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50087956A -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956A
KR20050087956A KR1020040013681A KR20040013681A KR20050087956A KR 20050087956 A KR20050087956 A KR 20050087956A KR 1020040013681 A KR1020040013681 A KR 1020040013681A KR 20040013681 A KR20040013681 A KR 20040013681A KR 20050087956 A KR20050087956 A KR 2005008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frequency
bitplane
audio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회
미아오레이
이시화
김상욱
오은미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956A/ko
Priority to EP05251075A priority patent/EP1569203A3/en
Priority to US11/066,431 priority patent/US7617110B2/en
Priority to JP2005052508A priority patent/JP5384780B2/ja
Priority to CN200510071781A priority patent/CN100588124C/zh
Publication of KR2005008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956A/ko
Priority to JP2012173392A priority patent/JP2012226375A/ja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그 부호화 방법은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단계;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신호로 맵핑하는 맵핑단계; 및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에 대해,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결정된 확률모델을 통해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복호화 방법은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bb)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소정의 손실복호화하는 단계;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무손실복호화하는 단계;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하는 단계; 및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의 분포에 관계없이 통계적인 분포를 통하여 만들어진 모델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며, 문맥기반 부호화 방식을 통하여 BPGC보다 우월한 압축률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Lossless audio decoding/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부호화/복호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식은 MLP(Meridian Lossless audio compression), Monkey's Audio, Free Lossless Audio Coding 등이 있으며, MLP의 경우에는 DVD-A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의 네트워크 대역폭이 증가하면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제공되어지고 있으며, 오디오의 경우 무손실 오디오 방식이 필요하다. EU에서는 이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한 방송국이나 컨텐츠 제공자들은 오디오 무손실 부호화 방식을 이용고 있다. 이에 MPEG 그룹에서도 ISO/IEC 14496-3:2001 / AMD 5, Audio Scalable to Lossless Coding(SLS)의 이름으로 무손실 오디오 압축방식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이는 FGS(Fine Grain Scalablity)를 제공하며 무손실 오디오 압축이 가능한 기술이다.
무손실오디오 압축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압축률은 데이터 간의 중복정보를 제거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중복정보는 인접 데이터간의 예측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인접 데이터간의 문맥을 통해 제거될 수도 있다.
정수(integer) MDCT 계수는 라플라시안 분포를 보이며, 이러한 분포에서는 골롬(Golomb) 코드라는 압축 방식이 최적의 결과를 보인다. FG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트플레인 코딩이 필요한데 상기 Golomb 코드와 비트플레인 코딩을 조합한 것이 BPGC(Bit Plane Golomb Coding)이라 불리우며, 이는 최적의 압축률과 FGS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가진다는 가정은 실제 데이터 분포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BPGC는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한다고 가정하고 고안된 알고리즘이므로 상기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관계없이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할 수 있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관계없이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할 수 있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관계없이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할 수 있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은,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단계;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신호로 맵핑하는 맵핑단계; 및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에 대해,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결정된 확률모델을 통해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손실부호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계; 비트플레인 별로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은, (a)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를 스켈일링을 통해 손실부호화기의 입력신호로 정합시키는 단계; (c) 상기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를 손실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 (d) 상기 손실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에 해당하는 에러매핑된 신호를 구하는 단계; (e) 상기 에러매핑된 신호를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단계; 및 (f) 상기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단계의 에러맵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계; (e2)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e3)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e4)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e5)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e6)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부호화된 이전 샘플들을 하나의 스칼라 값으로 만들어 상기 이진 샘플의 문맥값을 계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비트플레인에 존재하는 소정의 샘플들에 대해 '1'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 상기 확률값에 소정의 정수값을 곱하여 정수로 나타낸 후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 값을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하되, 상기 상위 비트플레인에 '1'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문맥값을 '1'로 하고, '1'이 하나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문맥값을 '0'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는,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맵핑하고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을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손실부호화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비트플레인 매핑부;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이진샘플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이진샘플부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는 정수 MDCT 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는,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의 오디오 주파수 신호를 손실부호화부의 입력신호로 정합시키는 스케일링부; 상기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를 손실 압축 부호화하는 