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499A -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3499A KR20050053499A KR1020040099881A KR20040099881A KR20050053499A KR 20050053499 A KR20050053499 A KR 20050053499A KR 1020040099881 A KR1020040099881 A KR 1020040099881A KR 20040099881 A KR20040099881 A KR 20040099881A KR 20050053499 A KR20050053499 A KR 20050053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pile
- joint
- pile
- strength concret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일반콘크리트파일을 볼트 조임만으로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표준 이음이 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의 종류를 단순화하고, 시공성 향상 및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으로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용접 작업 없이 이음 작업이 수행되게 하여 친환경적이고 친안전적인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파일(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이하,“콘크리트파일”로 약칭함)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연결좌판이 고정되지 않은 일반콘크리트파일 두 개를 볼트 조임만으로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표준 이음이 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의 종류를 단순화하고, 시공성 향상 및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으로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용접 작업 없이 이음 작업이 수행되게 하여 친환경적이고 친안전적인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이음장치로 두 상하부 연결좌판이 고정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이음장치로 하부 연결좌판이 고정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고, 작업 현장에서 항타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지하에 원하는 깊이까지 박아 넣고 본 발명의 장치를 분리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지하에 시공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리된 본 발명의 장치는 재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나 건설공사를 할 때 연약 지반이 있는 경우 콘크리트파일을 암반까지 박아 넣고 시공을 하여 왔다. 연약 지반이 깊어 견고한 암반까지 콘크리트파일을 박아 넣어야 할 항타공법의 경우 도 10 도시와 같이 항타기로 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D)을 먼저 박아 넣고, 다시 상부 연결콘크리트파일(C)을 박아 넣거나 도 11 도시와 같이 선행굴착(Preboring)공법의 경우는 보조공에서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을 연결하는 이음 시공을 한 다음 본공으로 이동시켜 넣어야만 했다.
종래 콘크리트파일은 도 13 및 도 14 도시와 같이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의 선단부 또는 두부면에 상,하부연결좌판(40)(42)을 고정 부착한 상부, 중부, 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과 일반콘크리트파일 등 다양하게 생산 되게 한 후, 야적장에 종류별로 적재하여 보관되게 함으로써, 과다한 제품 재고 및 자재 재고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시공자 또한 예측이 불가능한 지반 공사의 관입 깊이에 따른 콘크리트파일의 필요 길이를 예상하기 어려워 좁고 열악한 공사 현장에 필요 이상의 많은 종류(상부, 중부, 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과 일반콘크리트파일 등) 및 수량의 콘크리트파일을 적재하여 보관되게 하여야 하므로 공사 현장의 협소화로 작업장 관리가 어려워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한편, 이에 따른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그리고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시 용접 방식에 의해 이음 작업을 하게 되는데, 용접 작업은 악천후 시에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한편, 건조하지 않은 작업현장의 특성상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유해가스가 발생되며, 강한 용접 불꽃이 발생하여 용접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한편, 공해로 인한 민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이음 작업은 상, 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이 정확하게 일직선이 되고, 상, 하부 연결좌판(40)(42)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만 이음을 위한 용접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높은 기능도와 숙련도가 요구되고, 이렇듯 어려운 작업 조건 속에서 완벽한 이음 시공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의 경우 거친 용접작업으로 이음의 신뢰성 및 정확성이 부족하게 되어 표준 용접이음이 어렵게 