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828A -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31828A KR20050031828A KR1020030068108A KR20030068108A KR20050031828A KR 20050031828 A KR20050031828 A KR 20050031828A KR 1020030068108 A KR1020030068108 A KR 1020030068108A KR 20030068108 A KR20030068108 A KR 20030068108A KR 20050031828 A KR20050031828 A KR 20050031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protrusion
- male
- groove
- synthetic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이나 삼중벽 합성수지관의 양선단에서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분에서 숫 결합부와 암 결합부를 삽입하면 결합 돌출부와 걸림턱이 결합되면서 구멍과 구멍 조립돌기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어 결합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에 조립공(10)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결합 돌출부(4)와 결합홈부(5)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4)의 일측으로 걸림턱(6)이 돌출된 암 결합부(2)와,
상기 결합 돌출부(4)가 위치하는 안내홈(15)과 돌출부(14)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안내홈(15)의 일측으로 걸림턱(6)이 위치하는 고정턱(16)이 형성되고 전방에 삽입축(11)을 설치한 숫 결합부(3)와,
상기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가 결합되어 합성수지관(1)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이나 삼중벽 합성수지관의 양선단에서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분에서 숫 결합부와 암 결합부를 삽입하면 결합 돌출부와 걸림턱이 결합되면서 구멍과 구멍 조립돌기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어 결합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 중 내부에 사각형이나 원형의 관이 형성되는 이중벽 또는 삼중벽 하수관은 소켓과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관을 상호 연결한 후에는 연결부분에서 압력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융착시키는 방법과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관의 상호연결 방법중 융착방법은 합성수지 시트에 열선을 깔고서 연결되는 두개의 파이프에 감은 후 시트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융착방법은 열을 발생시킬 전원공급장치를 차량에 적재하고 작업위치까지 이동하는 관계로 작업의 어려움과 융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삽입식의 연결방법은 연결부분에 밴드를 이용하여 한바퀴 감은 후 볼트와 너트 및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부분에서 관을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파이프에 고정하는 밴드는 여러개를 이용하여야 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므로 체결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시간이 복잡하여 한번 고정한 후에는 잘못 고정시켜도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분리한 밴드는 새로운 것으로 재사용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164483호는 하수관의 연결시 지하의 구조에 따라서 연결부분에서 약간은 휘어지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하나 일자형으로 연결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연결된 이후에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여 합성수지관이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발명특허 제0396291호(2003. 8. 19. 등록)는 암수의 결합부에 형성된 돌출날개와 체결홈이 만나면서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원터치 형으로 결합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나, 분리되는 힘에 대하여 적응력이 부족하므로 강한 힘에 의해서는 결합상태가 해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하에 매설된 후 분리되면 누수가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의 합성수지관을 매설할 때 숫 결합부와 암 결합부를 상호 조립하면 결합 돌출부와 안내홈 그리고 결합홈부와 돌출부가 결합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상태가 안정되게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안내홈에 형성된 구멍 조립돌기가 결합되고 결합 돌출부 선단의 고정돌턱이 돌턱 조립홈에 결합되면서 외측에서 고정밴드로 조여지면 4단계의 결합력으로 결합상태가 전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에 조립공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결합 돌출부와 결합홈부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의 일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된 암 결합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가 위치하는 안내홈과 돌출부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안내홈의 일측으로 걸림턱이 위치하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전방에 삽입축을 설치한 숫 결합부와,
상기 암 결합부와 숫 결합부가 결합되어 합성수지관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1)의 일측으로 암 결합부(2)를 형성하고, 반대쪽에는 암 결합부(2)와 조합이 가능한 형태의 숫 결합부(3)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1)을 연속해서 이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암 결합부(2)는 내부에는 삽입축(11)이 조립되는 조립공(1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적어도 2∼6곳 이상에서 결합 돌출부(4)와 결합 홈부(5)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4)는 돌출된 선단의 한쪽으로 직각되게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에 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의 내경에는 고정돌턱(8)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고정밴드(20)가 위치하는 체결홈(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 결합부(3)는 전방으로 패킹홈(12)이 형성되어 패킹(13)이 삽입되는 삽입축(11)이 설치된다.