손실부호화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의 신호의 차를 구하는 에러맵핑부; 상기 에러맵핑된 신호를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부; 상기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손실부호화부는 상기 에러맵핑부의 에러맵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비트플레인 매핑부;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이진샘플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이진샘플부호화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은,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단계;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단계;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단계; 및 모든 샘플이 복호화될 때까지 상기 샘플선택단계 내지 산술복호화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맥계산단계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은, 손실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를 에러데이터라 할 때, (aa)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bb)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소정의 손실복호화하는 단계; (cc) 상기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무손실복호화하는 단계; (dd) 상기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하는 단계; 및 (ee) 상기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c) 단계는 (cc1)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cc2)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cc3)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cc4)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cc5)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단계; 및 (cc6) 모든 샘플이 복호화될 때까지 상기 (cc2)단계 내지 (cc5)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cc3)단계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는,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부;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부;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파라미터 획득부의 콜롬파라미터와 상기 문맥계산부의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맥계산부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제1문맥계산부;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제2문맥계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는, 손실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를 에러데이터라 할 때,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소정의 손실복호화하는 손실복호화부; 상기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무손실복호화하는 무손실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합성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하는 오디오신호 합성부; 및 상기 복원된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실복호화부는 AAC 복호화부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장치는 상기 손실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는 역 시간/주파수 변환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손실복호화부는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부;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맥계산부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제1문맥계산부;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제2문맥계산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재된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FGS(Fine Grain Scalability)를 제공하고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를 위해서는 정수화된 MDCT(Integer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입력샘플 분포가 라플라시안(Laplacian) 분포를 따르면 BPGC(Bit Plane Golomb Coding) 방식이 최적의 압축결과를 보이며, 이는 Golomb 코드와 등가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lomb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For(L=0;(N<<L+1))<=A;L++);
을 통해 Golomb 파라미터 L을 구할 수 있으며, Golomb 코드의 특성상 L보다 작은 비트플레인에서는 0 또는 1이 나올 확률을 1/2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라플라시안 분포일 경우에는 최적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데이터 분포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따르지 않더라도 통계적 분석을 통해 문맥을 이용하여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100) 및 무손실부호화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100)는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수 MDCT를 사용한다. 상기 무손실부호화부(120)는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맵핑하고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을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며, 비트플레인매핑부(200), 파라미터획득부(210), 이진샘플선택부(220), 문맥계산부 (230), 확률모델선택부(240), 이진샘플부호화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트플레인 매핑부(200)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한다. 도 8은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의 매핑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라미터획득부(210)는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MSB)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상기 이진샘플선택부(220)는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LSB),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한다.
상기 문맥계산부(230)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한다. 상기 확률모델선택부(240)는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 상기 이진샘플부호화부(250)는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 스케일링부(310), 손실부호화부(320), 에러매핑부(330),무손실부호화부(340) 및 멀티플렉서(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는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수 MDCT를 사용한다. 상기 스케일링부(310)는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의 오디오 주파수 신호를 손실부호화부(320)의 입력신호로 정합시킨다.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의 출력신호는 정수로 나타내지므로, 상기 손실부호화부(320)의 입력으로 직접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스케일링부(310)를 통해 손실부호화부(320)의 입력신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의 오디오 주파수 신호를 정합시킨다.
상기 손실부호화부(320)는 상기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를 손실 압축 부호화하며, 바람직하게는 AAC core 부호화기를 사용한다. 상기 에러매핑부(330)는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의 신호의 차에 해당하는 에러매핑된 신호를 구한다. 상기 무손실부호화부(340)는 상기 에러매핑된 신호를 문맥(context)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한다. 상기 멀티플렉서(350)는 상기 무손실부호화부(340)의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부(320)의 손실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한다.
도 4는 상기 무손실부호화부(34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비트플레인 매핑부(400),파라미터획득부(410), 이진샘플선택부(420), 문맥계산부(430), 확률모델선택부(440), 이진샘플부호화부(450)을 구비한다.
