 상태인 음료수는 도 1에 나타난 D점으로부터 E점으로 이동하여, 동결함과 동시에 고상과 액상이 혼합한 샤베트상이 된다.
이 때, 이 과냉각상태인 음료수를 주입하는 높이(t)로서는, 이 과냉각상태인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할 때에, 음료수가 순식간에 샤베트상이 되는 정도의 높이 이상의 높이가 되는 것으로, 해당 음료수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 한다. 예컨대,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수의 경우에는, 이 음료수 중의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면, 음료수의 어는점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하는 높이(t)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즙음료의 경우에는, 음료 중의 과즙 농도가 높아지면, 그 어는점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하는 높이(t)를 낮게 한다.
여기서, 액상인 음료수로부터 샤베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 음료수를 과냉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정의 높이(t)로부터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함에 따라, 이 음료수 중에 빙정발생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각상태인 음료수가 샤베트상으로 되는 높이 이상의 높이로부터 이 과냉각상태인 음료수를, 냉각시킨 용기에 주입한다. 그 결과, 과냉각된 음료수의 주입 높이(t)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이 음료수로부터 샤베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숙련되지 않은 사람도 간단하게 과냉각상태인 음료수를 이용해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샤베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음료수를 과냉각시키는 음료수 과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샤베트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음료를 과냉각시키는 음료 과냉각장치는 냉동고(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냉동고(5)는 복수개의 수납실(51)이 수납된 본체(50)를 구비한다. 각 수납실(51)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각 수납실(51)에는 복수개의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수납실(51)에는 수납실(5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5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수납실(51)의 냉동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53)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제어부(54)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54)에는 각 수납실(5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4)는 상기 각 온도 센서(52) 및 타이머(53)로부터 각 수납실(51)의 온도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각 수납실(51)의 상태를 연산해 체크하고, 이를 표시부(55)에 출력한다. 이들 수납실(51)에 수납된 수납용기의 음료 조성이 다르면, 이 음료수를 과냉각상태로 만들기 위한 냉각시간도 다르다.
상기 표시부(55)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각 수납실(51)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온도 센서(52) 및 타이머(53)의 데이터를 수치로 표현하거나, 적정 수납실(51)의 음료수들이 적정 과냉각도에 도달했을 경우 벨이나 램프가 ON되도록 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냉동고(5)에 따라, 사용자는 음료수를 손쉽게 과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고(5)의 제어부(54)에는 냉동고(5) 본체(50)의 냉기 조절부(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냉기조절부(56)는 각 수납실(51)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 냉기 조절부(56)는, 냉동고(5)의 각 수납실(51) 내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이들 수납실(51) 내에 수납된 수납용기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동장치(5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이 냉기 조절부(56)는, 냉동장치(57)를 ON/OFF 시킴과 아울러, 냉동장치(57)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각 수납실(51)에 차등 분배시킬 수 있다. 상기 냉동장치(57)는 냉동고의 콤프레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수납실(51)의 온도 및 시간 데이터에 의해 냉기 조절부(56)를 조절해 각 수납실(51)로 분배되는 냉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제어부(54)는, 각 온도 센서(52) 및 타이머(53)로부터 각 수납실(51)의 온도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에 기초해, 이들 각 수납실(51) 내에 수납된 수납용기 내의 음료수를 용기로 주입함에 의해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는 정도의 과냉각 상태를 연산해 표시부(55)에 표시하며, 동시에, 냉기 조절부(56)에 의한 각 수납실(51)의 온도조절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들 각 수납실(51)의 온도 센서(52) 및 타이머(53) 각각에 의한 온도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에 기초해, 이들 각 수납실(51) 내에 수납된 수납용기(21) 내의 음료수의 과냉각상태를 표시부(55)에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이 표시부(55)의 표시에 의해 각 수납실(51) 내에 수납시킨 수납용기 내의 음료의 과냉각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각 수납실(51) 내에서 과냉각상태로 된 음료수를 수납용기로부터 용기(2)로 주입함에 따라, 이 음료수로부터 용이하게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샤베트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간단하게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라도 용이하게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용기(2)로의 음료수를 주입하는 높이(t) 위치를 음료수를 주입하는 작업자가 조정했지만, 도시되지 아니한 높이 조정부로서의 높이 조정수단에 의해 이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할 때의 높이(t)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높이조정수단은, 음료수의 종류에 대응해 용기(2)로부터 수납용기(21) 사이의 높이(t)를 조정할 수 있는 데, 용기(2)가 안착된 안착부(3)로부터 수납용기(21)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주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샤베트 제조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용기(2) 및 음료수를 각각 냉각 및 과냉각시킨 후에, 상기 냉각된 용기(2)에 소정의 진동을 가한다. 이 진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을 비어 있는 냉각 용기에 가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에 전자기장 진동을 가할 수도 있고,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줄 수도 있다.
