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194A -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10194A KR20050010194A KR1020030049166A KR20030049166A KR20050010194A KR 20050010194 A KR20050010194 A KR 20050010194A KR 1020030049166 A KR1020030049166 A KR 1020030049166A KR 20030049166 A KR20030049166 A KR 20030049166A KR 20050010194 A KR20050010194 A KR 200500101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alf body
- pipe
- upper half
- di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시 급한 용변을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며 용변이 일정시간 지나면 분해되어 장소의 제한없이 오물을 처리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석기능을 수행하며, 물을 주입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상반몸체와; 상기 상반몸체에 연결되어 물을 압력에 의하여 아래로 내리기 위한 펌푸기; 및 상기 상반몸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반몸체로부터 용변과 상반몸체의 안쪽을 씻어내린 물을 받아 저장하며, 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하반몸체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시 또는 주행중에 급한 용무를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자연친화적으로 오물을 일급수 처리함으로써 장소적 제약에 민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를 휴대하여 이동여행 중에서도 급한용무를 볼 수 있으며, 용변을 오염없이 임의장소에서도 투기(投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의 이동거리는 레저활동의 증가로 말미암아, 매우 길어졌으며 이는 장시간 여행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왜냐하면, 교통수단의 발달과 레저의 다양화로 인하여 원거리에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된 것이다. 또한, 레저의 다양화는 전국각지의 명소나 휴양지 등으로의 이동을 가져왔다. 따라서, 가족간의 유대와 레저를 위하여 가족원 모두가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기회가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레저장소의 다양화로 인하여 어떤 곳에서는 화장시설이 제대로 구비되지 않아 급한 용변시, 이를 해결할 마땅한 수단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안된 것이 휴대용 변기이다. 물론 휴대형 변기는 병원이나 특수시설 등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는 일회적 사용으로 보호자가 수시로 용변을 받은 후에 이를 화장실에서 처리하였다. 이와 달리, 휴대용 변기는 이동 중에도 휴대하면서 급한 용변처리도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에 대한, 한 예를 보여주는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0274560호의 고안내용을 보여주며, 이 고안의 요지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의 휴대용 변기는 에어의 입출(入出)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확대 및 축소되며 일측면에 에어가 입출되도록 에어 출입구가 형성된 변기 몸체와, 이 변기 몸체에 결합되며 변기 몸체에서 유저가 용변을 볼 경우 용변이 수납되도록 하는 회수 봉투 및 변기 몸체에 회수 봉투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에어의 주입에 따라 변기 형상을 만들어 임시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용변 후에는 용변이 수납된 회수 봉투를 밀봉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용변 처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 이 고안의 요지이다. 이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보에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그러나, 이 고안이 기존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이 고안으로 용변을 해결하려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전용펌푸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용변처리를 위한 별도의 봉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봉투가 완전히 밀봉되지 않으면 오물이 흘러내릴 개연성도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문제는 용변을 본 후에 이 오물을 처리하는 것인데, 이 고안은 봉투에 밀봉한체 투기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쓰레기장이 드문 곳에서는 처리하는 것이 난제일 수밖에 없다. 만일, 일정한 장소에 투기되지 않으면 이동 내내 냄새나는 봉투를 가지고 다녀야 되며, 함부로 투기한다면,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비친화적이라는 이중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셈이다. 또한, 오물을 처리하기 위한 봉투는 특수재질이어야 하므로 이 또한, 고비용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서 파생되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이동시 휴대하면서 급한 용변을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이 일정시간 지나면 분해되어 장소의 제한없이 오물을 처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변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분해되어 일급수로전환됨으로써 자연친화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형 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깔판과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상반 몸체와 펌푸기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하반 몸체와 각 구성요소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상반몸체를 하반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래치(latch)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유량표시기의 커버를 보여주며, 도 8b는 유량표시기의 측면도이고, 도 8c는 유량표시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부표의 사시도이다.