상기 비트플레인 매핑부(400)는 상기 에러매핑부의 에러맵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한다. 상기 파라미터획득부(410)는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Golomb)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상기 이진샘플선택부(420)는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한다. 상기 문맥계산부(430)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한다. 상기 확률모델선택부(440)는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 상기 이진샘플부호화부(450)는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문맥계산부(230, 430)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부호화된 이전 샘플들을 하나의 스칼라 값으로 만들어 상기 이진 샘플의 문맥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맥계산부(230, 430)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비트플레인에 존재하는 소정의 샘플들에 대해 '1'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 상기 확률값에 소정의 정수값을 곱하여 정수로 나타낸 후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문맥계산부(230, 430)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 값을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하되, 상기 상위 비트플레인에 '1'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문맥값을 '1'로 하고, '1'이 하나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문맥값을 '0'으로 하여 문맥을 계산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일실시에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PCM 신호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100)에 입력되면, 이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spectral) 신호로 변환한다.(500단계) 여기서는 int MDC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도 8과 같이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신호로 맵핑한다.(520단계) 그 다음에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에 대해,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결정된 확률모델을 통해 무손실부호화한다.(540단계)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무손실부호화부(120)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가 비트플레인 매핑부(200)에 입력되면,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한다.(600단계) 또한 Golomb 파라미터 획득부(210)을 통해 비트플레인 별로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한다.(610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이진샘플 선택부(220)를 통해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한다.(610단계)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 샘플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한다.(620단계) 상기 Golomb 파라미터 획득부(210)에서 구해진 골롬(Golomb) 파라미터와 상기 문맥계산부(230)에서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630단계) 상기 확률모델 선택부(240)에서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한다.(640단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에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300)를 통해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spectral) 신호로 변환한다.(710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는 상기 스케일링부(310)에서 스켈일링되어 손실부호화부(320)의 입력신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정합된다.(720단계) 상기 스케일링부(310)에서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는 손실압축부호화부(320)에서 손실 압축 부호화한다.(730단계) 상기 손실압축 부호화는 AAC Core 부호화기에 의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실부호화부(320)에서 손실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에 해당하는 에러매핑된 신호가 에러매핑부(330)에서 구해진다.(740단계) 상기 에러매핑된 신호는 무손실부호화부(340)에서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된다.(750단계)
상기 무손실부호화부(340)에서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부(320)에서 손실부호화된 신호는 멀티플렉서(350)에서 다중화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된다.(760단계) 상기 무손실 부호화(750단계)는 에러매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한다. 그리고 나서 최상위비트(MSB)와 골롬파라미터를 구하는 과정 이후는 도 6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부호화될 샘플이 비트플레인 상에서 문맥을 선택하는 샘플들의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이용하여 이미 부호화된 샘플들로부터 현재 샘플의 확률분포를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MDCT에 의한 spectral leakage로 인해 주파수축상의 주변 샘플들의 상관관계(correlation)가 존재하게 된다. 즉 인접 샘플의 값이 X이면 현재 샘플의 값이 X부근의 값일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에 주변 인접 샘플을 문맥으로 선택하면 상기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압축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은 하위 샘플의 확률분포에 correlation이 높은 것을 통계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에 주변 인접 샘플을 문맥으로 선택하면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압축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상기 문맥을 계산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같은 비트플레인상에 존재하는, 이전에 이미 코딩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문맥을 계산하는 방식이 다. 상기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에 소정의 길이 이전에 있는 이진 샘플들을 하나의 스칼라값으로 만들어 문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이전 이진샘플을 문맥으로 사용하기로 한다면, 상기 이전의 샘플들이 0100이라고 하면 이를 이진수로 보고 상기 0100(2)를 4로 하여 상기 4를 문맥값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0001(2)일 경우 현재 샘플이 '1'일 확률이 가장 높다. 경우에 따라 모델의 크기를 고려하여 문맥의 범위를 한정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문맥은 8~16의 범위를 가진다.
두 번째 방법은,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에 존재하는 '1'을 카운트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샘플보다 먼저 부호화된 샘플들에 대해 상기 샘플이 '1'일 확률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문맥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기 '1'이 나올 확률값에 정수 N을 곱하여 정수로 표현한다. 만일 이 값이 0일 경우 동일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에 '1'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은 경우이므로 현재의 샘플이 '1'일 확률이 상당히 높게 되며 N에 가까운 값을 보일 경우에는 이미 앞 샘플들이 '1'이 많이 나온 상태이므로 '0'일 확률이 높게 된다. 때에 따라 모델의 크기를 고려하여 문맥의 범위를 한정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문맥은 8~16의 범위를 가진다.
