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94307Y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07Y1
KR200494307Y1 KR2020200001383U KR20200001383U KR200494307Y1 KR 200494307 Y1 KR200494307 Y1 KR 200494307Y1 KR 2020200001383 U KR2020200001383 U KR 2020200001383U KR 20200001383 U KR20200001383 U KR 20200001383U KR 200494307 Y1 KR200494307 Y1 KR 200494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flange
extension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열
문중목
남승규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0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체의 램프 수용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체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연장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AL}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플랜지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램프를 구비한다.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조등은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미등은 야간 주행 시 뒤 차량에게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이고, 브레이크등은 역시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어 뒤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조명등이다. 전조등은 백색 가시광을 조사하며, 후미등 및 브레이크등은 적색 광을 조사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에는 차량 후미 양쪽의 트렁크 룸 부근에 설치되는 부품 어셈블리로서 플랜지를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는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플랜지는 램프의 하우징에만 부착되어 있어 차체와 램프와 플랜지 결합시, 홀이 형성되고, 이 홀을 통해 이물질이 차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7096호 (2011.08.02. 공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는 플랜지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체의 램프 수용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체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연장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 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차체에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지되어 상기 구멍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노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서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부러진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커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플랜지는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H)을 막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어 이물질이 구멍을 통해 차체 내부로 침투되는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연장부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구부러지고, 차체에 연장부의 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지되어 효율적으로 구멍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폐쇄 부재(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플랜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램프 수용부(A)에서 이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플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폐쇄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플랜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용 램프(3)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는 차량 차체(1)에 형성된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램프(3)는 차량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램프(3)는 차체(1)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폐쇄 부재(2) 및 차체(1) 중 폐쇄 부재(2)가 형성된 부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 부재(2) 및 ?쇄 부재 부근에 모두 차량용 램프(3)가 구비될 경우, 차량용 램프(3)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플랜지(100)는 복수의 램프 유닛(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폐쇄 부재(2)는 트렁크 문, 본 네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해보면, 차량용 램프(3)는 다시 램프 유닛(10)과 플랜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 유닛(10)은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로 광원부, 렌즈부(12), 하우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방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3)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할 때의 위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3)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실제로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광원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원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3)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부(12)는 광원부 전방에 위치하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투과되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부(14)는 광원부를 수용하고, 렌즈부(12)에 결합되어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은 하우징부(14)에 의해 전방으로 가이드되어 렌즈부(12)를 투과할 수 있다.
플랜지(100)는 램프 유닛(10)의 하우징부(14)에 구비되어 하우징부(14)가 위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록, 하우징부(14)가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되도록 형성되지만, 차량의 설계 및 램프 유닛(10)의 형상에 따라 하우징부(14)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부(14)의 외면은 램프 수용부(A)에 연결되기 위하여 여러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부(14)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차량의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100)는 램프 유닛(10)의 하우징부(14)에 구비되어 하우징부(1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의 플랜지(100)는 차체(1)에 포함된 폐쇄 부재(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플랜지(100)는 폐쇄 부재(2)가 개방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노출되는 하우징부(14)를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00)는 하우징부(14)에 부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에서 연장 형성되어 램프 유닛(10)이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H)을 막는 연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20)는 구멍(H)을 막기 위해 구멍(H)에 연장부(120)의 일부이 삽입될 수 있다.
비록, 도면상에는 플랜지(100)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4)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만약, 연장부(120)가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100)가 몸체(110)로만 형성되거나 없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유닛(10)이 램프 수용부(A)에 장착됨에 따라 램프 유닛(10)의 형상, 차체(1)의 형상, 플랜지(100)의 형상에 의해 램프 유닛(10)과 차체(1)와 플랜지(100) 사이에 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폐쇄 부재(2)를 개방 위치로 이동할 경우, 구멍(H)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차량의 심미감을 저하시키고, 구멍(H)을 통해 이물질이 차체(1)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랜지(100)는 몸체(110)와 연장부(120)를 포함함에 따라 구멍(H)을 막을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심미감을 높이고 구멍(H)을 통해 차체(1)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플랜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램프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랜지(1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토프렌(Santoprene)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플랜지(100)를 고무 재질로 형성한 이유는 연장부(120)의 탄성력을 통해 구멍(H)을 막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해보면, 램프 유닛(10)을 램프 수용부(A)에 장착 시, 연장부(120)는 몸체(110)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차체(1)에 연장부(120)의 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지되어 구멍(H)을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는 구멍(H)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0)의 일부는 구멍(H)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0)가 몸체(110) 방향으로 잘 구부러지도록 몸체(110)와 연장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칭(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0)가 구부러질 경우, 몸체(110)가 하우징부(14)에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몸체(110)를 하우징부(14)에 부착시킬 때 몸체(110)에서 하우징부(14)를 마주보는 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3)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연장부(120)를 구멍(H)으로부터 이탈시켜 연장부(120)의 단부를 차체(1)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120)는 탄성력 및 후술할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후,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유닛(10)을 램프 수용부(A)에서 이탈시킴에 따라 차량용 램프(3)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해보면, 몸체(110)는 다시 제1 몸체(112), 제2 몸체(114) 및 지지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2)는 연장부(120)와 연결되고, 하우징부(14)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14)는 제1 몸체(112)에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부(14)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6)는 제2 몸체(114)에서 연장부(1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부러진 연장부(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접착층은 제1 몸체(112) 및 제2 몸체(114)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가 몸체(110) 방향으로 과도하게 구부러지면 플랜지(100)가 파손되거나 연장부(120)가 원 상태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16)는 연장부(120)가 어느 정도 몸체(110) 방향으로 구부러질 경우, 연장부(120)에 접촉되어 연장부(120)가 몸체(110) 방향으로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해함에 따라 연장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6)는 연장부(120)가 구멍(H)에 위치할 경우, 연장부(120)의 단부가 차체(1)에 밀착되도록 연장부(120)에 접촉되어 연장부(120)가 효율적으로 구멍(H)을 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연장부(120)가 구부러질 경우, 지지부(116)도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구멍(H)을 효율적으로 연장부(120)로 막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20)의 일정부분이 구멍(H)에 삽입되고, 차체(1)에 연장부(120)의 단부가 접촉되어 고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의 일부가 구멍(H)에 삽입되기 위해 구부러질 경우, 구조상 지지부(116)도 효율적으로 구부러져야 함으로 지지부(116)는 연장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6)에는 커팅(140)이 형성되어 연장부가 구부러질 경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효율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114)에는 차체(1)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100)는 하우징부(14) 및 차체(1)에 모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체
2: 폐쇄 부재
3: 차량용 램프
10: 램프 유닛
12: 렌즈부
14: 하우징부
100: 플랜지
110: 몸체
112: 제1 몸체
114: 제2 몸체
116: 지지부
120: 연장부
130: 노칭
140: 커팅
150: 채결부

