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445A -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 Google Patents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00445A KR20050000445A KR1020030040925A KR20030040925A KR20050000445A KR 20050000445 A KR20050000445 A KR 20050000445A KR 1020030040925 A KR1020030040925 A KR 1020030040925A KR 20030040925 A KR20030040925 A KR 20030040925A KR 20050000445 A KR20050000445 A KR 200500004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application program
- icon
- information
- us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배포하고,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distribute information on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n application server in a terminal service-based computing environment to a user terminal, the application using the distributed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servi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for creating a shortcut icon for executing a program.
일반적으로, 씬클라이언트 컴퓨팅(thin client computing) 환경에서는 실제 수행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분산 설치되고,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와 설치 경로를 지정하여 운영체제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서버를 접근하게 된다. 여기에서, 씬클라이언트 컴퓨팅은 모든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되어 실행되고 실행 결과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방식의 컴퓨팅 구조로서, 서버 기반 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이라고도 한다. 씬클라이언트 컴퓨팅 구조에서 사용자 단말기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화면을 처리하고 키보드 또는마우스 등의 사용자 입력을 서버로 전달하는 프로그램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기존의 더미 터미널(dummy terminal)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in a thin client computing environment, application programs to be executed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an application server, and a user authenticates the operating system by specifying a server and an installation path where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is installed. The server is accessed. Here, the thin client computing is a computing structure in which all user application programs are installed and executed in an application server and the execution result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server based computing. In the thin client computing structure, only user programs ar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to process screen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to transmit user input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to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serves as a dummy terminal. do.
씬클라이언트 컴퓨팅을 위한 기반 환경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터미널 서비스가 있다. 이 시스템은 윈도우 서버 계열(Windows2000, Windows2003 등)을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하고 프로그램 화면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규약으로 RDP(Remote Display Protoco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결과 화면을 처리하고 사용자 입력을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RDC(Remote Desktop Connection)와 원격 디스플레이 규약(Remote Display Protocol)을 처리하는 RDP 클라이언트만 설치된다.The foundation for thin client computing is Microsoft's Terminal Services. This system is based on the Windows Server series (Windows 2000, Windows 2003, etc.) as an application server and is based on RDP (Remote Display Protocol) as a protocol for transmitting program screens and user input data. Only the RDP client, which handles the Remote Desktop Connection (RDC) and the Remote Display Protocol (Remote Display Protocol), is a terminal services client program that processes the result screens of programs executed on the application server and sends user input to the application server. do.
터미널 서비스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가 수행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웹 브라우저, 워드 프로세서, 메일 클라이언트 등)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및 설치 경로를 지정하여 해당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후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수행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및 경로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여러 프로그램들이 분산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의 주소와 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In a terminal services environment,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web browser, word processor, mail client, etc.) to be executed by a real user is installed on an application server, and the user authenticates the user on the server by specifying a server and an installation path where the desired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later. In such an environment, it is inconvenient to remember a server and a path where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by a user is installed.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rograms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application servers, it may be a significant burden on the user to understand the address and path of the server where the programs are installed.
터미널 서비스 기반의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의 주소 및 경로를 기억할 필요 없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배포(application publishing) 기능이 있다. 어플리케이션 배포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와 설치 경로 등의 정보를 중앙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주소 및 경로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터미널 서비스 기반의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배포 기능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부가 솔루션으로는 씨트릭스(Citrix, http://www.citrix.com)사의 메타 프레임(Metaframe) XP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 프레임 XP 등의 부가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기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사용자 단말기에 프로그램 아이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원래 사용하는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없다. 둘째,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화면" 또는 "시작" 메뉴에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 접속을 위한 "바로가기"를 생성하고자 할 때, 아이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원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아이콘으로 "바로가기"를 생성할 수 없다. 셋째, 원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있더라도 자동적으로 해당 아이콘으로 "바로가기"를 생성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프로그램 "아이콘 변경"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하여야만 한다. 넷째, PC 윈도우(Windows 98, Windows 2000, Windows XP 등) 운영체제와 달리 PDA 및 씬클라이언트 터미널에 사용되는 Windows CE 운영체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화면" 또는 "시작" 메뉴로 "바로가기" 생성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In a terminal services-based computing environment, there is an application publishing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execute an application program without having to remember the address and path of the server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function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remember the server address and path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by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uch as server and installation path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in a central databas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A representative additional solution that provides application distribution in a terminal services-based computing environment is Metaframe XP from Citrix (http://www.citrix.com). However,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function provided by such an additional solution such as metaframe XP has various problems. First, if program icon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an icon originally used by a program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server cannot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econd, when creating a "shortcut" for accessing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rver in the "desktop" or "start" menu of the user terminal, if the icon information is not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original program is used You cannot create "shortcuts" with icons. Third, even if the icon information used in