상기 문맥을 계산하는 다음 방식으로는, 같은 주파수상에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문맥을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방식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을 문맥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위 비트플레인 샘플들이 0110이라면 이를 이진수로 계산하여 0110(2), 즉 6이라는 문맥으로 표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델의 크기를 고려하여 문맥의 범위를 한정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문맥은 8~16의 범위를 가진다.
두 번째 방법은,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다. 같은 주파수 상의 상위 비트플레인에 '1'이 하나라도 있으면 문맥값은 '1'이며, '1'이 없는 경우에는 문맥값을 '0' 으로 한다. 이는 최상위비트(MSB)가 아직 부호화되지 않았다면 현재 샘플이 '1'일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부호화하는 예를 들어 보면, 3번째 비트플레인의 4번째 샘플을 부호화한다고 하자. 현재 부호화할 샘플은 '0'이다. 현재 부호화할 데이터들의 golomb parameter를 4라고 하면, 먼저 같은 비트플레인 상에 있는 샘플들의 문맥을 계산한다. 같은 비트플레인상에서 문맥을 구하는 방식 중 상기 첫 번째 방법에 따라 문맥을 구하면 상기 샘플의 값이 001(2)이므로 문맥값은 1이 된다. 그리고 같은 주파수의 상위 비트플레인 상에 있는 샘플들의 문맥을 계산한다고 하면 10(2)이므로 상기 첫 번째 방법에 따라 문맥값은 2가 된다. 따라서 확률모델은 위의 3개의 파라미터, 즉 Golomb parameter는 '4', 문맥1은 '1', 문맥2는 '2'를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 확률모델은 구현하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 중의 한 방법은 삼차원 배열을 두어 Prob[Golomb][Context1][Context2] 로 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확률모델을 통해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무손실 부호화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산술부호화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파라미터 획득부(900), 샘플선택부(910), 문맥계산부(920), 확률모델선택부(930), 산술복호화부(9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라미터 획득부(900)는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상위비트(MSB)와 골롬(Golomb)파라미터를 구한다. 상기 샘플선택부(910)는 최상위비트(MSB)로부터 최하위비트(LSB)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한다.
상기 문맥계산부(920)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문맥계산부(1000) 및 제2문맥계산부(10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문맥계산부(1000)는 같은 비트플레인 상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한다. 제2문맥계산부(1020)는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한다.
상기 확률모델선택부(930)는 상기 파라미터 획득부(900)의 Golomb 파라미터와 상기 문맥계산부(920)에서 계산된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 상기 산술복호화부(940)는 상기 확률모델선택부(930)에서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역다중화부(1100), 손실복호화부(1110), 무손실복호화부(1120), 오디오신호 합성부(1130),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1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역 시간/주파수 변환부(115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다중화부(1100)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demultiplex)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이 부호화될 때 사용된 소정의 손실부호화 방식에 의해 형성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한다.
상기 손실복호화부(1110)는 상기 역다중화부(1100)에서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상기 비트스트림이 부호화될 때 사용된 소정의 손실 부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소정의 손실 복호화 방식에 의해 손실복호화한다. 상기 무손실복호화부(1120)는 상기 역다중화부(1100)에서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역시 무손실부호화에 대응되는 무손실복호화방식에 의해 무손실 복호화한다.
상기 오디오신호 합성부(1130)는 상기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합성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한다. 상기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1140)는 상기 오디오신호 합성부(1130)에서 복원된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역 시간/주파수 변환부(1150)는 상기 손실복호화부(1110)에서 복호화된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며, 이렇게 복원된 신호는 손실 복호화된 신호이다.
도 12는 상기 무손실복호화부(112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파라미터획득부(1200), 샘플선택부(1210), 문맥계산부(1220), 확률모델선택부(1230), 산술복호화부(1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라미터획득부(1200)는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상위비트(MSB) 및 Golomb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상기 샘플선택부(1210)는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한다.
