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50043607A -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607A
KR20050043607A KR1020040072962A KR20040072962A KR20050043607A KR 20050043607 A KR20050043607 A KR 20050043607A KR 1020040072962 A KR1020040072962 A KR 1020040072962A KR 20040072962 A KR20040072962 A KR 20040072962A KR 20050043607 A KR20050043607 A KR 2005004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an
memory
read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타무라신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데이터 등의 나열변경을 저가이며 또 고속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n 개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유닛(7)을 m 개의 메모리(m≠n)로 구성하며, 복수의 판독주사 중에서 어느 판독주사가 선택될 경우라도, n 개의 데이터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n 개의 데이터를 각 메모리에 나누어 기입해가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속화가 요구되는 블록단위의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압축의 분야에는, MPEG, JPEG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부호화기술이 있다. 이들 부호화기술은, 화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시켜, 블록단위로 순차 부호화를 행하는 화상압축기술이다. JPEG로 대표되는 정지화상 부호화기술에서는, 이 작은 영역(블록) 내의 공간용장성을 이용하여 정보량의 삭감(압축)을 실현하고자 하는 프레임 내 예측부호화(이하, 인트라부호화)가 이용되며, MPEG로 대표되는 동영상 부호화에서는, 정지화상에 비해, 보다 막대한 정보량을 압축하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인트라부호화에 더불어, 시간방향 예측을 이용하여 정보량의 삭감을 도모하는 프레임간 예측부호화(이하, 인터부호화)를 이용한 부호화가 이용되고 있다.
이하, 이들 부호화기술에서 공통적으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블록 분할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직교변환수단에서 이산코사인변환(이하, DCT)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보다 부호화 효율(압축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람의 눈으로는 시각적으로 식별하기가 어려운 고주파성분을 차단하기 위해, 양자화수단에서 DCT계수에 대하여 양자화가 실시되어 양자화 DCT계수가 얻어진다. 이 양자화 DCT계수는, 라스터주사로 불리는 기입 순으로 기억유닛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억유닛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양자화 DCT계수는, 다음에 지그재그 주사로 불리는 판독 순으로 판독되어, 부호화수단에서 예를 들어 허프만부호화가 순차 행해진다. 이와 같이 블록단위의 부호화에서는 양자화 DCT계수가 생성되는 순서와, 양자화 DCT계수에 대하여 부호화를 행하는 순서가 다르므로, 데이터의 나열변경(주사의 변경)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 기억유닛이 불가결하다.
이상과 같은 부호화의 고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에의 기입, 및 판독 제어의 고속화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특개평 11-252338호 공보의 도 9∼도 11 참조).
이하, 일특개평 11-25233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3의 신호처리장치(1001)는, 일특개평 11-252338호 공보에 개시된 전형적인 신호처리장치의 일례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고속으로 실행 가능한 장치이다. 도 24의 (a)는 기억유닛의 기입주사(라스터 주사)를, 도 24의 (b)는 기억유닛의 판독주사(지그재그 주사)를 각각 나타낸다.
도 23의 신호처리장치(1001)는,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여기서는 n=2)의 데이터(여기서는 양자화 DCT계수이며, 이하, 계수로 칭함)를 입력하는 입력단자(2, 3)와, 이들 입력단자(2, 3)로부터 입력되는 계수를 복수의 메모리에 할당하기 위한 입력선택기(4, 5)와,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로 구성되며 계수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유닛(7)과, 이 기억유닛(7)으로부터 판독된 n 개(여기서는 n=2)의 계수로부터 각각 1 개를 선택하는 출력선택기(9, 10)와, 이들 출력선택기(9, 10)에 의해 선택된 n 개의 계수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1, 12)와, 기억유닛(7)의 기입 및 판독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제어회로(8)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신호처리장치(1001)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나열변경이 고속으로 실행되는 양상을 이하에 나타낸다.
<기입제어의 설명>
우선 입력단자(2, 3)로부터 입력된 2 개의 계수는 입력선택기(4, 5)로 입력된다. 제 1 입력선택기(4)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신호(S1)에 기초하여, 입력단자(2 및 3)로부터 병렬로 입력된 계수 중, 제 1 메모리(701)에 기입해야 할 계수를 선택하여, 제 1 메모리(701)에의 기입데이터(WD1)로서 출력한다. 한편, 제 2 입력선택기(5)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신호(S2)에 기초하여, 입력단자(2 및 3)로부터 병렬로 입력된 계수 중, 제 2 메모리(702)에 기입해야 할 계수를 선택하여, 제 2 메모리(702)에의 기입데이터(WD2)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선택신호(S1 및 S2)는,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로부터,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계수를 2 계수씩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계수를, 미리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에 1 계수씩 나누어 기입하도록 생성된다.
또 제 1 메모리(701)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A1)와 기입가능신호(WE1)에 따라, 제 1 입력선택기(4)로부터 공급되는 기입데이터(WD1)를 어드레스(A1)에 순차 기입해간다. 한편 제 2 메모리(702)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A2)와 기입가능신호(WE2)에 따라, 제 2 입력선택기(5)로부터 공급되는 기입데이터(WD2)를 어드레스(A2)에 순차 기입해간다.
이상과 같은 제어에 의해,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에 계수가 나뉘어 기입됐을 경우 메모리맵의 일례를 도 25의 (a) 및 (b)에 나타낸다. 또 이와 같은 메모리맵을 갖는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의 기입 시 어드레싱의 구체예를 도 26의 (a)에 나타낸다.
<판독제어의 설명>
다음에,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양자화 DCT계수를 2 계수씩 병렬로 읽어내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기입제어에 의해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에 나뉘어 기입된 계수를, 각각의 메모리에서 1 계수씩 병렬로 읽어내도록,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1 메모리(701) 및 제 2 메모리(702)에 대하여,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어드레스(A1 및 A2)를 순차 공급하며, 동시에 판독가능신호(RE1 및 RE2)를 공급한다. 이로써 제 1 메모리(701)로부터는 0, 16, 9, 10, …, 47, 63이란 순으로 양자화 DCT계수가 RD1에 순차 판독된다. 한편, 제 2 메모리(702)로부터는 1, 8, 2, 3, …, 55, 62란 순으로 양자화 DCT계수가 판독데이터(RD2)에 순차 판독된다.
