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428A -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저장공간을절약하기 위한 방송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방송장치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저장공간을절약하기 위한 방송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방송장치 및프로그램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9428A KR20050049428A KR1020047014707A KR20047014707A KR20050049428A KR 20050049428 A KR20050049428 A KR 20050049428A KR 1020047014707 A KR1020047014707 A KR 1020047014707A KR 20047014707 A KR20047014707 A KR 20047014707A KR 20050049428 A KR20050049428 A KR 20050049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distribution
- entry information
- recording
- broadca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025261 Neoraja caerul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44 data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76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27—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with deferred 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방송장치(11)의 부가부(14)는 엔트리 정보를 방송될 콘텐츠에 첨부한다. 엔트리 정보는 배포장치(12)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콘텐츠 중 방송될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특정한다. 방송장치(11)의 송신부(15)는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갖는 콘텐츠를 방송한다. 기록장치(30)의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수신된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고, 요청부(107)는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배포장치(12)에 요청한다. 배포장치(12)의 콘텐츠 배포부(21)는 배포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장치(30)에 배포한다. 기록장치(30)는 배포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청시간 이동(time-shift viewing)을 위해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송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저장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자는 실시간 시청 외에도 편의에 따라 시청시간을 이동하기 위해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
국제출원 공개번호 2002-521978의 일본어 번역문(13쪽, 도 1)은 디지털 형태로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기술을 공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록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장치(100)는 수신부(101), 스위치(102), 출력부(103), 하드디스크(104) 및 CPU(105)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수신된 콘텐츠를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MPEG2 스트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입력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표준에 따르는 아날로그 신호이면, 수신부(101)에 구비된 튜너는 타겟 콘텐츠(target content)를 동조하고, 또한 수신부(101)에 구비되는 MPEG2 인코더는 그 콘텐츠를 MPEG2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스트림을 출력한다. 다른 예로, 비디오 입력이 디지털 신호이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MPEG2 스트림으로 다중화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이하, 간단히 TS라 함)이면, 수신부(101)에 구비된 디지털 튜너는 입력된 TS로부터 목표 MPEG2 스트림을 추출하고, 추출된 MPEG2 스트림을 출력한다.
기록동작에서, 스위치(102)는 기록될 콘텐츠를 수신부(10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출력한다. 재생동작에서, 스위치(102)는 재생될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14)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콘텐츠를 출력부(103)에 출력한다.
출력부(103)는 MPEG2 스트림을 획득하여 기록장치(100)에 연결된 텔레비전 세트에 출력한다. 텔레비전 세트가 NTSC 표준에 따르는 경우, 출력부(103)는 콘텐츠를 NTSC 신호로 디코딩한 후 출력한다.
기록동작에서, 하드디스크(104)는 스위치(102)로부터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저장영역에 기록한다. 재생동작에서, 하드디스크(104)는 재생을 위해 요청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MPEG2 스트림을 판독하고, 판독된 MPEG2 스트림을 스위치(102)에 출력한다.
CPU(105)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따라, 요청된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 수신부(101), 스위치(102), 출력부(103), 및 하드디스크(104)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텐츠의 기록이 사용자 조작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요청되면, CPU(105)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므로, 수신부(101)는 요청된 콘텐츠를 획득하고, 스위치(102)는 수신부(101)로부터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104)에 출력하며, 하드디스크(104)는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기록한다.
콘텐츠의 재생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요청되면, CPU(105)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므로, 하드디스크(104)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MPEG2 스트림을 판독하고, 스위치(102)는 하드디스크(104)로부터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출력부(103)에 출력하며, 출력부(103)는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여 디코딩된 신호를 외부의 텔레비전 세트로 출력한다. 기록장치는 다른 콘텐츠를 기록하는 동안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도록 요청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CPU(105)는 기록 및 재생을 병행하므로, 스위치(102)는 수신부(101)로부터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시에 하드디스크(104)로부터 입력된 MPEG2 스트림을 출력부(103)에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기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리한 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드디스크 및 DVD-RAM과 같은 대용량 기록매체를 갖는 기록장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장치는 콘텐츠를, 부피가 크지만 고화질인 디지털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이들 기록장치의 사용자는 시청시간 이동을 위해 다수의 콘텐츠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콘텐츠를 기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기록장치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저장용량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비용의 증가를 내포한다. 아직 보다 높은 데이터 압축비로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은 화질의 열화라는 다른 문제점을 가져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1은 종래의 기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기록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와 그 엔트리 정보가 다중화된 TS(300)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요청생성 서브유닛(121)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도
도 5는 배포 콘텐츠 축적부(23)에 저장된 배포정보표의 데이터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장치(30)의 구성도
도 7의 (A), (B), (C)는 엔트리 정보의 특정 예와 함께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의해 취득되는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 기록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송 기록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송 기록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기록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사용자가 기록된 콘텐츠를 시청할 때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텔레비전 방송국(40)과 콘텐츠 배포센터(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와, 엔트리 정보가 슈퍼임포징된 NTSC신호(401)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요청생성 서브유닛(210)에 의해 생성된 패킷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장치(50)의 구성도
도 18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송 기록시스템(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9는 주문형 서비스(on-demand service)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방송 기록시스템(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목적은 종래보다 작은 저장공간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방송 기록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술한 방송 기록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기록장치 및 방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술한 기록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록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장치와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기록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장치는, 방송을 위한 것으로, 각각이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에,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첨부하는 첨부부와; 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방송장치로부터 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와; 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포장치는 상기 요청부로부터의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장치에 상기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며,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한 후,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상기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포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기록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미리 정해진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장치에 대하여 방송할 때, 방송장치는 방송 콘텐츠와 함께 엔트리 정보를 방송한다. 엔트리 정보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기록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장치는 나중에 기록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의 배포를 수신한다. 결국, 사용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관하여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즉, 기록장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질을 갖는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배포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이러한 구성이 아니었다면 실제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기록장치의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 화질의 손실이 전혀 없는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기록장치로서,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각각이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을 위한 것인 방송 콘텐츠들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장치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를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첨부 엔트리 정보와 함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와; 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배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장치는 나중에 기록된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관하여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배포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결국, 사용자는 나중에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즉, 기록장치의 저장공간은 방송 콘텐츠가 실제로 기록되는 경우에 비해 상당히 절약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의 방송시작 후 임의의 시간에 기록요청을 하더라도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고, 그 기록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배포장치로부터 배포 콘텐츠를 수신한다. 결국, 사용자는 콘텐츠의 처음부터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배포 콘텐츠는 모두 저작권있는 저작물이며, 상기 방송 콘텐츠와 상기 특정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는 화질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다른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비록 화질이 다르지만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저작권있는 저작물의 배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방송 콘텐츠는 엔트리 정보에 부가하여 기록된다.
결국, 방송 콘텐츠와 배포 콘텐츠의 어느 하나가 어떤 점에서 다른 하나보다 바람직하면 기록장치는 사용자가 바람직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가 첨부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엔트리 정보가 첨부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저장영역에 기록한다.
즉,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적절하게 취득하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으므로 저장공간이 절약된다. 그러나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나중에 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에서,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의 화질을 보여주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의 화질이 상기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보다 높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의 화질이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보다 낮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방송장치로부터 방송된 방송 콘텐츠와 배포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배포 콘텐츠를 비교한다. 방송 콘텐츠가 보다 좋은 화질로 되어 있으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한다. 결국, 사용자는 양호한 화질로 된 방송 콘텐츠의 시청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배포 콘텐츠가 보다 양호한 화질로 되어 있으면,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결국, 상술한 구성이 아니었다면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저장공간이 절약되면, 사용자는 나중에 양호한 화질의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장영역에 남아있는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보다 크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보다 작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이 남아 있으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한다.
결국, 방송 콘텐츠가 예를 들면 화질에서 어느 정도 배포 콘텐츠보다 바람직하면, 이용가능한 저장공간이 허용되는 한 방송 콘텐츠가 기록된다. 또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이 없더라도, 배포 콘텐츠의 화질이 낮으면 시청을 위해 배포 콘텐츠가 여전히 취득된다.
여기에서,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가 기록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방송 콘텐츠와 엔트리 정보를 과잉 저장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저장공간이 최소화된다.
여기에서,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저장영역의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의 전부를 기록하기에 부족하면 상기 저장영역에 상기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콘텐츠 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비록 저장공간이 방송 콘텐츠의 기록 도중에 다 소모되더라도, 기록장치가 기록된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전히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와; 콘텐츠 삭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에 이용할 수 있기 시작하는 배포일시를 보여주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삭제부는 상기 배포일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콘텐츠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대응 배포 콘텐츠의 배포일시까지 방송시간에 주문형 배포 서비스에 배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에 추가하여 방송 콘텐츠를 기록한다. 결국, 사용자는 배포일시가 올 때까지 기록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장치는 배포일시 또는 그 이후에 기록된 방송 콘텐츠를 삭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이 아니었더라면 방송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었을 저장공간이 절약된다.