되고,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의 정확한 직선도 유지가 어려워 항타기에 의한 동시에 박아 넣을 때 횡력으로 콘크리트파일의 중파 또는 두부손상이 우려되었으며, 상,하부 연결좌판(40)(42)의 단면이 정확하게 밀착이 되지 않을 경우 항타 및 상재 하중이 재하 되어 용접부위의 과도한 응력으로 크랙 또는 파괴가 일어나며 비파괴검사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은 설계 특성상 휨응력 도입을 위해 프리스트레스드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강봉(14a)(24a)(이하,"PC 강봉“이라 함)에 인장의 긴장력을 줌으로써, 콘크리트에 압축의 프리스트레스(PRESTRESS)(예: A형: 40㎏/㎠, B형: 80㎏/㎠)가 유도된 제품으로 당연히 이음부 또한 콘크리트파일에 적합한 이음 내력이 요구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용접에 의한 이음은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을 단지 맞댄 상태에서 용접으로 이음 되게 하므로 상기와 같은 이음 내력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이음장치는, a)콘크리트파일 외경보다 돌출된 플랜지에 의한 이음장치. b)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C)(D)에 고정 부착된 상, 하부연결좌판(40)(42)의 원주외측면 매입 홈에 여러 개의 돌기를 부착하여 수평방향 볼트이음장치. c)H형 조립식 이음장치. d)플랜지를 이용한 B형 볼트 조립 이음장치 등이 있으며 상기의 방식은 모두 상부연결좌판(40)과 하부연결좌판(42)을 콘크리트파일에 고정 부착하여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을 제조해야 하고 여기에 이음장치가 추가됨으로써, 완전한 조립식이 될 수 없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파일 종류를 단순화할 수 없는 한편, 상,하부연결좌판(40)(42)과 이음장치가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며, 콘크리트파일의 PC강봉(14a)(24a)을 직접이음이 불가하고 이음부의 밀착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이음 내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음장치가 콘크리트파일 제품의 내외경 치수와 일치하지 않아 콘크리트파일의 내, 외면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콘크리트파일의 관입 및 중공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장애가 발생되었고, 이음부의 콘크리트 단면 축소로 높은 충격 하중에 이음부가 파괴되어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시공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이음장치들은 이음 작업시 정확한 일직선, 완전한 밀착상태 하에서만 이음 작업이 가능하고 2~5ton의 콘크리트파일을 회전시켜야만 이음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콘크리트파일이 눕혀진 야적의 상태에서의 이음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콘트리트파일의 두부 시공면을 지표면 보다 아래에 설치해야할 경우, 첫째, 도 15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파일을 지표면 보다 높게 시공하여 토사를 제거하고, 콘크리트파일을 시공면까지 절단 또는 파쇄하여 이를 폐기물 처리하는 방법과, 둘째, 도 16 도시와 같이 본 콘트리트파일의 길이를 짧게 하고, 콘크리트파일에 항타력을 전달하기 위해 보조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첫 번째 방법은 콘크리트파일의 절단된 부분을 절단 파쇄하는 비용과 절단된 부분을 폐기물로 처리하는 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고, 두 번째 방법은 본 콘크리트파일과 보조파일이 서로에 대해 구속력이 없는 상태에서 본 콘크리트파일에 쿠션재로 사용되는 가마니, 합판 등을 올려놓은 다음 보조 콘크리트파일을 그 위에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이므로 항타력이 전달되기 어렵고 본 콘크리트파일의 두부 파손율이 상승되어 콘크리트파일이 목표하는 지반에 도달하기 어렵고 동재하 시험의 해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26은 슈(SHOE)를, 44는 용접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일반콘크리트파일만을 이용하여 볼트 조임만으로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표준 이음이 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 종류를 단순화하고, 시공성 향상 및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으로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용접 작업 없이 이음 작업이 수행되게 하여 친환경적이고 친안전적인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면을 이루는 표면에 PC 너트가 각각 등간격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일반콘크리트파일을 이음 되게 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 연결좌판의 상,하부에 상,하부연결원판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상,하부연결원판에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게 하되, 상기 PC 너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연결좌판에는 직사각의 판체로 되는 보강판이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게 하되, 어느 한 쪽의 변이 상기 연결좌판의 둘레에 수직으로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상,하부 