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49Y1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Google Patents
관 이음구용 고무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249Y1 KR200492249Y1 KR2020190001662U KR20190001662U KR200492249Y1 KR 200492249 Y1 KR200492249 Y1 KR 200492249Y1 KR 2020190001662 U KR2020190001662 U KR 2020190001662U KR 20190001662 U KR20190001662 U KR 20190001662U KR 200492249 Y1 KR200492249 Y1 KR 2004922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uide groove
- ring
- ring body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관 이음구용 고무링을 개시한다.
이러한 관 이음구용 고무링은, 배관 시공시 관체들을 압착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관 이음구의 내측에 시일을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 및 상기 링 본체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관 이음구와 관체 측이 압착 연결이 가능하게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도홈을 통해서 관로의 누수(漏水)를 유도하기 위한 누수 유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 이음구용 고무링은, 배관 시공시 관체들을 압착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관 이음구의 내측에 시일을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 및 상기 링 본체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관 이음구와 관체 측이 압착 연결이 가능하게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도홈을 통해서 관로의 누수(漏水)를 유도하기 위한 누수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 라인의 시공에 사용되는 관 이음구용 고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시공 작업은 배관용 관체들 간을 관 이음구로 연결한 상태에서 관 이음구의 단부 측을 압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압착 고정 작업 후에는 관 이음구들의 이음부위의 시일 상태나 압착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배관 라인의 시일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은, 압착 고정 방식으로 관체들을 연결하여 소정의 관로를 형성한 다음, 압력시험용 캡 장치를 관로 단부 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관로 내부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관로 내부의 압력을 테스트 및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관 이음구의 양쪽 단부 측의 둘레부 내측에는 시일을 위한 고무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무링은 관 이음구의 압착시 관체 둘레부 측과 밀착되면서 이음부위 틈새의 시일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배관 시공에 사용되는 관 이음구들은 압착 고정 방식에 의해 관체들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압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관체 이음부위들의 압착 후 관로 내부 압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의 실수나 착오에 의해 비(非) 압착된 상태의 이음부위가 있을 경우 해당 이음부위 측의 시일링 접촉 틈새를 통해서 누수 현상이 발생되어야만 작업자가 육안으로 비 압착 지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압착 처리)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 시공과 연계하여 관로 내부 압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관체와 관 이음구 간의 비(非) 압착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 이음구용 고무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관 시공시 관체들을 압착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관 이음구의 내측에 시일을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 및
상기 링 본체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관 이음구와 관체 측이 압착 연결이 가능하게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도홈을 통해서 관로의 누수(漏水)를 유도하기 위한 누수 유도부;
를 포함하는 관 이음구용 고무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관체와 관 이음구 측이 서로 끼워진 후 비(非) 압착된 이음 연결 상태를 이룰 때 이 이음부위의 링 접촉 틈새를 통해서 관로의 누수(漏水)가 유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배관 시공과 연계하여 관로의 내부 압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비(非) 압착 고정된 이음부위의 누수 유도에 의해 이음부위 중에서 비 압착된 부분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배관 이음부위의 비(非) 압착에 따른 시공 불량을 사전에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용 고무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용 고무링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용 고무링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용 고무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구용 고무링은, 링 본체(10) 및 누수 유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링 둘레부 갖는 통상의 유체 시일을 위한 고무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링 본체(10)의 재질은 유체 시일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무이거나, 이외에도 링 본연의 기능 및 사용 목적과 부합하는 시일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 중에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링 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관 이음구(C)의 양쪽 단부 둘레부 내측에 배치되어 관체(P)들을 관 이음구(C)들로 연결할 때 각 이음부위의 접촉 틈새를 시일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는 링 역할이 가능한 상태로 관 이음구(C) 내측에 제공된다.
즉, 관 이음구(C)는 도 2에서와 같이 단부 측에 형성된 컬링부(C1) 내측에 제공되는 링 홈(C2) 측에 링 본체(10)가 끼워지고, 이 링 본체(10) 측과 서로 인접하여 압착링(R, "금속링" 이라고도 함.)이 설치된 상태로 배관 시공에 사용된다.