결국, 기록장치는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뿐 아니라 배포 콘텐츠도 시청할 수 없는 바람직하지 못한 가능성을 제거하면서도 가능한 가장 빠른 시간에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배포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에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만료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요청부는 상기 만료일시 전에 상기 배포 콘텐츠의 배포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배포장치가 콘텐츠에 대한 배포 서비스를 종료하기 전에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한다. 결국, 배포 서비스의 만료로 인해, 기록장치는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만을 저장하고, 대응 배포 콘텐츠는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장치는 가능한한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없는 가능성을 제거해준다.
여기에서, 임의의 정보 아이템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에서 빠져 있으면, 상기 엔트리 정보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엔트리 정보 요청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 요청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로부터 배포되는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하지 못하면 새롭게 엔트리 정보를 취득한다.
결국,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취득할 보다 많은 기회를 가지므로, 저장공간을 절약할 기회가 증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장치로부터, 제 1 콘텐츠에 대응하고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를 갖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가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 후, 제 2 콘텐츠에 대응하고,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제 1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의 방송 중에 다른 방송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수신부가 제 1 엔트리 정보를 첨부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를 첨부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며, 이것은 방송 시간 전체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를 기록할 필요성을 없애준다. 결국, 기록장치는 2개의 방송 콘텐츠가 중복되는 방송 시간이더라도 다른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제 2 엔트리 정보를 다른 채널에 기록할 수 있다.
엔트리 정보는 방송시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만 기록되기 때문에, 복수의 튜너가 없는 기록장치는 방송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에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나중에, 기록장치는 각각의 저장된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배포 콘텐츠를 수신한다. 결국, 사용자는 동시에 방송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방송장치는 다른 방송 콘텐츠로 다중화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하나는 제 1 콘텐츠에 대응하며,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다른 하나는 제 2 콘텐츠에 대응하며, 거기에 첨부된 제 2 엔트리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 상기 정보 기록부는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와 제 2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복수의 방송 콘텐츠가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고, 각각의 다중화된 방송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저장한다.
결국, 복수의 방송 콘텐츠를 아울러 기록하는 진보된 능력이 없더라도, 기록장치는 복수의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대응 배포 콘텐츠는 시청을 위해 나중에 수신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방송을 위한 것으로, 각각이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에,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첨부하는 첨부부와; 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방송장치는 엔트리 정보와 함께 미리 정해진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기록장치에 제공한다. 엔트리 정보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기록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결국, 방송장치로부터 방송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나중에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신된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배포장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과 화질의 실질에 관하여 방송 콘텐츠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기 때문에, 기록장치의 저장공간은 기록장치가 모든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경우에 비해 상당히 절약된다.
여기에서, 상기 첨부부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배포 콘텐츠가 상기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배포판정 서브유닛과; 상기 배포판정 서브유닛이 이용가능하다고 판정하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엔트리 정보를 상기 방송 콘텐츠에 첨부하는 엔트리 정보 생성 서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대응하는 콘텐츠가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면, 방송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방송 콘텐츠에 첨부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컴퓨터 실행을 위한 기록 프로그램으로서,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각각이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을 위한 것인 방송 콘텐츠들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장치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를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첨부 엔트리 정보와 함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단계와; 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단계와; 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배포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방송장치로부터 방송되며, 나중에 대응 배포 콘텐츠의 배포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관하여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로서의 방송 기록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개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은 케이블 텔레비전(이하, CATV라 함)의 케이블을 통해 방송되거나 주문배포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CATV에 가입한 사용자는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이 허용된다.
각 방송 콘텐츠는 콘텐츠를 주문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 콘텐츠의 식별자를 첨부하고 있다. 기록장치는 실제의 콘텐츠없이 식별자를 기록할 수 있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기록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배포를 요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이러한 구성이 아니었다면 실제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저장공간을 상당량 절약할 수 있다.
<구조>
1.1 시스템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송 기록시스템(1)은 방송국(10)과 기록장치(30)로 이루어진다. 각 기록장치는 CATV의 케이블을 통해 방송국(10)에 접속된다.
방송국(10)은 두 종류의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한다. 하나는 미리 정해진 방송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 시간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이고, 다른 하나는 기록장치(30)로부터의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받은 콘텐츠를 배포요청을 한 기록장치(30)에 제공하는 주문형 서비스(on-demand service)이다. 방송국(10)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대응 콘텐츠를 방송한 후에만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각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본질이 동일한 저작물은 동일한 콘텐츠라 한다. 즉, 방송될 콘텐츠와 배포될 콘텐츠가 저작물로서 그 본질적 내용이 동일하면, 두 콘텐츠는 삽입된 광고방송(commercial message), 해상도, 및 비트 레이트(bit rate)에 존재할 수 있는 차이에 상관없이 동일한 콘텐츠로 간주된다.
각각의 기록장치(30)는 특히 내장 CATV 튜너를 갖는 HDD 레코더이며, CATV 가입자인 사용자의 가정에 위치된다. 각 기록장치(30)는 방송국(10)으로부터 CATV의 케이블을 거쳐 방송 서비스뿐 아니라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콘텐츠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1.2 방송국(10)
이하, 방송국(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송국(10)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방송장치(11)와,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배포장치(12)로 구성된다.
방송장치(11)는 방송 콘텐츠 축적부(13), 부가부(14), 및 송신부(15)의 기능블록을 포함하며, 타겟 콘텐츠의 비디오, 오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MPEG2의 기준에 맞게 TS에 다중화(multiplexing)함으로써 그 데이터를 방송 시간표에 따라 방송한다. 타겟 콘텐츠가 배포장치(12)로부터 나중에 배포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방송장치(11)는 배포장치(12)에 의해 사용되는 엔트리 정보를 추가로 다중화하여 콘텐츠를 특정하고, 그 결과의 TS를 방송한다.
방송 콘텐츠 축적부(13)는 방송 서비스를 통해 MPEG2 스트림으로 방송되는 콘텐츠를 축적하는 대용량 저장장치이다. 여기에서 각 콘텐츠에 삽입된 삽입광고와 함께 축적되며, 따라서 준비상태에서는 더 이상의 처리없이 방송한다.
부가부(14)는 배포검사 서브유닛(16), 정보생성 서브유닛(17), 및 다중화 서브유닛(18)의 기능블록을 포함한다.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배포가 허용된 콘텐츠를 방송하기 전에, 부가부(14)는 타겟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TS에 추가적으로 다중화한다.
배포검사 서브유닛(16)은 배포장치(12)의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에 방송될 콘텐츠의 방송 일시를 알려주고, 방송될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배포가 허용된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의 주문형 배포가 허가된 것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면, 배포검사 서브유닛(16)은 또한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콘텐츠의 만료일시를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로부터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정보를 정보생성 서브유닛(17)에 출력한다.
이 정보생성 서브유닛(17)은 배포검사 서브유닛(16)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엔트리 정보를 생성한다.
다중화 서브유닛(18)은 송신부(15)로부터 방송될 TS(300)를 생성한다. TS(300)는 정보생성 서브유닛(17)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정보로 방송 콘텐츠 축적부(13)로부터 판독된 MPEG2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생성된다.
송신부(15)는 다중화 서브유닛(18)으로부터 출력된 TS를 미리 정해진 방송 시간표에 따라 CATV의 케이블을 통해 송신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와 엔트리 정보가 다중화된 TS(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TS(300)는 TS에 대한 제어정보인 MPEG2-TS 헤더(301),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302), 및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MPEG2 스트림(303)을 다중화함으로서 생성된다.
데이터 스트림(302)은 데이터 헤더(304) 및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며, 엔트리 정보는 콘텐츠 ID(305), 배포일시 정보(306), 및 만료일시 정보(307)로 구성된다.
콘텐츠 ID(305)는 TS에서 다중화된 것과 동일한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배포장치(12)를 위한 식별자이다. 배포일시 정보(306)는 배포장치(12)가 콘텐츠 ID(305)에 의해 식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주문형 서비스를 시작하는 일시를 나타낸다. 만료일시 정보(307)는 배포장치(12)가 콘텐츠 ID(305)에 의해 식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주문형 서비스를 종료하는 일시를 나타낸다.
데이터 스트림(302)은 콘텐츠 방송 중에 엔트리 정보가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전송된다. 결국, 엔트리 정보는 콘텐츠 방송 중의 의도된 시간에 TS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MPEG2-TS 헤더와 MPEG2 스트림은 MPEG2 표준에서 정의되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포장치(12)는 콘텐츠 배포부(21), 엔트리 정보 배포부(22), 배포 콘텐츠 축적부(23), 및 배포정보 프리젠팅부(distribution information presenting unit)(24)로 구성된다.
콘텐츠 배포부(21)는 기록장치(30)로부터 도 4의 (A)에 도시된 시청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시청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ID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판독하며, 판독된 콘텐츠를 요청 소스(source)인 기록장치(30)에 배포한다.
엔트리 정보 배포부(2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를 수신하고, 도 5에 도시된 배포정보표에서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를 검색하여 대응 배포일시 정보와 만료일시 정보를 취득하며, 취득된 정보를 상기 요청을 한 기록장치(30)에 송신한다.