변이 상기 상,하부연결원판의 밑면 또는 윗면에 면접되어 고정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연결좌판에는 삼각의 판체로 되는 보강판이 둘레면 상,하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게 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보강판에는 상부연결원판이, 하부에 위치하는 보강판에는 하부연결원판이 각각 고정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연결좌판, 상,하부연결원판을 좌,우로 양분하여 1/2원호를 이루는 제 1 통체와 제 2 통체로 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상,하부연결원판중 어느 하나의 연결원판의 볼트구멍 일측에 볼트머리 관통구멍이 연속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상,하부연결원판과 연결좌판은 중심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거나 또는 막히게 되는 것과, 평면을 이루는 표면에 PC 너트가 각각 등간격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을 이음 되게 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 연결좌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원판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원판에 볼트구멍을 형성되게 하되, 상기 PC 너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이음장치로 두 상하부 연결좌판이 고정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이음장치로 하부 연결좌판이 고정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고, 작업 현장에서 항타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지하에 원하는 깊이까지 박아 넣고 본 발명의 장치를 분리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지하에 시공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리된 본 발명의 장치는 재사용된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음장치 본체(100)는 원통형을 이루는 연결좌판(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원판형의 상부연결원판(110)과 하부연결원판(120)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연결원판(110)(120) 각각에는 볼트구멍(111)(121)이 등간격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데, 상기 볼트구멍(111)(121)들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원판(110)은 상기 연결좌판(130)의 둘레에 등간격을 이루면서 직교하게 고정되는 보강판(140)에 밑면이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연결원판(12)은 상기 보강판(140)에 윗면이 면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좌판(130)에 대해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에 있어 보강판(140)은 직사각의 판체로 형성되는데, 어느 한 쪽의 변이 상기 연결좌판(130)의 둘레에 수직으로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하부 변이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의 밑면 또는 윗면에 면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연결원판(110)과, 하부연결원판(120) 각각에는 도 5 도시와 같이 일반콘트리트파일(A)(B)이 면접된 상태로 볼트(112)(122)가 볼트구멍(111)(121)을 통해 PC 너트(14)(24) 각각에 조임 됨으로써, 본체(100)의 상부에는 일반콘크리트파일(A)이, 하부에는 일반콘크리트파일(B)이 고정된 상태로 긴 길이의 콘크리트파일이 형성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음장치 본체(100a)는 도 1 도시와 같은 본체(100)를 좌,우로 양분하여 제 1 통체(101)와 제 2 통체(102)로 양분되게 하여서 되는데, 제 1 및 제 2 통체(101)(102)의 보강판(140) 중 서로가 면접되는 보강판(140) 각각에는 수평으로 볼트구멍(141)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볼트(142)의 조임으로 하나의 원통형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하여서 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음장치 본체(100b)는 원통체를 이루는 연결좌판(13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원형을 이루는 상부연결원판(110)과 하부연결원판(120)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되게 하고, 상,하부연결원판(110)(120) 각각에는 볼트구멍(111)(121)이 등간격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데, 상기 볼트구멍(111)(121)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음장치 본체(100c)는 보강판(140a)을 삼각의 판체로 되게 하는 한편, 연결좌판(130) 둘레면의 상,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보강판(140a)에는 상부연결원판(110)이, 하부에 위치하는 보강판(140a)에는 하부연결원판(120)이 각각 고정되게 하여서 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음장치 본체(100d)는 하부연결원판(120)에 형성되는 볼트구멍(121)의 일 측에 볼트머리 관통구멍(121a)이 연속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된다.
