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50089085A -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085A
KR20050089085A KR1020057012435A KR20057012435A KR20050089085A KR 20050089085 A KR20050089085 A KR 20050089085A KR 1020057012435 A KR1020057012435 A KR 1020057012435A KR 20057012435 A KR20057012435 A KR 20057012435A KR 20050089085 A KR20050089085 A KR 2005008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output
audio
mathematical value
mathema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385B1 (ko
Inventor
로날더스 엠. 아아츠
파울 에이. 고프
다니엘 더블유. 이. 쇼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61B5/02455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provided with high/low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4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display speed of moving landscape controlled by the user's perform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6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6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 A63B2230/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오디오 재생 장치는 측정기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mathematical cost)을 입력하기 위한 비용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는 수리적 값에 따라 출력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영향가능 및 조절 유닛으로서, 상기 조절 유닛은 수리적 값에 따른 재생 품질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생 품질로서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 및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은 또한 가능하다. 오디오 재생 장치, 측정 장치 및 사운드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수리적 값에 따른 재생 품질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Audio reproduction apparatus, feedback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영향 가능(user-influenceable) 측정치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mathematical cost)을 입력하기 위한 비용 입력부; 및
수리적 값에 따라 출력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오디오 소스;
사용자-영향 가능 측정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 측정 장치;
상기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 수리적 값 계산 유닛;
사운드 생성 장치; 및
오디오 소스로부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리적 값을 수신하고, 수리적 값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출력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생성 장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배열된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영향 가능 측정치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된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세서 실행용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데이타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재생 장치의 실시예는 미국출원 4,788,983에 공지된다. 공지된 장치는 음악을 듣기 원하는 스포츠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에 의해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다. 공지된 장치는 출력 오디오 신호로서 워크맨으로부터의 입력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들에 전송할 수 있는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조절 유닛은 심장 박동수(heart rate) 측정 장치로부터 수리적 값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그의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그가 그의 훈련 동안 사용하고자 하는 심장 박동수의 안전 윈도우(safe window)를 지정한다. 그의 심장 박동수가 너무 낮으면, 그는 충분한 운동량을 얻지 못한다. 다른 한편, 그의 심장 박동수가 너무 높으면, 그의 운동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조절 유닛은 측정된 심장 박동수가 요구된 윈도우내에 있으면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헤드폰들에 어떤 사운드도 전송하지 않는다.
공지된 장치의 단점은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조악한 조절(crude regulation)이 사용자에게 친숙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좁으면, 사용자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르게 뛰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의 음악을 놓쳐 버렸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도 1은 오디오 재생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오디오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오디오 재생 장치의 오디오 처리 수단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타 캐리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 및 6b는 수리적 값 함수의 각각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수리적 값의 함수로서 위치 품질의 예시적 사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오디오 재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출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신호의 조절에 관한한 비교적 다재능(versatile)의 서부두에서 기술된 종류의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절 유닛이 수리적 값(mathematical cost)에 따라 재생 품질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공지된 오디오 재생 장치의 조절 유닛은 스위칭 기능만을 수행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심장 박동수가 윈도우 밖에 있는 경우, 신호는 헤드폰들로 전송되지 않는다. 이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사용자가 상당히 가벼운 훈련중이면, 그는 절대적으로 사운드를 듣지 못할 것이다. 다시 보다 강한 달리기를 다시 시작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보다, 이것은 임의의 사용자에 대하여 동기를 약화시킨다. 임의의 기간 동안 사용자가 아래 레벨에 있고 여전히 음악을 듣도록 단계적인 변화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심장 박동수 측정들은, 예를 들어 가까운 제 2 사용자의 신호가 검출되면, 항상 신뢰적이지 않다. 그때 사용자는 그 자신의 제어밖에 어떤 것으로부터 곤란을 겪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수리적 값을 계산하는 전략들로서 실현되는 그의 스포츠 활동에 응답하는 보다 많은 다용도 전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다 많은 다용도 출력 오디오 제공 전략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출력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 오프하는 대신,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의 재생 품질을 변화시키는 옵션들을 제공한다. 이것은 사운드의 지각 가능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에 물리적 측정 및 결정 가능한 상관관계이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운드 진폭을 점차적으로 낮출수 있어서, 인식하기 어려운 음악을 유도한다. 선택적으로, 스테레오가 제공되면, 목표치 이하의 사용자는 오디오 재생 장치가 스테레오 대신 모노를 전달받는 곤란을 겪고, 이 경우 독립적인 출력 신호들의 수는 지각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의 재생 품질 측정치이다.
