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96146Y1 -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46Y1
KR200496146Y1 KR2020210000934U KR20210000934U KR200496146Y1 KR 200496146 Y1 KR200496146 Y1 KR 200496146Y1 KR 2020210000934 U KR2020210000934 U KR 2020210000934U KR 20210000934 U KR20210000934 U KR 20210000934U KR 200496146 Y1 KR200496146 Y1 KR 200496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platform
holder
parts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04U (ko
Inventor
위엔 롱 창
팅 웨이 초우
Original Assignee
혼. 프리시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 프리시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혼. 프리시즌,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0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01L21/68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using optical contro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1Sor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다욱 자세하게는 해당 이동 플랫폼은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자부품 이송장치가 전자부품을 이송시켜 테스트, 열가압 등과 같은 사전 작업을 진행할 때, 전자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하며, 또한 해당 이동 플랫폼은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부품을 회전시키게 되고, 해당 회전부품은 편심축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편심축을 통해 연결부품을 함께 구동시키고, 더 나아가 이동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에 대해 정확한 위치 조준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부동형 기계장치에서 필요한 관련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박형화, 정확한 위치 조절, 부동형 에어백 불필요, 사용 수명 증가 등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Alignment Platform and Electronic Component Transmission Apparatus}
본 고안은 이동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위치 조정을 하는데 사용이 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한다.
전자부품 테스트 분류 설비는 전자부품(예를 들면 솔더 볼과 같은 IC)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분류 설비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개별 단위로 혹은 묶음 단위로 전자부품의 재료판에서 추출하여 테스트 설비로 이송시키고, 테스트 설비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후 분류 설비에서 다시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을 분류, 이송 및 여러 개의 다른 재료판 등과 같은 지정된 위치에 놓아두게 된다.
제작이 완료된 전자부품은 상술된 테스트 분류 작업 외에도 전자부품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위치를 조준하여 설치하거나 열가압 등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이 경우 상술된 테스트 설비는 기타 다른 종류의 작업 설비로 교체가 되어 전자부품에 대해 개별 단위 혹은 묶음 단위로 사전에 설정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면, 테스트 분류 설비와 관련된 특허 내용은 TWI687289호, TWI607223호, TWI649247호, TWI641835호 등이 있으며, 열가압과 관련된 특허 내용은 TWI677774호가 있고, 이러한 특허 내용들이 전자부품에 대해 테스트 분류와 열가압 등과 같은 사전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설비에서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작업을 진행할 때,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예정된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박형화,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전자부품의 위치가 반드시 정확하게 조준이 되어야만 테스트 작업이나 열가압 작업 과정에서 위치 오류로 인해 전자회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자부품의 위치를 정확히 조준하는 것과 관련하여, TWI631651와 TWI543836호에 게시된 내용을 참조해 보면, 부동방식 기계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WI631651호 특허에서는 제1슬라이드 부품과 제2슬라이드 부품을 사용하였고, TWI543836호 특허에서는 에어백과 활동부품을 가이드 기둥과 가이드 홈을 함께 사용하였고, TWI631651호 특허에서는 견인부품과 결합부품을 사용하였고, TWI543836호 특허에서는 연결부와 결합부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전자부품을 부동 방식, 평면 이동 방식, 자동 이동 방식을 통해 전확한 위치까지 조준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된 장치는 전자부품을 정확한 위치까지 조준이 가능하게 하고는 있지만 전자부품의 점점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전자회로와 접합되는 부분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테스트 혹은 열가압 작업을 진행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정격 압력이 끊임없이 상승하고, 장치 내에 포함된 에어백이나 슬라이드 이동장치의 부품, 가이드 기둥 등이 이러한 압력, 슬라이드, 변형 작업 등에 영향을 받아 위치 조준 작업에서 마모되어 사용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전자부품을 위치 조준 장치에 정확히 위치 조준이 가능하고 그 사용 수명을 늘일 수 있는 이동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이동 플랫폼을 제공하고, 해당 이동 플랫폼은 고정대, 이동대, 약간의 구동장치, 약간의 회전부품 및 약간의 연결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그중 해당 구동장치는 해당 고정대에 