즉, 상기 볼트구멍(121)과 볼트머리 관통구멍(121a)은 “8”자 모양을 하게 되는데, 볼트머리 관통구멍(121a)이 볼트구멍(121)에 비해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음장치 본체(100e)는 연결좌판(130)의 높이를 높게 하여서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좌판(130)에 대해 상부연결원판(110) 또는 하부연결원판(120) 중 어느 하나의 연결원판만을 결합하여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 각 본체(100)(100a)(100b)(100c)(100d)(100e)는 강재 또는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부연결원판(110), 하부연결원판(120), 연결좌판(130)은 중심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거나 또는 막혀지게 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 본체(100)(100a)(100b)(100c)(100d)(100e)의 원주 외주면에 밴드를 조립 부착하여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부식방지 및 이음강도의 증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하부연결원판(110)(120)에 형성되는 볼트구멍(111)(121)은 일반콘크리트파일(A)(B)의 PC 너트(14)(24)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 도시와 같이 이음장치(100)의 상부에는 일반콘크리트파일(A)이, 하부에는 일반콘크리트파일(B)이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가 결합되게 하여서 되는데, 콘크리트파일(A)(B)이 눕혀져 있는 야적 상태에서도 결합되게 할 수 있다.
a)상기 이음장치(100)의 상부연결원판(110)에 형성된 볼트구멍(111)을 일반콘크리트파일(A)의 PC 너트(14)와 대응되게 하여 볼트구멍(111)을 통해 PC 너트(14)에 볼트(112)가 조임 되게 하고,
b)하부연결원판(120)에 형성된 볼트구멍(121)을 일반콘크리트파일(B)의 PC 너트(24)와 대응되게 하여 볼트구멍(121)들을 통해 PC 너트(24)에 볼트(122)가 조임 되게 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 도시와 같이 볼트(122)가 하부연결원판(120)에 형성된 볼트머리 관통구멍(121a)을 통해 관입하여 볼트구멍(121)에 볼트머리가 고정되게 하고, 상부연결원판(110)에 형성된 볼트구멍(111)을 통해 PC 너트(14)에 볼트(112)가 조임 되게 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일반콘크리트파일(A)과 일반콘크리트파일(B)은 본체(100) 뿐만 아니라 다른 본체(100a)(100b)(100c)(100d)(100e)로도 가능하게 되고, 도 7 및 도 10 도시와 같이 본체(100d)(100e)의 하부연결원판(120)에 일반콘크리트파일(B)만이 결합되게 하여 보조파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일반콘크리트파일(A)(B)의 사이에 이음장치 본체(100a)(100b)(100c)(100d)(100e)가 개재되게 한 후 볼트(112)(122)에 의해 조임 되어 이음 되게 함으로써, 이음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고 콘크리트파일의 종류를 단순화하게 된다.
또한 용접 작업 없이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고,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으로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 도시와 같이 일반콘크리트파일(B)에 이음장치인 본체(100a)(100b)(100c)(100d)(100e)들 중 어느 하나의 본체를 이음하고 보조파일로 사용하여 항타기로 박아 넣되, 지표면 보다 높게 시공되게 하여 토사를 시공면까지 제거하고, 일반콘크리트파일(B)에서 보조파일 기능을 하는 본체(100a)(100b)(100c)(100d)(100e)를 분리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두부 파손 방지용 쿠션재가 필요치 않게 되며, 본체를 사용 후 분리하여 재사용 되게 함으로써, 종래 방식에 의한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22는 보강밴드를, 16,26은 슈(SHOE)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 조임만으로 두 개의 일반콘크리트파일만으로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표준 이음이 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의 종류를 단순할 수 있고, 시공성이 높아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할 수 있고,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비숙련공도 작업이 가능하고,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으로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는 한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음부가 콘크리트파일의 내, 외경치수와 동일하여 콘크리트파일의 관입 및 중공부의 콘크리트 투입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이한 규격의 콘크리트파일 또는 다른 재질의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에 사용할 수 있고, 용접 작업에 의한 이음 작업이 아니므로 친환경적이고 친안전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콘크리트파일의 한 종류로 단순화하여 소품종 다량 생산으로 인해 생산성 및 적재 효율이 증대 되게 하여 기업의 매출이 향상되게 하는 한편, 재고 비용 감소로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콘크리트파일을 하나의 이음장치로 이음 되게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적재 효율 증대 및 자재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선행굴착 공사시 보조공이 필요 없이 야적 상태에서 두 개의 일반 콘크리트파일의 전단면의 정확한 밀착이음을 할 수 있어 우수한 이음내력이 발현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항타공법 공사시 두부 파손 방지용 쿠션재가 필요치 않게 되며, 보조파일의 사용 후 분리하여 재 사용되게 함으로써, 종래 방식에 의한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 일반콘크리트파일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일반콘크리트파일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일반적인 항타공법에 의한 콘크리트파일의 시공 순서도,