일실시예에서, 재생 품질은 가상 사운드 소스의 3차원 위치를 포함하고, 오디오 처리 수단은 출력 오디오 신호에 의해 가상 사운드 소스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몇몇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을 얻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오디오 처리 기능들의 세트중, 몇몇은 사용자 머리 주변 3차원 공간에 가상 사운드 소스의 오디오 배치를 실현한다. 이것은 특히, 조깅하는 사람 또는 자전거 운동기구상의 누군가와 같은 실제 또는 가상 거리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그가 일정한 속도로 달려야 하는 장치에서 훈련하면, 그는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실제 또는 가상 위치에 있어야 한다. 오디오 재생 장치들은 헤드폰들의 좌측 및 우측 라우드 스피커에 적당한 오디오 신호를 보냄으로써 가상 사운드 소스를 배치시킬 수 있고, 상기 가상 사운드 소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전면 1 미터 거리에 2개의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이다. 사용자가 너무 늦게 달리면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은 그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이것은, 요구되면 가상 라우드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덜 들리게 만듬으로써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다 빨리 달림으로써 라우드 스피커들에 대한 응보를 받을 수 있다. 합성 반향을 부가함으로써 다른 3차원 오디오 위치 품질 측정치들은 사용자 전면의 벽의 환영(illusion) 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에서, 오디오 처리 수단은 사용자 의존 헤드 관련 전달 기능(HRTF)을 가진 입력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여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하여 배열된 필터를 포함한다. HRTF에 의해, 가상 라우드 스피커 같은 사운드 소스는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헤드폰에 대한 입력 오디오 신호 및 우측 헤드폰 라우드 스피커는 각각의 HRTF에 의해 필터되고, 룸의 한 위치의 실제 라우드 스피커로부터 각각의 사용자 귀로 가상 사운드 룸을 통한 경로를 시뮬레이팅한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 또는 상기 변형의 추가 변화에서, 오디오 처리 수단은 신호 크기로부터 선택된 출력 오디오 신호의 특성 및 부가된 반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를 시뮬레이트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양쪽 특성들은 특정 3차원 오디오 위치 품질을 가진 사운드의 환청을 실현하기 위한 간단한 신호 처리 기능들이다.
오디오 처리 수단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와 함께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고, 오디오 처리 수단은 수리적 값에 따른 특정 스테레오 품질을 가진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스테레오 품질에 영향을 주는 신호 처리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은 사용자가 목표치 이하이면 서로 가깝게 이동되거나, 좌측 및 우측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에 대한 오디오 신호들은 사용자가 목표치 이하이면 보다 유사하게 되거나, 사용자가 목표치 이하이면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중 하나가 사라지는 것이다.
최종 옵션은 돌비 5.1 및 2 채널 스테레오 같은 다중채널 서라운드 사이의 점진적이거나 불투명한 스위치 처럼 실행될 수 있다. 스테레오 품질을 가변시키는 것은 스테레오 사운드의 폭넓은 존재가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재생 품질이 출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들의 분배 사양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출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콘텐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오디오 처리 수단은 다른 효과들을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치 이하 달성자는 오디오 신호의 베이스를 제거함으로써 곤란을 겪는다. 또한, 가상 사운드 소스의 3차원 위치는 오디오 처리 기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수단은, 사운드가 깊은 안개를 통과하는 긴 거리를 이동하거나, 가상 벽의 깊이에 잔류하여야 한다면 고주파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장치가 오디오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 오디오 신호의 순차적 유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품질 계산 유닛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재생 품질은 출력 오디오 신호의 특성이다. 오디오 재생 장치는 출력 오디오 신호에서 그것을 측정할 수 있지만 그 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우선 미지의 처리 알고리듬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상관 재생 품질은 제 1 품질 계산 유닛에 의해 결정되고 대응 처리 기능을 적용하는 오디오 처리 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은 스테레오 품질에 영향을 주고, 일반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어떤 수치적 스테레오 품질로 지정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정확도가 더욱 요구되면, 특정 각도 기능은 사용자 패널 검사들을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의 달리기 속도 및 그 자신의 각도 사이의 관계를 지정하거나, 미리 기억된 기능들의 수들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중 몇몇은 각도를 느리게 변화시키고 다른 것을 빠르게 변화시킨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가 출력 오디오 신호의 출력 품질 측정치를 측정하기위한 품질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처리 수단에 의해 출력 오디오 신호의 추후 유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파라미터 값을 계산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출력 신호의 품질이 측정되면, 추가 시간 동안 출력 오디오 신호상 처리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피드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피드백 제어 루프는 몇몇 동조 시간 후 요구된 재생 품질을 얻는다.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은 재생 품질 측정과 요구된 품질 측정치의 결과 사이의 비호환성을 고려할 수 있다. 파라미터 값은 이에 따라 변화되고, 요구된 오디오 출력 신호 재생 품질을 얻을때 까지 처리 기능을 조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포함되고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수리적 값은 오디오 재생 장치가 경쟁 게임에 사용되면 임의의 종류의 장치, 예를 들어 랜덤 생성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리적 값은 그의 달리기 속도, 심장 박동수 등 같은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코딩된 번호 같은 장치에 직접적으로 수리적 값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는 새로운 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서, 기성 측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의 변형에서,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측정치 및 선택된 값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0km/h 같은 그의 요구된 달리기 속도, 또는 180bpm 같은 요구된 심장 박동수인 선택된 값을 설정한다. 품질은 그 후, 실제 달리기 속도 마이너스 10km/h로서 결정된다. 그가 빨리 달릴수록, 재생 품질 변화는 커진다. 다른 버전에서, 그가 약간 빠르게 달리면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고, 더욱 심하게 달리면 오디오 처리 수단은 그가 선택된 값보다 심하게 달리는 시간 양에 따라 점차적으로 재생 품질이 변화하기 시작하돌고 배열된다.
