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39Y1 -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 Google Patents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939Y1 KR200481939Y1 KR2020140009532U KR20140009532U KR200481939Y1 KR 200481939 Y1 KR200481939 Y1 KR 200481939Y1 KR 2020140009532 U KR2020140009532 U KR 2020140009532U KR 20140009532 U KR20140009532 U KR 20140009532U KR 200481939 Y1 KR200481939 Y1 KR 2004819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ealing cover
- container
- foam layer
- fo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서 박리시 파손되지 않고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실링커버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맞닿는 실링층과, 상기 실링층 위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위에 배치되는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의 상측에 배치되는 폼층과, 상기 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층을 포함하고,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은 1축연신필름이며,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의 배향방향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서 박리시 파손되지 않고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실링커버에 관한 것이다.
광구(廣口)를 가지는 식품용기는 유리 또는 PE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기의 재질로써 PET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개구부를 실링하는 실링커버는 여러 층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밀폐성을 위해 용기의 개구부에 대하여 강하게 열봉합(heat seal)로 접착되어 있다.
도 8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PET 재질의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8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실링커버는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우며, 특히 일부분이 인열(引裂)되기 시작하면 이것이 전파되면서 용기의 개구부에 실링커버가 지저분한 형태로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상태로 용기 내의 식품을 취식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잔존한 실링커버에 음식물이 닿아서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서 박리시 파손되지 않고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실링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에 맞닿는 실링층과, 상기 실링층 위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위에 배치되는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의 상측에 배치되는 폼층과, 상기 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층을 포함하고,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은 1축연신필름이며,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의 배향방향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이다.
또,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의 배향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폼층에는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폼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보강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층에는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폼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보강망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통하여, 실링커버가 용기로부터 깨끗하게 개봉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서 소비자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커버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로부터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키고,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키고,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커버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로부터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실링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키고,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커버를 용기에 부착시키고, 실링커버를 개봉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링커버를 지시한다. 상기 실링커버(10)는 5개의 필름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1)에 맞닿는 실링층(12)과, 상기 실링층(12) 위에 배치되는 접착층(14)과, 상기 접착층(14)의 위에 배치되는 알루미늄층(16)과, 상기 알루미늄층(16)의 상측에 배치되는 폼층(18)과, 상기 폼층(18)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층(12)은 접합이 용기(1)와 접합이 용이하도록 용기(1)와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PET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PET 필름을 사용한다.
상기 접착층(14)은 상기 알루미늄층(16)과 상기 실링층(12)을 서로 접착시키는 기능을 하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알루미늄층(16)은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호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폼층(18)은 발포시킨 폴리올레핀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10)를 용기(1)에 실링을 할 때, 상기 표층(20)으로 전달되는 압력과 열에 실링이 된다. 이 때 상기 폼층(18)은, 쿠션 역할을 하여, 상기 실링층(12)에 압력과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실링커버(10)에서 상기 폼층(18)이 찢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커버(10)의 개봉이 실패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의 배열방향을 일치시킨다. 이 때,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은 1축연신된 상태이다. 도 1에서 표층(20)과 폼층(18)에 표시된 줄무늬는 1축연신을 의미한다. 여기서, 1축연신이란 원형 또는 T다이(T-die)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필름을 연신처리하여 중합체를 일축방향으로 배향시킨 필름을 말한다.
이 결과,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은 인열 방향이 일치하게 되므로, 1축 배향 필름이 배향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22,24)의 방향과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의 배향방향을 평행하게 일치시키는 것에 사용자가 실링커버(20)를 개봉하는 방향을 항상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의 배향방향이 된다.