도 11은 일반적인 선행굴착공법에 의한 콘크리트파일의 시공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한 공법에 의한 보조파일의 시공 순서도,
도 13은 종래 장치에 의해 연결콘크리트파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일부 단면도,
도 15는 종래에 깊은 시공면에서 콘크리트파일의 시공 순서도,
도 16은 종래에 깊은 시공면에서 콘크리트파일의 또 다른 시공 순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일반콘크리트파일 B ... 일반콘크리트파일
C ... 상부 연결콘크리트파일 D ... 하부 연결콘크리트파일
12,22 ... 보강밴드 14,24 ... PC 너트
14a,24a ... PC 강봉 16,26 ... 슈(SHOE)
40,42 ... 상,하부연결좌판 44 ... 용접부
100,100a,100b,100c,100d,100e ... 본체
110 ... 상부연결원판 111,121,141 ... 볼트구멍
112,122,142 ... 볼트 120 ... 하부연결원판
121a ... 볼트머리 관통구멍 130 ... 연결좌판
140,140a ... 보강판
Claims (9)
- 평면을 이루는 표면에 PC 너트(14)(24)가 각각 등간격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일반콘크리트파일(A)(B)을 이음 되게 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좌판(130)의 상,하부에 상,하부연결원판(110)(120)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에 볼트구멍(111)(121)이 각각 형성되게 하되, 상기 PC 너트(14)(24)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좌판(130)에는 직사각의 판체로 되는 보강판(140)이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게 하되, 어느 한 쪽의 변이 상기 연결좌판(130)의 둘레에 수직으로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상,하부 변이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의 밑면 또는 윗면에 면접되어 고정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좌판(130)에는 삼각의 판체로 되는 보강판(140a)이 둘레면 상,하에 방사상으로 결합되게 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보강판(140a)에는 상부연결원판(110)이, 하부에 위치하는 보강판(140a)에는 하부연결원판(120)이 각각 고정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좌판(130), 상,하부연결원판(110)(120)을 좌,우로 양분하여 1/2원호를 이루는 제 1 통체(101)와 제 2 통체(102)로 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중 어느 하나 내지 두개의 연결원판이 볼트구멍 일측에 볼트머리 관통구멍(121a)이 연속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연결원판(110)(120)과 연결좌판(130)은 중심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거나 또는 막혀지게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원판(120)을 일반콘크리트파일에 이음하고 보조파일로 사용하여 항타기로 박아 넣되, 지표면 보다 높게 시공되게 하여 토사를 시공면까지 제거하고, 일반콘크리트파일에서 보조파일을 분리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평면을 이루는 표면에 PC 너트(14)(24)가 각각 등간격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파일(A)(B)을 이음 되게 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 연결좌판(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원판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연결원판(110)(120)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게 하되, 상기 PC 너트(14)(24)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제 1 항 내지 8항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를 상기 하부연결원판(120)을 일반콘크리트파일에 이음하고 항타기로 지하에 원하는 깊이까지 박아 넣고, 조립식 이음장치를 분리하여 재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파일을 지하에 박아 넣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7317 | 2003-12-03 | ||
KR1020030087317 | 2003-12-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3499A true KR20050053499A (ko) | 2005-06-08 |
Family
ID=3724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9881A KR20050053499A (ko) | 2003-12-03 | 2004-12-01 |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5349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563B1 (ko) * | 2007-11-13 | 2010-08-18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KR101038522B1 (ko) * | 2009-07-15 | 2011-06-01 | 황도성 | 물레방아 결합장치 |