그러면, 배관 시공시 관체(P)들의 단부 측을 컬링부(C1)로 감싸는 끼움 상태로 관 이음구(C)를 연결 설치할 때, 링 본체(10)는 끼움 연결된 이음부위 틈새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고, 압착링(R)은 통상의 압착장치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음부위가 안정적으로 압착 고정된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잡아줄 수 있다.
다음으로, 누수 유도부(20)는 링 본체(10)의 둘레부 측에서 링 접촉 틈새의 누수(漏水) 유도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누수 유도부(20)는 관 이음구(C)와 관체(P) 측이 서로 끼움 연결된 상태에서 컬링부(C1) 측의 압착 여부에 따라 링 본체(10)의 링 접촉 틈새를 통해서 관로 외부로 누수(漏水)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누수 유도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링 본체(10)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2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유도홈(22)은 링 본체(10)의 내부 둘레부를 따라 한 군데 지점,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다.
유도홈(22)은 링 본체(10) 측에서 관로 누수(漏水)를 유도하기 위한 공간(통로) 확보가 가능하게 파여진 형태의 홈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홈(22)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링 본체(10)의 내부 둘레면 측에서 외부 둘레면 측을 향하여 곡선의 호(弧)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파여진 홈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다각형 모양으로 파여진 홈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도홈(22) 측이 도 3에서와 같이 곡선의 호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특히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홈부 형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하되, 압착 작업에 의해 컬링부(C1) 측이 조여지는 상태로 눌려질 때에는 곡선의 홈부 내부면 측이 원형의 관체(P) 외부면 측에 더욱 균일하게 밀착되는 상태(시일)로 형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누수 유도부(20)는 관체(P)들 간을 관 이음구(C)로 각각 연결한 다음, 관 이음구(C)들의 단부(컬링부) 측을 압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관을 시공함에 있어서, 이와 연계하여 관로 내부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관로 내부 압력을 테스트할 때, 예를 들어, 관 이음구(C)들의 단부 중에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비(非) 압착된 지점의 이음부위 틈새는 링 본체(10) 둘레부 측의 유도홈(22)들에 의해 공간(통로)이 확보되면서 관로 외부로 누수(漏水)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음 연결 상태가 된다.
그러면, 관로 압력 테스트 작업시, 관체(P)들 간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관 이음구(C)들 중에서 단부 측이 압착되지 않은 이음부위는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이음부위들의 비(非) 압착 지점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로 내부 압력 테스트 작업시 관 이음구(C)들의 비(非) 압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한 후, 이를 정상적으로 압착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이음부위의 압착 불량에 의한 배관 시공 품질 및 시공 신뢰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누수 유도부(20)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유도홈(22) 측과 대응하는 유도구(2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구(24)는 유도홈(22)의 홈부 형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 가능한 상태로 링 본체(10) 내측에 내장형(內臟型) 타입으로 제공된다.
즉, 유도구(24)는 도 6에서와 같이 유도홈(22)의 홈부 내부면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이 형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도구(24)의 재질은 탄력적인 형태 복원력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고, 와이어 또는 박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도구(24)는 예를 들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변형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력적으로 원래 형태대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되, 도 7에서와 같이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측이 압착될 때 링 본체(10) 내측에서 이음부위의 틈새 시일 유지와 부합하는 상태를 원활하게 이루도록 형성된다.