상기 문맥계산부(1220)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며, 제1문맥계산부와 제2문맥계산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문맥계산부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2문맥계산부는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한다.
상기 확률모델선택부(1230)는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 상기 산술복호화부(1240)는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한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이 파라미터획득부(900)에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한다.(1300단계) 그리고 나서 샘플선택부(910)를 통해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한다.(1310단계)
상기 샘플선택부(910)에서 복호화할 샘플이 선택되면, 문맥계산부(920)를 통해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한다.(1320단계) 여기서 상기 문맥은 제1문맥과 제2문맥으로 이루어지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문맥계산부(1000)를 통해 같은 비트플레인 상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2문맥계산부(1020)를 통해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확률모델 선택부(930)를 통해 상기 Golomb 파라미터와 상기 제1문맥과 제2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한다.(1330단계) 상기 확률모델 선택부(930)에서 확률모델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한다.(1340단계) 상기 1310단계 내지 1340단계를 모든 샘플이 복호화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1350단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손실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spectral) 신호의 차를 에러데이터라 정의하기로 한다. 먼저 오디오 비트스트림이 역다중화부(1100)에 입력되면, 상기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demultiplex)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한다.(1400단계)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은 손실복호화부(1110)에 입력되어, 부호화시의 손실부호화에 대응되는 소정의 손실복호화 방식에 의해 손실복호화한다.(1410단계) 또한 상기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은 무손실복호화부(1120)에 입력되어 무손실복호화한다.(1420단계) 상기 무손실복호화(1420단계)의 보다 상세한 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손실복호화부(1110)에서 손실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무손실복호화부(1120)에서 무손실 복호화된 에러비트스트림을 오디오신호 합성부(1130)로 입력시켜 주파수 스펙트럴(spectral) 신호로 복원한다.(1430단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는 상기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1140)에 입력되어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된다.(1440단계)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입력의 분포에 관계없이 통계적인 분포를 통하여 만들어진 모델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제공한다. 즉 정수 MDCT 계수가 라플라시안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관계없이 최적의 압축률을 제공한다. 따라서 문맥기반 부호화 방식을 통하여 BPGC보다 우월한 압축률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무손실부호화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무손실부호화부(34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일실시에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손실부호화부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에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의 매핑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문맥계산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무손실복호화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손실오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32)

  1.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단계;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신호로 맵핑하는 맵핑단계; 및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에 대해,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결정된 확률모델을 통해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부호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계;
    비트플레인 별로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3. (a)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를 스켈일링을 통해 손실부호화기의 입력신호로 정합시키는 단계;
    (c) 상기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를 손실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
    (d) 상기 손실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에 해당하는 에러매핑된 신호를 구하는 단계;
    (e) 상기 에러매핑된 신호를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단계; 및
    (f) 상기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단계의 에러맵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계;
    (e2)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e3)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e4)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e5)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및
    (e6)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부호화된 이전 샘플들을 하나의 스칼라 값으로 만들어 상기 이진 샘플의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비트플레인에 존재하는 소정의 샘플들에 대해 '1'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 상기 확률값에 소정의 정수값을 곱하여 정수로 나타낸 후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 값을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4)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하되, 상기 상위 비트플레인에 '1'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문맥값을 '1'로 하고, '1'이 하나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문맥값을 '0'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방법.
  9.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맵핑하고 상기 비트플레인을 구성하는 이진 샘플을 소정의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부호화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비트플레인 매핑부;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이진샘플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이진샘플부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는
    정수 MDCT 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2.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로 변환하는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의 오디오 주파수 신호를 손실부호화부의 입력신호로 정합시키는 스케일링부;
    상기 스케일링된 주파수 신호를 손실 압축 부호화하는 손실부호화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정수 시간/주파수 변환부의 신호의 차를 구하는 에러맵핑부;
    상기 에러맵핑된 신호를 문맥을 이용하여 무손실부호화하는 무손실부호화부;
    상기 무손실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손실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부호화부는
    상기 에러맵핑부의 에러맵핑된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비트플레인 데이터로 매핑하는 비트플레인 매핑부;
    상기 비트플레인의 최상위비트와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 낮은 주파수성분부터 높은 주파수 순으로 부호화할 비트플레인 상의 이진샘플을 선택하는 이진샘플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이전 샘플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획득된 골롬 파라미터와 상기 계산된 문맥들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진샘플을 무손실 부호화하는 이진샘플부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동일한 비트플레인 상의 부호화된 이전 샘플들을 하나의 스칼라 값으로 만들어 상기 이진 샘플의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비트플레인에 존재하는 소정의 샘플들에 대해 '1'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 상기 확률값에 소정의 정수값을 곱하여 정수로 나타낸 후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 값을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상기 선택된 이진 샘플에 대해, 같은 주파수상의 이미 부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값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값을 계산하되, 상기 상위 비트플레인에 '1'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문맥값을 '1'로 하고, '1'이 하나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문맥값을 '0'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 장치.