KR101056655B1 (ko) * | 2009-01-22 | 2011-08-12 | 정인배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CN104099926A (zh) * | 2013-04-10 | 2014-10-15 | 斯马泰克工程技术株式会社 | 高强度中空混凝土桩的连结装置及利用其的连结构造 |
KR20180125737A (ko) * | 2017-05-16 | 2018-11-26 | 송영조 |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707U (ko) * | 1974-06-19 | 1976-01-06 | ||
JPS59151939U (ja) * | 1983-03-30 | 1984-10-11 | 東扇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 Pcくい接続具 |
JPS61184742U (ko) * | 1985-05-08 | 1986-11-18 | ||
JPH11148129A (ja) * | 1997-11-18 | 1999-06-02 | Motoomi Ogata | Pcコンクリート杭同士およびpcコンクリート杭と 鉄骨梁との連結装置 |
-
2004
- 2004-12-01 KR KR1020040099881A patent/KR2005005349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707U (ko) * | 1974-06-19 | 1976-01-06 | ||
JPS59151939U (ja) * | 1983-03-30 | 1984-10-11 | 東扇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 Pcくい接続具 |
JPS61184742U (ko) * | 1985-05-08 | 1986-11-18 | ||
JPH11148129A (ja) * | 1997-11-18 | 1999-06-02 | Motoomi Ogata | Pcコンクリート杭同士およびpcコンクリート杭と 鉄骨梁との連結装置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563B1 (ko) * | 2007-11-13 | 2010-08-18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KR101056655B1 (ko) * | 2009-01-22 | 2011-08-12 | 정인배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KR101038522B1 (ko) * | 2009-07-15 | 2011-06-01 | 황도성 | 물레방아 결합장치 |
CN104099926A (zh) * | 2013-04-10 | 2014-10-15 | 斯马泰克工程技术株式会社 | 高强度中空混凝土桩的连结装置及利用其的连结构造 |
KR20180125737A (ko) * | 2017-05-16 | 2018-11-26 | 송영조 |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5778B1 (ko)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 |
KR100835777B1 (ko) |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 |
KR20050053499A (ko) | 고강도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및 시공방법 | |
CN101010465A (zh) | 铁塔的基础构造 | |
KR200258871Y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 |
CN102704492A (zh) | 一种型钢支撑与混凝土支撑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 |
JP4771244B2 (ja) | 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継手、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構造、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の施工方法 | |
KR20100086162A (ko) | 강관파일 및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
KR20120111490A (ko) | 파일 연장을 위한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파일연장 방법 | |
KR20120029607A (ko) | 볼트캡을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말뚝 | |
JP6253630B2 (ja) | 合成セグメント、リング及び沈設構造物 | |
KR200309950Y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및 이를 이용한 피에이치씨파일의 조인트 장치 | |
KR200345924Y1 (ko) | 콘크리트 말뚝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 |
KR101018006B1 (ko) | 파일 연결방법 | |
KR101207194B1 (ko) |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장치 | |
KR200233313Y1 (ko) | 에이치-파일의 볼트체결식 두부보강구조 | |
JP3425762B2 (ja) | 柱状構造物の補強方法 | |
KR20180007292A (ko) | Phc 말뚝 연결장치 | |
KR100687471B1 (ko) | 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체결식 조인트 슈 | |
KR101171285B1 (ko) | 규격이 상이한 파일의 이음장치 | |
KR100803658B1 (ko) |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 |
KR101056655B1 (ko) |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 이음장치 | |
JP4506969B2 (ja) | 基礎またはフーチングのコンクリートと杭頭部の結合部構造および該結合部構造を有する構造物 | |
KR20080006342A (ko) | 직사각형 응력블럭에 의한 pc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볼트접합 강접합방식 | |
KR101291705B1 (ko) | 파일의 선단지지력 보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