배포 콘텐츠 축적부(23)는 주문형 배포를 위해 이용가능한 MPEG2 스트림의콘텐츠를 저장하는 대용량 기록장치이다. 배포 콘텐츠 축적부(23)는 또한 저장영역에 배포정보표를 저장한다.
도 5는 배포 콘텐츠 축적부(23)에 저장되는 배포정보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포정보표는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만큼의 배포정보를 포함한다.
각 배포정보는 다른 배포 콘텐츠의 배포정보와 일대일로 대응하며, 대응 콘텐츠의 방송일시,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로 구성된다. 방송일시는 대응 콘텐츠와 동일한 방송 콘텐츠가 방송장치(11)에 의해 방송되는 일시를 나타낸다. 콘텐츠 ID는 대응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는 대응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될 수 있는 기간의 시작일시 및 종료일시를 나타낸다. 대응 콘텐츠가 이미 주문형 배포에 이용되고 있는 경우, 배포일시는 특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대응 콘텐츠가 배포될 수 있는 기간에 대해 만료가 없은 경우, 만료일시는 특정되지 않는다.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는 배포검사 서브유닛(16)으로부터, 방송될 콘텐츠의 방송일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일시를 포함하는 매칭 배포정보(matching ditribution information)를 배포정보표에서 검색한다. 매칭 배포정보가 검색되면,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는 방송될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임을 배포검사 서브유닛(16)에 알려주고, 매칭 배포정보에 나타난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를 배포검사 서브유닛(16)에 출력한다.
1.3 기록장치(30)
다음으로 기록장치(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모든 기록장치는 구성이 서로 유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장치의 구성도이다.
기록장치(30)는 수신부(101), 스위치(102), 출력부(103), 하드디스크(104), CPU(105),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 및 요청부(107)로 구성된다.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01)는 방송국(10)으로부터 방송되거나 배포되는 TS를 수신한다. 특히 수신부(101)는 CATV 튜너(108)와 TS 디코더(109)로 구성된다.
CATV 튜너(108)는 CATV의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미리 특정되거나 프로그램된 채널에 관한 TS를 선택적으로 추출한다.
TS 디코더(109)는 CATV 튜너(108)에 의해 취득된 TS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MPEG2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MPEG2 스트림은 스위치(102)에 출력하고 데이터 스트림은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특히, 출력부(103)는 MPEG2 디코더(110)이다. MPEG2 스트림으로 인코딩된 콘텐츠를 스위치(102)로부터 수신하면, 출력부(103)는 MPEG2를 NTSC 신호로 디코딩하고, 그 결과의 NTSC신호를 텔레비전 세트에 출력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ID 취득 서브유닛(118), 배포일시 취득 서브유닛(119), 및 만료일시 취득 서브유닛(120)을 포함한다. TS 디코더(109)에 의해 TS로부터 분리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면, ID취득 서브유닛(118), 배포일시 취득 서브유닛(119) 및 만료일시 취득 서브유닛(120)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각각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를 추출한다. 결국,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도 7의 (A)에 도시된 엔트리 정보를 취득한다. 도 7의 (A), (B), 및 (C)는 엔트리 정보의 특정 예와 함께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의해 취득된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또한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의 각각이 취득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기록판정부(111)에 알려주고, 기록 판정부(1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그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다.
요청부(107)는 요청생성 서브유닛(121)과 CATV 모뎀(122)으로 구성되며, 배포장치(12)에 콘텐츠의 주문형 배포에 대한 요청과 엔트리 정보의 전송에 관한 요청을 한다.
요청생성 서브유닛(121)은 도 4의 (A)에 도시된 시청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CATV 모뎀(122)은 생성된 메시지를 CATV 케이블을 통해 배포장치에 전송한다. 요청생성 서브유닛(121)은 콘텐츠 자체는 없이 엔트리 정보가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재생시, 또는 만료일시를 감시하는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으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술한 동작을 실행한다.
요청생성 서브유닛(121)은 또한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도록 기록판정부(111)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취득될 엔트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취득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어서, CATV의 모뎀(122)은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CATV의 케이블을 통해 배포장치(12)에 전송한다. 요청생성 서브유닛(121)은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로부터 직접, 또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의해 하드디스크(104)에 기입된 콘텐츠 ID를 판독함으로써 콘텐츠 ID를 취득할 수 있다.
CPU(105)는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각 기능블록을 제어한다.
CPU(105)는 콘텐츠의 사용자 조작 요청 재생에 응답하여, 하드디스크(104)로부터 요청된 콘텐츠의 취득을 시도한다. 하드디스크(104)가 요청된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CPU(105)는 MPEG2 스트림을 판독할 것을 지시하고, 스위치(102)와 MPEG2 디코더(110)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재생한다.
한편, 하드디스크(104)가 MPEG2 스트림 없이, 요청된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CPU(105)는 엔트리 정보를 요청부(107)에 출력하도록 하드디스크(104)를 제어하고, 요청부(107)에 시청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CPU(105)는 또한 시청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된 TS로부터 요청메시지의 MPEG2 스트림을 취득하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스위치(102)와 MPEG2 디코더(110)를 제어한다.
CPU(105)는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록 판정부(111)와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의 기능을 달성하며, 그에 따라 콘텐츠의 기록을 제어한다.
기록 판정부(111)는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 배포판정 서브유닛(114), 및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을 포함하는 기능블록이다. 콘텐츠의 기록이 사용자 조작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요청되면, 기록 판정부(111)는 요청된 콘텐츠와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 배포판정 서브유닛(114), 및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에 의해 판정하면, 기록 판정부(111)는 스위치(102)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다. 한편,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을 것을 판정하면, 기록 판정부(111)는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할 것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지시한다.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콘텐츠 ID, 배포일시 정보, 및 만료일시 정보의 각각이 취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로부터 수신한다. 콘텐츠 ID가 취득되지 않았음을 수신 정보가 보여주면,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판정한다. 콘텐츠 ID는 취득되었으나 배포일시 정보 및/또는 만료일시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으면,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요청부(107)에 엔트리 정보의 취득에 대한 요청을 지시한다.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이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을 것을 판정하면,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요구받은 저장공간과, 이용가능한 공간, 즉 하드디스크(104)의 빈 저장공간을 비교한다. 빈 저장공간이 더 크면,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판정한다. 한편, 빈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콘텐츠를 기록하지 말 것을 판정한다.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공간은 사용자의 프로그램된 기록시간과 콘텐츠의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거나, 또는 개략적인 추정치를 사용함으로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소위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 등의 고화질이면, 1시간의 콘텐츠는 대략 5기가바이트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콘텐츠의 기록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실시간으로 지시되어서 기록시간이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기록시간(예를 들면, 2시간) 동안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에 기초하여 판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이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것을 판정하면, 배포판정 서브유닛(114)은 엔트리 정보에 나타난 배포일시와 현재일시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아직 배포일시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배포판정 서브유닛(114)은 엔트리 정보에 부가하여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할 것을 판정한다.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는 배포일시 감시 서브유닛(116)과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으로 구성된다. 일단 엔트리 정보가 하드디스크(104)에 저장되면,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는 콘텐츠를 항상 시청에 이용할 수 있게 하도록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에 기초하여 콘텐츠와 엔트리 정보의 저장을 관리한다.
배포일시 감시 서브유닛(116)은, 아직 배포일시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배포 판정부(114)가 판정하였을 때 동작하며, 엔트리 정보와 콘텐츠가 모두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된다. 이 경우에, 배포일시 감시 서브유닛(116)은 일시(date/time)를 감시하여 배포일시에 도달한 시간에 콘텐츠를 삭제하도록 하드디스크(104)를 제어한다.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은 엔트리 정보가 콘텐츠없이 하드디스크(104)에 단독으로 저장될 때 동작한다. 이 경우,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은 일시를 감시하여, 그것이 만료일시까지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으면(예를 들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걸리는 기간), 엔트리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에 대한 배포요청을 하도록 요청부(107)를 제어한다.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은 또한 스위치(102)를 제어하여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배포되는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콘텐츠와 첨부된 엔트리 정보의 방송을 수신하면, 기록장치는 콘텐츠없이 엔트리 정보를 저장하고, 나중에 기록된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문형 배포의 콘텐츠를 수신한다. 결국, 기록장치의 사용자는 방송 후 언제라도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모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된 경우와 비교하여 하드디스크 저장용량을 상당량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국, 보다 많은 콘텐츠가 하드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록장치는 종래의 기록장치 보다 작은 용량의 하드디스크로도 종래의 기록장치와 동등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어, 기록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장치는 방송일시와 배포일시 사이의 시간중에 엔트리 정보 외에도 콘텐츠를 저장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어느 때라도 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게다가 기록장치는 배포일시 후에는 하드디스크로부터 콘텐츠를 삭제하므로, 삭제를 하지 않았다면 콘텐츠에 의해 점유될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기록장치는 콘텐츠에 대한 주문형 서비스의 만료 전에 주문형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한다. 결국, 콘텐츠를 더 이상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없어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을 하나의 MPEG2 스트림과 엔트리 정보가 TS로 다중화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복수의 MPEG2 스트림과 대응 엔트리 정보가 모두 TS 스트림에 다중화되는 것 또한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기록장치는 복수의 엔트리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상호 연관된(mutually-linked) MPEG2 스트림이 다중화된 TS인, 소위 다중화면식 방송 프로그램(multi-view type broadcast program)을 기록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기로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다중화면식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기록장치는 메인 MPEG2 스트림을 기록할 수 있을 뿐이므로, 다른 MPEG2 스트림은 기록되지 않고 널 패킷(null packet)으로 채워진다. 당연히 사용자는 MPEG2 스트림이 기록되지 않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다.