상기 삽입축(11)의 안쪽에는 결합 돌출부(4)가 삽입될 때 안내되어 결합되는 안내홈(15)이 형성되고, 안내홈(15)이 없는 부분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 돌출부(4)는 안내홈(15)에, 결합홈부(5)는 돌출부(1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5)에는 걸림턱(6)이 걸려 분리되지 않는 고정턱(16)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멍(7)에 결합되는 구멍 조립돌기(17)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15)은 입구쪽은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게 형성하여 결합 돌출부(4)의 삽입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4)의 안쪽과 안내홈(15)의 일측에는 고정밴드(20)가 위치하는 체결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5)의 안쪽에는 고정돌턱(8)이 결합되는 돌턱 조립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밴드(20)는 볼트(21)와 너트(22)를 통하여 체결홈(9, 18)에서 결합된다.
상기 체결홈(9, 18)에 삽입되는 고정밴드(20)는 녹이 잘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며, 링이 아닌 밴드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내부에 사각형 또는 원형의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공급되어 이중벽 또는 삼중벽을 성형하는 합성수지관(1)의 양선단에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를 맞대기 형태로 성형시키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작업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를 결합시키되 숫 결합부(3)의 전방에 형성된 패킹홈(12)에는 패킹(13)이 미리 삽입되어 있으며, 암 결합부(2)의 결합 돌출부(4)가 숫 결합부(3)의 안내홈(15)에 결합되도록 상호 조립한다.
그러면 숫 결합부(3)의 삽입축(11)이 조립공(10)에 삽입되면서 암 결합부(2)의 결합 돌출부(4)가 안내홈(15)을 통하여 진행된다.
결합 돌출부(4)가 구멍 조립돌기(17)에 걸리면서 외측으로 들렸다가 다시 탄성력으로 복귀되면서 구멍 조립돌기(17)가 구멍(7)과 결합되는 동시에 걸림턱(6)이 고정턱(16)의 안쪽에 결합된다.
즉,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가 결합되면 결합 돌출부(4)가 안내홈(15)과 결합이 되면서 1차로 결합이 완성된다.
이때, 고정돌턱(8)은 안내홈(15)의 돌턱 조립홈(19)에 결합되므로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가 결합되면 걸림턱(6)과 고정턱(16), 구멍(7)과 구멍 조립돌기(17) 및 고정돌턱(8)과 돌턱 조립홈(19)이 각각 결합되므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3단계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체결홈(9, 18)을 감고 볼트(21)와 너트(2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최종적으로 결합 돌출부(4)가 고정되므로 조립이 견고하게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에 설명한 대로 3단계의 결합에 고정밴드(20)를 결합시키게 되면 전체적으로 4단계의 결합을 제공하므로 어떠한 외력에도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돌출부(4)와 결합되는 안내홈(15)을 각각 6곳씩 성형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2∼5등분되거나 그 이상의 다등분 되어서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가 모두 조립이 완료되면 외관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합성수지관을 매설할 때 숫 결합부와 암 결합부를 상호 조립한 후 결합부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링을 조립하면 양측에서 견고한 결합으로 결합상태를 안정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암 결합부와 숫 결합부가 상호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원터치 형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걸림턱과 고정턱, 구멍과 구멍 조립돌기, 고정돌턱과 돌턱 조립홈, 체결홈의 고정밴드 결합으로 4단계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정확하고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숫 결합부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숫 결합부에 대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암 결합부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암 결합부에 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합성수지관 2 : 암 결합부
3 : 숫 결합부 4 : 결합 돌출부
5 : 결합 홈부 6 : 걸림턱
7 : 구멍 8 : 고정돌턱
9, 18 : 체결홈 10 : 조립공
11 : 삽입축 12 : 패킹홈
13 : 패킹 14 : 돌출부
15 : 안내홈 16 : 고정턱
17 : 구멍 조립돌기 19 : 돌턱 조립홈
20 : 고정밴드
Claims (3)
- 합성수지관(1)의 양측에서 상호 결합하고 체결홈에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서 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내경에 조립공(10)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결합 돌출부(4)와 결합홈부(5)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4)의 일측으로 걸림턱(6)이 돌출된 암 결합부(2)와,상기 결합 돌출부(4)가 위치하는 안내홈(15)과 돌출부(14)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안내홈(15)의 일측으로 걸림턱(6)이 위치하는 고정턱(16)이 형성되고 전방에 삽입축(11)을 설치한 숫 결합부(3)와,상기 암 결합부(2)와 숫 결합부(3)가 결합되어 합성수지관(1)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제1항에 있어서, 암 결합부(2)에 구멍(7)을 형성하고 숫 결합부(3)에 구멍 조립돌기(17)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제1항에 있어서, 암 결합부(2)의 선단 내경에 고정돌턱(8)을 설치하여 안내홈(15)의 안쪽에 형성된 돌턱 조립홈(19)에 결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8108A KR100528714B1 (ko) | 2003-09-30 | 2003-09-30 |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8108A KR100528714B1 (ko) | 2003-09-30 | 2003-09-30 |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1828A true KR20050031828A (ko) | 2005-04-06 |