이전 실시예의 다른 변형 또는 이전 변형에 부가하여,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생물학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엔지니어링 품질 오디오 시스템들 및 생물학 측정치들은 전체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기술 분야들이다. 명백히, 누구도 그것들을 결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생물학 측정 시스템들은 의사들과 밀접하게 협력하는 엔지니어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설계되고, 이 분야에서 우선적인 것은 측정 정확도 및 견고함 및 안정성이다. 오디오 재생 품질은 기호적인 예술 문제이다. 이것은, 생물학적 측정치들이 수치 디스플레이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실을 유도한다. 예외는 의학 모니터의 발신음이지만, 상기 모니터들의 오디오 기능성은 예술적인 재생 품질보다 단순화를 위하여 설계된다. 사용자가 운동하는 동안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를 관찰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운동 동안 생물학적 데이타의 사용자 친화적 피드백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운드는 제공될때 사용자의 귀에 자동적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은 조절 유닛이 수리적 값에 따른 재생 품질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의 유도를 위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최적으로 동조되는 것으로 모든 구성요소들이 실현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측정치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에 따른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은, 출력 신호가 수리적 값에 따른 특정된 재생 품질로 유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 방법,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타 캐리어의 이들 및 다른 측면들은 이후에 기술되는 실행예들 및 실시예들, 제한하지 않고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점선으로 도시된 이들 도면들은 요구된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다른 도면들의 선택에서 가상적이다. 도 3의 오디오 처리 수단의 도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된 모든 성분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필요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사용자(100), 즉 달리기 하는 사람을 도시한다. 그는 또한, 실내 로잉 머신(rowing machine)에서 노를 젓는 중이다. 그가 스포츠 활동을 하는 동안, 그는 MP3 플레이어 같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인 오디오 재생 장치(200)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로서 발생하고(도 2 참조), 통상적으로 헤드폰들인 사운드 재생 장치(102)의 좌측 및 우측 헤드폰 라우드 스피커(114 및 115)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듣는다. 음악의 재생 품질(R)은 사용자(100)의 스포츠 수행에 따라 오디오 재생 장치(200)에 의해 변화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주파수들없이 돌비 5.1과 모노 사이에서 가변한다. 예를 들어 그가 너무 느리게 달리면, 그는 나쁜 재생 품질(R)의 음악으로 벌칙을 받는다. 그의 수행은 다양한 센서들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의 스포츠 신발 또는 심장 박동수 미터(106) 같은 다른 측정 장치에 접속된 페이스 미터(108)는 측정 신호(m)를 유도한다. 심장 박동수 미터(106)에 대하여, 이런 측정치는 심전도의 PQRST 복잡성, 펄스들의 시간 시퀀스, 또는 심장 박동수를 나타내는 수일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이 측정치(m)를 재생 품질(R)로 전환한다.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간단한 변형에서, 오디오 재생 전략은 결정되고, 사용자(100)는 측정치가 수리적 값(c)으로 변환되는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실시예들은 모든 수리적 변화들이 처리기상에 운행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듬으로서 구현되지만, 전용 하드웨어 회로가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도 6a에서 심장 박동수가 [LL,LU] 처럼 놓이는 간격(iv)을 지정할 수 있다. 수리적 값 함수(602)는 좌표 시스템(600)에 도시되고 x 축은 심장 박동수 측정치(m) 마이너스 선택된 값(d)이고 y 축은 수리적 값(c)을 나타낸다. 이런 선택된 값(d)은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180bpm 처럼 그의 훈련을 위한 목표 심장 박동수로서 설정된다. 간격[LL,LU]은 선택된 값(d) 주변에서 대칭하거나 비대칭일 수 있다. 수리적 값 함수는 도 2의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하드웨어에서 결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는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311)에 의해 수리적 값이 m-d로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처럼 마커 값들(ML 및 MU)까지 수리적 값은 작은 기울기로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마커 값들 및 간격(iv)의 제한치들 사이에서 수리적 값은 보다 급격히 기울어지고 간격(iv) 외측에서 수리적 값은 매우 급격히 증가하다. 도 6b에 도시된 다른 수리적 값 함수(606) 사양에서, 수리적 값은 영이 아니고 훈련 간격(iv) 외측에서만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 사용자(100)는 그가 너무 느리게 달리면 음의 값들을 가진 비용 함수로 설계된다. 그때, 음의 비용은 재생 동안 가상 사운드 소스의 음의 각도(α)로서 쉽게 맵핑되고, 양의 비용은 양의 각도(α)로서 너무 높은 속도들에 대응한다. 이런 방식에서 양쪽 경우들은 쉽게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훈련 간격 제한들, 선택된 값(d) 이하의 측정치들만이 영이 아닌 비용들을 유도하는지를 오디오 재생 품질(R)의 변화 속도로 변환될 수 있는 비용 변화의 속도를 선택함으로써 비용 함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311)은, 마커 값들 및 기울기들의 수치 값들을 타이핑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거나, 그래프적으로 수리적 값 함수(602)를 사용자가 그리도록 하는 처리기에서 운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결정된 오디오 재생 전략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다. 여기서 재생 품질(R)은 출력 오디오 신호가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지각하여 발생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o)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임의의 사양인 위치 재생 품질(P)을 텍스트의 나머지에서 호출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가상 사운드 소스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멀리에서 인식되거나, 도 7에서, 사용자 머리 주변 가상 사운드 소스의 각도(α)이다. 