종래의 장치와 달리, 복수의 MPEG2 스트림과 대응 엔트리 정보가 다중화된 TS를 수신하면,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메인 MPEG2 스트림을 제외한 다른 MPEG2 스트림에 대응하는 각 엔트리 정보를 저장한다. 이 엔트리 정보는 종래에는 널 패킷으로 채워졌던 저장영역에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사용자가 다중화면식 프로그램에 제공된 모든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해준다.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방송 기록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4 콘텐츠 방송을 위한 동작
도 8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방송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방송될 목표가 되는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가능한 것인지를 검사하기 위해, 방송장치(11)의 배포검사 서브유닛(16)은 타겟 콘텐츠의 방송일시를 배포장치(12)의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에 알려준다(S11).
방송일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는 배포정보 콘텐츠 축적부(23)에 저장된 배포정보표에서, 수신된 방송일시와 일치하는 방송일시를 포함한 배포정보를 검색한다. 이러한 배포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S12에서 NO),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는 타겟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불가능한 것임을 알려준다(S13). 한편, 이러한 배포정보가 배포정보표에서 발견되면,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는 배포정보에 나타나 있는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를 배포검사 서브유닛(16)에 출력하여, 타겟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가능한 것임을 알려준다(S14).
타겟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통보받으면(S15에서 YES), 정보생성 서브유닛(17)은 배포정보 프리젠팅부(24)로부터 배포검사 서브유닛(16)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로부터 엔트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다중화 서브유닛(18)은 생성된 엔트리 정보를 방송 콘텐츠 축적부(13)에 저장된 타겟 콘텐츠의 MPEG2 스트림과 다중화함으로서 TS를 생성한다(S16). 여기에서, 타겟 콘텐츠가 이미 주문형 배포에 적용가능하고, 따라서 배포일시가 설정되지 않았거나 만료일시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생성부(17)가 도 7의 (C)에 도시된 배포일시로서 디폴트값 "0XFFFFFFFFFFFF"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폴트값은 대응 정보 아이템이 설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또한 배포검사 서브유닛(16)이 유효값을 갖는 배포일시 또는 만료일시의 취득에 실패하는 경우, 정보생성 서브유닛(17)은 대응정보 아이템에 관한 어떠한 값도 설정하지 않고 엔트리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타겟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대해 이용불가능한 것으로 통보받으면(S15의 NO), 다중화 서브유닛(18)은 방송 콘텐츠 축적부(13)에 저장된 타겟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TS를 생성한다(S17).
송신부(15)는 방송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이 잡힌 시간에 CATV의 케이블을 통해 다중화 서브유닛(18)에 의해 생성된 TS를 방송한다(S18).
상술한 동작을 통해, 방송되는 타겟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게 되면, 방송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콘텐츠에 첨부함으로써 엔트리 정보를 방송한다. 엔트리 정보는 주문형 배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목표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1.5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장치(30)에 의한 동작
다음으로, 콘텐츠를 수신하고 시청시간 이동을 위해 콘텐츠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의 기록이 사용자 조작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요청되면(S21), CATV 튜너(108)는 CATV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사용자 요청의 채널에 관한 TS를 추출한다. 그리고 TS 디코더(109)는 추출된 TS를 MPEG2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여, MPEG2 스트림은 스위치(102)에 출력하고, 데이터 스트림은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출력한다(S22).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의 취득을 시도하여, 취득된 정보 아이템을 기록 판정부(111)에 알려준다(S23).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가 콘텐츠 ID의 취득에 실패하면(S23의 NO), 기록 판정부(111)의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없음을 판정하고, 스위치(102)를 제어하여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게 한다(S24). 이것으로 콘텐츠의 기록을 완료한다.
콘텐츠 ID가 취득되었음을 통보받으면(S23의 YES),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취득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로부터 통지를 받는다(S25).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가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만료일시의 취득에 실패하는 경우, 기록 판정부(111)는 배포일시와 만료일시의 하나 또는 모두가 취득되지 않았음을 보고받는다(S25의 NO). 이 경우,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113)은 엔트리 정보에 대한 취득요청의 역할을 하는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부(107)에 지시한다(S26).
요청부(107)로부터의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에 응답하여, 배포장치(12)는 전송된 콘텐츠 ID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의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를 포함하는 TS를 전송한다. 이어서, CATV 튜너(108)는 TS를 수신하고, TS 디코더(109)는 TS를 역다중화하여 배포일시와 만료일시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한다.
배포일시 취득 서브유닛(119)과 만료일시 취득 서브유닛(120)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배포일시와 만료일시를 각각 추출한다. 이어서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는 엔트리 정보를 생성하고, 그 후의 동작을 계속한다(S27).
배포일시와 만료일시가 취득되었음을 통보받으면(S25의 YES), 기록 판정부(111)의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공간과 하드디스크(104)에 남아있는 빈 저장공간을 비교한다. 빈 저장공간이 부족하면(S31의 NO),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것을 지시한다(S28).
한편, 빈 저장공간이 크면(S31의 YES), 용량판정 서브유닛(115)은 스위치(102)를 제어하여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크(104)에 저장한다(S32). 기록될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추정치보다 긴 경우가 있을 수 있며, 하드디스크(104)는 기록처리의 중간에 빈 저장공간을 다 써버리게 된다(S33의 NO). 그 경우, 기록 판정부(111)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기록정보를 저장하도록 지시한다(S34).
상술한 동작을 통해, 기록장치는 MPEG2 스트림 대신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며, 이것은 하드디스크(104)의 필요한 저장공간을 절감시켜 준다.
또한, 하드디스크(104)가 MPEG2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빈 공간을 충분히 갖지 못하더라도, 기록장치는 MPEG2 스트림보다 크기가 훨씬 작은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다. 나중에 기록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주문형 배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기록장치는 또한 충분히 빈 공간이 남아 있으면,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다. 이것은 시청요청을 하지 않았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배포장치와 기록장치 사이의 트래픽을 줄여주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어떤 정보 아이템(예를 들면,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이 방송 콘텐츠와 함께 취득된 엔트리 정보에서 빠져 있을 경우, 기록장치는 엔트리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포장치에 엔트리 정보의 배포를 요청한다. 배포장치는 주문형 배포를 위해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록장치는 부가정보 취득 메시지를 냄으로써 엔트리 정보를 신뢰성있게 수신할 수 있다. 엔트리 정보가 신뢰성있게 수신되면, 기록장치는 콘텐츠 ID,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에 기초하여 배포장치에 의한 주문형 배포에 대해 이용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집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동작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에서, 기록장치(30)는 하드디스크(104)에 충분히 빈 공간이 있을 때 콘텐츠를 MPEG2 스트림의 형태로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다. 도 10은 하드디스크(104)의 저장공간을 더 절약하기 위한 다른 동작을 보여준다.
도 10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다른 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에서는 S31 내지 S34가 없고, S29와 S30이 추가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25에서, 배포일시와 만료일시가 모두 취득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S25의 YES), 기록판정부(111)는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엔트리 정보 기록부(106)에 무조건 지시한다(S28).
또한 배포일시가 아직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는 시간에 도달되지 않았으면(S29), 기록 판정부(111)는 MPEG2 스트림과, 이미 기록되어 있는 엔트리 정보를 부가적으로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스위치(102)를 제어한다(S30).
상술한 동작을 통해, 기록장치(30)는 콘텐츠의 MPEG2 스트림과 함께 엔트리 정보를 적절하게 수신하면 항상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결국, 하드디스크(104)의 저장공간이 상당히 절약되어 보다 많은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기록장치는 또한 아직 배포일시에 도달되지 않아서 기록시 대응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를 위해 이용할 수 없으면, 기록정보에 부가하여 방송 콘텐츠를 기록한다. 결국 배포일시 이전이라도 콘텐츠의 시간이동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1.6 기록장치(30)에 의한 기록관리 동작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항상 주문형 배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가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한 후, 언젠가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주문형 서비스가 더 이상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요청된 콘텐츠를 결과적으로 시청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를 피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의 기록장치(30)는 배포일시 및 만료일시에 기초하여 모든 엔트리 정보를 집합적으로 관리한다.
도 11은 기록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 1 실시예의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기록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의 배포일시 감시 서브유닛(116)은 현재의 일시와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배포일시를 비교한다. 배포일시에 도달하면(S41의 YES), 배포일시 감시 서브유닛(116)은 엔트리 정보에 대응하는 MPEG2 스트림를 삭제한다(S42).