이상과 같이 RD1 및 RD2에서 1 계수씩 판독된 2 개의 계수는 출력선택기(9, 10)에 입력되며, 판독주사(제 2 주사) 순으로 빠른 쪽의 계수가 출력단자(11)로, 느린 쪽 계수가 출력단자(12)로 출력되도록,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1 출력선택기(9)에 대하여 선택신호(S4)를 공급하며, 제 2 출력선택기(10)에 대하여 선택신호(S5)를 공급한다.
즉, 출력단자(11)에는, 0, 8, 9, 3, …, 62란 순으로, 출력단자(12)에는, 1, 16, 2, 10, …, 63이란 순으로 양자화 DCT계수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함으로써, 계수의 나열변경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억유닛을 n 개의 메모리로 구성하고,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다른 메모리로부터 동시에 읽어낼 수 있도록, 미리 데이터 기입 시에 n 개의 메모리에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데이터를 다른 메모리에 나누어 기입하도록 해두면, 데이터의 병렬판독이 가능해져, 고속 부호화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JPEG의 부호화와 같이, 판독주사(제 2 주사)가 지그재그 주사밖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고속의 주사 변경을 실현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동영상의 저 비트율 부호화를 실현하기 위한 화상압축기술인 MPEG-4의 경우 등과 같이, 판독주사가 복수(수평방향우선 주사, 수직방향우선 주사, 지그재그 주사) 존재할 경우는, 상기 기술로 대응하기가 어렵다.
상기 저 비트율 부호화를 실현하는 MPEG-4는, 최근 휴대전화를 비롯해, 여러 가지 기기에서 응용되고 있는데, 앞으로 더욱 광대역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다 높은 해상도의 화상에 대응한 부호화 및 보다 높은 프레임율에 대응한 부호화에의 요구가 높아져갈 것이 쉽게 예상된다.
이와 같은 MPEG-4에서는, 저 비트율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됐는데, 그 중 1 개에 프레임 내 예측부호화(인트라부호화)에서의 부호화 효율 향상을 도모한 예측부호화가 있다.
MPEG-4에서는 인트라부호화에서의 부호화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부호화대상 블록에 인접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최적의 예측블록을 1 개 선택하여, 그 예측블록과의 차분을 순차 부호화해간다. 그 양상을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에서 블록(X)은 부호화대상 블록이며, 블록(A, B, C)은 각각 블록(X)에 인접하는 블록이다. 블록(X, A, B, C) 모두 복수의 DCT계수로 구성된다.
블록(X)의 예측블록(P)은, (식 1)과 같이 선택된다. 즉,
(식 1)
if(|σA-σB|<|σB-σC|)
P=C
else
P=A다. 여기서,
σA : 블록(A)의 DC계수
σB : 블록(B)의 DC계수
σC : 블록(C)의 DC계수
|z|: z의 절대값이다. 즉, 인접하는 블록(A, B, C)의 DC계수 기울기를 계산하여, 기울기가 큰 쪽의 블록이 부호화대상 블록(X)의 예측블록(P)으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 1)에 의해, 예측블록(P)으로서 블록(C)이 선택됐을 경우, 블록(X)은 블록(C)과의 차분이 부호화되게 되며, 블록(A)이 선택됐을 경우는 블록(A)과의 차분이 부호화되게 된다(계수 예측부호화).
또 MPEG-4에서는, 이와 같은 계수 예측부호화로서 DC 예측부호화와, DC/AC 예측부호화의 2 종류 예측수법을 지지한다.
DC 예측부호화란, 이상과 같이 하여 선택된 예측블록의 계수 중 DC계수만을 예측대상으로 한 부호화이며, 부호화에서의 계수의 판독주사에 대해서는 지그재그 주사(제 2 주사) 고정이다.
이에 반해 DC/AC 예측부호화란, 상술한 DC 예측부호화보다 더욱 부호화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예측부호화이며, 예측블록의 계수 중 DC계수만이 아닌, AC계수에 대해서도 예측대상으로 한 부호화이다. 예를 들어 예측블록(P)으로서 블록(C)이 선택됐을 경우는, 블록(C)의 상끝단 계수가 모두 예측대상 계수가 되며, 블록(A)이 선택됐을 경우는, 블록(A)의 좌끝단 계수가 모두 예측대상 계수가 된다. 또 부호화에서의 판독주사에 대해서도, 예측블록(P)으로서 블록(C)이 선택됐을 경우는 수평방향우선 주사(제 3 주사)로 되며, 예측블록(P)으로서 블록(A)이 선택됐을 경우는 수직방향우선 주사(제 4 주사)로 된다. 즉, 선택되는 예측블록(P)에 따라서는, 부호화에서의 판독주사도 변화한다.
또 DC 예측부호화의 경우에 비해, DC/AC 예측부호화 쪽이 부호화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됐을 경우는 DC/AC 예측부호화가 이용되며, 부호화효율의 향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됐을 경우는 DC 예측부호화 쪽이 이용된다는 식으로, DC 예측부호화와 DC/AC 예측부호화가 적응성 있게 절환 제어되므로, MPEG-4 부호화에 있어서, 부호화의 판독주사는, JPEG 등과 같이 1 종류만이 아니라, 수평방향우선 주사, 수직방향우선 주사, 지그재그 주사의 3 종류 판독주사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DC예측만을 이용한 부호화를 실행할 경우는, 판독주사가 지그재그 주사 고정이므로, 일특개평 11-25233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면 계수의 병렬판독이 실현 가능하지만, DC/AC 예측을 이용한 부호화를 실행할 경우는, 블록에서의 DCT계수 기입이 완료(AC 예측효과의 판정이 완료)될 때까지, 이 3 종류의 판독주사 중에서 1 개의 판독주사가 확정되지 않으므로,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DCT계수를 n 개의 메모리에 할당할 때에는, 어느 판독주사가 선택될 경우에도,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해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판독주사가 복수 필요한 부호화에 있어서 일특개평 11-25233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응용한 구체예를 도 28의 (a)∼(d)에 나타낸다. 도 28의 (a)는 도 24의 (a)에 대응하는 제 1 주사(라스터 주사)를, 도 28의 (b)는 도 24의 (b)에 대응하는 제 2 주사(지그재그 주사)를, 도 28의 (c)는 제 3 주사(수평방향우선 주사)를, 도 28의 (d)는 제 4 주사(수직방향우선 주사)를 각각 나타낸다.