이 때, 높은 위치로부터 과냉각상태의 음료수를 용기(2)에 주입하는 경우에는, 이 음료수가 용기(2)에 주입되면서, 용기(2) 외부로 튀기 쉽다. 또, 이 때의 낙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지 않으면, 음료가 용기(2) 외부로 비산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과냉각상태인 음료를 제조해도, 이 음료를 용기에 주입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냉각 용기에 진동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냉동고로부터 취출해 상기 냉각 용기에 주입한다. 이에 따라, 음료수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D점에서 E점으로 진행되며, 동결과 아울러 고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가 된다. 이 때, 냉각되어 있는 용기에 진동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과냉각된 음료수를 용기(2)에 주입하기 때문에, 용기(2)에 음료수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음료수가 용기(2) 외부로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조방법을 위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진동 인가부(1)와, 안착부(3)를 갖는다.
상기 진동 인가부(1)는 과냉각상태로 된 액상의 음료수를 용기(2)에 주입할 때에, 이 음료수가 샤베트 상이 될 정도의 진동을 안착부(3) 상에 안착된 용기(2)에 가한다. 구체적으로, 이 진동 인가부(1)는 안착부(3)의 하부에 위치되어, 안착부(3)를 향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장치(11)가 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는 그 윗면에 용기(2)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안착부(3)와 진동 인가부(1)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진동 인가부(1)의 상면에 용기(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처리하여 안착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안착부(3)는 진동 인가부(1)의 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에 대한 냉각이 끝난 후에도 어느 정도 냉기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무기재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 유리와 같은 글라스재, 도자기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글라스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는 충분히 냉각된 용기(2)를 진동 인가부(1) 위에 위치된 안착부(3)에 안착하고, 초음파 진동장치(11)를 가동해, 안착부(3)에 안착된 용기(2)에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수납용기(21)에 수납되어 과냉각된 음료수를 상기 용기(2)에 주입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2) 내에서 음료수는 일부가 빙결이 되고, 이에 따라 고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장치(11)에 의한 초음파로 용기에 진동을 가함에 따라, 이 용기(2)를 보다 확실하고, 미세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용기(2)에 과냉각 상태인 음료수를 주입함에 따라 이 음료수로부터 샤베트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얼음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샤베트 음료를 특별한 노력과 주의없이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냉각 수단(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냉각수단(4)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초음파 진동장치(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 냉각수단(4)으로서는, 초음파진동장치(11)에 의해 초음파 진동이 가해질 수 있는 영역에 용기(2)를 안착시켜, 이 용기(2)를 냉각시키면 좋다. 따라서, 이 냉각수단(4)으로서는, 용기(2)의 외주면과 일치한 내주면을 갖고, 이 용기(2)의 설치에 의해 용기(2)와 결합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 경우, 냉각수단(4)은 안착부(3) 대신 사용 가능하다.