또한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의 만료일시 감시 서브유닛(117)은 현재의 일시와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만료일시를 비교한다. 현재의 일시가 만료일시까지 미리 정해진 기간(예컨대, 미리 정해진 기간은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걸리는 기간임) 내에 있으면(S43의 YES),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는 엔트리 정보에 의해 식별된 콘텐츠의 배포를 요청하도록 요청부(107)에 지시한다(S44). 또한, 이용가능-기간 감시부(112)는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배포된 MPEG2 스트림을 기록하도록 CATV 튜너(108), TS 디코더(109), 및 스위치(102)에 지시한다(S45).
상술한 동작을 통해, 배포일시 전에 엔트리 정보와 MPEG2 스트림을 수신 및 기록하는 경우, 기록장치(30)는 배포일시가 되면 MPEG2 스트림를 삭제한다. 결국, 하드디스크(104)의 저장공간이 절약된다.
또한,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대한 만료일시를 갖는 경우, 기록장치(30)는 만료일시 전에 배포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취득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한다. 결국,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콘텐츠의 재생을 시청할 수 있게 보장해 준다.
1.7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재생동작
다음으로, 사용자가 기록된 콘텐츠를 시청하도록 제 1 실시예의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사용자가 기록된 콘텐츠를 시청할 때 제 1 실시예의 기록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의 재생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요청되면(S51), CPU(105)는 요청된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이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이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되었음을 판정하면, CPU(105)는 MPEG2 스트림을 판독하고, 판독된 MPEG2 스트림을 텔레비전 세트에 표시하도록 스위치(102)와 출력부(103)를 제어한다.
한편, 요청된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이 하드디스크(104)에 기록되면(S52의 NO), 요청부(107)는 요청된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시청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시청요청 메시지를 CATV 케이블을 통해 배포장치(12)에 전송한다(S54). 그리고 수신부(101)는 시청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주문형 배포된 MPEG2 스트림을 수신하고, CPU(105)는 수신된 MPEG2 스트림을 텔레비전 세트에 표시하도록 스위치(102)와 출력부(103)를 제어한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제 1 실시예의 기록장치(30)는 하드디스크(104)가 콘텐츠의 MPEG2 스트림 또는 MPEG2 스트림 없는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저장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방송 후, 언제라도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제 2 실시예)
<개관>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방송 기록시스템(2)은 아날로그 지상 방송에 의한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한 주문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조>
2.1 시스템 구성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송 기록시스템(2)은 텔레비전 방송국(40), 기록장치(50), 및 콘텐츠 배포센터(60, 70)로 구성된다. 방송 기록시스템(2)에 따르면, 텔레비전 방송국(40)은 콘텐츠를 방송하고, 기록장치(50)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한다. 텔레비전 방송국(40), 기록장치(50), 및 콘텐츠 배포센터(60, 70)는 인터넷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텔레비전 방송국(40)은 미리 정해진 방송 시간표에 따라 NTSC 표준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방송한다. 콘텐츠 배포센터(60, 70)의 각각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라 불리며, 예를 들면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각각 축적하고, 주문시 인터넷을 통해 축적된 콘텐츠를 가입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록장치에 배포한다.
기록장치(50)는 텔레비전 서비스를 통해 텔레비전 방송국(40)으로부터 방송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한다. 기록장치(50)는 또한 콘텐츠를 배포하고, 배포된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도록 배포센터(60, 70)에 요청한다.
2.2 텔레비전 방송국(40)
이하, 텔레비전 방송국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텔레비전 방송국(40)과 콘텐츠 배포센터(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텔레비전 방송국(40)은 방송 콘텐츠 축적부(41), 부가부(42), 및 전송부(43)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방송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이 잡힌 시간에 NTSC 표준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방송한다. 콘텐츠 배포센터(60 또는 70)에 의해 동일한 콘텐츠의 배포가 허가되는 콘텐츠를 방송할 때, 텔레비전 방송국(40)은 방송파에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보여주는 URL(Uniform Resoruce Locator)을 포함하는 엔트리 정보를 슈퍼임포징(superimposing)한다.
방송 콘텐츠 축적부(41)는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할 콘텐츠를 축적하고, 방송시간에 콘텐츠를 나타내는 NTSC 신호를 출력한다.
부가부(42)는 배포검사 서브유닛(44), 정보생성 서브유닛(45), 및 슈퍼임포징 서브유닛(46)의 기능블록들을 포함한다. 동일한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해, 부가부(42)는 대응하는 엔트리 정보를, 방송될 콘텐츠를 반송(搬送)하는 방송파에 슈퍼임포즈한다.
배포검사 서브유닛(44)은 방송될 콘텐츠의 방송일시를 콘텐츠 배포센터(60, 70)에 전송하고, 동일한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배포정보 프리젠팅부(63)가 동일한 정보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려주면, 배포검사 서브유닛(44)은 배포정보 프리젠팅부(63)로부터 배포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보여주는 URL과, 배포 콘텐츠의 해상도와 비트 레이트로 구성되는 품질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를 정보생성 서브유닛(45)에 출력한다.
정보생성 서브유닛(45)은 배포검사 서브유닛(44)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 15에 도시된 엔트리 정보를 생성한다.
주문형 배포에 대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방송하면, 슈퍼임포징 서브유닛(46)은 정보생성 서브유닛(45)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정보를 NTSC 신호에 슈퍼임포징한다. 여기에서 NTSC신호는 방송을 위해 방송 콘텐츠 축적부(41)로부터 전송부(43)로 출력된다.
전송부(43)는 방송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이 잡힌 시간에 슈퍼임포징 서브유닛(46)으로부터 출력된 NTSC 신호를 방송한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엔트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와, 엔트리 정보가 슈퍼임포징된 NTSC신호(401)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NTSC 신호(401)는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며, 데이터 스트림(402)은 수직 귀선 기간(vertical blanking period)의 일부에 슈퍼임포징된다. 데이터 스트림(402)은 데이터 헤더(403)와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며, 엔트리 정보는 URL(404)과 품질정보(405)로 구성된다.
URL(404)은 인터넷 상의 배포정보의 저장위치를 나타내고, 품질정보(405)는 콘텐츠가 배포되는 비트 레이트와 해상도를 나타낸다.
엔트리 정보는 콘텐츠의 각 프레임에 슈퍼임포징된다. 즉, 엔트리 정보는 콘텐츠 방송 중에는 아무 때나 취득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을 NTSC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슈퍼임포징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문자방송에 이용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동일한 콘텐츠를 주문형 배포에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방송하면, 텔레비전 방송국(40)은 콘텐츠를 반송하는 NTSC 신호에 엔트리 정보를 슈퍼임포징함으로써 엔트리 정보를 방송한다.
2.3 콘텐츠 배포센터(60)
다음으로, 콘텐츠 배포센터(6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배포센터(60)는 콘텐츠 배포부(61), 배포 콘텐츠 축적부(62), 배포정보 프리젠팅부(63), 전송정보 저장부(64) 및 배포요청 전송부(65)로 구성된다.
콘텐츠 배포센터(60)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상이한 화질, 즉 상이한 해상도와 비트 레이트를 갖는 복수의 MPEG2 스트림을 준비하므로, 콘텐츠가 배포되는 기록장치의 해상도 또는 콘텐츠가 배포되는 통신선의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적합한 비디오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다.
콘텐츠 배포부(61)는 기록장치(50)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시청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배포 콘텐츠 축적부(62)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판독하며, 판독된 콘텐츠를 요청된 소스, 즉 기록장치(50)에 배포한다. 시청요청 패킷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가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콘텐츠 배포부(61)는 요청된 콘텐츠가 발견되지 않았음을 배포요청 전송부(65)에 알려준다.
배포 콘텐츠 축적부(62)는 배포 콘텐츠를 MPEG2 스트림으로 저장하는 대용량 기록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포 콘텐츠 축적부(62)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해상도와 비트 레이트 등의 상이한 화질을 갖는 복수의 MPEG2 스트림을 저장한다. 배포 콘텐츠 축적부(62)는 저장된 콘텐츠의 각각에 대하여 방송일시, URL, 및 대응 콘텐츠의 모든 MPEG2 스트림 중에서 최고 화질의 품질정보로 구성되는 배포정보를 저장한다.
배포정보 프리젠팅부(63)는 텔레비전 방송국(40)으로부터 방송되는 콘텐츠의 방송일시를 수신하고,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에서 일치하는 방송일시를 보여주는 배포정보를 검색한다. 일치하는 배포정보가 있으면, 배포정보 프리젠팅부(63)는 배포정보에 포함된 URL과 품질정보를 텔레비전 방송국(40)의 배포검사 서브유닛(44)에 전송함으로써, 방송될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이용가능한 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또는 콘텐츠의 만료일시가 경과되었기 때문에,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에 저장된 콘텐츠가 콘텐츠 배포센터(60)의 관리자에 의해 다른 콘텐츠 배포센터에 전송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송정보 저장부(64)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위치의 URL을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정보 저장부(64)는 전송된 각각의 콘텐츠에 대해, 전송이나 송신의 목적지인 콘텐츠 배포센터의 URL 또는 콘텐츠의 복제가 캐시(cache)되는 프록시 서버(proxy server)의 URL을 저장한다.