the original program exists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not automatically create a "shortcut" to the corresponding icon, and the user must change the program using the "change icon" function. Fourth, unlike the PC Windows (Windows 98, Windows 2000, Windows XP, etc.) operating system, the Windows CE operating system used for PDAs and thin client terminals allows users to create "shortcuts" using the "desktop" or "start" menu of the user terminal. Can not provi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배포 기능을 확대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주소와 경로 이외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을 함께 배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프로그램 고유의 아이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고유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화면" 또는 "시작" 메뉴에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배포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and the application program distribution function in a terminal service-based computing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 server address and path where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By distributing the execution ic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user's terminal can use the specific ic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even if the application's own icon is not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desktop" or "start" menu of the user terminal. Create a "shortcut" icon requesting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server, and use the created "shortcut" icon to use the executable icon distributed in the application server To provide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n a terminal servi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 및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execu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배포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process of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이름" 및 아이콘에 대한 예시도3A is an exemplary diagram of "program name" and icon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manager scr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생성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바탕화면" 및 "시작" 메뉴에 생성된 "바로가기" 예시도이고,4A is an exemplary view of "shortcuts" generated in the "desktop" and "start" menu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에 의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기100: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130: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30: Terminal Services application serv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터미널 서비스 환경에서 실제 일반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에서 최소 부하의 서버를 결정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와 상호 연결되어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 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이 포함되어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관리하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distribut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service-based computing environment, comprising: a user terminal performing an operati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an actual general user in a terminal service environment;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an installation path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ic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determine a server having a minimum load among application servers on which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when a user requests;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includes an applic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nd a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for delivering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and processing user input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managing to provide terminal services necessary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방법에 있어서,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별로 배포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단계와;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자동 추출하거나 신규로 제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을 등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별로 접근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포함한 기본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배포하는 단계와;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에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tribut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service-based computing environment, comprising: storing and managing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a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for each user; Automatically extracting or newly creating an existing application program from a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in which an existing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creating an ic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nd registering the generated icon; Manag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n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essible for each user, and distributing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Generating a "shortcut" icon in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distributed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requesting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by select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and providing a terminal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n a terminal servi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본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 및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사용자 단말기(11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 및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들이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정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 지원되는 통신망에는 이동 통신망(예컨대, IS95A/B, CDMA2000-1x), 무선 LAN(예컨대, 802.11b) 및 유선 인터넷 등이 포함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100 is a user terminal 110,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and a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Consists of Although FIG. 1 illustrates that the user terminal 110,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and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are directly connected, the user terminal 110,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and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ar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s supported in a terminal services based computing environment includ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eg, IS95A / B, CDMA2000-1x), wireless LANs (eg, 802.11b), and wired Internet.
사용자 단말기(110)는 터미널 서비스 환경에서 실제 일반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10)는 크게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예컨대, Windows 98, Windows ME, Windows XP, Windows 2000)를 기반으로 하는 PC와 임베디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예컨대, Windows CE)를 기반으로 하는 PDA, Web PDA, WBT(Windows Based Terminal)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111),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2),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3), RDP 클라이언트(114) 및 설정 DB(115)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user terminal 110 serves to perform an operation for a general general user to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 a terminal service environment.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based on a PC based on a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 (eg, Windows 98, Windows ME, Windows XP, Windows 2000) and a PDA based on an embedded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 (eg, Windows CE). , Web PDA, and Windows Based Terminal (WBT). The user terminal 110 includes an application manager 111, a master application executor 112, an application executor 113, an RDP client 114, and a setting DB 115.