도 28의 (b)∼(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억유닛을 n 개(여기서는 n=2)의 메모리로 구성하고, 3 종류의 판독주사 모든 경우에 있어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를 다른 n 개의 메모리로부터 동시에 읽어내기는 어렵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28의 (c)에 나타낸 제 3 주사에서, 계수(2, 3) 및 계수(6, 7)는 제 2 메모리(702)로부터 읽어낼 필요가 있으며, 이들 계수는 각각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돼있으므로, 한번에 2 계수 병렬로 읽어낼 수는 없다. 또 제 3 주사에서, 계수(16, 17) 및 계수(10, 11)는 제 1 메모리(701)로부터 읽어낼 필요가 있으며, 이들 계수는 각각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돼있으므로, 한번에 2 계수 병렬로 읽어낼 수는 없다.
여기에 나타낸 예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낼 때에, 기억유닛을 2 개의 메모리로 구성한 경우 메모리분할의 일례에 지나지 않지만, 2 개의 계수를 2 개의 메모리에 어떻게 할당해도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화에 있어서 계수의 판독주사가 복수 존재하며, 또 이들 판독주사가 기억유닛에의 계수기입 시에 미리 결정돼있지 않을 경우 등에도,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를 항상 다른 메모리로부터 연속적으로 읽어낼 수 있으므로, 저가이며 또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이 가능한 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신호처리방법은,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데이터를 m 개의 메모리(m은 3 이상의 정수, m≠n)에 순차 나누어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주사 순서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로, 고속으로 나열변경(주사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1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으로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함으로써, 제 1 처리 및 제 2 처리의 개시를 앞당길 수 있으며, 또 처리 자체의 고속화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1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메모리 각각은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를 가지며, 또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판독 포트를 2 개 이상 갖는 메모리이고, 상기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위한 데이터판독을 상기 m 개 메모리 각각의 어느 1 개의 판독 포트로부터 행하여, 상기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m 개 메모리 각각의 다른 1 개의 판독 포트에서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으로 복수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제 1 처리 및 제 2 처리를 병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신호처리방법보다 더욱 고속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신호처리방법은,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와,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판독 포트를 구비한 메모리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상기 기입 포트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순차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메모리의 n 개 판독 포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억수단을 복수의 메모리로 구성하는 일없이, 1 개의 메모리로 구성하도록 해도,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4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의 n 개 판독포트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으로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함으로써 제 1 처리 및 제 2 처리의 개시를 앞당길 수 있으며, 또 처리 자체의 고속화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신호처리방법은,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데이터를 m 개의 메모리(m은 3 이상의 정수, m≠n)에 순차 나누어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주사 순서 중 선택된 기입주사 순에서 판독주사 순으로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7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6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데이터의 고속 나열변경 결과를 이용한 복호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8 신호처리방법은,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 1∼제 3 신호처리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행하며,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 6 또는 제 7 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기입주사 순에서 복수의 주사순서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의 데이터 나열변경과, 복수의 주사순서 중 선택된 기입주사 순에서 판독주사 순으로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적절하게 절환하면서 실시하도록 하므로, 저가이면서, 또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이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 9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1, 제 4, 제 6의 신호처리방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사는 행방향 또는 열방향의 라스터 주사이며, 상기 제 2 주사는 지그재그 주사이고, 상기 제 3 주사는 수평방향우선 주사이며, 상기 제 4 주사는 수직방향우선 주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행방향 또는 열방향의 라스터 주사 순에서 지그재그 주사 순, 또는 수평방향우선 주사 순, 혹은 수직방향우선 주사 순으로,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0 신호처리방법은, 상기 제 2, 제 3, 제 5의 신호처리방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는 부호화처리이며, 상기 제 2 처리는 동영상 부호화에서 프레임간 예측부호화 시에 필요한 참조화상(복원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으로 나열변경이 실행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를 조기에 개시시킬 수 있으며, 또 부호화 자체의 고속화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나열변경이 행해진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에 대해서도 조기에 개시시킬 수 있으며, 또 복호화 자체의 고속화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신호처리장치는,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장치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m 개(m은 3 이상의 정수)의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수단과,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 n≠m)의 데이터 중에서 상기 m 개 메모리에의 기입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입력선택기와,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출력선택기와, 상기 기억수단에의 블록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입력선택기 및 상기 복수의 출력선택기에 대하여 선택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입주사 순에서, 복수의 주사 순서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고속으로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을 구성하는 m 개의 메모리 각각은,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를 가지며, 또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판독 포트를 2 개 이상 갖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입주사 순에서 복수의 판독주사 순으로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신호처리장치보다 더욱 고속으로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메모리에 대하여 공급되는 클록의 제어를 개별로 실행하기 위한 클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m 개 메모리에의 클록 공급을 개별로 실행할 수 있어, 고속이며 또 저소비전력화가 실현된 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 3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록제어수단은,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상기 m 개의 메모리에 나누어 기입할 때, 기입이 발생하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공급하며, 기입이 발생하지 않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정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판독주기가 발생하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공급하며, 판독주기가 발생하지 않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데이터의 나열변경에 필요한 메모리액세스가 발생하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의 공급을 하며, 메모리액세스가 발생하지 않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의 공급을 정지한다는 제어를 적응성 있게 실행하므로, 더욱 저소비전력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신호처리장치는,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장치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와,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n 개의 판독 포트를 구비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수단과, 상기 메모리의 n 개 판독 포트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출력선택기와, 상기 기억수단에 블록데이터를 기입주사 순으로 기입하며, 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블록데이터를 판독주사 순으로 읽어내는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출력선택기에 대하여 선택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억수단을 복수의 메모리로 구성하는 일없이 1 개의 메모리로 구성하도록 하므로, 반도체장치 등에서 본 기술을 실현할 경우, 메모리의 점유면적을 적게 할 수 있어, 더욱 저 원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촬상시스템은, 상기 제 1∼제 5 신호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회로와, 상기 화상처리회로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 광을 결상시키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데이터 나열변경의 고속실행에 수반하여 화상처리의 고속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 촬상시스템은, 상기 제 1 촬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로부터 얻은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화상처리회로에 공급하는 변환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디지털신호처리의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신호처리장치(1)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계수)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억유닛(7)을 m 개(m은 3 이상의 정수이며 또 m≠n)의 메모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n=2, m=3의 경우를 예로 설명해간다.