상기 손잡이(22,24)를 대신하여 상기 표층(20)에 개봉방향을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깨끗하게 실링커버(10)가 용기(1)로부터 개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실링커버(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링커버(3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실링커버(10)와 동일하지만, 알루미늄층(16)와 폼층(18)의 사이에 보강층(32)이 배치된다. 상기 보강층(32)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32)은 상기 폼층(18)의 접착부위가 찢어지지 않고 유지하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PET와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층(32) 역시 상기 표층(20)과 상기 폼층(18)의 배향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상기 폼층(18)은 표층(20)과 보강층(32)의 상호작용으로 용기(1)로부터 박리될 때 인열되지 않고 개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실링커버(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링커버(4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실링커버(10)와 동일하지만, 폼층(42)의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폼층(42)의 면적이 실시예 1의 실링커버(10)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커버(40)를 개봉하면서 상기 폼층(42)이 인열될 가능성이 줄게 되고, 부분적으로 인열이 발생해도 관통구 측으로 그 인열이 전파되지 못하고, 접착된 부위인 용기(1)의 개구부 측으로 전파되므로 개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실링커버(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링커버(5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2의 실링커버(30)를 보완한 것으로, 보강층(32)을 대신하여 보강망(52)을 삽입한다. 상기 보강망(52)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스크린이다. 따라서, 상기 실링커버(50)를 개봉하면서 상기 폼층(42)은 상기 보강망(52)에 붙잡혀서 인열될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줄게 되고, 부분적으로 인열이 발생해도 상기 보강망(52)의 직물구조에 의해 그 인열이 전파되지 못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실링커버(50)는 용기(1)에 대하여 확실하고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용기
10,30,40,50: 실링커버
12: 실링층
14: 접착층
16: 알루미늄층
18: 폼층
20: 표층
32: 보강층
52: 보강망
10,30,40,50: 실링커버
12: 실링층
14: 접착층
16: 알루미늄층
18: 폼층
20: 표층
32: 보강층
52: 보강망
Claims (6)
- 용기에 맞닿는 실링층과, 상기 실링층 위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위에 배치되는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의 상측에 배치되는 폼층과, 상기 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층을 포함하고,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은 1축연신필름이며,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의 배향방향은 일치하며, 상기 폼층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과 상기 표층의 배향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보강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보강망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32U KR200481939Y1 (ko) | 2014-12-24 | 2014-12-24 |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32U KR200481939Y1 (ko) | 2014-12-24 | 2014-12-24 |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309U KR20160002309U (ko) | 2016-07-04 |
KR200481939Y1 true KR200481939Y1 (ko) | 2016-11-29 |
Family
ID=5649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532U KR200481939Y1 (ko) | 2014-12-24 | 2014-12-24 |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939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63010A (ja) * | 2003-07-25 | 2009-11-12 | Kagawa Atsuko |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8490A (ja) * | 1991-09-12 | 1993-03-23 |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 即席食品の調理方法 |
KR200396261Y1 (ko) | 2005-07-01 | 2005-09-20 | 안종원 | 일회용 밀폐용기의 개봉 유도 구조 |
-
2014
- 2014-12-24 KR KR2020140009532U patent/KR20048193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63010A (ja) * | 2003-07-25 | 2009-11-12 | Kagawa Atsuko |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309U (ko) | 2016-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35677B2 (ja) | 包装体 | |
JP4031515B1 (ja) | 密封容器 | |
US8740000B2 (en) | Opening device for liquid food container and liquid food container | |
JP2000177747A (ja) | 合成樹脂製袋の縁構造 | |
JP2012245990A (ja) | 包装袋 | |
US20140361013A1 (en) | Tear-open bag and three-layer coextrusion film for making the bag | |
JP2017501091A5 (ko) | ||
TW200823109A (en) | Packaging container,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ackaging container | |
US9555932B2 (en) | Plastic liner bag with drawstring | |
JP5183974B2 (ja) | 包装袋 | |
JP6044048B2 (ja) | 再密封が可能なブリスター包装容器 | |
KR200481939Y1 (ko) |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 |
KR20230154657A (ko) | 손잡이와 밀폐수단이 구비된 보온보냉 포장파우치 | |
JP2014218300A (ja) | 四面立体状包装体及び四面立体状包装方法 | |
JPH0929898A (ja) | ふた材 | |
JP2017171320A (ja) | 収納容器 | |
JP2010023846A (ja) | 注出口付き袋 | |
JP2004359293A (ja) | 易開封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534547B2 (ja) | 食品容器 | |
JP2014104977A (ja) | 部分開口用蓋 | |
JP2001139070A (ja) | 絞り出し具および絞り出し具付きパウチ | |
JP2012206735A (ja) | 包装容器 | |
JP2012206734A (ja) | 包装容器 | |
JP5103437B2 (ja) | ジッパー付き包装袋 | |
JPS632334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