요청된 콘텐츠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콘텐츠 배포부(61)로부터 수신하면, 배포요청 전송부(65)는 요청된 콘텐츠의 전송 목적지를 나타내는 URL을 전송정보 저장부(64)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URL에 인터넷을 통해 시청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요청된 콘텐츠를 배포장치(50)에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콘텐츠 배포센터(60)는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장치(50)에 전송한다.
콘텐츠 배포센터(70)는 콘텐츠 배포센터(6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2.4 기록장치(50)
다음으로, 기록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장치(5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장치(50)는 수신부(201), 스위치(102), 출력부(103), 하드디스크(104), CPU(105),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 및 요청부(203)로 구성된다.
기록장치(30)에서와 유사한 참조번호를 표시한 구성요소는 대응 구성요소와 유사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201)는 텔레비전 방송국(40) 또는 콘텐츠 배포센터(60 또는 70)로부터 방송되거나 배포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블록이다. 특히, 수신부(201)는 텔레비전 튜너(204), 역다중화기(demultiplexer)(205), MPEG2 인코더(206), 및 복조기(207)로 구성된다.
텔레비전 튜너(204)는 텔레비전 방송국(40)으로부터 방송파를 수신하고, 사용자 선택 채널에 동조하여 채널에 수신된 NTSC 신호를 출력한다.
MPEG2 인코더(206)는 MPEG2 표준에 따라 NTSC 신호를 MPEG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MPEG2 스트림을 스위치(102)에 출력한다.
복조기(207)는 인터넷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접속되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입력 패킷으로부터 MPEG2 스트림을 추출하여, 추출된 MPEG2 스트림을 스위치(102)에 출력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URL 취득 서브유닛(208)과 품질정보 취득 서브유닛(209)을 포함한다. URL 취득 서브유닛(208)은 수신된 NTSC 신호에서 역다중화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보여주는 URL을 추출하고, 품질정보 취득 서브유닛(209)은 콘텐츠의 해상도와 비트 레이트로 구성되는 품질정보를 추출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엔트리 정보를 취득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기록 판정부(212)에 URL과 품질정보의 각각이 취득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알려준다. 또한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기록 판정부(212)로부터의 기록명령에 응답하여, 하드디스크(104)에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요청부(203)는 요청 생성 서브유닛(210)과 변조기(211)로 구성되며, 콘텐츠 배포센터(60)에 콘텐츠의 주문형 배포에 관한 요청을 한다.
요청부(203)는 엔트리 정보에 나타난 해상도와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기록장치(50)에 적합한 비트 레이트와 해상도로 배포되도록 배포요청을 한다. 결국, 사용자는 프레임을 건너 뛰거나 재생속도의 변동없이 콘텐츠의 재생을 확실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대응 엔트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는 하지만 하드디스크(104)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청생성 서브유닛(210)은 CPU(105)에 의한 제어하에 도 16에 도시된 시청요청 패킷을 생성한다. 시청요청 패킷은 하드디스크(104)로부터 판독된 엔트리 정보와, 기록장치(50)가 제공하는 해상도 및 비트 레이트를 참조하여 생성된다. 요청 생성부(210)는 생성된 시청요청 패킷을 변조기(211)에 출력한다.
변조기(211)는 시청요청 패킷을 출력에 적합한 패킷으로 변조하여, 그 출력패킷을 인터넷의 업스트림(upstream)에 출력한다.
CPU(105)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CPU(105)는 또한 예를들어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록 판정부(212)의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콘텐츠의 기록을 제어한다.
기록 판정부(212)는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213), 품질판정 서브유닛(214), 및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을 포함하는 기능블록이며, 콘텐츠의 기록이 사용자 조작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요청되면, 요청된 콘텐츠와 대응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213), 품질판정 서브유닛(214), 및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이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판정하면, 기록 판정부(212)는 콘텐츠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스위치(102)를 제어한다. 한편,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것을 판정하면, 기록 판정부(212)는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지시한다.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213)은 URL과 품질정보의 각각이 취득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로부터 수신한다. URL이 취득되지 않았다는 통지를 받으면,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213)은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판정한다.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은 제 1 실시예의 용량판정 서브유닛(115)과 유사한 기능블록이다.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이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판정하면, 품질판정 서브유닛(214)은 수신된 콘텐츠(제 2 실시예에서는 NTSC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생성된 MPEG2 스트림을 의미함)의 화질과 품질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을 비교한다. 품질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이 높으면, 품질판정 서브유닛(214)은 엔트리 정보가 콘텐츠 대신 저장되도록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의 판정을 무효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하드디스크(104)가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빈 저장공간을 충분히 갖지 못하면, 기록장치가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엔트리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배포된 콘텐츠를 나중에 시청할 수 있다.
결국, 모든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에 비해 하드디스크의 저장공간이 현저히 절약된다.
또한,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와 함께 취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주문형으로 배포되는 콘텐츠를 비교하여 화질이 더 나은 콘텐츠를 선택한다.
결국, 사용자는 화질이 보다 우수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복수의 방송 콘텐츠를 동시에 기록할 것이 요청되는 경우, CPU(105)는 다음과 같이 각 기능블록을 제어한다. 우선, 텔레비전 튜너(204)는 제 1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한 NTSC 신호 방송을 취득하도록 제어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NTSC 신호로부터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CPU(105)는 제 2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로 전환하고, 전환된 채널에 대한 NTSC 신호를 취득하도록 텔레비전 튜너(204)를 제어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NTSC 신호로부터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CPU(105)는 그 후 제 3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유사한 제어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송 콘텐츠가 동시에 기록될 것을 요청받으면, 기록장치는 MPEG2 스트림 대신 각 콘텐츠의 엔트리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는 요청된 모든 콘텐츠를 사용자가 나중에 시청할 수 있게 해 준다.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방송 기록시스템(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5 기록장치(50)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동작
이하, 시청시간 이동을 위한 목적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하드디스크에 콘텐츠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방송 기록시스템(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조작 또는 프로그램된 기록 스케줄에 의해 콘텐츠의 기록이 요청되면(S61), 텔레비전 튜너(204)는 안테나로 수신된 모든 신호중에서 선택된 사용자 채널에 관한 NTSC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신호를 역다중화기(205)와 MPEG2 인코더(206)에 출력한다(S62).
MPEG2 인코더(206)는 NTSC 신호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MPEG2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MPEG2 스트림을 스위치(102)에 출력한다.
역다중화기(205)는 수직 귀선 기간에 대응하는 NTSC 신호에 슈퍼임포징되는 데이터를 스트림을 분리하여, 분리된 데이터 스트림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출력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URL 취득 서브유닛(208)과 품질정보 취득 서브유닛(209)으로 URL과 품질정보의 취득을 시도한다.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는 각 정보 아이템이 취득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기록 판정부(212)에 알려준다.
URL이 취득되지 않았음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의해 통지받으면(S63의 NO), 기록 판정부(212)의 엔트리 정보 판정 서브유닛(213)은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주문형 배포에 이용불가능함을 판정하며,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스위치(102)를 제어하고, 기록을 완료한다.
한편, URL이 취득된 것으로 통지를 받으면(S63의 YES), 기록 판정부(212)의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은 하드디스크(104)의 빈 저장공간과, 요청 콘텐츠를 MPEG2 스트림 형태로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을 비교한다. 하드디스크(104)의 빈 저장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되면(S65), 용량판정 서브유닛(215)은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것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지시하고, 기록을 완료한다.
반대로, 하드디스크(104)의 빈 저장공간이 충분한 것으로 판정되면(S65의 YES), 기록판정부(212)의 품질판정 서브유닛(214)은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과, 수신된 NTSC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생성된 MPEG2 스트림의 화질을 비교한다(S67).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이 더 높은 것으로 판정되면(S67의 NO), 품질판정 서브유닛(214)은 엔트리 정보를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할 것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지시하고(S66), 기록을 완료한다.
한편, MPEG2 스트림의 화질이 더 높은 것으로 판정되면(S67의 YES), 품질판정 서브유닛(214)은 MPEG2 스트림을 하드디스크(104)에 기록하도록 스위치(102)를 제어한다. 기록되는 콘텐츠가 미리 정해진 기간 보다 긴 경우에는 하드디스크(104)는 기록처리를 하는 도중에 저장공간을 다 써버리게 된다(S69의 NO). 이러한 경우, 기록 판정부(212)는 엔트리 정보를 기록할 것을 엔트리 정보 기록부(202)에 지시한다(S70).
