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342Y1 - 개선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호환 가능한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호환 가능한 조리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8342Y1 KR200498342Y1 KR2020190002756U KR20190002756U KR200498342Y1 KR 200498342 Y1 KR200498342 Y1 KR 200498342Y1 KR 2020190002756 U KR2020190002756 U KR 2020190002756U KR 20190002756 U KR20190002756 U KR 20190002756U KR 200498342 Y1 KR200498342 Y1 KR 2004983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oking vessel
- sheet
- main flange
- heating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01234 light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기기, 특히 인덕션에 의한 가열기기 상에 수평 배치되도록 마련된 바닥부(4) 및 측벽(9)을 포함하는,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3)으로 구현된 가열조리 용기(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부(4)는 상이한 역학적, 열적, 물리적 성질, 특히 상기 박판(3)의 금속 또는 합금의 탄성 한계보다 더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강자성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현된 판(2)을 수용하고, 상기 판(2)은, 방사상으로 일정 너비(L)로 확장되며 박판(3)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된 주연 플랜지(20)로 마무리되는 크라운의 형태를 갖고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부(4)는 주연 플랜지(20)로부터 직접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측벽(9)에 연결되고, 판(2)은 일정 지름(R1)을 갖고 (L/R1) 비율은 0.08 초과, 바람직하게는 0.1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부(4)는 주연 플랜지(20)로부터 직접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측벽(9)에 연결되고, 판(2)은 일정 지름(R1)을 갖고 (L/R1) 비율은 0.08 초과, 바람직하게는 0.1 초과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기기, 특히 음식물 가열조리용 인덕션 가열기기 상에 수평 배치하도록 마련된 가열조리 용기, 특히 프라이팬, 냄비, 볶음팬, 전골 냄비 또는 압력솥에 관한 것이다.
문헌 FR2915359는 가열기기, 특히 인덕션에 의한 가열기기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 바닥부 및 측벽을 포함하는,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으로 구현된 가열조리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바닥부는 상이한 역학적, 열적, 물리적 성질, 특히 상기 박판의 금속 또는 합금의 탄성 한계보다 더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강자성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현된 판을 수용한다. 판은 걸개 천공들을 포함하고 걸개 천공들은 박판의 재료로 충전되도록 바닥부 내에 매립된다. 판은 박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된 주연 플랜지로 마무리되는 크라운 형태를 갖는,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을 포함한다.
주연 플랜지는 바닥부에 매립되는 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닥부는 만곡부에 의해 측벽과 연결되기 전 주연 플랜지로부터 방사상으로 계속 연장된다. 거의 수평한 크라운 형태의 연장부는 강자성 판으로 복개되지 않으며 따라서 바닥부가 인덕션 가열기기 상에 놓일 때 "능동적으로" 가열에 참여하지 않는다.
게다가, 크라운 형태의 연장부는 재가공 또는 브러싱에 의한 마무리 작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고 최적화된 가열 성능을 제공하는, 인덕션 가열기기와 호환 가능한 가열조리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하기에 단순하고 경제적인 설계의 가열조리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목적들은, 가열기기, 특히 인덕션에 의한 가열기기 상에 수평으로 배치하게 되어 있는 바닥부 및 측벽을 포함하는,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으로 구현된 가열조리 용기로 달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이한 역학적, 열적, 물리적 성질, 특히 상기 박판의 금속 또는 합금의 탄성 한계보다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강자성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현된 판을 수용하고, 상기 판은 걸개 천공들을 포함하고 걸개 천공들은 박판 물질로 충전되도록 상기 바닥부 내에 매립되고, 상기 판은 방사상으로 일정 너비(L)로 연장되며 박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된 주연 플랜지로 마무리되는 크라운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을 포함하는, 가열조리 용기에 있어서, 바닥부는 주연 플랜지로부터 직접적으로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에 의해 측벽에 연결되고, 판은 일정 반경(R1)을 갖고 비율(L/R1)은 0.08을 초과하며, 바람직하게는 0.1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판은 바닥부 평면 전체 상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판을 통과하는 인덕션 가열기기의 화력은 바닥부 전체 상으로 배분된다. 그러므로 조리 용기는 개선된 가열 성능을 제공한다.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은 유리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가열기기 상에서 조리 용기의 우선적 접촉 구역이다. 정의된 바와 같이, 주연 하중 구역은 가열기기 상에서 조리 용기를 취급할 때 발생되는 마찰 시에 유리판 상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넓다.