유도구(2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링 본체(10)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 방식에 의해 링 내부에 내장형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구(24)는 이음부위가 비(非) 압착된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유도홈(22) 측이 링 본체(10) 측에서 누수 유도가 가능하게 항상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유도홈(22)의 홈부 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구(24)는 예를 들어,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압착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원래 형태대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링 본체(10)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미는 상태로 탄성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압착 후 링 본체(10) 중에서 유도홈(22)이 형성된 부분의 시일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유도구(24)를 더 구비하면, 비(非) 압착된 이음부위 측의 유도홈(22) 측이 비정상적으로 막혀서 누수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체(P)들 간을 관 이음구(C)로 연결 압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관 라인을 시공할 때, 각각의 관 이음구(C)들의 이음부위 틈새를 시일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 압력 테스트 작업시 비(非) 압착 지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무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관체(P) 이음부위의 비(非) 압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시공 불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한층 향상된 시공 품질 및 시공 신뢰도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10: 링 본체 20: 누수 유도부
22: 유도홈 24: 유도구
P: 관체 C: 관 이음구
22: 유도홈 24: 유도구
P: 관체 C: 관 이음구
Claims (4)
- 배관 시공시 관체들을 압착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관 이음구의 내측에 시일을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 및
상기 링 본체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 및 이 유도홈 측과 대응하는 유도구를 구비하고, 관 이음구와 관체 측이 압착 연결이 가능하게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도홈을 통해서 관로의 누수(漏水)를 유도하기 위한 누수 유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 유도부의 유도구는,
상기 유도홈의 홈부 내부면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탄력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유도홈 측이 홈부 형태를 이루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링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관 이음구용 고무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 유도부의 유도홈은,
상기 링 본체의 내부 둘레면 측에서 외부 둘레면 측을 향하여 파여진 홈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 이음구용 고무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 유도부의 유도홈은,
상기 링 본체의 내부 둘레면 측에 한 군데 지점, 또는 링 둘레부를 따라 간격을 띄우고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는 관 이음구용 고무링.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662U KR200492249Y1 (ko) | 2019-04-22 | 2019-04-22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662U KR200492249Y1 (ko) | 2019-04-22 | 2019-04-22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249Y1 true KR200492249Y1 (ko) | 2020-09-04 |
Family
ID=7247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662U KR200492249Y1 (ko) | 2019-04-22 | 2019-04-22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249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3258Y2 (ja) * | 1981-02-26 | 1985-10-03 | 日本シコ株式会社 | 折畳式ステ−ジ |
JPH08226582A (ja) * | 1995-02-21 | 1996-09-03 | Benkan Corp | ダブルプレス式管継手 |
KR200422119Y1 (ko) | 2006-04-27 | 2006-07-24 | 주식회사 서원기술 |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
US20060175829A1 (en) * | 2003-01-28 | 2006-08-10 | Bernd Kaimer | Press fitting system |
US20070246938A1 (en) * | 2006-04-19 | 2007-10-25 | Ibp Conex Limited | Press fitting arrangement with a pre-press leak indicator sealing ring |
-
2019
- 2019-04-22 KR KR2020190001662U patent/KR20049224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3258Y2 (ja) * | 1981-02-26 | 1985-10-03 | 日本シコ株式会社 | 折畳式ステ−ジ |
JPH08226582A (ja) * | 1995-02-21 | 1996-09-03 | Benkan Corp | ダブルプレス式管継手 |
US20060175829A1 (en) * | 2003-01-28 | 2006-08-10 | Bernd Kaimer | Press fitting system |
US20070246938A1 (en) * | 2006-04-19 | 2007-10-25 | Ibp Conex Limited | Press fitting arrangement with a pre-press leak indicator sealing ring |
KR200422119Y1 (ko) | 2006-04-27 | 2006-07-24 | 주식회사 서원기술 |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8754A (en) | Electrically insulated pipe coupl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10408368B2 (en) | Coupling having seal with lip projections | |
US20120274061A1 (en) | Hose Repair Clamp | |
CN112752919B (zh) | 管道连接用装配装置 | |
JP4948081B2 (ja) | 水圧試験装置 | |
US5086809A (en) | Pipe coupling and sealing device | |
US4030778A (en) | Leakproof coupling means for garden hoses and the like | |
JP2011220404A (ja) | 配管の連結構造 | |
KR200492249Y1 (ko)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
TWI444556B (zh) | 具有偏移形心之密封環 | |
KR200493485Y1 (ko) | 배관용 고무링 | |
KR20100124916A (ko) |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 |
JP7312389B2 (ja) | プレス式管継手 | |
KR102226048B1 (ko) |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 |
CN208381562U (zh) | 一种燃气管道非开挖内衬修复用接头 | |
WO2017130713A1 (ja) | 配管 | |
WO2019204951A1 (zh) | 一种管件连接结构 | |
JP4972422B2 (ja) | 管継手 | |
KR101672760B1 (ko) | 파이프 누설 방지용 차폐캡 | |
RU2535420C1 (ru) | Ко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гибкой полимерно-арм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штуцера к ней | |
CN109268600A (zh) | 一种快速装夹的管路连接结构 | |
US20100072743A1 (en) | Push fit coupling | |
JP2008045944A (ja) | 水圧試験装置 | |
CN210128148U (zh) | 一种供水管道用橡胶密封圈 | |
CN214064224U (zh) | 承插式管道接口用修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