도 1의 신호처리장치(1)는,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여기서는 n=2)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단자(2, 3)와, 이들 입력단자(2, 3)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DCT계수를 m 개(여기서는 m=3)의 메모리에 할당하기 위한 입력선택기(4, 5, 6)와, 제 1 메모리(701)와 제 2 메모리(702)와 제 3 메모리(703)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유닛(7)과, 이 기억유닛(7)으로부터 판독된 m 개의 데이터 중에서 각각 1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출력선택기(9, 10)와, 이들 출력선택기(9, 10)에 의해 선택된 n 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1, 12)와, 판독주사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대상 블록에 인접한 블록(A, B, C)의 DC계수(σA, σB, σC)를 입력하는 예측계수 입력단자(13)와, DC 예측부호화와 DC/AC 예측부호화의 모드절환을 설정하는 설정단자(14)와, 이 설정단자(14)에 의해 설정된 부호화모드에 따라 기억유닛(7)의 기입, 판독을 제어하며, 각 선택기(4, 5, 6, 9, 10)에 대해 선택신호(S1, S2, S3, S4, S5)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제어회로(8)로 구성된다.
이하, 도 2∼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신호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복수의 판독주사(제 2 주사, 제 3 주사, 제 4 주사) 중, 어느 주사가 선택돼도,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가 제 1 메모리(701) 또는 제 2 메모리(702) 혹은 제 3 메모리(703)에 나뉘어 기입된다(단계 100). 다음에 부호화에 필요한 모든 블록 계수의 기입이 완료됐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01). 부호화에 필요한 블록의 계수란, 예를 들어 MPEG-4 등의 경우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1 매크로블록 분량의 계수를 이르며, 모든 계수 기입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100, 101)를 반복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든 계수를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에 나누어 기입한 일례를 도 3의 (a)에 나타낸다. 도 3의 (a)에서 왼쪽 하향사선의 해칭부는 제 1 메모리(701) 영역을, 오른쪽 하향사선의 해칭부는 제 2 메모리(702) 영역을, 무해칭 부분은 제 3 메모리(703) 영역을 각각 나타내며, 기입주사(제 1 주사) 순(0, 8, 16, 24, …, 55, 63)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메모리영역에 나누어 기입된다. 이와 같이 나누어 기입할 경우,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에 대해 도 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각의 어드레스(A1, A2, A3)를 공급한다. 또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의 기입데이터(WD1, WD2, WD3)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선택기(4, 5, 6)에 대하여 제어신호(S1, S2, S3)를 공급하며, 입력선택기(4, 5, 6)는 각각 선택신호(S1, S2, S3)에 기초하여 도 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입데이터(WD1, WD2, WD3)를 순차 선택하고,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기입가능신호(WE1, WE2, WE3)에 따라, 각 메모리의 각 어드레스에 계수를 기입해간다.
이상의 기입제어에 있어서 각 메모리의 어드레스(A1, A2, A3), 기입데이터(WD1, WD2, WD3) 및 기입가능신호(WE1, WE2, WE3)의 양상을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서 WE1, WE2, WE3이 1일 경우에 기입이 실행되며, 0일 경우 기입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 모두의, 각각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에의 기입이 끝나면, 다음에 판독주사의 판정이 행해진다(도 2의 단계(102)). 판독주사의 판정은, 설정단자(14)로부터 설정되는 부호화모드(DC 예측부호화, DC/AC 예측부호화)와, 예측계수 입력단자(13)로부터 입력되는 인접블록(A, B, C)의 DC계수(σA, σB, σC)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부호화모드가 DC 예측부호화로 설정돼있을 경우, 판독주사는 지그재그 주사(제 2 주사)로 판정되며, 부호화모드가 DC/AC 예측부호화로 설정돼있을 경우는, 먼저 인접블록의 DC계수(σA, σB, σC) 기울기를 산출한다. 산출된 기울기의 결과로부터 예측블록(P)을 판단하여, 예측블록(P)이 블록(C)으로 판단된 경우에, DC 예측부호화의 경우에 비해 부호화효율 향상이 가능할 때는, 판독주사는 수평방향우선 주사(제 3 주사)로 판정되며, 부호화효율 향상이 불가능할 때는, 지그재그 주사(제 2 주사)로 판정된다. 또 산출된 기울기의 결과로부터 예측블록(P)을 판단하여, 예측블록(P)이 블록(A)으로 판단된 경우, DC 예측부호화의 경우에 비해 부호화효율 향상이 가능할 때는, 판독주사는 수직방향우선 주사(제 4 주사)로 판정되며, 부호화효율 향상이 불가능할 때는, 지그재그 주사(제 2 주사)로 판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판독주사의 판정이 행해진 결과, 판독주사가 지그재그 주사(제 2 주사)일 경우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로부터 지그재그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나간다(단계(103)). 단계(103)에 있어서 각 메모리의 판독제어 양상을 도 6에 나타낸다. 지그재그 주사일 경우, 계수의 판독 순은, 0, 1, 8, 16, 9, 2,…, 47, 55, 62, 63과 같은 상태인데, 메모리제어회로(8)는 각 메모리에 대하여 판독어드레스(A1, A2, A3) 및 판독가능신호(RE1, RE2, RE3)를 공급하여, 이들 계수를 3 개의 메모리(701∼703)로부터 적절하게 읽어내며, 지그재그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계수를 출력선택기(9, 10)에서 선택함으로써, 출력단자(11, 12)에 2 계수씩 병렬로 출력된다.
즉, 출력단자(11, 12)로 최초로 출력해야 할 2 계수인 (0, 1)의 계수 중, 계수(0)는 제 1 메모리(701)로부터 판독되며(RD1), 동시에 계수(1)는 제 2 메모리(702)로부터 판독된다(RD2). 이와 같이 하여 판독된 2 계수 중 지그재그 주사 순으로 빠른 쪽 계수(0)를 출력단자(11)로 출력하며, 느린 쪽 계수(1)를 출력단자(12)로 출력하도록, 메모리제어회로(8)는 출력선택기(9, 10)에 대하여 선택신호(S4, S5)를 공급한다.