상술한 동작을 통해, 비록 하드디스크(104)에 방송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이 남아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기록장치(50)는 수신된 NTSC 신호로부터 취득된 엔트리 정보를 MPEG2 스트림 대신 기록한다. 엔트리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장치(50)는 주문형 배포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나중에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기록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된 경우에는 특히 총 기록시간이 알려진다. 결국 하드디스크(104)의 빈 저장공간과 콘텐츠의 기록에 필요한 저장공간을 신뢰성있게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104)의 이용가능한 메모리의 부족으로 인해 콘텐츠가 불충분하게 기록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실제로 기록을 해보기 전에는 총 기록시간을 확실히 알지 못하는 경우, 하드디스크(104)는 기록처리를 통해 빈 저장공간을 거의 사용해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기록장치가 콘텐츠보다 크기가 훨씬 작은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엔트리 정보가 기록되는 한, 기록장치는 주문형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동일한 콘텐츠의 수신이 허용된다. 이것으로 사용자가 끝까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기록장치는 또한 방송 서비스를 통해 공급되는 콘텐츠와 함께 취득된 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화질과 주문형 배포 콘텐츠의 화질을 비교한다. 방송 콘텐츠의 화질이 더 우수하면, 기록장치는 수신된 방송파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기록한다. 한편, 배포 콘텐츠의 화질이 더 우수하면, 기록장치는 수신된 방송파로부터 취득된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다. 결국, 사용자는 나중에 언제라도 화질이 우수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2.6 콘텐츠 배포를 위한 콘텐츠 배포센터(60, 70)에 의한 동작
이하, 콘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콘텐츠 배포센터(60, 7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주문형 배포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장치(50)로부터 전송된 시청요청 패킷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 목적지로서의 URL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 배포센터(60)에 공급된다(S71).
콘텐츠 배포센터(60)가 시청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콘텐츠 배포부(61)는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에 저장된 모든 MPEG2 스트림에서 시청요청 패킷에 포함된 URL에 의해 특정되는 MPEG2 스트림을 검색한다.
배포 콘텐츠 축적부(62)가 특정 MPEG2 스트림을 저장하면(S72의 YES), 콘텐츠 배포부(61)는 배포 콘텐츠 축적부(62)로부터 MPEG2 스트림을 취득하고, 취득된 MPEG2 스트림을 인터넷을 통해 기록장치(50)에 전송한다(S73).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의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콘텐츠 배포센터(60)의 관리자는 배포 콘텐츠 축적부(62)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 배포센터(예를 들면, 콘텐츠 배포센터(70))에 전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배포 콘텐츠 축적부(62)가 더 이상 특정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콘텐츠 배포부(61)는 요청된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이 취득되지 않았음을 배포요청 전송부(65)에 통지한다.
그에 응답하여 배포요청 전송부(65)는 요청된 콘텐츠의 전송 목적지가 저장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전송정보 저장부(64)를 검색한다. 요청된 콘텐츠의 전송 목적지가 발견되지 않으면(S74의 NO), 배포요청 전송부(65)는 시청요청 패킷의 전송소스인 기록장치에 요청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음을 통지한다(S75).
한편, 요청된 콘텐츠의 전송 목적지가 전송정보 저장부(64)에서 발견되지 않으면(S74의 YES), 배포요청 전송부(65)는 시청요청 패킷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 목적지(예를 들면, 콘텐츠 배포센터(70))의 URL에 전송함으로써, 요청된 콘텐츠를 기록장치(50)에 배포할 것을 요청한다(S76).
콘텐츠 배포센터(60)로부터 전송된 시청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콘텐츠 배포센터(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콘텐츠 배포부는 콘텐츠 축적부로부터 요청 콘텐츠의 MPEG2 스트림을 취득하고, 취득한 MPEG2 스트림을 요청 소스인 기록장치(50)에 전송한다(S78).
상술한 동작을 통해, 요청 콘텐츠가 배포센터 내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 배포센터는 기록장치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기록장치가 콘텐츠의 MPEG2 스트림 없이 엔트리 정보를 저장하고, 기록장치에 의해 배포요청을 받은 콘텐츠 배포센터가 더 이상 요청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고 있으면, 기록장치의 사용자는 여전히 요청된 콘텐츠를 취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시청요청 패킷을 수신한 콘텐츠 배포센터(70)는 콘텐츠 배포센터(60)와 유사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요청 콘텐츠와 전송정보에 대한 검색), 시청요청 패킷은 추가로 다른 콘텐츠 배포센터로 전송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3. 수정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행해질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한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의 예로서는 CD-ROM, MO, DVD, DVD-ROM, DVD-RAM, BD(Blue-ray Disk) 및 반도체 메모리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임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디지털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통신회선, 무선통신, 유선통신회선, 또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디지털 신호는 상술한 기록매체의 형태로 또는 상술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또는 디지털 신호는 다른 독립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는 엔트리 정보는 반드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데이터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가 주문형 배포에 대한 대응 콘텐츠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한, 다른 어떤 데이터 구조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리 정보는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과 일시에 의해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포장치는 주문형 배포를 위한 각 콘텐츠가 대응 방송채널 및 방송일시와 상호관련되어 있는 표를 저장한다. 결국, 기록장치는 원하는 콘텐츠의 방송채널과 방송일시를 이용하여 배포요청을 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장치는 CATV 방송 및 지상 아날로그 방송 외의 다른 어떠한 방송 시스템에 의한 콘텐츠도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장치는 지상 디지털 방송, BS 방송, BS 디지털 방송, 또는 CS방송에 의한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다.
(4) 상술한 실시예에서, 엔트리 정보는 MPEG2 표준에 따르는 TS에 엔트리 정보를 다중화함으로써, 또는 수직 귀선 기간에 아날로그 방송파에 엔트리 정보를 슈퍼임포징함으로써 콘텐츠에 부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와 엔트리 정보는 다른 방식으로 함께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리 정보는 데이터 방송을 위한 디지털 방송에 이용되는 데이터 주기전송 방식(data carousel scheme)을 이용하여 TS에 다중화 될 수 있다.
(5) 상술한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인코딩함으로써 생성된 MPEG2 스트림과 엔트리 정보는 모두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그러나 MPEG2 스트림과 엔트리 정보가 반드시 동일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엔트리 정보는 RAM 등의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6)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송, 배포 및 기록을 위한 콘텐츠의 코딩은 모두 MPEG2 표준에 따라 실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송 기록시스템에 이용되는 코딩은 MPEG2 표준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MPEG4 표준, H.263 표준, 및 H.264 표준에 따르는 어떤 것으로 코딩할 수도 있다.
(7) 본 발명에 따르는 기록장치는 방송 도중에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고, 배포장치에 취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기록장치는 배포된 콘텐츠를 처음부터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장치의 사용자는 비록 그가 방송 도중에 콘텐츠의 기록을 요청하더라도 처음부터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8) 본 발명에 따르는 기록장치는 방송 콘텐츠의 기록에 관한 제한을 부과하는 제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배포장치는 실질적으로 데이터는 동일하지만 화질이 저하된 콘텐츠를 배포할 수있다.
이러한 구성은 디지털 방송에 의해 고화질로 방송되는 콘텐츠의 무제한적인 기록과 복제를 방지해 준다.
(9)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수정을 임의로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 기록시스템은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장공간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달성하므로, 예를들어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레코더에 매우 잘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 방송장치와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기록시스템으로서,상기 방송장치는,방송을 위한 것으로, 각각이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에,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첨부하는 첨부부와;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부를 포함하며,상기 기록장치는,상기 방송장치로부터 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와;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고,상기 배포장치는 상기 요청부로부터의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장치에 상기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며,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한 후,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상기 배포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포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기록시스템.