KR100528714B1 KR100528714B1 (ko) | 2005-11-15 |
Family
ID=3723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8108A KR100528714B1 (ko) | 2003-09-30 | 2003-09-30 |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871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8490B1 (ko) * | 2008-06-30 | 2008-11-12 | 주식회사 용전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KR101278691B1 (ko) * | 2012-08-14 | 2013-06-24 | (주)인텔리지오 | 채수관 |
CN107524880A (zh) * | 2017-09-08 | 2017-12-29 | 贵州联创管业有限公司 | 一种连接快捷的hdpe给水管 |
CN113294616A (zh) * | 2021-05-26 | 2021-08-24 | 湖南贯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pvc管的连接设备及其应用 |
KR102583372B1 (ko) * | 2023-01-25 | 2023-10-04 | 문성준 | 밀폐성이 강화된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0551B1 (ko) | 2004-10-05 | 2006-11-15 | 주식회사 에스피 | 이중벽하수관의 연결구조 |
KR101010656B1 (ko) | 2008-06-13 | 2011-01-25 | 주식회사 평화 | 관 연결부가 보강된 지중매설 하수관용 관 연결구 |
KR101049514B1 (ko) | 2008-11-13 | 2011-07-14 |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 분리 가능한 상부 파일이 결합된 기성철근콘크리트 파일 |
KR102430706B1 (ko) * | 2022-03-31 | 2022-08-10 | 주식회사 피봇기술 | 연결용 파이프 |
-
2003
- 2003-09-30 KR KR10-2003-0068108A patent/KR1005287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8490B1 (ko) * | 2008-06-30 | 2008-11-12 | 주식회사 용전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KR101278691B1 (ko) * | 2012-08-14 | 2013-06-24 | (주)인텔리지오 | 채수관 |
CN107524880A (zh) * | 2017-09-08 | 2017-12-29 | 贵州联创管业有限公司 | 一种连接快捷的hdpe给水管 |
CN113294616A (zh) * | 2021-05-26 | 2021-08-24 | 湖南贯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pvc管的连接设备及其应用 |
KR102583372B1 (ko) * | 2023-01-25 | 2023-10-04 | 문성준 | 밀폐성이 강화된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28714B1 (ko) | 2005-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47500B1 (en) | Conduit systems | |
CA1220146A (en) | Pipe fitting flange connector | |
AU757168B2 (en) | Coupling device | |
KR100528714B1 (ko) |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 |
CA2325042A1 (en) |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 |
KR101013796B1 (ko) |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 |
EP0219705B1 (en) | Improved watertight joint for flexible pipes | |
KR100995105B1 (ko) |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 |
EP1103752A1 (en) | Flexible corrugated tube with end fittings for hydraulic systems | |
KR200441980Y1 (ko) | 합성수지관 연결구 | |
JPH07253187A (ja) | 管継手 | |
KR20100071161A (ko) |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 |
KR200304573Y1 (ko) |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 |
KR100396291B1 (ko) |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 |
KR200201938Y1 (ko) |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 |
KR101016885B1 (ko) | 농업용 관체 연결구 | |
KR200164483Y1 (ko) | 이중흄관의 결합장치 | |
KR20080006247U (ko) |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 |
KR200358102Y1 (ko) |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
KR200265488Y1 (ko) |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조 | |
CN106567975A (zh) | 一种直插式波纹管接头 | |
KR20050028223A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 |
KR100425279B1 (ko) | 원터치형 연결구용 합성수지관 | |
KR100915137B1 (ko) |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 |
KR200337197Y1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