설치되고, 회전부품은 회전축과 편심축을 갖추고 있고, 해당 구동장치는 해당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해당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해당 편심축이 해당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연결부품는 제1연결부품과 제2연결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1연결부품은 해당 이동대에 연결되며, 해당 이동대가 해당 제1연결부품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제2연결부품은 해당 편심축에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의 연결부품의 제1연결부품은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대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의 구동장치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해당 감속기는 해당 모터와 해당 회전부품 사이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해당 모터가 해당 감속기를 구동시켜 해당 회전부품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중 해당 감속기는 해당 고정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의 이동대는 최소한 하나의 홈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연결부품은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해당 홈구멍에 용치되어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의 이동대는 단면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단면은 해당 고정대에 밀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압력을 받을 때 해당 고정대에 압력을 가해 고정대를 누를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의 이동대는 고정부품과 평면 베어링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이동대는 층계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평면 베어링은 해당 고정부품과 해당 층계부 사이에 끼인 상태로 설치되고, 해당 고정부품은 길이 확장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길이 확장부는 해당 고정대에 고정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 중에서 상술된 이동 플랫폼은 복수 개의 구동장치, 복수 개의 회전부품, 복수 개의 연결부품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구동장치는 각각 해당 고정대에 설치되며, 해당 구동장치는 각각 해당 회전부품과 연결되어 그중 하나의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해당 회전부품들은 각각 해당 연결부품에 연결되어 그중 하나의 연결부품을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되며, 해당 연결부품은 중개 평면를 따라 배열 설치되며, 해당 연결부품들은 해당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받아 해당 중개 평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부품 이송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기판, 보관장치, 운송장치, 홀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기판은 작업구역을 갖추고 있고, 해당 작업구역은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관장치는 해당 기판에 설치되고, 해당 보관장치는 전자부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운송장치는 해당 보관장치와 해당 작업구역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홀더는 해당 작업구역에 위치하며, 해당 홀더는 전자부품의 위치를 유지하여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해당 이동 플랫폼은 해당 기판, 해당 보관장치, 해당 운송장치, 해당 홀더 중 최소한 한 곳에 위치하여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준할 수 있게 해준다.
상술된 장치와 방법으로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을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이동 플랫폼이 전자부품에 대해 정확한 위치 조준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부동형 기계장치에서 필요한 관련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박형화, 정확한 위치 조절, 부동형 에어백 불필요, 사용 수명 증가 등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이 전자부품에 대해 정확한 위치 조준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부동형 기계장치에서 필요한 관련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박형화, 정확한 위치 조절, 부동형 에어백 불필요, 사용 수명 증가 등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도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대를 내려다본 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C-C 단면사시도이다.
도 6~도 8은 본 고안인 이동대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을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을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설치한 또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1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동 플랫폼은 고정대(1), 이동대(2), 3세트의 구동장치(3、3'、3”), 3세트의 회전부품(4, 4', 4”) 3세트의 연결부품(5, 5', 5”), 고정부품(6), 평면 베어링(7)을 포함하고 있다.
그중 고정대(1)는 평면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기타 부품들이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되지만, 기타 장치와 조립이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해당 고정대를 기타 장치의 외형에 맞춰 변경하여 제작하는 것도 무방하다. 고정대(1)는 3개의 용치홈(11, 12, 13)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용치홈은 각각 고정대(1)의 꼭대기면과 바닥면까지 뻗어나와 연결된다.