- 기록장치로서,적어도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각각이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을 위한 것인 방송 콘텐츠들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장치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를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첨부 엔트리 정보와 함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부와;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며,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배포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배포 콘텐츠는 모두 저작권있는 저작물이며,상기 방송 콘텐츠와 상기 특정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는 화질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상기 판정부가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판정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가 첨부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엔트리 정보가 첨부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의 화질을 보여주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판정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의 화질이 상기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보다 높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의 화질이 엔트리 정보에 의해 나타난 화질보다 낮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장영역에 남아있는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보다 크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보다 작으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가 기록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저장영역의 빈 저장공간이 상기 방송 콘텐츠의 전부를 기록하기에 부족하면 상기 저장영역에 상기 엔트리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콘텐츠 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방송 콘텐츠에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와;콘텐츠 삭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에 이용하루 수 있기 시작하는 배포일시를 보여주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콘텐츠 삭제부는 상기 배포일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콘텐츠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배포 콘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배포 콘텐츠를 배포에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만료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요청부는 상기 만료일시 전에 상기 배포 콘텐츠의 배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임의의 정보 아이템이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엔트리 정보에서 빠져 있으면, 상기 엔트리 정보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엔트리 정보 요청부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 요청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로부터 배포되는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장치로부터, 제 1 콘텐츠에 대응하고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를 갖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가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를 기록한 후, 제 2 콘텐츠에 대응하고,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제 1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의 방송 중에 다른 방송장치로부터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상기 엔트리 정보 기록부는, 상기 수신부가 제 1 엔트리 정보를 첨부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를 첨부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방송장치는 다른 방송 콘텐츠로 다중화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하나는 제 1 콘텐츠에 대응하며, 거기에 첨부된 제 1 엔트리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다른 하나는 제 2 콘텐츠에 대응하며, 거기에 첨부된 제 2 엔트리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엔트리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며,상기 정보 기록부는 상기 제 1 엔트리 정보와 제 2 엔트리 정보를 상기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방송을 위한 것으로, 각각이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에,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첨부하는 첨부부와;상기 첨부된 엔트리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첨부부는,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배포 콘텐츠가 상기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에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배포판정 서브유닛과;상기 배포판정 서브유닛이 이용가능하다고 판정하면,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엔트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엔트리 정보를 상기 방송 콘텐츠에 첨부하는 엔트리 정보 생성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
- 컴퓨터 실행을 위한 기록 프로그램으로서,적어도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각각이 첨부된 엔트리 정보와 함께 방송을 위한 것인 방송 콘텐츠들을 방송하기 위한 방송장치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배포장치에 의한 배포를 위해 이용가능한 복수의 배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콘텐츠 중의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배포 콘텐츠를 특정하는 첨부 엔트리 정보와 함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실질에 대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첨부된 상기 엔트리 정보를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엔트리 정보 기록단계와;상기 기록된 엔트리 정보에 의해 특정된 배포 콘텐츠를 배포하도록 상기 배포장치에 요청하는 요청단계와;상기 배포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포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배포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300115 | 2002-10-15 | ||
JP2002300115 | 2002-10-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9428A true KR20050049428A (ko) | 2005-05-25 |
Family
ID=3221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4707A Withdrawn KR20050049428A (ko) | 2002-10-15 | 2003-10-15 |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저장공간을절약하기 위한 방송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방송장치 및프로그램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551833B2 (ko) |
EP (1) | EP1477024B1 (ko) |
KR (1) | KR20050049428A (ko) |
CN (1) | CN100515058C (ko) |
AT (1) | ATE303041T1 (ko) |
DE (1) | DE60301395T2 (ko) |
WO (1) | WO2004040906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7946B1 (ko) * | 2005-09-08 | 2007-04-13 | 최상기 | 동일 방송콘텐츠를 공유하는 웹하드디스크 서버 및다운로드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01787A (en) | 1996-06-14 | 1998-09-01 | Starsight Telecast, Inc. | Television schedul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multiple program occurrences |
CN1867068A (zh) | 1998-07-14 | 2006-11-22 | 联合视频制品公司 |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
ES2312475T3 (es) | 2000-10-11 | 2009-03-01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Sistemas y metodos para proporcionar el almacenamiento de datos en servidores de un sistema de entrega de medios bajo demanda. |
US8713623B2 (en) | 2001-09-20 | 2014-04-29 |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 Technique for effectively providing program material in a cable television system |
US7493646B2 (en) | 2003-01-30 | 2009-02-17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
US20100064317A1 (en) * | 2004-12-09 | 2010-03-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 program |
US9723267B2 (en) * | 2004-12-15 | 2017-08-01 |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band distribution of content |
US8229283B2 (en) | 2005-04-01 | 2012-07-24 | Rovi Guid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marking of a recording |
US7646962B1 (en) * | 2005-09-30 | 2010-01-12 | Guideworks, Llc | System and method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programs having desirable recording attributes |
US7580325B2 (en) * | 2005-11-28 | 2009-08-25 | Delphi Technologies, Inc. | Utilizing metadata to improve the access of entertainment content |
US8214869B2 (en) * | 2005-12-29 | 2012-07-03 | Rovi Guid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status change of a multimedia asset in multimedia delivery systems |
US7765235B2 (en) * | 2005-12-29 | 2010-07-27 | Rovi Guid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conflicts and managing system resources in multimedia delivery systems |
JP2007226360A (ja) * | 2006-02-21 | 2007-09-06 | Sharp Corp |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情報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US8832742B2 (en) | 2006-10-06 | 2014-09-09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ategorizing and delivering media i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
US20080101764A1 (en) * | 2006-11-01 | 2008-05-01 |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Recording Assets |
JP5235347B2 (ja) * | 2007-07-19 | 2013-07-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US10063934B2 (en) | 2008-11-25 | 2018-08-28 |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
US9300445B2 (en) | 2010-05-27 | 2016-03-29 | Time Warner Cable Enterprise LLC | Digital domain content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
US9185341B2 (en) | 2010-09-03 | 2015-11-10 |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 Digital domain content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
JP5614215B2 (ja) * | 2010-10-01 | 2014-10-29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表示画面切替装置、表示画面切替方法、及び表示画面切替プログラム |
US8805418B2 (en) | 2011-12-23 | 2014-08-12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
US10638189B2 (en) | 2013-11-13 | 2020-04-28 | Maxell, Ltd. | Broadcast receiver |
CN108495193B (zh) | 2013-11-13 | 2021-01-08 | 麦克赛尔株式会社 | 广播接收装置 |
WO2016059681A1 (ja) | 2014-10-15 | 2016-04-21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ならびに放送受信プログラム |
US10306295B2 (en) * | 2015-07-24 | 2019-05-28 | Maxell, Ltd.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program conte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US10178437B2 (en) * | 2016-02-24 | 2019-01-08 | Gvbb Holdings S.A.R.L. | Pre-pitche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on demand |
CN111858974B (zh) * | 2020-07-17 | 2022-03-15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144368C (no) * | 1979-03-28 | 1981-08-19 | Vikene A | Fremgangsmaate til fra en radiosender aa sende ut fjernstyrn ingssignaler for opptegning av informasjon paa mottakerside |
JP3478512B2 (ja) | 1995-06-30 | 2003-12-15 | 富士通株式会社 | 双方向ケーブルテレビシステム、ケーブルテレビ装置及び端末装置 |
US6081830A (en) * | 1997-10-09 | 2000-06-27 | Gateway 2000, Inc. | Automatic linking to program-specific computer chat rooms |
US6233389B1 (en) | 1998-07-30 | 2001-05-15 | Tivo, Inc. |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
JP2000261784A (ja) | 1999-03-05 | 2000-09-22 | Sony Corp | 送信装置 |
JP4362914B2 (ja) * | 1999-12-22 | 2009-11-11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提供装置、情報利用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利用方法及び記録媒体 |
EP1947858B1 (en) * | 2000-10-11 | 2014-07-02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on-demand media |
AU2001279115A1 (en) * | 2000-12-07 | 2002-06-18 | Digeo, Inc. | Interactive companion set top box |
US20030046702A1 (en) * | 2001-09-03 | 2003-03-06 | Gen Sasaki | Program server and a receiver |
US8607269B2 (en) * | 2002-03-12 | 2013-12-10 | Intel Corporation |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obtaining past, current, and future programs |
US7457520B2 (en) * | 2003-07-24 | 2008-11-25 | Time Warner Cable, Inc. | Technique for providing a virtual digital video recorder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
-
2003
- 2003-10-15 DE DE60301395T patent/DE60301395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15 KR KR1020047014707A patent/KR20050049428A/ko not_active Withdrawn
- 2003-10-15 CN CNB2003801005106A patent/CN10051505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15 AT AT03754121T patent/ATE30304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15 US US10/504,767 patent/US755183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15 EP EP03754121A patent/EP147702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15 WO PCT/JP2003/013160 patent/WO2004040906A2/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7946B1 (ko) * | 2005-09-08 | 2007-04-13 | 최상기 | 동일 방송콘텐츠를 공유하는 웹하드디스크 서버 및다운로드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303041T1 (de) | 2005-09-15 |
CN1692640A (zh) | 2005-11-02 |
WO2004040906A3 (en) | 2004-07-08 |
US7551833B2 (en) | 2009-06-23 |
WO2004040906A2 (en) | 2004-05-13 |
EP1477024A2 (en) | 2004-11-17 |
EP1477024B1 (en) | 2005-08-24 |
US20050105528A1 (en) | 2005-05-19 |
CN100515058C (zh) | 2009-07-15 |
DE60301395T2 (de) | 2006-03-09 |
DE60301395D1 (de) | 2005-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49428A (ko) |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저장공간을절약하기 위한 방송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방송장치 및프로그램 | |
JP4268496B2 (ja) | コンテンツの記録に要する記録メディアの記録容量を節約する放送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放送装置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 | |
US1046253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ulti-perspective video display | |
JP5757075B2 (ja) |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 |
JP5070846B2 (ja) | 番組配信システムおよび録画再生装置 | |
KR101656905B1 (ko) | 재생 장치 및 방송프로그램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 |
US20060277581A1 (en) | Local entity and a method for providing media streams | |
JP2011066871A (ja) | コンテンツ伝送方法及び表示装置 | |
JP2004505554A (ja) | 前に放送された内容を番組の録画に組み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WO2011007521A1 (ja) |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送信装置 | |
EP1415473A1 (en) | On-demand interactive magazine | |
JP2000358005A (ja) | 放送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受信分配復号装置 | |
CA2398200C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erspective instant replay | |
JP3737798B2 (ja) |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
AU20012667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erspective instant replay | |
JP4280443B2 (ja) | デジタル媒体広告を統計多重ストリームに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JP4315914B2 (ja) |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 |
US7120163B2 (en) |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JP2011087333A (ja) | 画像再生装置 | |
JP2004501557A (ja) | 汎用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2005506725A (ja) | 遅延アクセスによるクライアントジェネリックなデータ・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の伝送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JP2002101394A (ja) | 放送装置、放送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9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