이 냉각수단(4)으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의 케이스(41) 내에 드라이 아이스(42)를 수납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냉기의 전도를 좋게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41)는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수단(4)에 의해 상기 용기(2)를 냉각시킬 필요가 없으며, 냉각된 용기(2)의 경우에도 그 냉기를 보다 장기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이, 진동 인가부(1)로서, 전자기장 인가장치인 전자기장 인가용 코일장치(14)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인가부(1)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5)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15) 상에는, 축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통상의 지지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2) 내측으로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 및 지지부재(12)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 외측의 베이스 플레이트(15) 상에는 전자기장 인가용 코일장치(14)가 동심상으로 설치된다. 이 전자기장 인가용 코일장치(14)는 상기 공간부(13)를 향해 전자기장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진동 인가부(1)의 공간부(13) 내에 냉각된 용기(2)가 수용 또는 이탈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는 충분히 냉각된 용기(2)를 진동 인가부(1)의 공간부(13) 내에 수납하고, 전자기장 인가용 코일장치(14)를 가동해, 공간부(13) 내에 수납된 용기(2)에 전자기장 진동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수납용기에 수납되어 과냉각된 음료수를 상기 용기(2)에 주입한다. 그러면, 이 음료수와 용기(2)와의 사이에 전자기장 특유의 작용인 자기 부유가 생긴 상태에서, 이 음료수로부터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샤베트가 용기(2) 내면에 달라붙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이 샤베트를 용기로부터 마시기 쉬워진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 중의 초음파진동장치를, 상기 전자기장인가용 코일장치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착부(3) 하방의 전자기장인가용 코일장치(14)에 의해 용기(2) 내에 주입되는 음료수를 전자기 교반시켜 샤베트상으로 만든다. 또,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예 중의 초음파진동장치를 전자기장인가용 코일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를 냉각수단(4)에 의해 냉각시키면서, 안착부(3) 하방의 전자기장인가용 코일장치에 의해 용기(2) 내에 주입되는 음료수를 전자기 교반시켜 샤베트상으로 만든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이, 상술한 도 6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공간부(13)내에 냉각수단(4)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에는 상기 용기(2)에 한 종류의 과냉각 음료를 주입하는 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가진 음료를 순차로 주입하여, 더욱 미려한 모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샤베트 음료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조건들을 간단하게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라 할 지라도 손쉽게 샤베트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과냉각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할 때에 튀거나 용기 외측으로 흘리는 일이 없게 되어, 청결하게 샤베트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과냉각된 음료수를 전자기장 진동에 의해 손쉽게 샤베트 음료로 만들 수 있다.
셋째, 샤베트 음료의 얼음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음료수를 손쉽게 과냉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음료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과냉각용 냉동고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진동 인가부 11: 초음파 진동장치
12: 지지부재 13: 공간부
14: 전자기장인가용 코일장치 15: 베이스 플레이트
2: 용기 3: 안착부
4: 냉각 수단 5: 냉동고
51: 수납실 52: 온도 센서
53: 타이머 54: 제어부
55: 표시부 56: 냉기 조절부
57: 냉동장치

Claims (10)

  1.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
    음료수를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가 샤베트상이 되는 높이 이상의 높이로부터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상기 냉각된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2.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
    음료수를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용기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는 단계; 및
    진동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된 용기에 상기 과냉각된 음료수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전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5. 고상선 온도 이하로 과냉각된 음료수가 주입되는 용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고상선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과냉각시킨 액상의 음료수를 주입할 때에, 이 음료수가 샤베트상으로 되는 높이로 상기 음료수의 주입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
  6. 고상선 온도 이하로 과냉각된 음료수가 주입되는 용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과냉각 상태의 음료수를 상기 용기에 주입할 때에, 상기 음료수가 샤베트상으로 될 정도의 진동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가하는 진동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인가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 진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인가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구비된 전자기장 진동을 가하는 전자기장 인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베트 음료의 제조장치.