어플리케이션 관리자(111)는 사용자 단말기(110)로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항목을 관리(예컨대, 추가, 삭제, 등록정보변경 등)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바탕화면" 및 "시작" 메뉴에 "바로가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111)에서 관리하는 각각의 프로그램 항목들은 터미널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원래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nager 111 manages (eg, adds, deletes, changes registration information, etc.) items of the application programs distributed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displays the "desktop" and "start" menus of the user terminal 110. It is responsible for creating "shortcuts". Each program item managed by the application manager 111 is represented by an original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The user selects this icon to install a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You can run the program.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2)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3)를 위한 템플릿 역할을 담당한다.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20)는 실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계어 코드 영역인 코드 영역과, 메뉴 및 각종 메시지 문자열 자원 영역인 스트링 리소스(string resource) 영역 및 프로그램 아이콘 자원 영역인 아이콘 리소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aster application executor 112 serves to request execution of all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and serves as a template for the application executor 113 described later. The master application executor 1120 includes a code area which is a machine code area of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actually executed, a string resource area that is a menu and various message string resource areas, and an icon resource area that is a program icon resource area.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3)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실행 파일로서,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2)를 복제하고 그 복제된 실행 파일의 아이콘 리소스 영역을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로부터 배포된 프로그램 아이콘으로 대체하여 생성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3)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각각 한 개씩 생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의 "바탕화면" 또는 "시작" 메뉴에 자동으로 프로그램 "바로가기"를 생성할 때,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하나의 아이콘으로만 표시되며,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2)만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이 한 종류로만 표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기(113)를 생성하여 사용한다.The application launcher 113 is an executable file for requesting execution of each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The application launcher 113 duplicates the master application executor 112 and replaces the icon resource area of the duplicated executable file with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It is generated by replacing the program icon distributed from 130. One application executor 113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When automatically creating a program "shortcut" on the "desktop" or "start" menu of the user terminal 110, only one icon is displayed for any one application program, only the master application launcher 112 When requesting to execute all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server 130, the "shortcut" icons for all application programs are displayed in only one type. To solve this problem, each application executor 113 is generated and used for each application program.
RDP 클라이언트(114)는 RDP 프로토콜을 통해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서 전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결과 화면을 처리하고,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RDP 프로토콜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화면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규약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다.The RDP client 114 processes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result screen delivered from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through the RDP protocol, and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Here, the RDP protocol is a protocol developed by Microsoft Corporation as a protocol for transmit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screen and user input data.
설정 DB(115)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및 아이콘 등의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와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암호 등)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탑재된 로컬 DB이다.The setting DB 115 is a local DB mounted in the user terminal 110 that stores distributed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such as name and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user information (eg, user ID, password, etc.).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청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서버(130) 중에서 최소 부하의 서버를 결정하여 해당 서버의 주소, 프로그램 설치 경로 및 아이콘 정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위치를 인지하지 않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 프로그램 아이콘이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특정 프로그램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stores and manages an installation path of the application program, ic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like,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when a user requests it. When the user requests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determines the server with the least load among the application server 130 in which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and various information on the address, program installation path and ic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nd even if the program icon is no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0 in advance, the specific program icon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 To be used at 11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에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예컨대, 추가, 삭제, 변경 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21), 각 사용자별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예컨대, 설치 경로 및 아이콘 정보 등)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기(122),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청할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중에서 최소 부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는 부하 분산기(113)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설치 경로 및 아이콘 정보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DB(124)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DB(124)에 저장된 주요 정보는 아래의 〈표〉와 같다.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includes an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121 that stores and manages (eg, adds, deletes, changes, etc.)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for each user. An application distributor 122 that provides executabl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eg, installation path and ic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when a user requests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server 130, A load balancer 113 for determining an application server having a minimum load among the servers o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and an application DB 124 for storing installation paths and icon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program are included. Here, the main information stored in the application DB 124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표〉<table>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설치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30)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 모듈(131)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키보드 입력, 마우스 이벤트 등)을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132)이 포함되어 있다.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is inter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120 and manages to provide a terminal service to install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n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130 transmits the application storage module 131 storing the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receives a user input (eg, a keyboar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132 for transmitting inputs, mouse events, etc.) to a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s inclu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n a terminal servi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 및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execu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별로 배포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반 정보(예컨대, 프로그램 이름, 서버 주소, 설치 주소, 실행 인자, 사용자 정보 등)를 어플리케이션 DB에 저장하도록 관리한다(S21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 관리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DB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의 구성은 상술한 〈표〉와 같다.First,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stores general information (eg, program name, server address, installation address, execution parameters, user information, etc.)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application DB in order to distribute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for each user. Manage (S210).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application DB is 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Table>.