사용자(100)가 요구된 목표 속도로 달리면, 수리적 값(c)은 제로이고 각도(α)는 제로 등급이다. 즉, 가상 사운드 소스는 사용자(100)의 전면에서 우측이다. 달리는 사람이 너무 늦게 달리거나 빠르게 달리면, 도 6b와 같은 사양을 가진 수리적 값(c)은 응답하여 감소하거나 증가하고, 가상 사운드 소스는 좌측 응답으로 이동한다. 사운드 소스는, 사용자(100)가 어떤 시간 양 동안 다시 요구된 속도로 달리거나 다시 선택된 값(d)의 요구된 속도로 달릴때까지 사용자 뒤에서 머무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사운드 소스는 사용자(100) 뒤쪽에서 시작하여, 달리는 사람을 보다 성가시게 한다.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보다 진보된 변형들에서, 사용자(100)는 수리적 값(c)의 함수로서 재생 품질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지정할 수 있다. 그는 예를 들어, 수리적 값(c)의 선형 함수로서 출력 오디오 신호(o) 및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o2)에 의해 생성된 제 2 가상 사운드 소스(154) 및 제 1 가상 사운드 소스(152) 사이의 각도(160)를 스테레오 품질(S)로서 출력하는 도 3의 제 1 품질 계산 유닛(330)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그는 가상 룸에서 가상 라우드 스피커의 거리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하여 수리적 값(c)의 함수로서 반향들의 양을 부가하는 선택적이거나 부가적인 오디오 처리 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다른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반복적인 스트레인 손상(RSI) 또는 비활동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100)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의 앞쪽 또는 텔레비젼(TV)의 전면 침상에 위치한다. 사운드 생성 장치(102)는 PC 또는 텔레비젼에 접속된 라우드 스피커이다. 선택된 값(d)은 사용자(100)가 중단하기전에 TV를 시청하거나 작업하기 원하는 시간 양이다. 수리적 값(c)은 시작 시간(t0) 마이너스 선택된 값(d)이 연속적으로 TV를 시청하거나 작업하는데 허용된 시간이기 때문에 경과된 시간양(t)에 의해 결정된다.
t-t0>d 이면, c = (t-t0) - d;
t-t0<d이면 c = 0 [1]
TV 또는 PC의 2개의 라우드 스피커들로 인해, 가상 사운드 소스 위치는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도 2는 기본 형태의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입력 오디오 신호(i)는 예를 들어 휴대용 MP3 플레이어 또는 PC의 사운드 카드로부터 입력 수단(204)을 통하여 나온다. 입력 오디오 신호(i)는 오디오 재생 장치(200) 내외측에서 나올수있다. 후자의 경우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CD 플레이어 유닛 또는 임의의 다른 내부 오디오 소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i)는 모노 또는 다중 채널 오디오일 수 있다. 측정 장치(212)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 수리적 값 계산 유닛(210)으로부터 수리적 값(c)을 수신하기 위한 비용 입력부(208)가 있다. 수리적 값 계산 유닛(210)은 오디오 재생 장치(200)에 통합될 수 있거나 측정 장치(21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측정 장치(212)는, 예를 들어 시계인 경우 오디오 재생 장치(200)내에 통합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통합되지 않는다.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수리적 값(c)에 따른 재생 품질(R)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유도하기 위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i)를 처리하도록 배열된다. 출력 오디오 신호(o)는 출력부(206)로 진행하고, 상기 출력부에 라우드 스피커(214)가 접속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수단(216)은 가변하는 재생 품질로 인한 지각할 수 있는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의 출력 오디오 신호(o)에 단일 파라미터 함수를 수행할 수 있거나, 다중 처리 알고리듬은 도 3에서 처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오디오 처리 수단(216)의 실시예인 오디오 처리 수단(316)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오디오 처리 수단(316)에서, 다수의 처리 유닛들은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다양한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순수하게 도시되고, 다른 결합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오디오 처리 수단(316)은 제 1 라우드 스피커(314)에 출력 오디오 신호(o)를 공급하고, 요구되면 제 2 라우드 스피커(315)에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o2)를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많은 오디오 처리 알고리듬에 대하여, 재생 품질(R)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추후 오디오 처리는 재생 품질(R)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재생 품질(R)은 출력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설정되는 경우 처럼 오디오 처리 알고리듬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것은 가변 이득 증폭기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사용자 패널 검사들 또는 오디오 재생 장치(200)의 실제 사용자들의 선호도는 예를 들어 제 1, 제 2 또는 데 3 처리 알고리듬(320, 322, 324)인 적당한 처리 알고리듬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측정 장치(352)로부터 제 3 수리적 값(c3)은 예를 들어 간격 테이블을 포함하는 알고리듬 선택기(326)로 진행한다. 제 3 수리적 값(c3)이 제 1 간격내에 속하면, 제 1 처리 알고리듬(320)은 선택된다. 상기 구성은 제 3 수리적 값 값(c3)에 따라 완전히 다른 알고리듬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1 알고리듬은 제 1 간격에서 제3 수리적 값(c3)이 속하는 경우에 따라 두개의 가상 라우드 스피커들 사이에서 각도(160)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 3 수리적 값(c3)이 제 1 간격 및 제 2 간격 외측에 속하도록 너무 높게되면, 제 2 처리 알고리듬(322)은 선택되어, 가상 라우드 스피커로부터 신호들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그것들 사이의 각도(160) 및 신호 크기들 모두를 변화시킨다. 