  18.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단계;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단계;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단계; 및
    모든 샘플이 복호화될 때까지 상기 샘플선택단계 내지 산술복호화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단계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0. 손실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를 에러데이터라 할 때,
    (aa)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bb)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소정의 손실복호화하는 단계;
    (cc) 상기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무손실복호화하는 단계;
    (dd) 상기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하는 단계; 및
    (ee) 상기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c) 단계는
    (cc1)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cc2)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단계;
    (cc3)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cc4)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cc5)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단계; 및
    (cc6) 모든 샘플이 복호화될 때까지 상기 (cc2)단계 내지 (cc5)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c3)단계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c3)단계는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c3)단계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방법.
  25.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부;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부;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파라미터 획득부의 콜롬파라미터와 상기 문맥계산부의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제1문맥계산부;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제2문맥계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27. 손실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정수값을 갖는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스펙트럴 신호의 차를 에러데이터라 할 때,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소정의 손실부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상기 에러데이터의 에러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추출된 손실비트스트림을 소정의 손실복호화하는 손실복호화부;
    상기 추출된 에러비트스트림을 무손실복호화하는 무손실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된 손실비트스트림과 에러비트스트림을 합성하여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로 복원하는 오디오신호 합성부; 및
    상기 복원된 주파수 스펙트럴 신호를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하여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역 정수 시간/주파수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복호화부는
    AAC 복호화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시간영역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는 역 시간/주파수 변환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복호화부는
    오디오데이터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골롬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획득부;
    최상위비트로부터 최하위비트로,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순서로 복호화할 이진 샘플을 선택하는 샘플선택부;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맥을 계산하는 문맥계산부;
    상기 콜롬파라미터와 문맥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선택하는 확률모델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산술복호화하는 산술복호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계산부는
    같은 비트플레인상의 앞에 존재하는 이미 복호화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1문맥을 계산하는 제1문맥계산부; 및
    같은 주파수 상에서 이미 복호화된 상위 비트플레인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2문맥을 계산하는 제2문맥계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손실 오디오 복호화 장치.
  32. 제1항 내지 제8항,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13681A 2004-02-27 2004-02-27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050087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81A KR20050087956A (ko) 2004-02-27 2004-02-27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05251075A EP1569203A3 (en) 2004-02-27 2005-02-24 Lossless audio decoding/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66,431 US7617110B2 (en) 2004-02-27 2005-02-28 Lossless audio decoding/encoding method, medium, and apparatus
JP2005052508A JP5384780B2 (ja) 2004-02-27 2005-02-28 無損失オーディオ符号化方法、無損失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無損失オーディオ復号化方法、無損失オーディオ復号化装置及び記録媒体
CN200510071781A CN100588124C (zh) 2004-02-27 2005-02-28 无损音频解码/编码方法和装置
JP2012173392A JP2012226375A (ja) 2004-02-27 2012-08-03 無損失オーディオ復号化方法及び無損失オーディオ復号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81A KR20050087956A (ko) 2004-02-27 2004-02-27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155A Division KR100947065B1 (ko) 2007-02-26 2007-02-26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956A true KR20050087956A (ko) 2005-09-01

Family

ID=3474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681A Ceased KR20050087956A (ko) 2004-02-27 2004-02-27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7110B2 (ko)
EP (1) EP1569203A3 (ko)
JP (2) JP5384780B2 (ko)
KR (1) KR20050087956A (ko)
CN (1) CN10058812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869B1 (ko) * 2004-03-10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56641B1 (ko) * 2008-07-11 2014-11-04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