출력단자(11, 12)에 다음으로 출력해야 할 2 계수인 (8, 16)의 계수 중, 계수(8)는 제 3 메모리(703)로부터 판독되며(RD3), 동시에 계수(16)는 제 2 메모리(702)로부터 판독된다(RD2). 이와 같이 하여 판독된 2 계수 중 지그재그 주사 순으로 빠른 쪽 계수(8)를 출력단자(11)로 출력하며, 느린 쪽 계수(16)를 출력단자(12)로 출력하도록, 메모리제어회로(8)는 출력선택기(9, 10)에 대하여 선택신호(S4, S5)를 공급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2 개씩 병렬로 계수를 순차 읽어내어 제 1 처리(부호화)가 실행된다(단계(106)).
또 판독주사의 판정이 행해진 결과, 판독주사가 수평방향우선 주사(제 3 주사)일 경우는,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로부터, 수평방향우선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나간다(단계(104)). 단계(104)에 있어서 각 메모리의 판독제어 양상을 도 7에 나타낸다. 2 계수씩 병렬로 읽어내고, 순차 제 1 처리를 실행해나가는 양상은 상술한 지그재그 주사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판독주사의 판정이 행해진 결과, 판독주사가 수직방향우선 주사(제 4 주사)일 경우는,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로부터, 수직방향우선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나간다(단계(105)). 단계(105)에 있어서 각 메모리의 판독제어 양상을 도 8에 나타낸다. 2 계수씩 병렬로 읽어내고, 순차 제 1 처리를 실행해나가는 양상은 상술한 지그재그 주사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든 계수를 읽어내고, 부호화가 완료될 때까지 단계(102)에서 단계(106)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단계(107)). 모든 계수를 읽어내어 제 1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에 기입주사와 동일한 주사(제 1 주사) 순으로 각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을 실행하며(단계(108)), 순차 제 2 처리(복호화)를 실행하여 참조화상이 생성된다(단계(109)). 참조화상의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108∼109)의 동작을 반복한다(단계(110)). 제 2 처리(복호화)가 필요한 이유는, 동영상부호화의 경우 프레임간 예측부호화를 실행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의 화상데이터(참조데이터)가 필요하며, 현재 부호화대상 블록의 복호화(역 양자화, 역 DCT 등)를 해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 개(n은 2 이상의 정수) 데이터의 병렬기입, 병렬판독을 실현하기 위해, 기억유닛(7)을 m 개(m은 3 이상의 정수이며 m≠n)의 메모리로 구성하면, 복수의 판독주사 중에서 어느 주사가 선택된 경우에도,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계수)를 병렬로 순차 읽어낼 수 있도록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각각 다른 메모리에 분리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기입, 판독에서의 주사 변경이 고속으로 실행되므로, 고속 부호화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억유닛(7)에 대하여 메모리의 구성을 연구한 것이며, 용량의 증가는 전혀 없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201)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기억유닛(7)을 구성하는 m 개(여기서는 m=3)의 메모리를,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포트 A)와,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판독 포트(포트 A, 포트 B)를 갖는 메모리로 구성하며, m 개의 메모리는 복수의 판독 포트로부터 서로 다른 판독주사 순으로 병렬판독 할 수 있도록 하여, 제 1 처리(부호화)와 제 2 처리(복호화)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간다.
도 9에서,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는, 각각 기입, 판독이 독립 가능한 포트(A)와, 판독전용의 포트(B)를 구비한다. 포트(A)와 포트(B)는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포트이다. 기억유닛(7)을 상기와 같이 복수의 포트로부터 서로 독립되어 병렬로 판독 가능한 m 개의 메모리로 구성된 경우의 부호화방법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판독주사(제 2 주사, 제 3 주사, 제 4 주사) 중, 어느 주사가 선택돼도,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도록,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계수가 제 1 메모리(701) 또는 제 2 메모리(702) 혹은 제 3 메모리(703)에 나뉘어 기입된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복수 존재하는(여기서는 2 개) 포트 중 기입/판독 겸용포트인 포트(A)를 이용하여 기입한다는 점이다(단계(200)).
또 제 1 실시예의 경우는, 단계(101)에서 모든 계수의 각 메모리에의 기입을 마치면, 먼저 제 1 처리(단계(102)∼단계(107))를 실행하고, 그 후에 제 2 처리(단계(108)∼단계(110))를 실행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독립된 판독동작이 가능한 포트(A) 및 포트(B)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판독주사로 판독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제 1 처리(부호화)와 제 2 처리(복호화)를 병렬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 1 처리에 필요한 계수의 판독(단계(203, 204, 205))에 대해서는 포트(A)를 이용하여 실행하며, 제 2 처리에 필요한 계수의 판독(단계(208))에 대해서는 포트(B)를 이용하여 실행함으로써, 각각의 처리가 독립되어 병렬로 실행되므로, 제 1 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보다 고속의 동영상부호화를 실현하기가 가능하다. 덧붙여, 포트(A)와 포트(B)는 병렬 판독되므로, 포트(B)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RDB1, RDB2, RDB3)는 출력선택기(209, 210)로 입력되며,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선택신호(S6, S7)에 기초하여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가 선택되어, 제 2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출력단자(211, 212)로 출력된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3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크게 다른 점은, 기억유닛(7)을 구성하는 m 개(여기서는 m=3) 메모리의 클록을 제어하는 클록제어회로(30)를 새로 구비한 점이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m 개 메모리에의 기입 및 판독 제어를 생각할 때,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클록주기에서 메모리 전체가 동작할 필요는 없다. 기입제어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n 개(여기서는 n=2)의 계수를 m 개(m>n)의 메모리에 병렬로 기입할 때는, 기입할 필요가 없는 메모리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 클록제어회로(30)는 기입할 필요가 없는 메모리의 클록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계수(0)(WD1=0)와 계수(8)(WD3=8)를 기입하는 주기에서는, 계수(0)가 제 1 메모리(701)에 기입되며, 계수(8)가 제 3 메모리(703)에 기입되도록 메모리제어회로(8)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 2 메모리(702)에 대해서는 기입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록제어회로(30)는 제 2 메모리(702)에 대해 클록정지신호(CKE2)를 공급하여, 클록을 정지시킨다.