그중 이동대(2)는 평면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고정대(1)와 평행으로 배열되고, 고정대(1)와 마찬가지로 해당 이동대 역시 기타 장치와 조립이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해당 고정대를 기타 장치의 외형에 맞춰 변경하여 제작하는 것도 무방하다. 해당 이동대(2)의 꼭대기부 단면(21)은 고정대(1)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도1에서 도3까지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이동대(2)는 3개의 홈구멍(22, 23, 24)을 갖추고 있고, 해당 홈구멍은 이동대(2)의 꼭대기부 단면에서 아래를 향해 오목한 형태로 이동대(2)에 설치되며, 이동대(2)는 또한 3개의 길이 확장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길이 확장구멍은 이동대(2)의 바닥 단면에서 위를 향해 오목한 형태로 이동대(2)에 설치되고, 3개의 길이 확장구멍의 형상과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도1~도3의 내용을 참조하여 길이 확장구멍(25, 26)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면,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 확장구멍(25)은 큰지름 구간(251)과 작은지름 구간(252)을 갖추고 있으며, 큰지름 구간(251)은 이동대(2)의 바닥 단면에서 위를 향해 뻗어 나온 형태로 형성되고, 작은지름 구간(252)은 큰지름 구간(251)과 그중 하나의 홈구멍(22)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큰지름 구간(251)과 작은지름 구간(252) 사이에는 층계면(253)이 형성된다. 이동대(2)는 또한 지지구멍(28)을 갖추고 있고, 지지구멍(28)은 제1단(281), 제2단(282), 제3단(283)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단(281)과 제3단(283)은 각각 이동대(2)의 꼭대기부 단면(21)과 바닥부 단면에 오목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제2단(282)은 제1단(281)과 제3단(283) 사이에 연결되며, 제2단(282) 내부 지름은 제1단(281)의 내부 지름보다 크고, 제1단(281)과 제2단(282) 사이에는 층계부(284)가 형성되고, 제3단(283)의 내부 지름은 제2단(282)의 내부 지름보다 크다.
3세트의 구동장치 (3, 3', 3”)는 각각 3개의 회전부품(4, 4', 4”) 중 하나와 연결되고, 3개의 회전부품(4, 4', 4”)은 각각 3개의 연결부품(5, 5', 5”) 중 하나와 연결되며. 그중 구동장치, 회전부품, 연결부품은 3세트로 구성된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사용한다. 여기서 단일 세트의 구동장치, 회전부품, 연결부품을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해 보면, 본 실시예 중에서 3세트의 구동장치, 회전부품, 연결부품은 공동으로 이동대를 구동시켜 x방향, y방향, θ회전각도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해 주지만 만약 이동대에서 단일 축방향의 단일 자유각 이동이나 혹은 단일 축방향 및 회전각도 이동 혹은 두 개의 방향 이동 등과 같은 두 개의 자유각 이동만 필요한 경우에도 구동장치, 회전부품, 연결부품의 수량을 조정 변경하거나 심지어 슬라이드 궤도, 추축 장치를 증설하여 이동대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1, 도4,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구동장치(3)는 모터(31) 감속기(32)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터(31)는 감속기(32)에 연결되고, 감속기(32)는 고정대(1)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대(1)의 용치홈(11) 내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구동장치(3)가 고정대(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되어 위치 조준 플랫폼의 전체적 부피가 축소될 수 있게 된다. 그중 비교적 권장하는 방식은 해당 감속기(32)를 감속 비율(기어 비율)이 비교적 크고 정방향 역방향 백래쉬가 없는 감속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모터(31)는 원가, 효능, 해상도 및 기하학적 외형 등과 같은 필요 조건에 따라 서브 모터 혹은 전자식 모더 혹은 압전 부품으로 구동되는 초음파 모터 들 중에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중 회전부품(4)는 홈구멍(22)에 용치되고, 회전부품(4)은 회전축(41)과 편심축(42)을 갖추고 있으며, 회전축(41)은 감속기(32)에 연결되고 회전축(41)이 뻗어 나온 방향을 축선으로 구분하며, 모터(31)를 통해 감속기(32)가 회전부품(4)을 구동시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회전부품(4)이 축선을 중심으로 고정대(1)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41)과 편심축(42)이 평행으로 위치 교차가 되며, 회전부품(4)이 회전할 때, 편심축(42)도 역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중 연결부품(5)은 홈구멍(22)에 용치되어 홈구멍(2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연결부품(5)은 제1연결부품(51), 제2연결부품(52). 