연속적인 가열 및 냉각시에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을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에 대향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은 상승된 주연 플랜지에 의해 보장된다.
주연 플랜지라 함은 판의 주연부 전체 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의미한다.
바닥부가 주연 플랜지로부터 직접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에 의해 측벽에 연결된다 함은 만곡부가 주연 플랜지의 외부 모서리 또는 그것의 근접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외면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연 플랜지는 판의 전체 둘레 상으로 연속적이고 규칙적이다.
따라서, 상승된 주연 플랜지는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을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과 맞닿게 유지하도록 그 주연 하중 구역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저지한다.
유리하게는, 주연 플랜지는 판에 대한 수직선과 일정 각도(α)를 형성하고, 주연 플랜지의 자유 단부가 박판 내에 매립되는 첨단부를 형성하도록 각도(α)는 4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이다.
따라서, 주연 플랜지의 자유 단부는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의 위치유지를 보장하도록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 내에 매립되는 첨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연 플랜지의 자유 단부는 외부 모서리를 포함하고, 만곡부는 상기 외부 모서리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외면을 포함한다.
외부 모서리라 함은, 모서리가 판의 외부 가장자리 전체 상으로 연장되는 선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주연 플랜지는 0.2 mm를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0.5 mm를 초과하는 높이(H)로 판의 상위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판은 주연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고 일정 표면적(S1)을 갖는 하위 면을 포함하고, 바닥부는 일정 표면적(S2)을 갖는 음식물 수용을 위한 평평한 상위 면을 포함하고, S1/S2의 비율은 0.95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98을 초과한다.
따라서, 판은 음식물 수용을 위한 평평한 상위 면의 거의 전체와 대향하여 연장된다. 그 결과, 판을 통과하는 인덕션 가열기기의 화력은 음식물 배치용 평면의 거의 전체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조리 용기는 프라이팬, 냄비, 볶음팬, 전골 냄비 또는 압력솥이다.
본 발명은 절대로 비한정적으로 채택되고 첨부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숙지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 용기의 직선(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조리 용기의 상세도(III)이다.
도 4는 도 3의 가열조리 용기의 상세도(IV)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 용기의 직선(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조리 용기의 상세도(III)이다.
도 4는 도 3의 가열조리 용기의 상세도(IV)이다.
본 문헌에서, "수평", "수직", "하위", "상위", "종방향", "횡방향", " 상부", "하부"의 용어들은 조리 용기가 수평면 상에, 특히 가열기기 상에 놓일 때, 사용 상황에 있는 조리 용기를 기준으로 하는 조리 용기를 상술하기 위하여 채택됨을 주목할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보이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조리 용기(1)는 프라이팬으로 구성된다. 프라이팬은 바닥부(4) 및 측벽(9)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그립용 손잡이가 측벽(9)에 부착된다. 가열조리 용기(1)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또는 경합금으로 된 박판(3)으로 원반 형태로 구현된다. 원반은 가열조리 용기(1)를 형성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스탬핑 된다. 바람직하게는, 원반은 2 mm 내지 6 mm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된다.