제 1 메모리(701) 및 제 3 메모리(70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입이 발생하지 않는 주기에 대해서는, 클록제어회로(30)로부터 클록정지신호(CKE1 및 CKE3)가 공급되며, 제 1 메모리(701) 및 제 3 메모리(703)는 클록정지신호(CKE1 및 CKE3)에 기초하여 클록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및 판독이 발생하는 주기만 각 메모리에 클록이 공급되도록 제어되므로, 보다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한 신호처리장치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1의 구성에 클록제어회로(30)를 부가시킨 것을 도 11에 나타냈지만, 도 9의 구성에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클록제어회로(30)를 부가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4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 실시예와 크게 다른 점은, 기억유닛(7)을 복수(m 개)의 메모리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1 개의 메모리(제 1 메모리(701))로 구성하는 점이다. 또 제 1 실시예에서 m 개의 메모리는 1 개의 판독 포트를 갖는 메모리인데 반해, 본 실시예의 제 1 메모리(701)는,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를 가지면서,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판독 포트를 적어도 2 개 갖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n=2의 경우를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해간다.
<기입제어방법의 설명>
도 12에서 제 1 메모리(701)는, 입력단자(2 및 3)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여기서는 n=2)의 데이터(WDAU, WDAL)를 한 쌍으로 하여 WDA로 하며, 포트(A)를 통해 제 1 메모리(701)의 1 개 어드레스에 순차 기입해간다. 포트(A)에서 제 1 메모리(701)에의 기입제어는,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기입어드레스(AA)와, 기입가능신호(WEA)를 이용하여 실행된다(단계(400)). 블록 데이터를 모두 기입할 때까지 단계(400)를 반복한다(단계(101)). 이와 같이 하여, 모든 데이터를 제 1 메모리(701)에 기입한 일례를 도 14의 (a) 및 (b)에 나타낸다. 도 14의 (a)는 제 1 메모리(701)의 메모리맵을 2 차원 이미지로 나타낸 것으로, 1 개의 어드레스에 n 개(여기서는 n=2)의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돼있는 양상을 알 수 있다. 또 도 14의 (b)는 제 1 메모리(701)의 기입어드레스(AA)와 기입데이터(WDA(WDAU, WDAL))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의 AA, WDAU, WDAL의 천이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입제어는 예를 들어 기입주사(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데이터(0, 8)가 어드레스(0)에, 다음 데이터(16, 24)가 어드레스(8)에란 식으로 순차 기억돼간다.
<판독제어방법의 설명>
제 1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재한 판정방법을 이용하여 판독주사의 판정을 한다(단계(102)). 판독주사가 확정되면, 판독주사(제 2 주사 또는 제 3 주사 혹은 제 4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가 포트(A 및 B)를 이용하여 판독된다. 구체적으로는,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2 개의 데이터 중, 빠른 쪽 데이터를 포트(A)로부터 읽어내며, 느린 쪽 데이터를 포트(B)로부터 병렬로 읽어낸다. 그 양상을 도 16∼도 18에 나타낸다. 도 16은 판독주사가 지그재그 주사일 경우의 포트(A)의 판독어드레스(AA)와 판독데이터(RDA) 및 포트(B)의 판독어드레스(AB)와 판독데이터(RDB)를 나타내며, 도 17은 판독주사가 수평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의 포트(A)의 판독어드레스(AA)와 판독데이터(RDA) 및 포트(B)의 판독어드레스(AB)와 판독데이터(RDB)를 나타내고, 도 18은 판독주사가 수직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의 포트(A)의 판독어드레스(AA)와 판독데이터(RDA)를 나타낸다.
판독주사가 지그재그 주사일 경우(도 16)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그재그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데이터를 n 개(여기서는 n=2)씩 병렬로 읽어내기 위해서는, (0, 1), (8, 16), (9, 2), (3, 10), …, (62, 63)이라는 순서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읽어내기 위해, 포트(A)로부터는, 2 개의 데이터 중 빠른 쪽 데이터(0, 8, 9, 3, …, 62)를 읽어내기 위해 필요한 판독어드레스(AA)가 (0, 0, 1, 3, …, 30)이란 식으로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며, 각각의 어드레스(AA)에 기억돼있는 데이터가, (0, 8), (0, 8), (1, 9), (3, 11), …, (54, 62)와 같은 순서로 2 개씩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된 2 개씩의 데이터 중, 판독주사 순으로 빠른 쪽의 데이터(0, 8, 9, 3, …, 62)를 선택하여 출력단자(11)에 출력하기 위해,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1 출력선택기(9)에 대해 선택신호(S4)를 공급하며, 제 1 출력선택기(9)는 선택신호(S4)에 기초하여, 판독주사 순으로 빠른 쪽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여 출력단자(11)에 출력한다. 또 포트(A)로부터의 판독과 병행하여, 포트(B)로부터는, 2 개의 데이터 중 느린 쪽 데이터(1, 16, 2, 10, …, 63)를 읽어내기 위해 필요한 판독어드레스(AB)가 (1, 8, 2, 2, …, 31)이란 식으로 메모리제어회로(8)로부터 공급되며, 각각의 어드레스(AB)에 기억돼있는 데이터가, (1, 9), (16, 24), (2, 10), (2, 10), …, (55, 63)과 같은 순서로 2 개씩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된 2 개씩의 데이터 중, 판독주사 순으로 느린 쪽 데이터(1, 16, 2, 10, …, 63)를 선택하여 출력단자(12)에 출력하기 위해, 메모리제어회로(8)는 제 2 출력선택기(10)에 대해 선택신호(S5)를 공급하며, 제 2 출력선택기(10)는 선택신호(S5)에 기초하여, 판독주사 순으로 느린 쪽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여 출력단자(12)에 출력한다. 이상의 동작이 단계(403)에서의 병렬판독 동작(제 2 주사)이다. 그 밖의 동작제어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입, 판독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기억유닛(7)을 1 개의 메모리로 구성해도 n 개의 데이터를 병렬로 읽어낼 수 있어, 고속의 주사 변경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같이 기억유닛(7)을 복수(m 개)의 메모리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반도체장치 등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등의 경우에는, 당해 메모리가 점유하는 면적 면에 있어서 더욱 저가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신호처리장치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장치(도 1)를 사용하여 행한다.