제1연결부품(51)과 제2연결부품(52) 사이에 연결된 연결 암(53)을 포함하고 있고, 제1연결부품(51)은 아래를 향해 뻗어 나온 축간으로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대(2)에 연결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자면, 연결부품(5)은 베어링(54)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링(54)은 이동대(2)에 삽입 설치되며 길이 확장구멍(25)의 큰지름 구간(25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제1연결부품(51)은 홈구멍(22)으로부터 아래로 뻗어 나와 작은지름 구간(252)을 관통하여 베어링(54) 내에 삽입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1연결부품이 이동대(2)와 대응하여 추축 흔들림 작용을 하고, 제2연결부품(52)은 축구멍을 갖추고 있고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편심축(42)에 연결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자면, 연결부품(5)은 베어링(55)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링(55)은 제2연결부품(52)에 삽입 설치되며 제2연결부품(52)의 축구멍 내에 위치하게 된다. 편심축(42)은 베어링(55) 내에 삽입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제2연결부품(52)이 회전부품과 대응하여 추축 흔들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 내에서는 제1연결부품(51)은 막대 형태이며, 이동대(2)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길이 확장구멍을 갖추고 있고, 제2연결부품(52)은 축구멍을 갖추고 있고, 편심축(42)은 막태 형태로 구성된다. 만약 제1연결부품에 축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이동대에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축막대를 형성하거나 혹은 제2연결부품이 막대 형태일 경우 편심축에 이와 대응되는 축구멍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어서 베어링(54, 55)은 볼 베어링이며, 기타 다른 형태의 베어링을 사용하거나 혹은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1과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각각의 연결부품(5, 5', 5”)은 각각 감속기와 이동대(2) 사이에 연결되며, 이동대의 홈구멍 내에 용치된다. 이를 측면에서 관찰해 보면, 연결부품(5, 5', 5”)이 중개 평면을 따리 배열되어 있으며, 이동 혹은 흔들리게 될 때 중개 평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흔들리게 되고, 중개 평면과 고정대(1) 및 이동대(2)는 평행을 이루고, 회전축(41), 편심축(42) 및 제1연결부품(51)과는 수직을 이룬다.
그중 고정부품(6)은 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지름이 비교적 큰 헤드부(61) 및 외부 지름이 비교적 작은 길이 확장부(62)를 포함하며, 그중 길이 확장부(62)는 나사산을 갖추고 있고 헤드부(61)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 나온 형태로 구성된다.
그중 평면 베어링(7)은 천공을 갖추고 있고, 평면 베어링은 지지구멍의 제2단(282) 내에 용치되며, 고정부품(6)이 평면 베어링(7)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평면 베어링(7)은 층계부(284)와 헤드부(61) 사이를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고정부품의 길이 확장부(62)는 더 나아가 평면 베어링(7)의 천공을 통과하여 위를 향해 나사 조임등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대(2)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비교적 권장하는 방식은 평면 베어링(7) 옆 테두리가 제2단(28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며, 평면 베어링(7)의 세로 길이가 제2단(282)의 길이보다 길며, 이를 통해 평면 베어링(7)의 국부가 돌출되어 나와 제3단(283) 내에 용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6~도8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상술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해 보자면, 3세트의 구동장치(3, 3', 3”)가 각자 3개의 회전부품(4, 4', 4”)을 구동시켜 그중 하나를 회전시키게 되고, 더 나아가 3개의 연결부품(5, 5', 5”)을 구동시켜 그중 하나를 이동시키게 되며, 3개의 연결부품(5, 5', 5”)은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대(2)에 설치되어 추축 흔들림 작업을 하면서 이동대를 구동시켜 이동시키게 되며, 그 결과 이동대(2)가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x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혹은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y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혹은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만 하고 이동은 