Claims (10)

  1. 차체의 램프 수용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체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연장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노칭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 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차체에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지되어 상기 구멍을 막는 차량용 램프.
  4. 삭제
  5. 차체의 램프 수용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체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연장부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시킬 때 상기 몸체에서 상기 하우징부를 마주보는 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차체의 램프 수용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의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체에 포함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램프 수용부에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연장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서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부러진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커팅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차량용 램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결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2020200001383U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램프 Active KR200494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83U KR200494307Y1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83U KR200494307Y1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07Y1 true KR200494307Y1 (ko) 2021-09-10

Family

ID=7778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83U Active KR200494307Y1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09B1 (ko) * 1995-12-28 1998-04-30 김태구 자동차의 범퍼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마운팅 구조
KR20110087096A (ko) 2010-01-25 2011-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리어 콤비 램프의 체결구조
KR20180064664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09B1 (ko) * 1995-12-28 1998-04-30 김태구 자동차의 범퍼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마운팅 구조
KR20110087096A (ko) 2010-01-25 2011-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리어 콤비 램프의 체결구조
KR20180064664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9318A1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KR20210107344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KR102724567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70865A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KR102778389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319Y1 (ko) 차량용 램프
KR101863787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2941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60115388A (ko) 차량용 램프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615546B1 (ko) 차량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KR20160011936A (ko) 차량용 램프
KR20200071473A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89B1 (ko) 차량용 램프
KR102725595B1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0483557Y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1B1 (ko) 차량용 램프
JP2018067502A (ja) 車両用灯具
KR20230057707A (ko) 차량용 램프
US10174899B2 (en) Aspherical lens module for a head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4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106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9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