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08Y1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608Y1 KR200491608Y1 KR2020170003553U KR20170003553U KR200491608Y1 KR 200491608 Y1 KR200491608 Y1 KR 200491608Y1 KR 2020170003553 U KR2020170003553 U KR 2020170003553U KR 20170003553 U KR20170003553 U KR 20170003553U KR 200491608 Y1 KR200491608 Y1 KR 2004916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ing device
- holder
- safety helmet
- receiving portion
- holde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모는, 일 면이 개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조명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를 상기 본체부에 착탈시키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조명 장치를 착탈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공장이나 건축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의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머리 고정대와 충격 흡수재, 턱 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환경에 따라 탄광, 채굴 등과 같은 각종 지하공사 작업이나 야간, 우천 등과 같이 작업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외 환경에서 작업자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휴대용 조명 장치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하고 손에 랜턴을 들고 작업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작업상의 불편함이 발생함과 동시에 안전 사고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모에 조명 장치를 결합시키는 형태의 장치가 개시되었다. 즉, 조명 장치에 탄성을 가진 고무줄 등이 구비되고, 고무줄이 안전모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방식은 작업 중 안전모에 결합된 조명 장치가 쉽게 분리가 되고, 조명 장치가 안전모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흔들리는 작업자의 머리에 따라 안전모가 흔들리면서 조명 장치를 고정하는 고무줄이 점차 상승하게 되어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조명 장치가 떨어지거나 충돌하여 조명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조명 장치가 안정적으로 착탈되는 안전모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조명 장치가 착탈되는 수용부를 안전모와 일체로 형성하되, 수용부에 구비된 홀더부를 통해 조명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가 개시된다. 상기 안전모는, 일 면이 개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조명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를 상기 본체부에 착탈시키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면을 가압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의 양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부 폭의 크기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명 장치의 광 조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조명 장치를 보호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수용부에 조명 장치의 외면을 밀착 지지하는 홀더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조명 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조명 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홀더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이한 크기의 조명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모와 휴대용 조명 장치를 간편하게 착탈시켜 조명 장치의 교체와 수리 및 충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조명 장치의 광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 장치를 고정하는 홀더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안전모 공정의 단계 및 공정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홀더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홀더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모(100)는 본체부(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일 면이 개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측이 반원 공간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에 착용자의 머리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10)는 충격 흡수재, 고정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본체부(110) 외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내측에 조명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부(120)는 본체부(110) 외면의 중앙 영역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조명 장치(10)가 안전모(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조명 장치(10)의 무게로 인하여 안전모(100)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20)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전모(100)는 본체부(110) 및 수용부(120)에 대응하는 성형틀을 이용하여, 한번의 사출 성형을 통해, 본체부(110) 및 수용부(12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100)는 조명 장치(10)를 고정하는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한번 성형으로 본체부(110)와 수용부(120)를 동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모(1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수용부(120)는 조명 장치(10)의 외면을 가압 지지하여 조명 장치(10)를 고정하는 홀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122)는 수용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되, 일 측면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기 일 측면을 통해 조명 장치(10)를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부(122)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소재의 변형력 및 탄성력에 의해, 홀더부(122)는 조명 장치(10)의 크기에 따라 폭이 변화하여 조명 장치(10)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효과적으로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10)의 상이한 규격(또는, 크기)에 관계없이 홀더부(122)가 조명 장치(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조명 장치(10)의 이탈 및 조명 장치(10)의 추락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동일한 구성을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모(200)의 홀더부(222)는 레버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224)는 홀더부(222)의 양 단 각각으로부터 수용부(120)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부(224)에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홀더부(222)의 폭이 조명 장치(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레버부(224)에 사용자가 양 측을 손으로 파지하여 가하는 힘 또는 조명 장치(10) 삽입 시 작용되는 힘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홀더부(222)가 양 측으로 벌려지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크기의 