  10. 음료수가 수납 가능한 복수개의 수납실;
    상기 각 수납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상기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의 냉각 시간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타이머;
    상기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의 과냉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수납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각 온도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 각 수납실의 온도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에 기초해, 이들 각 수납실에 수납된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하여, 샤베트를 제조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음료수의 과냉각 상태를 연산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각 수납실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KR1020040031324A 2004-05-04 2004-05-04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Abandoned KR20050106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24A KR20050106553A (ko) 2004-05-04 2004-05-04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JP2004141631A JP2005318869A (ja) 2004-05-04 2004-05-11 シャーベットの製造方法、その装置および飲料過冷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24A KR20050106553A (ko) 2004-05-04 2004-05-04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553A true KR20050106553A (ko) 2005-11-10

Family

ID=3546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324A Abandoned KR20050106553A (ko) 2004-05-04 2004-05-04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318869A (ko)
KR (1) KR2005010655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99B1 (ko) * 2006-07-01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151576B2 (en) 2006-02-15 2012-04-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US8196424B2 (en) 2006-02-15 2012-06-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upercooling and method of making slush through supercooling
KR20190115090A (ko) * 2017-02-28 2019-10-10 더 코카콜라 컴파니 과냉 음료를 위한 무수 얼음 결정 핵생성기
KR20220096322A (ko) 2020-12-31 2022-07-07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깻잎을 이용한 셔벗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셔벗
KR20220096321A (ko) 2020-12-31 2022-07-07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수 또는 생강을 이용한 샤베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2354B2 (en) 2013-10-28 2019-05-28 Supercooler Technologies, Inc. Precision supercooling refrigeration device
AU2015269242A1 (en) * 2014-06-06 2017-02-02 Douglas Shuntich Supercooled beverage crystallization slush device with illumination
US10358284B2 (en) 2016-06-16 2019-07-23 Sigma Phase, Corp.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10426180B1 (en) 2016-06-16 2019-10-01 Sigma Phase, Corp.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10543978B1 (en) 2018-08-17 2020-01-28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US11470855B2 (en) 2018-08-17 2022-10-18 Coldsnap, Corp. Providing single servings of cooled foods and drinks
US10612835B2 (en) 2018-08-17 2020-04-07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JP7580389B2 (ja) 2019-03-25 2024-11-11 ペプシコ・インク 飲料容器ディスペンサと飲料容器を出すための方法
WO2021055877A1 (en) * 2019-09-19 2021-03-25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US11337438B2 (en) 2020-01-15 2022-05-24 Coldsnap,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TW202202790A (zh) 2020-06-01 2022-01-16 美商寇德斯納普公司 用於快速冷卻食物及飲料的冷凍系統
US11827402B2 (en) 2021-02-02 2023-11-28 Coldsnap, Corp. Filling aluminum cans aseptically
KR102606890B1 (ko) * 2021-08-13 2023-11-29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576B2 (en) 2006-02-15 2012-04-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US8196424B2 (en) 2006-02-15 2012-06-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upercooling and method of making slush through supercooling
KR100844599B1 (ko) * 2006-07-01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15090A (ko) * 2017-02-28 2019-10-10 더 코카콜라 컴파니 과냉 음료를 위한 무수 얼음 결정 핵생성기
CN110494043A (zh) * 2017-02-28 2019-11-22 可口可乐公司 用于过冷饮料的无水冰晶成核剂
KR20220096322A (ko) 2020-12-31 2022-07-07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깻잎을 이용한 셔벗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셔벗
KR20220096321A (ko) 2020-12-31 2022-07-07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수 또는 생강을 이용한 샤베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18869A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6553A (ko) 샤베트 음료의 제조방법, 그 장치 및 음료수의 과냉각 장치
JP6823149B2 (ja) 空気混入した、又は泡立った質感を備える低温食品を、制御された方法で調製するためのマシン及びシステム
US5970735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of sculptures made of ice
US8778436B2 (en) Apparatus for and product method of making a frozen confectionery
US20180325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rozen confectionary product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CN105682469A (zh) 用于制备具有充气质构的冷却糖食产品的机器、系统和方法
US20170354298A1 (en) Cocktail shaker and chiller apparatus
AU2014379542A1 (en) Rapid spinning liquid immersion beverage supercoolers and ice accelerator aqueous solutions
JPH11502103A (ja) 液体供給用点滴器アセンブリ及び冷凍室への液体組成物供給方法
KR20080088944A (ko) 냉장고
JP2017531151A (ja) 照明を備えた、過冷却飲料を結晶化させてシャーベット状にする装置
KR101709870B1 (ko)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JP4333202B2 (ja) 製氷装置
WO2015189069A1 (en)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US202400357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ystallized forms of water
CN212692247U (zh) 一种高效制冰沙的冰箱
JP2001130697A (ja) 炭酸水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18915557U (zh) 一种制造冰块饮料一体机
JP2510831B2 (ja) 冷菓製造装置
KR200276871Y1 (ko) 수정얼음용기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되는수정얼음용기
JP2003028552A (ja) ビール等の清涼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ー
KR20030078234A (ko) 커피 자동판매기
US11740011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old beverage
JPH0223859A (ja) アルコール性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