<* 도 2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설명 *>
200 : 덮개 210 : 급수구
220 : 물탱크 230 : 깔판
240 : 상반 몸체 250 : 펌푸기
300 : 하반 몸체 310 : 이음관
320 : 배출관 330 : 배출관캡
340 : 마개버튼 350 : 밸브핸들
360 : 유량표시기 370 : 적치함
본 발명은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변기를 휴대하여 이동여행 중에서도 급한 용무를 볼 수 있으며, 용변을 오염없이 임의장소에서도 투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에는 휴대가 가능하며 세척으로 물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탱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석기능을 수행하며, 물을 주입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상반몸체와; 상기 상반몸체에 연결되어 물을 압력에 의하여 아래로 내리기 위한 펌푸기와; 상기 상반몸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반몸체로부터 용변과 상반몸체의 안쪽을 씻어내린 물을 받아 저장하며, 용변을 일급수로 분해하기 위한 분해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분해된 분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하반몸체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을 상반몸체에 주입하고 휴대하다가 용변시 상반몸체에 착석하여 용변을 본후, 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물을 내리면 물은 상반몸체의 내부를 씻어내린 후에 하반몸체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하반몸체는 상기 상반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반몸체로부터 인입된 오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분해과정을 수행하는 수단에 의하여 오물을 일급수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좌변기를 사용하여 이동시 또는 주행 중에 급한 용무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물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일급수로 전환됨으로 장소적 제약없이 오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큰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좌석할 수 있는 상반몸체(240)와, 오물을 저장하고 이를 배출하도록 하는 하반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반몸체(240)에는 용기를 덮기 위한 덮개(200)와, 물을 주입하기 위한 급수구(210)와, 물을 담기 위한 물탱크(220)와, 좌석시 깔게 되는 깔판(230)과,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기 위한 펌푸기(250) 등이 구성된다. 덮개(200)와 깔판(230)에 대하여는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전에 밸브핸들(350)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이음관(310)의 홀(hole)이 열리고 용변을 본 후, 펌푸기(250)를 누르게 되면 물탱크(220)에 저장된 물이 나와서 상반몸체(240)의 안쪽을 세척하고 아래에 있는 하반몸체(300)의 이음관(310)을 통하여 하반몸체(300)로 들어가게 된다.
하반몸체(300)에는 상반몸체(240)와 하반몸체(300)의 오물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310)과, 하반몸체(300)에 저장되는 오물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20)과, 배출관(320)으로부터 오물의 누출을 막기 위한 배출관캡(330)과,배출관(320)을 통하여 오물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마개버튼(340)과, 이음관(310)의 홀(hole)을 닫거나 열 개하는 밸브핸들(350)과, 하반몸체(200)에 오물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표시기(360)와, 급수구(210)를 통하여 주입하는 물을 담고있는 용기를 적치할 수 있는 적치함(370)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하반몸체(300)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래치를 이용하여 하반몸체(300)를 상반몸체(24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된다. 래치는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않으나, 이는 하반몸체(300)의 정면도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래치의 역할은 상반몸체(240)를 하반몸체(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애 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래치를 움직여, 상반몸체를 들어 올림으로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분리가 일어나기 전에 이음관(310)으로부터 오물의 누수를 막기 위하여 밸브핸들(350)을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밸브핸들(350)이 안쪽으로 밀어 넣어지면 이음관(310)의 홀은 완전 밀폐되면서 막히게 되어 오물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핸들밸브(350)의 모양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와 평면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반몸체(300)의 배출관(320)을 하반몸체의 바깥쪽으로 180도 회전하고, 배출관캡(330)을 오른쪽으로 돌려서 열고 난 후, 하반몸체(300)를 들어서, 배출관(320)을 하천이나 물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와 함께, 마개버튼(340)을 누르면 오물은 배출관(32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 예시된 배출순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배출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순서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상반 몸체와 펌푸기의 조립도이다.
펌푸기(250)는 용변후, 접시모양처럼 생긴 용기(상반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220) 부분을 표시함)를 물로 세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펌푸하우징(251), 제1플러쉬관(252), 제2플러쉬관(253), 인입관(254), 호스(255)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물이 펌푸하우징(251)의 윗부분 까지 차오르면 손으로 눌러서 물이 호스(255)를 통하여 흘러내리면서 용기를 세척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탱크(2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급수구(210)의 뚜껑캡(211)을 열어서 물을 주입한다. 주입된 물은 인입관(254)을 통하여 펌푸하우징(251)에 차오르게 된다. 용변후에 사용자가 펌푸하우징(251)을 누르게 되면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물은 펌푸하우징(251)과 연결된 제1플러쉬관(252)을 통하여 흘러가게 되고, 제1플러쉬관(252)과 제2플러쉬관(253)은 호스(25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물은 최종적으로 제2플러쉬관(253)을 통하여 분출되며, 분출이 가늘고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2플러쉬관(253)의 말단은 제1플러쉬관(252)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접 사용자가 손에 힘을 가하여 펌푸기에 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소형모터의 발달로 간단히 버튼조작만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전지의 힘으로 펌푸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힘이 부족한 노약자나 아이들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하반 몸체와 각 구성요소의 조립도이다.
