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50054615A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615A
KR20050054615A KR1020030088007A KR20030088007A KR20050054615A KR 20050054615 A KR20050054615 A KR 20050054615A KR 1020030088007 A KR1020030088007 A KR 1020030088007A KR 20030088007 A KR20030088007 A KR 20030088007A KR 20050054615 A KR20050054615 A KR 2005005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mai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8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615A/ko
Publication of KR2005005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배면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배터리팩과 보조 배터리팩을 장착하여, 배터리팩의 전원 소진시 보조 배터리팩만을 탈착하여 충전시킴으로써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0) 배면에 배터리팩(30, 40)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부(12)와, 상기 안착부(12)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메인 배터리팩(30)과, 상기 안착부(12)에 상기 메인 배터리팩(30)과 나란히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배터리팩(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팩(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팩을 교체할 수 있어 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A Battery-pack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배면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배터리팩과 보조 배터리팩을 장착하여, 배터리팩의 전원 소진시 보조 배터리팩만을 탈착하여 충전시킴으로써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로써 인쇄회로기판과 각종 부품이 내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본체부와 기구적으로 결합된 폴더부에 구비된 화상표시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의 하측에는 후크부(1a)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2)의 배면 하측에 삽입되고, 배터리팩(1)의 상측에는 고정홈(1b)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의 배면 상부에 구비된 록킹노브(Locking Knob)(3)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 록킹노브(3)는 상기 배터리팩(1)의 고정홈(1b)에 삽입되는 노브(3a)와, 이 노브(3a)를 탄성적으로 지지해주는 스프링(미도시)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본체부(2)의 배면에는 전자결제 등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Smart) 카드나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의 각종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드는 별도의 카드 고정부재에 의해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팩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한 개의 배터리팩(1)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팩(1)의 전력이 소진되면 배터리팩(1)을 탈착하여 충전 후 재장착하거나 여분의 다른 배터리팩으로 교체하여 사용해야만 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단말기의 전원을 부득이 오프(off) 해야하므로, 착신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중요한 전화를 받지 못하거나 단말기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배면에 장착되는 상기 카드도 상기 배터리팩(1)에 의해 은폐되어 있으므로, 카드의 교체시마다 상기 배터리팩(1)을 탈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상황에서도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해야 하므로 단말기의 연속적 사용에 장애가 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본체에 전원 공급의 중단 없이 배터리팩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배면에 배터리팩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메인 배터리팩과, 상기 안착부에 상기 메인 배터리팩과 나란히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팩과 밀착되는 상기 안착부에는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배터리팩이 상기 안착부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일측 또는 양측 내벽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팩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형합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이 장착된 후 고정되도록 메인 배터리팩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하측의 탄성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배터리팩의 하면과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팩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 단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배터리팩의 일측면과 상기 보조 배터리팩의 일측면에는 상호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배터리팩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팩을 기구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노브와, 상기 노브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록킹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팩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노브의 노브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의 배면에 소정의 배터리팩(30, 40)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12)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2)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메인 배터리팩(30)과 보조 배터리팩(40)이 나란히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안착부(12) 중 상기 보조 배터리팩(40)과 밀착되는 부분을 도면 부호 "12a" 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첨부도면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메인 배터리팩(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은 상기 안착부(1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해 양측면에 단차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홈(32)은 상기 안착부(12)의 일측 또는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와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써,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이 상기 안착부(12)로 진입시 상기 단차홈(32)이 상기 가이드 돌기(14)의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메인 배터리팩(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하면과 상기 안착부(12)의 상면에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서는 돌출된 커넥터(20)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커넥터부(미도시)는 통상의 평판형 커넥터로써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다.
첨부도면 도 4에서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이 상기 안착부(12)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안착부(12)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이 장착된 후 고정되도록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기(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6)의 일측은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진입시 마찰을 줄이고 걸림돌기(16)가 메인 배터리팩(30)에 의해 유연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2)의 통공(17)을 통해 탄성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하측의 탄성부재(1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8)는 바람직하게 만곡된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안착부(12)에 장착시키는 경우, 우선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안착부(12)의 단부 측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6)는 메인 배터리팩(30)에 의해 눌려 탄성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은 상기 걸림돌기(16)와 가이드 돌기(14)로 인해 상기 본체(10)에 구속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걸림돌기(16)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하측으로 밀어넣은 후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장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탈착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12a)의 일측 단부의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되는 후크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후크부(40)가 본체(10) 측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구조는 통상의 배터리팩 장착구조와 유사하므로 상기 걸림홈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다.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고정 지지하는 걸림돌기(1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여유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면과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면에는 상호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36, 44)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3에서는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에 돌출된 커넥터(36)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에서는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형 커넥터(44)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와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을 기구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노브(52)와, 상기 노브(5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54)로 이루어진 록킹노브(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노브(50)의 노브(52)가 삽입되는 고정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노브(50)의 탄성부재(54)는 바람직하게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노브(52)의 하측에 돌출된 고정봉(54a)에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을 안착부(12a)에 장착시킬 때에는 우선 보조 배터리팩(40)의 후크부(42)를 안착부(12a)의 걸림홈(미도시)에 삽입시킨 후 상기 안착부(12a) 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노브(50)의 노브(52)가 일시적으로 후퇴하였다가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다시 돌출되면서 보조 배터리팩(40)의 고정홈(46)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을 상기 안착부(12a)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보조 배터리팩(40)의 양측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록킹노브(50)의 노브(52)를 후퇴시켜 구속상태가 해제된 보조 배터리팩(40)을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9에서는 단말기 본체(10) 상에 본 발명의 메인 배터리팩(30)과 보조 배터리팩(40)이 나란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은 상기 록킹노브(50)에 의해 구속되어 있고, 메인 배터리팩(30)과 보조 배터리팩(40)은 서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배터리팩(40)과 밀착되는 상기 안착부(12a)에는 스마트 카드나 SIM 카드 등의 각종 카드(미도시)가 삽입되는 카드 안착홈(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드 안착홈(13)의 일측에는 삽입된 카드를 고정시키는 카드 키퍼(keeper)(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카드를 착탈하고자 할 때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은 고정시킨 채 보조 배터리팩(40)만 탈착시키면 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카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을 항시 본체(10)의 배면에 장착시켜 사용하고, 만일 전원이 소진되어 충전을 요하는 상황이 되면(통상 단말기의 화상표시부를 통해 배터리팩의 전원 잔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팩(40)만 탈착하여 충전 후 다시 장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본체(10)는 보조 배터리팩(40)의 충전시에도 메인 배터리팩(3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있으므로 충전으로 인한 전원 공급의 중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팩을 교체할 수 있어 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팩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작아지므로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고, 본체 배면에 장착되는 카드의 교체도 단말기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배터리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배터리팩이 본체 배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 배터리팩과 보조 배터리팩에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안착부
13 : 카드 안착홈 14 : 가이드 돌기
16 : 걸림돌기 30 : 메인 배터리팩
32 : 단차홈 40 : 보조 배터리팩
46 : 고정홈 50 : 록킹노브