다음에,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는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자동 추출하거나 신규로 제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을 어플리케이션 DB에 등록시킨다(S220). 이 때,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아이콘을 추출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에 프로그램 아이콘 자동 추출 기능을 부가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별 아이콘을 직접 제작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설치된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해당 프로그램 아이콘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의 특성(예컨대, 컬러 수, 아이콘 크기 등)에 따라 복수개의 프로그램 아이콘을 어플리케이션 DB에서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 아이콘을 배포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utomatically extracts from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in which the existing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or newly creates an ic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nd registers the generated icon in the application DB (S220). At this time, when the program icon is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existing application program, the program icon is automatically added to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ic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without directly creating an icon for each user terminal. Can be extracted and use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controls to manage a plurality of program icons in the application DB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eg, the number of colors, icon size, etc.) of the program icons used in a specific user terminal, and appropriate program ic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It is desirable to manage to distribute.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는 사용자별로 접근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포함한 기본 정보(예컨대, 프로그램 이름, 실행 인자 등)를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배포한다(S230).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배포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manages basic information (eg, program name, execution factor, etc.) including an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essible by each user, and distributes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230).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appl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사용자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화면" 또는 "시작" 메뉴에 생성시킨다(S240). "바로가기" 아이콘의 생성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shortcut" icon on the "desktop" or "start" menu of the user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application information distributed from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S240). The creation process of the "shortcut" ic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다음에, 사용자 단말기는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고,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한다(S250). "바로가기" 아이콘에 의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Next, the user terminal selects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request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and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provides a terminal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S250). Execu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the "shortcut" ic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배포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process of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특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는 입력된 사용자 ID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 가능한 아이콘 특성(예컨대, 컬러 수, 아이콘 크기 등)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 전송한다(S31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는 전송된 사용자 ID가 등록된 ID인가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통해 판단한다(S320). 판단 결과, 전송된 사용자 ID가 등록된 ID가 아니면 상기 단계(S310)로 진행하여 유효한 사용자 ID를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전송된 사용자 ID가 등록된 ID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아이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DB에서 추출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다(S330). 즉,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배포기는 어플리케이션 DB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그램 이름"과 복수개의 아이콘 중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의 아이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아이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특성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 가능한 아이콘을 추출한다.First, in order to request specific application information, the application manager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user ID and icon characteristic (eg, number of colors, icon size, etc.) displayable on the user terminal to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S310).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d user ID is a registered ID through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S320).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f the transmitted user ID is not a registered I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0 to instruct to transmit a valid user ID. If the transmitted user ID is a registered ID, application information and icon information are extracted from the application DB.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330). That is, the application distributor of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extracts the icon information of the program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program name" and the plurality of icons for the application accessible to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DB,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application. Pass to the manager. Here, the icon information extracts an ic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con characteristic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배포기로부터 전달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아이콘 정보를 설정 DB에 저장하고(S340),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프로그램 이름" 및 아이콘 정보를 추출하여 어플리케이션 관리자 화면에 표시한다(S350). 어플리케이션 관리자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이름" 및 아이콘에 대한 예시도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The application manager of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i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distributor of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in the setting DB (S340), extracts the "program name" and the ic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appl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application manager screen. (S350). An exemplary view of the "program name" and icon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manager screen is shown in FIG. 3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생성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 명령을 실행시킨다(S410). 다음에,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는 마스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의 실행 파일을 복제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기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S420).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기 실행 파일은 'xxx.exe'의 형태로 생성되며, 'xxx'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Word'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기 실행 파일은 'Word.exe'의 형태로 생성된다.First, the application manager of the user terminal executes a command to create a "shortcut" icon for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410). Next, the application executor generates an application executor executable file for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duplicating the executable file of the master application executor (S420). Here, the application executor executable fil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xxx.exe', and 'xxx' represents the name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in the case of Word, the application launcher executable fil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Word.exe.
그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는 설정 DB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추출하여 복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기 실행 파일의 아이콘 리소스 영역에 복사되도록 지시하고(S430), 사용자 단말기의 "바탕화면" 및 "시작" 메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기 실행 파일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한다(S440). 여기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에서 배포된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탕화면" 및 "시작" 메뉴에 생성된 "바로가기" 예시도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Thereafter, the application launcher extracts an ic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etting DB and instructs to copy it to the icon resource area of the cloned application executor executable file (S430), and to the "desktop" and "start" menus of the user terminal. A “shortcut” icon for the application executor executable file is generated (S440). Here, the "shortcut" icon is preferably an icon distributed in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Exemplary drawings of "shortcuts" generated in the "desktop" and "start" menus are shown in FIG. 4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로가기" 아이콘에 의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하였는가를 판단(S510)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시키지 않았으면 대기하고,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시켰으면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를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중에서 최소 부하 서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520).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의 부하 분산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중에서 부하가 가장 적은 최소 부하 서버를 결정하고, 해당 최소 부하 서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DB에서 추출하여 해당 서버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예컨대, 설치 서버 주소, 설치 경로, 실행 인자 등)를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로 전달한다(S530).First,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executed the "shortcut" icon (S510) and waits if the "shortcut" icon is not executed. If the user terminal executes the "shortcut" icon, the user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hortcut" icon. The application executor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inimum load server is requested from the server in whic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through the application executor (S520). The load balancer of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determines the minimum load server having the least load among the servers in which the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extracts the minimum load server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DB, and applies th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for example, installation server address, Installation path, execution factor, etc.)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executor of the user terminal (S530).