하반몸체는 오물을 저장하고, 오물을 배출하도록 하며, 오물의 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를 가진다.
배출관(320)은 오물의 누수를 막기 위한 고무팩킹(321, 331)과, 특수약품을 주입하거나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밸출관캡(330) 등으로 구성되며, 하반몸체에 부착되어 몸체바깥쪽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음관(310)은 상반몸체(240)와 하반몸체(300) 사이에 오물이 흘러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밸브핸들(350)에 의하여 밀봉되거나 개봉되어 오물이 넘치지 않도록 되어있다.
마개버튼(340)은 상단(341)과, 스프링(342)과, 중단(343)과, 하단(344)등으로 이루어지며, 마개(500)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오물투기시 밸브핸들(350)이 안쪽으로 밀착됨에 따라, 하반몸체(30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므로 오물투기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가 들어갈 구멍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 부위에 마개(500)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마개버튼(340)이 눌려지면 마개(500)가 열어지면서, 오물의 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유량표시기(360)는 오물이 하반몸체(300)에 투입됨에 따라, 오물의 수위가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유량표시기(360)의 커버(361)로서 조립이 유량표시기(360)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b는 유량표시기(360)의 측면도이고, 도 8c는 정면도이다. 즉, 유량표시기는 하단부위에 극성 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362)이 결합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부표(900)의 자석(901)과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부표(900)가 오물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부표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유량표시기(36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부표(90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의 각도는 90도이며, 이와 동일하게 유량표시기(360)도 동일한 각도의 제한이 있다.
또한, 유량표시기(360)에는 90도 단위로 색을 달리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설명하면, 0도 ~ 90도 사이에서는 녹색(363), 90도 ~ 180도 사이에서는 빨간색(364)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화되면 사용자에게 오물을 비우도록 하는 알람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로써는 간단히 오물이 어느 정도의 수위에 차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의 래치(latch)의 사시도이다.
래치는 상반몸체(240)와 하반몸체(300)의 분리와 접합을 위한 것으로서 도 6은 도 5의 사시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하반몸체(300)의 후면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자면, 래치(600)를 오른쪽방향으로 완전히 움직인 후, 상반몸체(240)를 위쪽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반몸체와 하반몸체가 분리된다. 또한, 래치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움직여도 제자리로 복원된다.
본 발명은 오물이 일급수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약품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용변을 보기 전에 일정량의 특수약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특수약품은 일반시중에서 습득 가능한 약품으로 이는 당업자라면 널리 인지될 수 있는 정도이다. 약품에 따라서는 물에 일정량을 혼합하거나 바로 약품을 사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약품을 투입하기 위하여 배출관(320)의 배출관캡(330)을 열어서 약품을 투입한다. 약품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출관(320)을 180도로 회전하여 하반몸체(300)를 세로로 세워서 하는 방식도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와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통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좌변기는 이동시 또는 주행 중에 급한 용무를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 간편하고, 자연 친화적으로 오물을 일급수 처리함으로써 장소적 제약에 민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상반몸체와 하반몸체가 래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되고 조립되어, 하반몸체만을 통하여 오물을 배출함으로써 사용시 간편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상반몸체에 펌푸기를 구비함으로써 용변후에도 용기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하반몸체에 밸브핸들을 둠으로써 오물의 누수 및 악취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시 불편을 최소함을 들 수 있다.