CN110233626A (zh) * 2019-07-05 2019-09-13 重庆邮电大学 基于二维自适应量化的机械振动信号边缘数据无损压缩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6305B2 (en) * 2002-09-04 2009-05-19 Microsoft Corporation Mixed lossless audio compression
CN100584023C (zh) * 2004-07-14 2010-01-20 新加坡科技研究局 用于基于上下文的信号编码和解码的方法和设备
WO2008035949A1 (en) * 2006-09-22 200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medium, and system encoding and/or decoding audio signals by using bandwidth extension and stereo coding
US9247260B1 (en) * 2006-11-01 2016-01-26 Opera Software Ireland Limited Hybrid bitmap-mode encoding
US7991622B2 (en) * 2007-03-20 2011-08-02 Microsoft Corporation Audio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using integer-reversible modulated lapped transforms
US8086465B2 (en) * 2007-03-20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 domain transcoding and decoding of audio data using integer-reversible modulated lapped transforms
CN101308655B (zh) 2007-05-16 2011-07-0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音频编解码方法与装置
CN100592760C (zh) * 2007-05-17 2010-02-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拍照时自动检测并矫正红眼的方法
US20090060027A1 (en) * 2007-08-30 2009-03-05 Tektronix, Inc. Compressed Signal Subjective Quality Ratings Prediction
EP2211335A1 (en) * 2009-01-21 2010-07-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btaining a parameter describing a variation of a signal characteristic of a signal
KR20100136890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의 산술 부호화 장치 및 방법과 산술 복호화 장치 및 방법
CN102667923B (zh) * 2009-10-20 2014-11-05 弗兰霍菲尔运输应用研究公司 音频编码器、音频解码器、用于将音频信息编码的方法、用于将音频信息解码的方法
MX2012008077A (es) 2010-01-12 2012-12-05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dor de audio, metodo para codificar e informacion de audio, metodo para decodificar una informacion de audio y programa de computacion que utiliza una tabla hash que describe tanto valores de estado significativos como limites de intervalo.
RU2568381C2 (ru) * 2010-07-20 2015-11-20 Фраунхофер-Гезелльшафт Цур Фердерунг Дер Ангевандтен Форшунг Е.Ф. Аудиокодер, аудиодекодер, способ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дл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информации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использующие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ую хэш-таблицу
KR101676477B1 (ko) * 2010-07-21 201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의 무손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8699801B2 (en) * 2010-11-26 2014-04-15 Agfa Healthc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high dynamic range images
KR102374897B1 (ko) * 2011-03-16 2022-03-17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 오디오 사운드트랙의 인코딩 및 재현
US9779739B2 (en) 2014-03-20 2017-10-03 Dts, Inc. Residual encoding in an object-based audio system
EP3483886A1 (en) 2017-11-10 2019-05-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lecting pitch lag
EP3483882A1 (en) 2017-11-10 2019-05-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ontrolling bandwidth in encoders and/or decoders
EP3483879A1 (en) 2017-11-10 2019-05-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alysis/synthesis windowing function for modulated lapped transformation
EP3483878A1 (en) 2017-11-10 2019-05-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decoder supporting a set of different loss concealment tools
EP3483884A1 (en) 2017-11-10 2019-05-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ignal filtering
WO2019091576A1 (en) * 2017-11-10 2019-05-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ers, audio decode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adapting an encoding and decoding of least significant bits
GB2579568B (en) * 2018-12-03 2022-04-27 Advanced Risc Mach Ltd Encoding data arrays
CN109887515B (zh) * 2019-01-29 2021-07-09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265043B (zh) * 2019-06-03 2021-06-01 同响科技股份有限公司 自适应有损或无损的音频压缩和解压缩演算方法
CN113555034B (zh) * 2021-08-03 2024-03-01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压缩音频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TW202446069A (zh) * 2023-03-24 2024-11-16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影像處理裝置和處理影像資料的方法
CN116600135B (zh) * 2023-06-06 2024-02-13 广州大学 基于无损压缩的溯源图压缩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95A (ko) * 1994-10-31 1996-05-22 배순훈 트리 구조 이원 연산 코딩 장치
KR100335609B1 (ko) * 1997-11-20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트율조절이가능한오디오부호화/복호화방법및장치
JP4367880B2 (ja) * 1999-12-09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3684128B2 (ja) * 2000-02-18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算術符号化/復号化方法ならびに算術符号化/復号化装置
JP4086481B2 (ja) * 2000-06-1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算術復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6675148B2 (en) * 2001-01-05 2004-01-06 Digital Voice Systems, Inc. Lossless audio coder
US6856701B2 (en) * 2001-09-14 2005-02-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GB2388502A (en) * 2002-05-10 2003-11-12 Chris Dunn Compression of frequency domain audio signals