본 실시예는, 신호처리장치(1)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복호화에 있어서 고속의 주사 변경을 실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도 19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부호화의 경우, 제 1 메모리(701), 제 2 메모리(702) 및 제 3 메모리(703)에의 기입은 제 1 주사 고정이며, 판독주사는,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어느 1 개인데 반해, 복호화(본 실시예)의 경우, 기입주사는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어느 1 개이며, 판독주사는 제 1 주사 고정이 된다.
<기입제어방법의 설명>
우선, 기입주사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복호화대상 블록에 인접한 블록(A, B, C)의 DC계수(σA, σB, σC)가 예측계수 입력단자(13)로부터 입력되며, DC 예측부호화와 DC/AC 예측부호화의 모드절환 설정이 설정단자(14)로부터 입력되어, 기입주사(제 2 주사 또는 제 3 주사 혹은 제 4 주사)의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500)). 판정방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재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단계(500)에서 판정된 기입주사에 따라 m 개(여기서는 m=3)의 메모리(701, 702, 703)에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여기서는 n=2)의 데이터가 기입되며(단계(503∼505)), 모든 데이터가 기입될 때까지 기입을 반복한다(단계(506)). 기입제어에서 각 메모리에 공급되는 기입어드레스 및 기입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6∼도 8과 마찬가지이다.
<판독제어방법의 설명>
단계(506)에서 모든 데이터의 기입이 완료됐음으로 판단되면,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를 m 개의 메모리(701, 702, 703)로부터 순차 읽어내고, 출력선택기(9, 10)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계수를 선택함으로써,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가 출력단자(11, 12)에 순차 출력된다(단계(507)). 판독제어에서 각 메모리에 공급되는 어드레스와 판독데이터는 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순차 판독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 복호화처리가 실시되며(단계(508)), 모든 데이터의 판독 및 복호화가 완료될 때까지(단계(509)) 반복 실행된다.
이상과 같은 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동영상의 복호화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의 나열변경(주사의 변경)에 대해서도 부호화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처리장치(1)를 부호화의 경우와 복호화의 경우에 공용으로 함으로써, 저가이면서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설정된 동작모드의 판정을 한다(단계(600)). 동작모드가 부호화일 경우는, 단계(601)에서 도 2에 나타낸 단계(100∼110)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져,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이 실행된다. 또 동작모드가 복호화일 경우는, 단계(602)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500∼509)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져,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부호화에서의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과 복호화에서의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을, 1 개의 신호처리장치를 배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저가이면서 또 고속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촬상시스템(501),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카메라(DS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 중의 신호처리장치(506)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제 6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이다.
도 21에 의하면, 광학계(502)를 통해 입사된 화상 광은 감지기(503) 상에 결상된다. 감지기(503)는 타이밍제어회로(509)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결상된 화상 광을 축적하고 전기신호로 광전변환 시킨다. 감지기(503)로부터 판독된 전기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504)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에, 당해 신호처리장치(506)를 포함한 화상처리회로(505)에 입력된다. 이 화상처리회로(505)에서는, Y/C처리, 에지처리, 화상의 확대축소, 및 본 발명을 이용한 화상압축신장처리 등의 화상처리가 실행된다. 화상처리된 신호는, 기록전송회로(507)에서 미디어에의 기록 또는 전송이 행해진다. 기록 또는 전송된 신호는 재생회로(508)에 의해 재생된다. 이 촬상시스템(501)의 전체는, 시스템제어회로(51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신호처리장치(506)에 있어서 화상처리는 반드시 광학계(502)를 통해 감지기(503)에 결상된 화상 광에 기초한 신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외부장치로부터 전기신호로서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처리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총체적으로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는, 복수의 기입주사 및 복수의 판독주사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도, 고속의 데이터 나열변경(주사 변경)이 쉽게 실현되므로, 저가이면서 또 고속의 부호화 및 복호화가 요구되는 화상 부호화복호화 시스템에의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 저 비트율 부호화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는 MPEG-4가 탑재된 카메라부착 휴대전화, PDA 등 휴대기기에 유용하며, 또 저 비트율에서의 고화질·장시간 동영상기록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DSC나, 이들 휴대기기와의 연계를 도모한 AV기기 등에도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의 (a)∼(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2 차원 이미지로 나타내며, 또 4 가지 주사순서를 나타내는 도.
도 4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1 차원 이미지로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기입제어를 라스터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지그재그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수평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수직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2 차원 이미지 및 1 차원 이미지로 각각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의 기입제어를 라스터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지그재그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수평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의 판독제어를 수직방향우선 주사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2는 종래의 일반적인 화상부호화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3은 종래의 신호처리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4의 (a) 및 (b)는 종래의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2 차원 이미지로 나타내며, 또 2 가지 주사 순서를 나타내는 도.
도 25의 (a) 및 (b)는 종래의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1 차원 이미지로 나타내는 도.
도 26의 (a) 및 (b)는 종래의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 메모리의 기입 및 판독 제어를 각각 나타내는 도.