어플리케이션 실행기는 전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RDP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청하고, RDP 클라이언트는 터미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청한다(S540).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은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행 결과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RDP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S550). 이 때, RDP 클라이언트는 전달된 실행 결과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예컨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 이벤트 등)을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로 전달한다. 터미널 서비스 실행 모듈은 RDP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해당 터미널 서비스를 제공한다(S560).The application executor requests the RDP client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transmitted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the RDP client requests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to the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of the terminal service application server (S540). The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executes the requested application program and transmits the execution result screen to the RDP client of the user terminal (S550). At this time, the RDP client displays the delivered execution result scree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delivers user input (eg, a keyboard input or a mouse event) to the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The terminal service execution module processes a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RDP client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terminal service (S560).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서비스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터미널 서비스 기반의 씬클라이언트 컴퓨팅 구조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반 정보(예컨대, 설치 서버 주소, 설치 경로, 프로그램 이름 등) 이외에 해당 프로그램을 표시 및 실행시키는 고유의 아이콘 정보까지 사용자 단말기로 배포하여 원래의 프로그램 아이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n a terminal service-based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informa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eg, an installation server address, an installation path, a program) in a terminal service-based thin client computing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name, etc.), unique icon information for displaying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can be distributed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original program icon.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에 직접 설치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씬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단말기에 원래의 프로그램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 사용자 단말기의 각종 전산 관리자가 직접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씬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 구축의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er convenience in the thin client environment so that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can be operated in the same environment as when direct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without any additional work for displaying the original program icon on the user terminal Various computer administrators of the user terminal can directly generate icons,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building a thin client computing environmen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0925A KR20050000445A (en) | 2003-06-24 | 2003-06-24 |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0925A KR20050000445A (en) | 2003-06-24 | 2003-06-24 |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0445A true KR20050000445A (en) | 2005-01-05 |
Family
ID=372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0925A KR20050000445A (en) | 2003-06-24 | 2003-06-24 |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0044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4159B1 (en) * | 2005-12-07 | 2010-08-04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Selective activation of tcp/ip link and traffic |
KR101453225B1 (en) * | 2010-08-10 | 2014-10-22 | 빅로브 가부시키가이샤 |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pplication distributio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
-
2003
- 2003-06-24 KR KR1020030040925A patent/KR20050000445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4159B1 (en) * | 2005-12-07 | 2010-08-04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Selective activation of tcp/ip link and traffic |
KR101453225B1 (en) * | 2010-08-10 | 2014-10-22 | 빅로브 가부시키가이샤 | Application distribution system, application distributio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24578B1 (en)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ement of configurable application programs on a network | |
US836484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hin client configuration | |
CN100354830C (en) | Methods for distributed program execution with file-type association in a client-server network | |
US713979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secure peer-to-peer collaboration system to an external system | |
US7117243B2 (en) | Methods for distributed program execution with file-type association in a client-server network | |
US5948064A (en) | Discovery of authentication server domains in a computer network | |
EP1141828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am neighborhood for a client node in a client-server network | |
US20030061279A1 (en) | Application serv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040117439A1 (en) | Client software enabling a client to run a network based application | |
US20020196279A1 (en) | Interacting with software applications displayed in a web page | |
US20030063119A1 (en) | Interacting with software applications displayed in a web page | |
US20030069924A1 (en) | Method for distributed program execution with web-based file-type association | |
JP2002351829A (en) | Providing computing service through online network computer environment | |
JP2000250872A (en) | Integral managing system for job processing system | |
CN1538659A (en) | Remote support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nd other electronic device | |
US8799355B2 (en) | Client server application manager | |
CN107949829A (en) | The virtualization apparatus management service on more session platforms | |
US20050038869A1 (en) | Business portal API | |
RU2237275C2 (en) | Server and method (variants) for determining software surroundings of client node in a network having client/server architecture | |
US20100077090A1 (en) | Fast switching between multiple user sessions | |
JP2015184827A (en) | Browsing sharing server, browsing sharing system, browsing sharing method, and browsing sharing program | |
KR20050000445A (en) | Application pu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ermianl service | |
KR10107049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operation of customer's computer | |
US20050076239A1 (en) | Configurable password maintenance | |
US20090272797A1 (en) | Dynamic information card rend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SUBM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