재생 품질(R)이 처리 전에 설정되는 다른 실시예는 헤드 관련 전달 함수(HRTF)에 의해 가상 사운드 소스의 사용자(100) 헤드 주변 구상에 하나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헤드폰들을 쓸때, 입력 오디오 신호(i)는 좌측 헤드폰 라우드 스피커(114)에 대한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얻기 위하여 특정 제 1 HRTF를 사용하고 우측 헤드폰 라우드스피커(115)에 대한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o2)를 얻기 위하여 특정 제 2 HRTF를 사용하여 필터(332)에 의해 필터링함으로써 가상 사운드 소스 위치로부터 나오도록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양쪽 HRTF들은 유닛 구상에 2개의 각도들로서 지정된 가상 사운드 소스의 요구된 위치에 따를 수 있고 다수의 다른 위치들에 대한 HRTF를 포함하는 메모리(334)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 1 품질 계산 유닛(330)은 추가 오디오 처리를 위하여 필요한 재생 품질(R)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된 경우 제 1 품질 계산 유닛(330)은 제 1 수리적 값(c1)의 선형 함수로서 HRTF를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된 가상 사운드 소스의 각도(α)를 계산한다. 제 1 수리적 값(c1)은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은 함수를 평가하는 수리적 값 계산 유닛(310)에 의해 측정 장치(312)로부터 유도된다. HRTF들을 측정하는 것의 상세한 것은 특허 WO 01/49066 및 논문 "F.L. Wightman and D.J. Kistler: Headphone simulation of free field listening. I: Stimulus synthesi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 of America 85 no.2, Feb. 1989, pp. 858-867"에서 발견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재생 품질(R)은 출력 오디오 신호(o)의 재생 품질(R)과 특정 처리 사이의 관계가 공식화하기에 너무 복잡하거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출력 오디오 신호(o) 그 자체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피드백은 우측 처리 알고리듬 또는 파라미터 처리 알고리듬에 대한 우측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품질 측정 수단(344)은 출력 오디오 신호(o)의 출력 품질 측정치(M)를 측정한다. 제 2 품질 계산 유닛(340)으로부터 출력 품질 측정치(M) 및 요구된 재생 품질(R)은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346)에 공급된다. 이들 2개의 파라미터들로부터, 파라미터 값(pv)은 오디오 처리 유닛에 의한 추후 처리를 조종하기 위하여 계산되고, 이것은 특정 처리 알고리듬을 선택하거나 파라미터 알고리듬의 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제어 이론으로부터 알려진 임의의 기술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파라미터 값(pv)은 방정식[2]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
pv = δ(M-R) [2]
실제 파라미터 값(pv)은 필요하다면 출력 품질 측정치(M)가 재생 품질(R)보다 요구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의 다른 함수인 것을 고려하여 M 및 R의 임의의 함수일 수 있다.
출력 품질 측정치(M) 및 제 1 수리적 값(c1)으로부터 유도된 재생 품질(R) 사이의 요구된 함축적 기능성이 사용자(100)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360),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감지 패널, 또는 동조 노브(knob)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311)으로 인해, 사용자(100)는 제 1 수리적 값(c1) 및 재생 품질(R)에 대응하는 것으로 전환되는 복수의 요구된 측정 값들(d)을 지정할 수 있다. 요구된 측정 값들(d)을 입력하는 대신, 사용자(100)는 또한 요구된 수리적 값들(cs)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런 학습 단계 동안, 각각의 재생 품질(R)을 위하여, 대응하는 출력 품질 측정치들(M)을 가진 다수의 처리 알고리듬들은 조사된다. 사용자(100)에 의해 요구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에 대응하는 출력 품질 측정치(M)에 도달될때, 사용자(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학습 제어 접속부(lc)를 통하여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346)에 상기 측정치를 가리킨다. 그 다음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346)은 쌍 재생 품질(R) 및 파라미터 값(pv)을 기억하여, 동작 동안 피드백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오히려 측정치(m)에 대응하는 재생 품질(R)로부터 올바른 파라미터 값(pv)가 오디오 처리 유닛(342)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학습 제어 접속부(lc)는 출력 선택기(370)를 설정함으로써 요구된 재생 품질(R)을 가진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얻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처리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지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수단(316)에서 사용자 선호도를 집어넣는 다른 실시예는 제 2 사용자 입력 수단(361)으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100)는 알고리듬 선택기(326)에 제 2 요구된 수리적 값(cs') 및 대응 요구된 처리 알고리듬 선택(na)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많은 경우들에서, 정확하게 지각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 예를 들어 가상 사운드 소스의 정확한 위치는 중요하지 않고,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이 모노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주의된다. 이것은 재생 전략 요구를 융통성있게 한다. 수리적 값에 가상 사운드 소스 각도의 임의의 맵핑은 이미 충분할 수 있다.
많은 처리 알고리듬은 선택된 알고리듬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품질(R)에 대응하는 몇몇 지각가능한 사이코-어쿠스틱 품질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주파수 재생은 수리적 값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특정 재생 품질(R) 또는 재생 품질(R)의 일부로서, 사양(SPEC)은 출력 오디오 신호(o)의 스펙트럼 콘텐트를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양(SPEC)의 일예는 실질적으로 사운드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는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FL1 또는 제 2 로우 주파수 FL2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요구된 속도에 근접하게 달리면, 베이스 주파수들은 제 1 로우 주파수(FL1) 이하 모든 방식이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느리게 달리면, 그는 제 1 주파수(FL1) 및 제 2 로우 주파수(FL2) 사이의 베이스 주파수들을 잃는다. 사양(SPEC)의 다른 예는 범위[FL3,FH] 에너지와 비교되는 베이스 범위[FL1, FL2] 에너지 퍼센트이다. 임의의 등가 전략은 비용(c)의 함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블(trebble)의 양은 비용(c)의 함수일 수 있다.
