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80058Y1 - 전선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선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58Y1
KR200480058Y1 KR2020140009285U KR20140009285U KR200480058Y1 KR 200480058 Y1 KR200480058 Y1 KR 200480058Y1 KR 2020140009285 U KR2020140009285 U KR 2020140009285U KR 20140009285 U KR20140009285 U KR 20140009285U KR 200480058 Y1 KR200480058 Y1 KR 200480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body
flow
coupled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혁
Original Assignee
우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혁 filed Critical 우상혁
Priority to KR2020140009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05Mounting by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앵커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관체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에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수평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유동몸체의 하단에 전선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건축현장 등에서 전기공사 작업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선을 정리하고자 할 때 전선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전선 거치대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체이나 기둥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전선 거치대의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전선의 거치를 이루기 위하여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앙카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체이나 기둥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의 증대를 방지하여 전체적인 공사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고정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유동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하고자 위치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전기공사 작업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몸체, 스프링, 유동몸체, 전선걸이부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 작업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구입 및 재설치와 같은 비용 증대 없이도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거치대{Electric wire hanger}
본 고안은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앵커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를 이루는 현장에서는 전기의 공급을 분배하기 위한 배선공사 작업과 같은 전기공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전기공사 작업시에는 전기의 공급을 이루기 위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 가닥들이 건축공사를 이루는 현장에 놓이게 되어 건축공사 현장이 지저분하게 되고, 바닥에 방치된 전선 가닥들로 인하여 건축공사를 이루기 위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 되어 전기공사를 이루기 위한 전선을 편리하게 정리하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전선이 건축 현장의 바닥이나 벽체 등에 노출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전선에 흐르는 전기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으며, 전선에 작업자가 걸리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축현장에 놓여 지는 다수의 전선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정돈할 수 있도록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선을 편리하게 거치하며 사용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전선 거치대는 기둥이나 벽체에 전선 거치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앙카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전선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해야 함으로써 전선 거치대의 설치시간과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선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가 이루어진 전선 거치대의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이루어진 전선 거치대의 제거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한 전체적인 전기공사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1998-043069(1998.09.25)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56991(2011.11.07)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공사가 이루어지는 건축현장에서 다수의 전선을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사용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기공사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거치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간단한 구조의 결합을 통하여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전선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관체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에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수평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유동몸체의 하단에 전선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몸체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일측에서 일체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된 상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와 유동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와 유동몸체의 접촉면은 상호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의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45~70°이내의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의 접촉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몸체의 접촉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의 관통공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에 결합된 스프링의 길이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고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고정몸체, 유동몸체의 일측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과 밀착될 시, 고정몸체, 유동몸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현장 등에서 전기공사 작업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선을 정리하고자 할 때 전선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전선 거치대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체이나 기둥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전선 거치대의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전선의 거치를 이루기 위하여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앙카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체이나 기둥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의 증대를 방지하여 전체적인 공사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고정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유동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하고자 위치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전기공사 작업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몸체, 스프링, 유동몸체, 전선걸이부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 작업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구입 및 재설치와 같은 비용 증대 없이도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거치대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도 7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구비된 관체형의 고정몸체(110)와, 상기 관통공(111)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120)과,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에 상기 스프링(120)을 통하여 수평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몸체(130)와, 상기 고정몸체(110),유동몸체(130)의 하단에 전선(L)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걸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도시한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1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은 내측으로 스프링(12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10)는 전선(L)의 거치를 원활하게 이루기 위하여 공사현장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편리하게 운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몸체(130)는 도시한 도 1, 도 3, 도 5,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프링(120)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으로 유동몸체(130)가 도 5에서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유동몸체(130)를 파지하여 고정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에 위치되어 유동몸체(130)와 일측이 연결되게 구성된 스프링(12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으로 유동몸체(130)가 탄성을 형성하며 유동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즉,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으로 유동몸체(130)를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120)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기 유동몸체(130)가 고정몸체(110)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고자 하기 때문에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에 스프링(120)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유동몸체(130)를 유동시켜, 본 고안인 전선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10)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몸체(110)의 방향으로 유동을 이루고자 하는 유동몸체(130)의 탄성을 통하여 벽체(10)의 외측에 유동몸체(13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120)과 유동몸체(130)를 원활하게 연결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몸체(130)는 상기 스프링(120)의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131a)가 구비된 하부몸체(131)와, 상기 하부몸체(131)의 일측에서 일체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131a)와 대응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돌기(132a)가 구비된 상부몸체(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13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1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는 