바닥부(4)는 박판(3)의 금속 또는 합금과 다른 성질, 특히 알루미늄의 탄성 한계보다 현저히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된 판(2)을 수용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2)이 박판(3)의 금속 내에 매립된다. 판(2)은 가열조리 용기(1)가 인덕션 가열기기와 호환가능하도록 강자성 물질로 구현된다. 바닥부(4) 상에 조합된 판(2)은 가열기기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판(2)은 바닥부(4)의 원형에 적용되도록 원반 형태를 갖는다. 판(2)은 주연 하중 구역(11)으로 둘러싸인 중앙부(10)를 포함하고, 중앙부에 의해 가열조리 용기(1)는 특히 인덕션 가열기기의 유리판으로 형성된 지지대와 맞대어 놓일 수 있다. 하중 구역(11)은 연속적으로 속이 채워져 있고(즉, 이곳에는 천공이 없음) 크라운 형태이다.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11)은 일정 너비(L)로 방사상 연장되고 판(2)은 일정 반지름(R1)을 갖는다(도 2). 비율(L/R1)은 0.08을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1을 초과한다. 유리하게는, 중앙 구역(10)은 가열조리 용기(1)의 하중 구역(11)을 지지대 상에 놓기 용이하도록 극히 미세하게 오목하다.
판(2)의 중앙 구역(10)에서는 천공(5)들이 한 측에서 다른 측으로 횡단한다. 천공(5)들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구역에서, 전형적으로 동심을 가질 수 있고 판(2)의 중심에 근접하여 시발할 수 있는 다수의 반경을 따라 분포한다(도 1).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 천공(5)은 경사진 주연 립(6) 및 립의 단부(7)를 갖는다. 그와 같이 세공된 천공된 판(2)이 금속 박판(3) 상에 부착되고, 천공(5)들의 주연 립(6)들은 금속 박판을 향하는 돌출부들을 형성한다. 판(2)은 문헌 FR269389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콜드 스탬핑에 의해 판(3) 내로 매립된다. 스탬핑 시에, 천공(5)들 내에서 금속 박판(3) 물질이 고압 변형되는 결과로 주연 립(6)들과 립 단부(7)들이 재정립됨으로써 판(2)이 박판(3) 상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따라, 판(2)은 하중 구역(11)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연속적이고 규칙적인 주연 플랜지(20)를 포함한다. 주연 플랜지(20)는 판(2)을 벤딩(bending) 함으로써 구현된다. 유리하게는, 벤딩 반경은 주연 플랜지(20)가 하중 구역(11)을 경화하도록 2 mm 미만이다. 주연 플랜지(20)는 판(2)의 수직선과 45° 미만의 각(α)을 형성한다(도 4). 따라서, 판(2)의 좁은 측면(12)은 바닥부(4)에 대하여 경사지며 판의 하위 면(13)으로 외부 모서리(21)를 한정하고 판(2)의 상위 면(14)으로 내부 모서리(22)를 한정한다. 따라서 주연 플랜지(20)의 자유 단부는 금속 박판(3) 내에 매립되는 첨단부(23)를 형성한다. 주연 플랜지(20), 특히 첨단부(23)는 판(2)의 상위면(14)으로부터 0.4 mm 높이로 상향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부(4)는 주연 플랜지(20)로부터 직접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측벽(9)에 직접 연결된다. 만곡부(30)는 주연 플랜지(20)의 외부 모서리(21) 또는 그것의 근접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외면(31)을 포함한다.