관심있는 알고리듬은 사용자(100)의 머리 주변 3차원 둥근 돔(150)에 의하여 수리적 값 함수를 설정한다. 그가 너무 느리게 달리면, 그의 머리(158)의 가상 위치와 증가된 수리적 값(c), 및 감소된 재생 품질(R)을 유도하는 둥근 돔의 마크 포인트(156)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재생 품질(R)은 사용자(100)가 그에게 훈련 허용오차를 제공하는 둥근 돔(150) 안쪽에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달리기와 비교되는 둥근 돔(150)의 가상 움직임은 사용자가 교통 신호들을 기다릴때조차 트랙을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황은 예를 들어 그가 버튼을 누를때 식별된다. 둥근 돔(150) 안쪽에 있을때, 사운드는 사용자가 방에 대응하는 HRTF들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방안에 있는 것처럼 소리를 낼 수 있고, 둥근 돔(150) 외측에 있을때, 사운드는 둔하게 소리를 낸다.
가상 사운드 소스의 거리는 또한,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 유닛(342)은 입력 오디오 신호(o) 및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o2)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상 사운드 소스의 거리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반향은 부가될 수 있다. 하나의 방에서 사운드 소스가 근처에 있으면, 반향이 거의 없지만, 사운드 소스가 멀리 있으면, 보다 큰 비율의 반향이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가상 제한 통로들은 생성되고 그 위에서 가상 사운드 소스는 사운드를 반사시킨다.
다수의 옵션들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스테레오 품질(S)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가상 사운드 소스(152) 및 제 2 가상 사운드 소스(154) 사이의 각도(160)는 수리적 값(c)이 증가할때 감소되어, 스테레오 품질(S)을 낮춘다. 제 1 및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o, o2)는 보다 유사할 수 있다. 스테레오에서 모노로의 하드 스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스테레오 신호에서 다중 채널 오디오는 이해되고, 대응 스테레오 품질(S)은 예를 들어 다수의 채널들이다.
스테레오와 모노 사이의 점진적 변화의 예는 다음 방정식들에 따른 변화된 스테레오 신호들(L' 및 R')을 계산함으로써 실현된다.
[3]
0 및 1 사이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함으로써, 모노와 스테레오 사이의 변하는 이루어진다.
측정 장치(312) 및 제 2 측정 장치(352)는 사용자(100)의 위치를 가리키는 클럭 또는 G.P.S. 센서 같은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특히, 달리기 신발에 연결된 페이스 미터, 가슴띠 또는 귓볼 심장 박동수 미터(106), 온도계 같은 생물학적 측정 장치일 수 있다. 이들 측정 장치들은 스포츠 성능 측정에 사용될때 관심있다. 측정 장치(312)는 전문 훈련 장치, 예를 들어 내부 조깅을 위한 회전 벨트에 통합될 수 있다. 건강하지 못하면 달리는 스타일은 피드백될 수 있다.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제 2 측정 비용(c2)은 비용 결정 수단(313), 예를 들어 랜덤 생성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의 운에 따라, 사용자의 100 측정 비용은 제 2 측정 비용(c2)으로 다시 설정되고 그는 제 2 측정 장치(352)로부터 제 2 수리적 값 계산 유닛(350)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같이 제 3 측정 비용(c3)의 레벨을 다시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심하게 달려야 한다.
도 4는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오디오 소스(421)는 입력 오디오 신호(i)를 조절 유닛(402)으로 전달한다. 오디오 소스(421)는 피트니스 센터의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 또는 오디오 분배 서버일 수 있다. 측정 장치(412)는 수리적 값 계산 유닛(410)에 의해 조절 유닛(402)에 입력되는 수리적 값(c)으로 전환되는 측정(m)을 수행한다. 조절 유닛(402)은 사운드 생성 수단(414), 예를 들어 텔레비젼들의 헤드폰들 또는 라우드 스피커들의 쌍으로 보내진 수리적 값(c)에 따라 재생 품질(R)의 출력 신호(o)를 얻기 위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416)을 포함한다. 측정 장치(412), 수리적 값 계산 유닛(410), 조절 유닛(402), 오디오 소스(421), 및 사운드 생성 수단(414)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오디오 재생 장치는 조절 유닛(402), 오디오 소스(421) 및 수리적 값 계산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트랙커(tracker)는 제공되어, 가상 사운드 소스들의 위치들은 사용자(100) 헤드의 이동에 대해 수정된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환경에서 임의의 사운드들을 픽업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고(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그들은 개선된 안정성을 위하여 사운드 생성 장치(414)에 대한 신호와 혼합한다.