도 27은 종래의 계수예측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28의 (a)∼(d)는 종래의 신호처리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01, 301, 401, 506, 1001 : 신호처리장치
2, 3 : 입력단자 4, 5, 6 : 입력선택기
9, 10, 209, 210 : 출력선택기 7 : 기억유닛
8 : 메모리제어회로 11, 12, 211, 212 : 출력단자
13 : 예측계수 입력단자 14 : 설정단자
30 : 클록제어회로 501 : 촬상시스템
502 : 광학계 503 : 감지기
504 :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 505 : 화상처리회로
507 : 기록전송회로 508 : 재생회로
509 : 타이밍제어회로 510 : 시스템제어회로
701 : 제 1 메모리 702 : 제 2 메모리
703 : 제 3 메모리

Claims (17)

  1.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데이터를 m 개의 메모리(m은 3 이상의 정수, m≠n)에 순차 나누어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메모리 각각은,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를 가지며, 또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판독 포트를 2 개 이상 갖는 메모리이고,
    상기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위한 데이터판독을 상기 m 개 메모리 각각의 어느 한 판독 포트로부터 행하고, 상기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m 개 메모리 각각의 다른 1 개의 판독 포트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4.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와,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판독 포트를 구비한 메모리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상기 기입 포트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순차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메모리의 n 개 판독 포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의 n 개의 판독 포트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고, 이 선택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6.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방법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데이터를 m 개의 메모리(m은 3 이상의 정수, m≠n)에 순차 나누어 기입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현하도록,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8.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제 1 항∼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행하며,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나열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9. 제 1, 4,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사는 행방향 또는 열방향의 라스터 주사이며, 상기 제 2 주사는 지그재그 주사이고, 상기 제 3 주사는 수평방향우선 주사이며, 상기 제 4 주사는 수직방향우선 주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10. 제 2, 3,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는 부호화처리이며, 상기 제 2 처리는 동영상 부호화에서의 프레임간 예측부호화 시에 필요한 참조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11.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장치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m 개(m은 3 이상의 정수)의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수단과,
    기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n은 2 이상의 정수, n≠m)의 데이터 중에서 상기 m 개 메모리에의 기입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입력선택기와,
    상기 m 개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출력선택기와,
    상기 기억수단에의 블록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입력선택기 및 상기 복수의 출력선택기에 대하여 선택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을 구성하는 m 개의 메모리 각각은,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를 가지며, 또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판독 포트를 2 개 이상 갖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메모리에 대하여 공급되는 클록의 제어를 개별로 행하기 위한 클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제어수단은, 제 1 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상기 m 개의 메모리에 나누어 기입할 때, 기입이 발생하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공급하며, 기입이 발생하지 않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정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 2 주사, 제 3 주사 또는 제 4 주사 중 선택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판독주기가 발생하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공급하며, 판독주기가 발생하지 않는 메모리에 대해서는 클록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5.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2 차원의 블록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장치이며,
    상기 블록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적어도 1 개의 기입 포트와, 서로 독립된 판독이 가능한 n 개의 판독 포트를 구비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수단과,
    상기 메모리의 n 개의 판독 포트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판독주사 순으로 연속되는 n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수의 출력선택기와,
    상기 기억수단에 블록데이터를 기입주사 순으로 기입하며, 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블록데이터를 판독주사 순으로 읽어내는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출력선택기에 대하여 선택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6. 제 11 항∼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회로와,
    상기 화상처리회로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 광을 결상시키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로부터 얻은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화상처리회로에 공급하는 변환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시스템.
KR1020040072962A 2003-11-06 2004-09-13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KR20050043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6962 2003-11-06
JPJP-P-2003-00376962 2003-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07A true KR20050043607A (ko) 2005-05-11

Family

ID=344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62A KR20050043607A (ko) 2003-11-06 2004-09-13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2612B2 (ko)
EP (1) EP1530373A2 (ko)
KR (1) KR20050043607A (ko)
CN (1) CN100375498C (ko)
TW (1) TW200516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144B1 (ko) * 2006-12-28 2008-11-24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웹 페이지 관리를 위한 웹 아카이브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8387B2 (en) * 2001-07-31 2007-07-24 Umax Data Systems, Inc. Scanning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9514479A (ja) 2005-11-01 2009-04-02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データの処理方法
JP4909779B2 (ja) * 2006-04-17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データ転送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9094828A (ja) * 2007-10-10 2009-04-30 Hitachi Ltd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CN101599167B (zh) * 2008-06-03 2013-02-20 株式会社理光 存储器的存取方法
JP5421609B2 (ja) 2009-02-17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変換装置及び画像符号化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5004986B2 (ja) 2009-03-19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変換装置及び画像符号化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5302769B2 (ja) 2009-05-14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変換装置及び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456498B1 (ko) * 2009-08-14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부호화 단위의 스캔 순서를 고려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6630B1 (en) * 1991-09-30 1999-11-17 Kabushiki Kaisha Toshiba Band-compresse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TR
US5838834A (en) * 1991-11-07 1998-11-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zing image data and quantization errors using single quantizing unit and pluralities of quantization tables
JP3164031B2 (ja) * 1997-05-30 2001-05-0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記録媒体
JP2934425B1 (ja) * 1998-02-06 1999-08-16 鐘紡株式会社 画像データ圧縮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伸長装置
JP3168183B2 (ja) 1998-03-05 2001-05-21 カネボウ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6313767B1 (en) * 1999-02-19 2001-11-06 Canon Kabushiki Kaish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DE19961138C2 (de) * 1999-12-17 2001-11-22 Siemens Ag Multiport-RAM-Speichervorrichtung
JP2001275116A (ja) * 2000-03-24 2001-10-05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3977087B2 (ja) * 2001-02-13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144B1 (ko) * 2006-12-28 2008-11-24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웹 페이지 관리를 위한 웹 아카이브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4990A (zh) 2005-05-11
CN100375498C (zh) 2008-03-12
TW200516994A (en) 2005-05-16
US7542612B2 (en) 2009-06-02
US20050100228A1 (en) 2005-05-12
EP1530373A2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1851B2 (ja) 画像復号化装置、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画像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JP4909779B2 (ja) 画像データ転送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435602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06018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write/read in image processing system
JPH05236466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H0818953A (ja) 動画像復号表示装置
EP2966865A1 (en) Picture encoding device, picture decoding device, and pictur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61464A1 (en)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apparatus
JP200828746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50043607A (ko)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JP201028816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放送波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29777B2 (en) Variable length decoding device, variable length decod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system
US20080008248A1 (en) Orthogonal transformation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3990392B2 (ja) 可変長復号化装置、可変長復号化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19980081641A (ko) 동화상 복호 방법 및 동화상 복호 장치
JP4559785B2 (ja) 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装置
JP5265984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JP2863096B2 (ja) 並列処理による画像復号装置
JP4675383B2 (ja) 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画像符号化装置
JPH07298264A (ja) 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記憶装置ならびに画像データの処理装置
JP2009071642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100708183B1 (ko) 움직임 추정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데이터저장 방법
KR100269426B1 (ko) 개선된프레임메모리를갖는움직임보상장치
JP2005079751A (ja) 動画像予測符号化装置
JP2001086530A (ja) 画像データ処理回路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