조명 장치(10)를 홀더부(222)에 삽입 및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레버부(224)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동일한 구성을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모(300)의 홀더부(322)는 수용부(3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322)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3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용부(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부(322)가 수용부(320)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되, 홀더부(322)의 양 측 외면에 회전돌기(324)가 각각 형성되고, 수용부(320)의 양 측 내면에 회전돌기(324)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돌기(324)가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홀더부(322)가 수용부(320)에 내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300)는 홀더부(322)의 회전을 통해 조명 장치(10)의 광 조사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명 장치(10)의 빛이 조사되는 조명 영역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한 구성을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전모(400)는 캡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410)는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수용부(120)에 수용된 조명 장치(10)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에는 수용부(120)의 양 측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이 이격 형성되고 캡부(410)의 양 단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이러한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캡부(410)가 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캡부(410)가 수용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현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조명 장치(10)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41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조명 장치(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명 장치(10)를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부(410)는 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모(400)의 수납 필요 시, 이러한 캡부(410)를 분리함으로써, 안전모(400)를 차례로 적층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캡부(41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명 장치 110: 본체부
120,320: 수용부 122,222,322: 홀더부
224: 레버부 324: 회전돌기
410: 캡부
120,320: 수용부 122,222,322: 홀더부
224: 레버부 324: 회전돌기
410: 캡부
Claims (7)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로서,
일 면이 개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면의 중앙 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를 상기 본체부에 착탈시키고 상기 조명 장치의 외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양단이 상기 수용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 측면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 측면 중 전방 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홀더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양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부 폭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명 장치의 광 조사 각도가 조절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조명 장치를 보호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553U KR200491608Y1 (ko) | 2017-07-07 | 2017-07-07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553U KR200491608Y1 (ko) | 2017-07-07 | 2017-07-07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152U KR20190000152U (ko) | 2019-01-16 |
KR200491608Y1 true KR200491608Y1 (ko) | 2020-05-08 |
Family
ID=6526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553U KR200491608Y1 (ko) | 2017-07-07 | 2017-07-07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60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3403A (ko) | 2019-02-25 | 2020-09-02 | 김양덕 | 밴드형 안전 조명장치 |
CN113273756B (zh) * | 2021-04-29 | 2024-03-26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 一种固定于安全帽上的头灯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1288B1 (ko) * | 2008-04-29 | 2011-01-28 | 마장훈 | 안전모의 조명장치 |
KR20140001761U (ko) * | 2012-09-18 | 2014-03-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조명수단이 구비된 해양구조물용 안전모 |
KR20140002489U (ko) * | 2012-10-19 | 2014-04-2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안전모 부설용 랜턴 장착구조 |
-
2017
- 2017-07-07 KR KR2020170003553U patent/KR200491608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152U (ko) | 2019-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16998A1 (en) |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 |
EA021497B1 (ru) | Внутренн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поры и фиксации защитного шлема на голове работника | |
KR200491608Y1 (ko) |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 |
US4432100A (en) | Protective helmet visor | |
US20110314580A1 (en) | Headgear with means for retaining eyewear | |
US11206889B2 (en) | Safety hat assembly | |
US9039228B1 (en) | Flashlight holder | |
CN109744631A (zh) | 防护头盔 | |
KR101855593B1 (ko)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
KR100834379B1 (ko) | 안전모 | |
KR101414411B1 (ko) | 헤드램프모듈 탈부착형 헬멧 | |
KR101018507B1 (ko) | 후레쉬 장착부를 구비한 안전모 | |
CN211153997U (zh) | 煤矿井下安全帽 | |
KR20150076285A (ko) | 접이식 헬멧 | |
KR101001751B1 (ko) | 줄자를 갖는 안전모 | |
KR102006654B1 (ko) | 수납식 보호경을 포함하는 안전 헬멧 | |
CN213785644U (zh) | 一种多功能安全头盔 | |
US20170251745A1 (en) | Impact absorbing harness for industrial safety helmet | |
KR20100009777U (ko) | 안전등이 구비된 안전모 | |
KR200433393Y1 (ko) | 안전모 | |
KR102310110B1 (ko) | 안전모 | |
CN209825323U (zh) | 一种施工作业用的轻便型安全防护装置 | |
KR200487082Y1 (ko) | 다목적 보안면 | |
KR20140002489U (ko) | 안전모 부설용 랜턴 장착구조 | |
CN221749713U (zh) | 一种煤矿用多功能安全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