하지 않게 되어 이동대를 평면 내에서 임의대로 이동 및 회전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에 이어서,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은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홀더, 운송장치, 보관장치 중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9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전자부품 이송장치, 즉 전자부품 테스트 분류 설비 중의 분류기 등과 같은 장치의 경우, 해당 장치는 기판(81), 보관장치, 운송장치, 홀더(84)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부품 작업장치(85)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 테스트 분류 설비 중의 테스트기의 경우 전자부품의 분류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는데 사용하게 되며, 그중 기판(81)은 작업구역(811)을 포함하고, 해당 작업구역에 전자부품이 놓여지게 되는데,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85)가 바로 해당 작업구역(811)의 상측 혹은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전자부품 작업장치(85)가 작업구역(811) 내에서 전자부품에 대해 전자성능 테스트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보관장치는 기판(81)에 설치되며, 재료 주입 장치(821)와 재료 송출 장치(822)를 포함하고 있고, 이곳에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과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91, 92) 혹은 전자부품의 재료판(93)을 이곳에 보관할 수 있다. 운송장치는 재료 주입 암(831), 재료 주입 운반대(832), 재료 송출 운반대(833)와 재료 송출 암(834)을 포함하고 있으며, 재료 주입 암(831)은 재료 주입 장치(821)에서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91)을 추출하여 재료 주입 운반대(832)로 이동시켜 놓게 되며, 재료 주입 운반대(832)는 전자부품을 싣고 작업구역(811) 옆 쪽으로 운반하게 되며 이어서 홀더(84)를 통해 전자부품을 집은 후 작업구역으로 이동시켜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사전 설정된 작업을 완료한 후, 홀더(84)가 다시 작업구역(811) 옆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재료 송출 운반대(833)가 작업구역(811)의 옆 쪽에서 홀더(84)로부터 전자부품을 인수받아 해당 전자부품을 작업구역(811)에서 벗어나게 한다. 재료 송출 암(834)은 재료 송출 운반대에서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사전 설정된 작업 결과에 따라 이미 작업을 완료한 전자부품(92)을 재료 송출 장치(822) 중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상술된 장치 중에서 이동 플랫폼은 홀더(84) 내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와 도10을 참조해 보면, 우선 고정대(1) 혹은 구동장치(3)를 통해 이동 플랫폼을 가로 이동 혹은 세로 이동 레일에 설치하고, 다시 이동대(2) 상측에 받침대(841)를 설치하며, 받침대(841) 하측에 전자부품을 추출하거나 전자부품에 압력을 가하는데 사용되는 지그(842)를 설치하여 홀더에서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작업구역으로 이동시킨 후, 홀더 혹은 그 주위에 설치된 센서 혹은 렌즈를 통해 전자부품의 위치를 관측하게 되고, 다시 이동 플랫폼을 통해 이동대를 구동시켜 이동시키게 되며, 그 결과 받침대(841)와 지그(842) 하측의 전자부품이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전자부품을 정확한 위치까지 조준하여 이동시킨 후, 다시 전자부품을 아래로 하강시켜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놓고 압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이동 플랫폼 또한 재료 주입 운반대(832) 내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9와 도11을 참조해 보면, 이동 플랫폼을 상하로 뒤집어 이동대(2)를 고정대(1) 상측에 위치시키게 되고, 고정대(1) 혹은 구동장치(3)를 통해 이동 플랫폼을 가로 이동 레일에 설치하고, 이어서 이동대(2) 상측에 받침대 및 /혹은 전자부품을 탑재할 때 사용된 지그(835)를 설치하여 홀더(84)에서 재료 주입 운반대(832)로부터 전자부품을 추출하기 전에 재료 주입 운반대 혹은 그 주위에 설치된 센서 혹은 렌즈를 통해 전자부품의 위치를 관측하게 되고, 전자부품을 정확한 위치까지 조준하여 이동시킨 후, 홀더(84)에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진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사전에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 이외에도, 재료 주입 장치(821)와 재료 주입 암(831) 역시 전자부품을 보관하거나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플랫폼을 재료 주입 장치 혹은 재료 주입 암에 설치하여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전자부품에 대해 위치 조준 작업을 진행해도 무방하다.