Claims (10)
-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석기능을 수행하며, 물을 주입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상반몸체와;상기 상반몸체에 연결되어 물을 압력에 의하여 아래로 내리기 위한 펌푸기; 및상기 상반몸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반몸체로부터 용변과 상반몸체의 안쪽을 씻어내린 물을 받아 저장하며, 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하반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반몸체는물을 주입하기 위한 급수구와, 급수구와 연결되어 물을 담기 위한 물탱크와, 용기를 덮기 위한 덮개와,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좌석시 깔게 되는 깔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반몸체는오물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배출관으로부터 오물의 누출을 막기위한 배출관캡과, 배출관에 부착되어 배출관을 통하여 오물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마개버튼과, 상기 상반몸체와 연결되어 오물이나 물을 하반몸체로 보내기 위한 이음관의 홀을 닫거나 열 개하는 밸브핸들과, 상반몸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래치와, 급수구를 통하여 주입하는 물을 담고있는 용기를 적치할 수 있는 적치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펌푸기는상반몸체에 부착된 급수구에 주입된 물을 펌프하우징으로 전달하는 인입관;상반몸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인입관에 의하여 전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푸하우징;상기 펌푸하우징과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제1플러쉬관;제1플러쉬관으로부터 전송된 물을 분출하는 제2플러쉬관; 및상기 제1플러쉬관과 제2플러쉬관을 연결하는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2플러쉬관의 말단은 제1플러쉬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관은 오물의 누수를 막기 위한 고무팩킹과, 특정약품을 주입하거나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밸출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반몸체에 부착되어 몸체바깥쪽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마개버튼은 상단과, 스프링과, 중단과, 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마개를 조정하여 오물투기시 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90도 단위로 색을 달리하여 이루어지며, 오물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유량표시기가 하반몸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량표시기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부표가 상기 하반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래치는 상기 상반몸체와 하반몸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며, 횡으로 이동후에도 복원될 수 있도록 용수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9166A KR20050010194A (ko) | 2003-07-18 | 2003-07-18 |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9166A KR20050010194A (ko) | 2003-07-18 | 2003-07-18 |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0194A true KR20050010194A (ko) | 2005-01-27 |
Family
ID=3722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9166A KR20050010194A (ko) | 2003-07-18 | 2003-07-18 |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10194A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9430A (en) * | 1975-01-20 | 1976-04-13 | Thetford Corporation | Portable toilet |
US4547916A (en) * | 1983-11-10 | 1985-10-22 | Thetford Corporation | Magnetically actuated level indicator |
US4641383A (en) * | 1982-06-01 | 1987-02-10 | Thetford Corporation | Portable toilet holding tank spout |
JPS6235085U (ko) * | 1985-08-12 | 1987-03-02 | ||
JPS62102496U (ko) * | 1985-12-18 | 1987-06-30 | ||
US4944048A (en) * | 1986-06-05 | 1990-07-31 | Thetford Corporation | Self-contained RV sanitary system |
KR200274560Y1 (ko) * | 2001-10-08 | 2002-05-06 | 김영기 | 휴대용 변기 |
-
2003
- 2003-07-18 KR KR1020030049166A patent/KR20050010194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9430A (en) * | 1975-01-20 | 1976-04-13 | Thetford Corporation | Portable toilet |
US4641383A (en) * | 1982-06-01 | 1987-02-10 | Thetford Corporation | Portable toilet holding tank spout |
US4547916A (en) * | 1983-11-10 | 1985-10-22 | Thetford Corporation | Magnetically actuated level indicator |
JPS6235085U (ko) * | 1985-08-12 | 1987-03-02 | ||
JPS62102496U (ko) * | 1985-12-18 | 1987-06-30 | ||
US4944048A (en) * | 1986-06-05 | 1990-07-31 | Thetford Corporation | Self-contained RV sanitary system |
KR200274560Y1 (ko) * | 2001-10-08 | 2002-05-06 | 김영기 | 휴대용 변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88675B1 (en) | Contaminated medical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 |
JP2020023877A (ja) |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 |
US11834817B2 (en) | Inflatable sink device | |
EP0659945A2 (en) | Toilet stool and cleaning mechanism therefor | |
US200602530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vacuation and cleansing of a colonostomy bag | |
US20160029858A1 (en) | Adult and child vehicle porter potty seating | |
US4028746A (en) | Portable toilet | |
CA2486166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waste | |
US4766622A (en) | Peritoneal waste discharge systems | |
KR20190140989A (ko) | 자동 소변 수집 시스템 | |
KR20050010194A (ko) | 휴대형 수세식 좌변장치 | |
KR101406324B1 (ko) | 휴대용 소변기의 소변 역류방지장치 | |
JP2008163737A (ja) | トイレおよび便座装置並びにその洗浄方法 | |
JP2000104319A (ja) | 便器洗浄装置 | |
JP7451537B2 (ja) | 様々なエコロジカル圧縮水洗ポータブルトイレ | |
CN115023292A (zh) | 泵式分配器、装填装置和具有多个泵式分配器的再装填系统 | |
CN217870811U (zh) | 一种便携可移动马桶 | |
WO2013123194A1 (en) | High pressure low liquid volume waste disposal system | |
US20170260733A1 (en) | Dual-bowl toilet | |
FR2648169B1 (fr) | Dispositif de diffusion de produit desinfectant, nettoyant et colorant destine a etre place dans les reservoirs de chasse d'eau des wc | |
US5001788A (en) | Portable peritoneal waste discharge system | |
JPH1171797A (ja) | オゾン水による便器洗浄装置 | |
WO2018218826A1 (zh) | 一种护理用移动防臭马桶 | |
CN212534363U (zh) | 一种洁身器的粪口消毒装置 | |
US5634217A (en) | Urine dispos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