주연 플랜지(20)에 의해 한정되는, 판(2)의 하위 면(13)은 일정 표면적(S1)을 갖는다. 바닥부(4)는 일정 표면적(S2)을 갖는 음식물 수용을 위한 평면 상위면(32)을 포함한다. 비율(S1/S2)은 0.95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98을 초과한다. 예시로서, 지름 28 cm의 프라이팬에 대하여, 판(2)의 지름(D1)은 225 mm이고 하위 면(13)의 표면적(S1)은 39 760 mm2이다(도 3). 평면 상위 면(32)의 지름(D2)은 229 mm이고 표면적(S2)은 41 187 mm2이다. 비율(S1/S2)은 0.97이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개시된 상술되고 도시된 실시예들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을 구성하는 관점에서 또는 대응 기술로 대체함으로써 가능하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판은 바닥부의 다각형에 적용되기 위한 다각형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 경금속 또는 경합금 박판(3)으로 구현되는 가열조리 용기(1)이며, 가열조리 용기는 가열기기 또는 인덕션 가열기기 상에 수평 배치되도록 마련된 바닥부(4) 및 측벽(9)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4)는 상기 박판(3)의 금속 또는 합금의 탄성한계보다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강자성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현된 판(2)을 수용하고, 상기 판(2)은 걸개 천공(5)들을 포함하고 걸개 천공(5)들은 박판(3)의 재료로 충전되도록 상기 바닥부(4) 내에 매립되고, 상기 판(2)은 일정 너비(L)로 방사상 연장되고 박판(3)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된 주연 플랜지(20)로 마무리되는 크라운 형태의 연속적으로 속 채워진 주연 하중 구역(11)을 포함하는, 가열조리 용기(1)에 있어서,
바닥부(4)는 주연 플랜지(20)로부터 직접 상향 연장되는 만곡부(30)에 의해 측벽(9)에 연결되고, 판(2)은 일정 반경(R1)을 갖고, 비율(L/R1)은 0.08을 초과하거나, 또는 0.1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1항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20)는 판(2)의 둘레 전체 상에서 연속적이고 규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2항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20)는 판(2)에 대한 수직선과 일정 각도(α)를 형성하고, 주연 플랜지(20)의 자유 단부가 박판(3) 내로 매립되는 첨단부(23)를 형성하도록 각도(α)는 45°미만 또는 3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3항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20)의 자유 단부는 외부 모서리(21)를 포함하고, 만곡부(30)는 상기 외부 모서리(21)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외면(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연 플랜지(20)는 판(2)의 상위 면(14)으로부터 0.2 mm를 초과하거나, 또는 0.5 mm를 초과하는 높이(H)로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2)은 주연 플랜지(20)에 의해 한정되고 일정 표면적(S1)을 갖는 하위 면(13)을 포함하고, 바닥부(4)는 일정 표면적(S2)을 갖는 음식물 수용을 위한 평평한 상위 면(32)을 포함하고, 비율(S1/S2)는 0.95를 초과하거나, 또는 0.98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조리 용기는 프라이팬, 냄비, 볶음팬, 전골 냄비 또는 압력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용기(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856364 | 2018-07-11 | ||
FR1856364A FR3083681B1 (fr) | 2018-07-11 | 2018-07-11 | Recipient de cuisson compatible inducti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ameliore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162U KR20200000162U (ko) | 2020-01-21 |
KR200498342Y1 true KR200498342Y1 (ko) | 2024-09-11 |
Family
ID=6383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2756U KR200498342Y1 (ko) | 2018-07-11 | 2019-07-02 | 개선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호환 가능한 조리 용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3593681B1 (ko) |
JP (1) | JP3223636U (ko) |
KR (1) | KR200498342Y1 (ko) |
CN (2) | CN211066120U (ko) |
ES (1) | ES2945467T3 (ko) |
FR (1) | FR30836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83681B1 (fr) * | 2018-07-11 | 2020-07-10 | Seb S.A. | Recipient de cuisson compatible inducti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amelioree |
IT201900009378A1 (it) * | 2019-06-18 | 2020-12-18 | Ballarini Paolo & Figli Spa | Recipiente per la cottura di alimenti con parete di fondo con foratura bilanciata |