연결고리(131a)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결고리(131a)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120)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몸체(130)의 유동에 따라 대응되게 변형을 이루며 탄성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서 이탈되거나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유동몸체(1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32)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31)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ㄱ'자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몸체(13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게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120)의 탄성을 이용하여 벽체(10)에 유동몸체(130)를 밀착시키는 경우에 견고하게 벽체(10)와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형상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상부몸체(132)의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돌기(132a)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31)의 연결고리(131a)와 대응되는 방향에 다수개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32)의 일측이 벽체(10)와 밀착되는 경우에도 벽체(10)와의 밀착부위에서 상부몸체(132)가 손쉽게 이탈하여 벽체(10)와 결합 된 유동몸체(130)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132a)는 본 고안의 유동몸체(13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탄성력을 갖는 고무패킹(미도시) 등을 별도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걸이부(140)는 도시한 도 1, 도 5,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P)를 통한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 전선걸이부(1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의 하단에는 체결부재(P)가 결합 될 수 있는 다수개의 체결홈(110-1,130-1)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홈(110-1,130-1)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벽체(10)에 설치되는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의 일측으로 다수 개의 전선걸이부(140)를 결합하여 거치를 이루고자 하는 다수의 전선(L)을 편리하게 거치시키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가 고정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120)을 통하여 상호 밀착되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의 접촉면(110a,130a)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110)의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45~70°이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향 경사를 형성하며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10)의 접촉면(110a)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2)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동몸체(130)의 접촉면(130a)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3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33)의 구성은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으로 유동몸체(130)가 결합되는 경우, 견고하게 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인 전선 거치대를 휴대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운반과 보관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에는 관통공(111)에 결합되는 스프링(120)의 길이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방지고리(15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동방지고리(150)는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에 결합 된 유동몸체(130)가 유동되며 고정몸체(110) 내측의 스프링(120)을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관통공(111)에 결합된 스프링(120)이 관통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며 고정몸체(110)의 내측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동방지고리(150)는 본 고안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에 위치되어 관통공(111)에 결합되는 스프링(120)의 길이방향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다양하게 그 형상 및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일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10)와 밀착될 시, 밀착되는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1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60)는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 스치로폼, 합성수지, 면 재 등 벽체(10)와 밀착되는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밀착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현장 등에 사용되는 전선의 거치를 편리하게 이루기 위하여 전선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하여 전선거치대의 편리하고 효율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고정몸체 110a,130a: 접촉면
111: 관통공 112: 결합홈
120: 스프링 130: 유동몸체
131: 하부몸체 131a; 연결고리
132: 상부몸체 132a: 지지돌기
133: 결합돌기 140: 전선걸이부
150: 유동방지고리 160: 탄성부재
P: 체결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구비된 관체형의 고정몸체(110)와,
    상기 관통공(111)의 내측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120)과,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측에 상기 스프링(120)을 통하여 수평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몸체(130)와,
    상기 고정몸체(110),유동몸체(130)의 하단에 전선(L)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체결부재(P)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걸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몸체(130)는
    상기 스프링(120)의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131a)가 구비된 하부몸체(131)와,
    상기 하부몸체(131)의 일측에서 일체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131a)와 대응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돌기(132a)가 구비된 상부몸체(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P)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홈(110-1,130-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와 유동몸체(130)의 접촉면(110a,130a)은 상호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110)의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45~70°이내의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의 접촉면(110a)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2)이 구비 되고,
    상기 유동몸체(130)의 접촉면(130a)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112)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33)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111)에 결합된 스프링(120)의 길이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고리(15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일측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10)과 밀착될 시, 고정몸체(110), 유동몸체(130)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KR2020140009285U 2014-12-16 2014-12-16 전선 거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480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85U KR200480058Y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85U KR200480058Y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58Y1 true KR200480058Y1 (ko) 2016-04-07

Family

ID=5579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8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0058Y1 (ko) 2014-12-16 2014-12-16 전선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68A (ko) * 2017-10-31 2019-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029051B1 (ko) * 2019-05-22 2019-10-07 김영욱 받침대가 구비되는 계량기함
KR20210000537U (ko) 2019-08-27 2021-03-09 박선영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KR20210001528U (ko) 2019-12-27 2021-07-07 박용주 Led가 실장된 플렉시블 바 형태의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81Y1 (ko) 2006-08-22 2006-11-10 김용균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81Y1 (ko) 2006-08-22 2006-11-10 김용균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68A (ko) * 2017-10-31 2019-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076158B1 (ko) * 2017-10-31 2020-02-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029051B1 (ko) * 2019-05-22 2019-10-07 김영욱 받침대가 구비되는 계량기함
KR20210000537U (ko) 2019-08-27 2021-03-09 박선영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KR20210001528U (ko) 2019-12-27 2021-07-07 박용주 Led가 실장된 플렉시블 바 형태의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58Y1 (ko) 전선 거치대
KR200455466Y1 (ko) 지중전력구용 케이블 지지대
KR10138134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WO2015083362A2 (en) Apparatus for the introduction of pressurized air and/or sealant into a tire
CN103994350B (zh) 发光二极管灯具
KR101868224B1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8905574B2 (en) Device for mounting LED lamp tube
KR101215669B1 (ko) 자석이 구비된 파티션
JP2014135211A (ja) 蛍光灯型半導体ランプ及びその吊り下げ支持具
CN204522073U (zh) 一种灭火器固定支架
KR101848844B1 (ko) 안정선이 향상된 건축물 전선 고정기구
KR101736942B1 (ko) 회전식 거치 장치
CN102544785A (zh)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KR101676014B1 (ko) 천장 매립등
JP4793728B2 (ja) 配線器具
KR101620977B1 (ko) 클램프 결합을 이용한 다용도 거치대
US20140306085A1 (en) Light fixture pendant hanger
KR20130120654A (ko) 용접토치용 걸이도구
CN104587628A (zh) 一种灭火器固定支架
KR20170003403U (ko) 이동형 등기구 멀티클램프
CN204415211U (zh) 固定车用烟灰缸便捷的固定装置
KR200470182Y1 (ko)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JP6432823B2 (ja) 照明器具
CN218032786U (zh) 安装架及投光灯
CN205563053U (zh) 一种易安装的投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2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4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11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