Claims (8)

  1.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0) 배면에 배터리팩(30, 40)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부(12, 12a)와;
    상기 안착부(12)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메인 배터리팩(30)과;
    상기 안착부(12a)에 상기 메인 배터리팩(30)과 나란히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배터리팩(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팩(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팩(40)과 밀착되는 상기 안착부(12a)에는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안착홈(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이 상기 안착부(12)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2)의 일측 또는 양측 내벽에는 가이드 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4)와 형합되는 단차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이 장착된 후 고정되도록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기(16)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16)는 탄성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하측의 탄성부재(18)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하면과 상기 안착부(12)의 상면에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12a)의 일측 단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면과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면에는 상호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커넥터부(36, 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팩(3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을 기구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노브(52)와, 상기 노브(5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54)로 이루어진 록킹노브(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팩(40)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노브(50)의 노브(52)가 삽입되는 고정홈(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KR1020030088007A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KR2005005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07A KR20050054615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07A KR20050054615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15A true KR20050054615A (ko) 2005-06-10

Family

ID=372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007A KR20050054615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014B1 (ko) * 2015-01-29 2016-06-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분형 축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014B1 (ko) * 2015-01-29 2016-06-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분형 축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6635B2 (en) Chip card c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0635963B1 (en) Portable telephone set for use with IC card
US6600662B1 (en) Light guide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6543696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US749436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JP4436774B2 (ja) 携帯用端末機のバッテリ連結装置
KR100562673B1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KR2005005461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JP2003304313A (ja) カード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KR20060007255A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KR100260750B1 (ko)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KR20020025011A (ko) 휴대용 정보 기기
JP2910442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JP4165006B2 (ja) 充電器
KR20020010027A (ko)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0691967B1 (ko) 배터리 팩 록킹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200171711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충전기
KR970001860B1 (ko) 차량용 휴대폰 어댑터
KR200359958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