ES2311637T3 (es) * 2002-10-24 2009-02-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ocesar simbolos binarios generados por una fuente de datos, un medio legible por un ordenador; un elemento de programa de ordenad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869B1 (ko) * 2004-03-10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670310B2 (en) 2008-07-11 2023-06-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different spectral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and upsampling and/or downsampling
US8930202B2 (en) 2008-07-11 2015-01-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for coding contexts with different frequency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US10242681B2 (en) 2008-07-11 2019-03-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er and audio decoder using coding contexts with different frequency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US10685659B2 (en) 2008-07-11 2020-06-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for coding contexts with different frequency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KR101456641B1 (ko) * 2008-07-11 2014-11-04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
US11942101B2 (en) 2008-07-11 2024-03-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arithmetic coding and coding context
US12039985B2 (en) 2008-07-11 2024-07-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coding context and coefficient selection
US12198708B2 (en) 2008-07-11 2025-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different spectral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and upsampling and/or downsampling
US12198707B2 (en) 2008-07-11 2025-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different spectral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and upsampling and/or downsampling
US12205603B2 (en) 2008-07-11 2025-01-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different spectral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and upsampling and/or downsampling
US12230285B2 (en) 2008-07-11 2025-02-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tropy encoder/decoder with different spectral resolutions and transform lengths and upsampling and/or downsampling
CN110233626A (zh) * 2019-07-05 2019-09-13 重庆邮电大学 基于二维自适应量化的机械振动信号边缘数据无损压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9203A3 (en) 2006-09-27
CN100588124C (zh) 2010-02-03
CN1684371A (zh) 2005-10-19
JP2012226375A (ja) 2012-11-15
US20050192799A1 (en) 2005-09-01
JP5384780B2 (ja) 2014-01-08
JP2005242363A (ja) 2005-09-08
EP1569203A2 (en) 2005-08-31
US7617110B2 (en) 2009-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869B1 (ko)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50087956A (ko)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18268B1 (ko)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KR101220621B1 (ko)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
RU2194361C2 (ru) Способы кодирования/декодирования цифровых данных аудио/видео сигн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х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8090574B2 (en)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using direct level and run-length/level context-adaptive arithmetic coding/decoding modes
KR101238239B1 (ko) 인코더
US20020049586A1 (en) Audio encoder, audio decoder, and broadcasting system
US20050015249A1 (en) Entropy coding by adapting coding between level and run-length/level modes
JP2005242363A5 (ko)
JPH1020897A (ja) 適応変換符号化方式および適応変換復号方式
KR101381602B1 (ko) 계층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Yu et al. A scalable lossy to lossless audio coder for MPEG-4 lossless audio coding
KR100947065B1 (ko)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00114450A (ko) 가변 비트율을 갖는 잔차 신호 부호화를 이용한 고품질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100903109B1 (ko) 오디오 신호의 무손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3617804B2 (ja) Pcm信号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7318645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361790B2 (ja)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方法、オーディオ信号復号化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と前記方法を実施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268792A (ja)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ビットレート変換装置
KR20100114484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HK1154302B (en) Entropy coding by adapting coding between level and run-length/level m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3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5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226

Appeal identifier: 2007101001081

Request date: 20070126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3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26

Effective date: 200712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12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126

Decision date: 20071226

Appeal identifier: 200710100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