상술된 실시예 중에서 연결부품의 제1연결부품과 제2연결부품 사이는 강성 연결암을 사용할 수 있고, 제1연결부품은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기타 실현 가능한 실시예 내에서는 연결 암을 판체형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변형 능력을 갖춘 부품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제1연결부품을 이동대에 흔들림이 없이 고정하여 설치한 후, 연결 암의 탄성 변형 능력을 이용하여 이동대를 이동시켜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도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사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 중에서 회전부품는 구동장치의 감속기에 연결되며, 구동장치 내의 모터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타 실현 가능한 실시예 내에서는 회전부품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대에 설치할 수 있고, 압전 부품, 초음파모터 혹은 모터 벨트기어 등과 같은 기타 다른 형태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회전부품을 회전시켜도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작업장치로 운송하여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에 설정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가 한 쪽으로 치우쳐서 전자회로 접점 연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된 이동 플랫폼 중의 감속기가 고정대에 삽입 설치되고, 회전부품과 연결부품이 이동대의 홈구멍 내에 용치되기 때문에 이동 플랫폼의 전체적인 외관이 모터, 이동대와 고정대로만 구성되며, 그 결과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켜 박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계 설계와 조립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 플랫폼이 모터, 감속기, 회전부품, 연결부품을 이용해 이동대를 구동시켜 이동시키기 때문에, 모터의 해상도, 감속기의 감속비율, 회전부품 편심축의 편심거리, 연결부품의 길이 등과 함께 사용되어 수 센티미터부터 수십 센티미터까지의 각 등급별 이동대에서 마이크론급 혹은 나노미터급 해상도를 제공하여 정확한 위치 조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가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눌러 지지하게 되고, 센서 혹은 렌즈를 통해 우선 전자부품의 위치를 관측한 후, 이동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의 정확한 위치 조준하게 되기 때문에 부동방식의 기계 장치에서 필요했던 슬라이드 부품, 에어백, 가이드 기둥, 가이드 홈 등과 같은 부품이 필요 없게 되며, 그 결과 설비 단가가 낮아지게 되고, 에어백과 같은 부위의 마모로 인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 보수 단가, 인력 단가, 설비 교체율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이동 플랫폼 중의 이동대는 꼭대기부 단면이 고정대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만약 수직 방향에서 비교적 큰 외부 압력을 받게 되는 경우 이동대의 꼭대기부 단면이 고정대에 직접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과도한 외부 압력이 회전부품, 연결부품, 평면 베어링 등의 내부 부품에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내부 부품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 플랫폼이 홀더에 설치되었을 때, 세로 방향으로 홀더가 아래를 향해 전자부품을 눌러 주기 때문에 이동대의 각 부품의 사용 수명에는 영향이 없게 되며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 수명 증가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인 이동 플랫폼은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준하는 작업에 응용이 가능하며, 소형화와 박형화, 고정밀도 등의 특징을 갖추고 있어 미리 설정된 작업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부동방식 기계장치에 관련된 부품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반복적인 가압 환경 하에서도 뛰어난 사용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비 및 제조 관련업자들이 희망하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고정대1
용치홈11, 12, 13
이동대2
단면21
홈구멍22, 23, 24
길이 확장구멍25
큰지름 구간251
작은지름 구간252
층계면253
길이 확장구멍26
큰지름 구간261
작은지름 구간262
층계면263
지지구멍28
제1단281
제2단282
제3단283
층계부284
구동장치3, 3', 3”
모터31
감속기32
회전부품4, 4', 4”
회전축41
편심축42
연결부품5, 5', 5”
제1연결부품51
제2연결부품52
연결 암53
베어링54
베어링55
고정부품6
헤드부61
길이 확장부62
평면 베어링7
기판81
작업구역811
재료 주입 장치821
재료 송출 장치822
재료 주입 암831
재료 주입 운반대832
재료 송출 운반대833
재료 송출 암834
지그835
홀더84
지그842
전자부품 작업장치85
전자부품91, 92
재료판93

Claims (10)

  1. 이동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이동 플랫폼은
    고정대;
    이동대;
    최소한 하나의 회전부품, 해당 회전부품은 축선을 중심으로 고정대와 서로 대응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해당 회전부품은 편심축을 갖추고 있고;
    최소한 하나의 구동장치, 해당 구동장치는 해당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편심축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주고;