예를 들어 비용 함수의 사양은 사용자(100)에 의해 행해지는 대신 제 2 사람, 예를 들어 개인 트레이너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예를 들어 인터넷 같은 채널에서 발생한다. 상기 사양은 사용자(100), 예를 들어 그의 PC에서 다른 시간에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오디오 재생 장치로 무선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한달의 훈련 스케쥴을 형성할 수 있다. 함수들의 파라미터 및 함수들은 심지어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사한 훈련 기간을 원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훈련 동안 이루어지고 메모리에 기억된 사양은 예를 들어 훈련 개선 같은 추가 분석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컴퓨터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제한하기 보다 당업자가 청구항들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사항들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에 결합된 본 발명의 성분들의 결합과 별개로, 당업자에 의해 지각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성분들의 다른 결합들은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된다. 성분들의 임의의 결합은 단일 전용 성분으로 실현될 수 있다. 청구항에서 임의의 참조 번호는 청구항을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되지 않는다. 단어 "포함하다"는 청구항에 나열되지 않은 성분들 또는 특징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성분의 앞에 있는 단어 "하나(의)"는 다수의 상기 성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운행에 의해 실행되고, 신호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된 데이타 캐리어상에 기억된다.

Claims (15)

  1.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영향 가능(user-influenceable) 측정치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mathematical cost)을 입력하기 위한 비용 입력부; 및
    상기 수리적 값에 따라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수리적 값에 따른 재생 품질을 가진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품질은 가상 사운드 소스의 3차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에 의해 상기 가상 사운드 소스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은, 사용자 종속 헤드 관련 전달 함수(user dependent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여 상기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를 시뮬레이트하도록 배열된 필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은, 신호 진폭 및 부가된 반향(reverberation)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사운드 소스의 위치를 시뮬레이트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와 함께 제 2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은 상기 수리적 값에 따른 특정 스테레오 품질을 가진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품질은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분포 사양(specification of a distribution of frequencies)을 포함하는,오디오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추후 유도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재생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품질 계산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출력 품질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품질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의 추후 유도에 사용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을 계산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상기 측정치 및 선택된 값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적 값 계산 유닛은 생물학적 측정치로부터 상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2. 오디오 소스;
    사용자-영향 가능 측정치를 전달하기 위하여 배열된 측정 장치;
    상기 측정치로부터 수리적 값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열된 수리적 값 계산 유닛;
    사운드 생성 장치; 및
    상기 오디오 소스로부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리적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리적 값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생성 장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배열된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수리적 값에 따른 재생 품질을 가진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배열된 오디오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피드백 시스템.
  13. 사용자-영향 가능 측정치로부터 유도된 수리적 값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수리적 값에 따른 특정 재생 품질을 가지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 유도 방법.
  14. 제 13 항의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세서 실행용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 14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데이타 캐리어.
KR1020057012435A 2002-12-30 2003-12-04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80569 2002-12-30
EP02080569.3 2002-12-30
PCT/IB2003/005925 WO2004058059A2 (en) 2002-12-30 2003-12-04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feedback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085A true KR20050089085A (ko) 2005-09-07
KR101101385B1 KR101101385B1 (ko) 2012-01-02

Family

ID=3266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4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385B1 (ko) 2002-12-30 2003-12-04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60147068A1 (ko)
EP (1) EP1582090B1 (ko)
JP (1) JP4739762B2 (ko)
KR (1) KR101101385B1 (ko)
CN (1) CN1732713B (ko)
AT (1) ATE528931T1 (ko)
AU (1) AU2003303362A1 (ko)
ES (1) ES2375183T3 (ko)
WO (1) WO20040580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442A (ko) * 2003-12-23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입체음향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DE102004035046A1 (de) * 2004-07-20 2005-07-2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oder Kommunikationssystem mit virtuellen Signalquellen
CN101119773B (zh) 2005-02-14 2010-09-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再现人体感知信号的电子设备和方法
DE102005016275A1 (de) * 2005-04-08 2006-10-12 Partner Tech Corp., Shin Tien MP3-Abspielgerät mit einer Trainingsmessvorrichtung
EP1919573B1 (en) * 2005-08-08 2012-08-01 Dayton Technologies Limited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US7771320B2 (en) 2006-09-07 2010-08-10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sensing and/or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CN103007493B (zh) * 2006-09-07 2016-06-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运动表现跟踪系统和方法
US8270616B2 (en) * 2007-02-02 2012-09-18 Logitech Europe S.A. Virtual surround for headphones and earbuds headphone externalization system
US7585252B2 (en) 2007-05-10 2009-09-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ersonal training device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audio