WO2021161849A1 (ja) * | 2020-02-13 | 2021-08-19 | 京セラ株式会社 | 加熱用プレー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53317A1 (en) | 2011-05-12 | 2012-11-15 | Tvs S.P.A. | Container for cooking food and method for its realisa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93894B1 (fr) | 1992-07-24 | 1994-09-30 | Seb Sa | Procédé pour modifier les caractéristiques d'une surface de métal. |
FR2915359B1 (fr) * | 2007-04-27 | 2012-08-10 | Seb Sa | Article culinaire a portee peripher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
FR2919484B1 (fr) * | 2007-08-01 | 2014-02-07 | Seb Sa | Article culinaire a fentes allongees anti-deformation. |
US20130161337A1 (en) * | 2011-12-12 | 2013-06-27 | George William Skopis | Insert liners |
FR3004631B1 (fr) * | 2013-04-18 | 2015-09-18 | Seb Sa |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capteur de temperature muni d'un element de fixation |
FR3006161B1 (fr) * | 2013-05-30 | 2015-12-04 | Seb Sa |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munie de moyens d'accroche ameliores |
US10582804B2 (en) * | 2015-06-22 | 2020-03-10 | Adam Chaudry | Cooking apparatus with grease strainer |
FR3083681B1 (fr) * | 2018-07-11 | 2020-07-10 | Seb S.A. | Recipient de cuisson compatible inducti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amelioree |
-
2018
- 2018-07-11 FR FR1856364A patent/FR3083681B1/fr active Active
-
2019
- 2019-07-02 KR KR2020190002756U patent/KR200498342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04 ES ES19184343T patent/ES2945467T3/es active Active
- 2019-07-04 EP EP19184343.2A patent/EP3593681B1/fr active Active
- 2019-07-09 CN CN201921064142.9U patent/CN211066120U/zh active Active
- 2019-07-09 CN CN201910614976.0A patent/CN110710858A/zh active Pending
- 2019-07-09 JP JP2019002508U patent/JP3223636U/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53317A1 (en) | 2011-05-12 | 2012-11-15 | Tvs S.P.A. | Container for cooking food and method for its realis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93681B1 (fr) | 2023-04-26 |
FR3083681B1 (fr) | 2020-07-10 |
JP3223636U (ja) | 2019-10-24 |
CN110710858A (zh) | 2020-01-21 |
CN211066120U (zh) | 2020-07-24 |
EP3593681A1 (fr) | 2020-01-15 |
KR20200000162U (ko) | 2020-01-21 |
FR3083681A1 (fr) | 2020-01-17 |
ES2945467T3 (es) | 2023-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8342Y1 (ko) | 개선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호환 가능한 조리 용기 | |
EP0259056B1 (en) | Frying pans | |
US5497696A (en) | Cooking vessel with suppressed deformation of the bottom | |
JP3198617U (ja) | 加熱用の容器 | |
JP2010099140A (ja) | 調理・湯沸かし器具 | |
KR101667013B1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KR200476624Y1 (ko) | 조리용기 | |
US4797521A (en) | Microwave oven cookware pedestal | |
EP2064975B1 (en) | Liquid heating vessels | |
CN209770021U (zh) | 聚油底锅具 | |
KR20080075364A (ko) | 생선구이용 내부 투시 프라이팬 | |
JP3175693B2 (ja) | 電気調理器 | |
US5079408A (en) | Drip pan | |
US9854940B2 (en) | Batter-dipping pan holder for commercial fryer | |
CN220308932U (zh) | 烹饪器具 | |
RU2102914C1 (ru) | Емкост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 устранением деформации днища | |
CN218044727U (zh) | 烹饪容器 | |
KR101901762B1 (ko) | 언더 레인지용 불판 | |
US20230346164A1 (en) | Deep Fryer Tank, And Electric Deep Fryer Comprising Such A Tank | |
JP6708672B2 (ja) | コンロ用焼き物プレート | |
CN104207626A (zh) | 包括配备有经改进的钩挂机构的底部板的烹饪容器 | |
JP3733532B2 (ja) | 加熱調理器 | |
KR200232901Y1 (ko) | 열변형 방지를 위한 인덕션용 후라이팬구조 | |
JP2005342416A (ja) | グリル鍋 | |
JP3172825U (ja) | 加熱用調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