    최소한 하나의 연결부품, 해당 연결부품은 제1연결부품과 제2연결부품을 갖추고 있고, 해당 제1연결부품은 해당 이동대에 연결되어 해당 이동대가 해당 제1연결부품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제2연결부품은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상태로 편심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연결부품의 제1연결부품은 추축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해당 이동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구동장치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감속기는 해당 모터와 회전부품 사이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해당 모터가 해당 감속기를 통해 해당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4. 제3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감속기는 해당 고정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이동대는 최소한 하나의 홈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연결부품이 이동 가능한 형태로 해당 홈구멍에 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6. 제1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이동대는 단면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단면은 해당 고정대에 밀착 설치되어 압력을 받을 때 고정대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7. 제1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이동대는 더 나아가 고정부품과 평면 베어링을 포함하며, 해당 이동대는 층계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평면 베어링은 해당 고정부품과 해당 층계부 사이에 끼인 상태로 설치되고, 해당 고정부품은 길이 확장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길이 확장부는 해당 고정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8. 제1항~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중 해당 이동 플랫폼은 복수 개의 구동장치, 복수 개의 회전부품, 복수 개의 연결부품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구동장치는 각각 해당 고정대에 설치되며, 해당 구동장치는 각각 해당 회전부품과 연결되어 그중 하나의 회전부품을 구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해당 회전부품들은 각각 해당 연결부품에 연결되어 그중 하나의 연결부품을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되며, 해당 연결부품은 중개 평면를 따라 배열 설치되며, 해당 연결부품들은 해당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받아 해당 중개 평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플랫폼
  9. 전자부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항~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서술된 이동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기판, 보관장치, 운송장치, 홀더를 포함하며,
    그중 해당 기판은 작업구역을 갖추고 있고, 해당 작업구역은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해당 보관장치는 해당 기판에 설치되고, 해당 보관장치는 전자부품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운송장치는 해당 보관장치와 해당 작업구역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홀더는 해당 작업구역에 위치하며, 해당 홀더는 전자부품의 위치를 유지하여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해당 이동 플랫폼은 해당 기판, 해당 보관장치, 해당 운송장치, 해당 홀더 중 최소한 한 곳에 위치하여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10. 전자부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8항에 서술된 이동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기판, 보관장치, 운송장치, 홀더를 포함하며,
    그중 해당 기판은 작업구역을 갖추고 있고, 해당 작업구역은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해당 보관장치는 해당 기판에 설치되고, 해당 보관장치는 전자부품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운송장치는 해당 기판에 설치되고 보관장치와 해당 작업구역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홀더는 해당 작업구역에 위치하며, 해당 홀더는 전자부품의 위치를 유지하여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가 전자부품에 대해 사전 설정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해당 이동 플랫폼은 해당 보관장치, 해당 운송장치, 해당 홀더 중 최소한 한 곳에 위치하여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KR2020210000934U 2020-08-07 2021-03-25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 KR2004961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26930 2020-08-07
TW109126930A TWI766335B (zh) 2020-08-07 2020-08-07 移動平台及電子元件移送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04U KR20220000404U (ko) 2022-02-15
KR200496146Y1 true KR200496146Y1 (ko) 2022-11-11

Family

ID=8011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34U KR200496146Y1 (ko) 2020-08-07 2021-03-25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131935B2 (ko)
KR (1) KR200496146Y1 (ko)