TW200913758A (en) * 2007-06-01 2009-03-16 Manifold Products Llc Wireless digital audio player
RU2509587C2 (ru) * 2008-08-12 2014-03-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й
JP2010136864A (ja) * 2008-12-11 2010-06-24 Kddi Corp 運動支援装置
DE102010009745A1 (de) * 2010-03-01 2011-09-01 Gunnar Eisenbe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Audiodaten
EP2409736A1 (en) * 2010-07-22 2012-01-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operating a training device
JP5704013B2 (ja) * 2011-08-02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18318A (zh) * 2013-01-12 2013-05-22 苏州市伦琴工业设计有限公司 全方位可控流动环绕立体声系统
CN103347245B (zh) * 2013-07-01 2015-03-25 武汉大学 一种立体声系统中恢复声源方位信息的方法与装置
US10595147B2 (en) 2014-12-23 2020-03-17 Ray Latypov Method of providing to user 3D sound in virtual environment
WO2017010935A1 (en) * 2015-07-16 2017-01-19 Creative Technology Ltd Workout monitoring device with feedback control system
US10206042B2 (en) * 2015-10-20 2019-02-12 Bragi GmbH 3D sound field using bilateral earpieces system and method
US10051372B2 (en) * 2016-03-31 2018-08-14 Bose Corporation Headset enabling extraordinary hearing
US9584946B1 (en) * 2016-06-10 2017-02-28 Philip Scott Lyren Audio diarization system that segments audio input
EP3727145B1 (en) * 2017-12-22 2024-01-24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hysiological sensing in vehicles
JP7202385B2 (ja) * 2017-12-22 2023-01-11 レスメッド 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健康および医療的感知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918A (en) * 1976-07-21 1978-09-05 Cyborg Corporation Modular biofeedback training system
US4788983A (en) * 1985-07-31 1988-12-06 Brink Loren S Pulse rate controlled entertainment device
CN1018790B (zh) * 1989-08-28 1992-10-21 求桑德有限公司 声音成象的方法和装置
JPH05250589A (ja) * 1992-03-06 1993-09-28 Mazda Motor Corp 警告装置
US5662117A (en) * 1992-03-13 1997-09-02 Mindscope Incorporated Biofeedback methods and controls
US5343871A (en) * 1992-03-13 1994-09-06 Mindscope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ofeedback
US5567901A (en) * 1995-01-18 1996-10-22 Ivl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timbre and/or pitch of audio signals
US5742689A (en) * 1996-01-04 1998-04-21 Virtual Listening System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multichannel signal for use with a headphone
US5809149A (en) * 1996-09-25 1998-09-15 Qsound Labs, Inc. Apparatus for creating 3D audio imaging over headphones using binaural synthesis
AUPO316096A0 (en) * 1996-10-23 1996-11-14 Lake Dsp Pty Limited Head tracking with limited angle output
JPH10207340A (ja) * 1997-01-24 1998-08-07 Sony Corp 仮想空間生成装置及び仮想空間生成方法
US6102846A (en) * 1998-02-26 2000-08-15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using images
US6230047B1 (en) * 1998-10-15 2001-05-08 Mchugh David Musical listening apparatus with pulse-triggered rhythm
NL1011538C2 (nl) * 1999-03-11 2000-09-12 Stertil Bv Voertuighefinrichting.
US6572511B1 (en) * 1999-11-12 2003-06-03 Joseph Charles Volpe Heart rate sensor for controlling entertainment devices
IL133061A (en) * 1999-11-21 2010-06-30 Pelimor Ltd A method for playing music in real time 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eartbeat and a device for its use
JP2001212240A (ja) * 2000-01-31 2001-08-07 Sky Com:Kk 仮想現実を用いた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ゲーム機
KR100371496B1 (ko) * 2000-02-26 2003-02-11 엠엠기어 주식회사 다채널헤드폰
KR20020054263A (ko) * 2000-12-27 2002-07-06 차태욱 헬스용 기기의 운동량 체크 장치 및 체크 방법
US20040042629A1 (en) * 2002-08-30 2004-03-04 Mellone Charles M. Automatic earpiece sensing
US7383267B2 (en) * 2005-03-30 2008-06-03 Sap Ag Standardized integration model for distributed business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303362A8 (en) 2004-07-22
EP1582090A2 (en) 2005-10-05
JP4739762B2 (ja) 2011-08-03
JP2006512819A (ja) 2006-04-13
ATE528931T1 (de) 2011-10-15
AU2003303362A1 (en) 2004-07-22
US20060147068A1 (en) 2006-07-06
WO2004058059A3 (en) 2004-12-16
CN1732713B (zh) 2012-05-30
CN1732713A (zh) 2006-02-08
ES2375183T3 (es) 2012-02-27
KR101101385B1 (ko) 2012-01-02
WO2004058059A2 (en) 2004-07-15
EP1582090B1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385B1 (ko) 오디오 재생 장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US7012182B2 (en) Music apparatus with motion picture responsive to body action
US7732694B2 (en) Portable music player with synchronized transmissive visual overlays
EP2150318B1 (en) Personal training device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audio
JP3624805B2 (ja) 音像定位装置
CN113318432B (zh) 游戏中的音乐控制方法、非易失性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003177749A (ja) ステップに合わせて音楽を流す装置
CN110915240B (zh) 向用户提供交互式音乐创作的方法
US20060072764A1 (en) Audio based data repres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8079850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59456A (ja) 放音制御装置
CN111202509B (zh) 基于听觉表现策略的靶心率监控方法及装置
JP5381293B2 (ja) 放音制御装置
WO2021192072A1 (ja) 室内用音環境生成装置、音源装置、室内用音環境生成方法および音源装置の制御方法
JP2004093613A (ja) 演奏処理装置、データ管理装置、評価用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nghani et al. Real-time spatial 3D audio synthesis on FPGAs for blind sailing
CN106952637B (zh) 一种可交互式音乐的创作方法和体验装置
JP2005051801A (ja) 音像定位装置
JPH1023600A (ja) 音像定位装置
JP2019525221A (ja) 音楽指導の方法
Jap et al. Real-time mapping of periodic dance movements to control tempo in electronic dance music
JP4581202B2 (ja) 身体情報測定方法、身体情報測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身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4407757B2 (ja) 演奏処理装置
JP2022080300A (ja) 電子装置及び電子ドラム
Buloup et al.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Sound in Golf Putting Experi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926

Appeal identifier: 2011101005594

Request date: 20110816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PJ0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816

Decision date: 20110926

Appeal identifier: 201110100559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9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