TW (1) TWI76633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4473A1 (en) 2010-03-05 2011-09-08 Hinterkopf Gmbh Forming Device
JP2011245533A (ja) 2010-05-28 2011-12-08 Aida Engineering Ltd 複数モータ駆動のサーボプレス装置
JP2013197559A (ja) 2012-03-23 2013-09-30 Topcon Corp アライメントステー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934B2 (ja) * 1995-12-15 2006-11-29 アマダ・エムエフジー・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ラム昇降駆動装置及びプレス機械
DE602005020330D1 (de) * 2004-09-22 2010-05-12 Hallys Corp Übertragungsvorrichtung
TWM376556U (en) * 2009-07-06 2010-03-21 Mjc Probe Inc Parts delivery apparatus
TWI456213B (zh) * 2013-01-18 2014-10-11 Hon Tech Inc 電子元件作業單元、作業方法及其應用之作業設備
TWI543836B (zh) 2013-02-07 2016-08-01 Hon Tech Inc Material handling equipmen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TWM471672U (zh) * 2013-06-19 2014-02-01 Wecon Automation Corp 晶片移載裝置
KR102041182B1 (ko) * 2013-08-13 2019-11-06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 방법
TWI548823B (zh) * 2015-04-14 2016-09-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減速機
TWI607223B (zh) 2017-03-24 2017-12-01 Press-measuring mechanism for stacked package electronic components and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application thereof
TWI649247B (zh) 2017-04-21 2019-02-0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device and its operation classification device
TWI641835B (zh) 2017-04-21 2018-11-2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CN207001571U (zh) * 2017-07-18 2018-02-13 浙江乐佳机电有限公司 一种绣花机高速驱动框架的小车与轨道结构
TWI631651B (zh) * 2017-10-20 2018-08-0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具承置單元之輸送裝置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KR101980849B1 (ko) * 2017-10-30 2019-05-21 세메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셀들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TWI677774B (zh) 2018-12-03 2019-11-2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移料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JP6719784B2 (ja) * 2018-12-21 2020-07-08 株式会社 Synax ハンドラ
CN209618242U (zh) * 2019-01-17 2019-11-12 昆山艾派科技有限公司 自动排选机
TWI687289B (zh) 2019-02-01 2020-03-1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壓接裝置及包含該電子元件壓接裝置之測試分類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4473A1 (en) 2010-03-05 2011-09-08 Hinterkopf Gmbh Forming Device
JP2011245533A (ja) 2010-05-28 2011-12-08 Aida Engineering Ltd 複数モータ駆動のサーボプレス装置
JP2013197559A (ja) 2012-03-23 2013-09-30 Topcon Corp アライメントステ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4954A1 (en) 2022-02-10
TWI766335B (zh) 2022-06-01
KR20220000404U (ko) 2022-02-15
US12131935B2 (en) 2024-10-29
TW202206359A (zh)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7043B2 (ja) ワークの複数箇所を押圧するワーク固定装置
KR100795493B1 (ko) 전자 부품용 콘택터 및 콘택트 방법
US10497590B2 (en)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unit
JPWO2007055339A1 (ja) 三次元位置決めテーブル
CN109283454B (zh) 全自动pcb板电测机
CN115484812A (zh) 一种三维基板自动贴片方法和装置
CN109116057A (zh) 探针台
KR200496146Y1 (ko) 이동 플랫폼과 전자부품 이송장치
TWI715515B (zh) 載具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JP2015229211A (ja) ワークの自動芯出し装置及び自動芯出し方法
CN215180394U (zh) 晶圆测试运动平台及包括该平台的探针台
JP3233011B2 (ja) 基板の位置決め装置
JP6551576B2 (ja) ワークの自動芯出し装置及び自動芯出し方法、並びに、検査又は測定装置及び検査又は測定方法
US64907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supplying electrical component
TWI779822B (zh) 轉位裝置及作業機
CN216218571U (zh) 一种适用多种基材膜片的贴片机
CN1300835C (zh) 一种四自由度倒装键合头
CN109787507B (zh) 压电驱动装置、电子元件输送装置以及机器人
CN208629471U (zh) 一种浮动定位模块
CN2747708Y (zh) 一种四自由度倒装键合头
JP3400735B2 (ja) 傾き調整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装置
CN114229440A (zh) 移动平台及电子元件移送装置
JP3725672B2 (ja) 移動テーブル
KR100808937B1 (ko) 칩 온 글래스 본딩장치
CN215297455U (zh) 电路板检测机的旋转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