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62Y1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Google Patents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262Y1 KR200485262Y1 KR2020170004895U KR20170004895U KR200485262Y1 KR 200485262 Y1 KR200485262 Y1 KR 200485262Y1 KR 2020170004895 U KR2020170004895 U KR 2020170004895U KR 20170004895 U KR20170004895 U KR 20170004895U KR 200485262 Y1 KR200485262 Y1 KR 2004852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tray body
- protruding
- portions
- bound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휠 운반을 위한 고정부재로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측부의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및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휠 안착부 내측의 불필요한 영역 등에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재료의 투입량 감소에 따른 내구성의 감소를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쇄할 수 있고, 제1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과, 타측면으로 돌출된 제2 단차부 및 제3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휠의 운반을 위한 하역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휠의 적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1. A fixing member for carrying a plurality of wheels, the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y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first incision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ray body and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laminated surfaces of the wheel side portions; A plurality of first step portions protruding from a first surface of the tray body portion and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a first wheel seat portion on which a laminated surface of the wheel is se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wheel seating portions protruding from a second side of the first side of the tray body and formed in a discrete distance around the second incision, And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second whee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first wheel receiving portion.
The wheel transpor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amount of the raw material input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n unnecessary area inside the wheel seating portion and can reduce the durability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the raw material by forming protruding portions of various shapes And the diameter of the wheel mounting portion formed by the first step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wheel mounting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step portion and the third step portion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aminating operation of the wheel can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heel transportation tray.
차량은 철판을 가공하는 프레스 공정, 가공된 다수의 철판에 대해 용접을 통하여 차량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를 완성하는 차체 조립 공정, 완성된 차체에 대해 외관에 페인팅 작업을 행하는 도장 공정, 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 공정, 및 조립이 완료된 차량에 대해 최종적으로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부품 조립 공정은 기초 공사인 배선과 내장재 공정, 글라스,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엔진/변속기, 배기장치, 타이어, 시트 및 스티어링휠 순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정이 자동차 조립 공정의 최종 단계라고 할 수 있다.The vehicle includes a pressing step of processing an iron plate, a car body assembling step of completing a car body constituting a skeleton of the vehicle through welding to a plurality of machined steel plates, a painting step of performing painting work on the exterior of the finished car body, Parts assembling process for assembling parts, and inspection process for ultimately inspecting assembled vehicles. The parts assembly process i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ic wiring, interior materials process, glass, suspension, steering, braking device, engine / transmission, exhaust, tire, seat and steering wheel. This process can be said to be the final stage of the car assembly process.
이러한 부품 조립 공정 중에서도 자동차의 알루미늄 휠을 생산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운반 설비의 구성으로서 휠 공급 시스템이 설치된다. 종래의 휠 공급 시스템은, 보통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가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 장치로 이루어지며, 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근처에서 작업장에는 각각 사이즈 별로 구분되어 파렛트 상에 적재된 다수의 휠들이 구비된다.Among these component assembling processes, a wheel supply system is provided as a constitution of a transportation facility for supplying an aluminum wheel of an automobile to a production line. The conventional wheel supply system is composed of a conveying conveyor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are usual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conveyor apparatus, a plurality of wheels are provided on the pallet.
여기에서, 작업자는 각 사이즈 별로 적재된 휠들 중 해당하는 휠을 직접 들어올리는 수작업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 롤러 상에 안착시키게 되고, 휠들이 안착되면 이송 컨베이어 장치는 조립을 요하는 해당 생산라인으로 휠들을 이송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operator places the wheels on the conveyor roller of the conveying device manually by lifting the corresponding wheel directly by each size, and when the wheels are mounted, the conveying conveyor device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roduction line Wheels.
이러한 휠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T링(선행기술 1이라 함)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52685호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가 이용될 수 있다. A T ring (referred to as Prior Art 1) or Korean Patent No. 10-1452685 "Vehicle Wheel Transport Tr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may be used as means for transporting such wheels.
선행기술 1의 경우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된 링부재로서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휠을 적층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T링의 경우 복수의 휠들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기 어렵고, 1회용으로서 사용 후 버려지는 등 회수가 어려운 실정이다.In the prior art 1, the ring member is formed into a T-shaped cross section and is used merely for vertically stacking the wheels.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T-ring, it is difficult for a plurality of wheels to maintain a stable laminated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recover such a wheel as disposable after discarding after use.
선행기술 2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면서 회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Prior Art 2,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esources can be recycled because it is easy to recover while maintaining a stable laminated structure.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2에 따른 휠 트레이의 경우 선행기술 1의 T링에 비하여 제조 단가가 매우 높게 형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회수가 용이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면서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However, the wheel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T-ring of the prior art 1.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recycle resource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easy recovery.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휠들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wheel transporting tr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heels can maintain a stable lamination structure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고안은 제조 단가를 낮춤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휠 운반용 트레이 자체의 내구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maximize the durability of the wheel transporting tray itself that can be caused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복수의 휠 운반을 위한 고정부재로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측부의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및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1. A fixing member for carrying a plurality of wheels, the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y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first incision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ray body and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laminated surfaces of the wheel side portions; A plurality of first step portions protruding from a first surface of the tray body portion and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a first wheel seat portion on which a laminated surface of the wheel is se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wheel seating portions protruding from a second side of the first side of the tray body and formed in a discrete distance around the second incision, And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second whee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first wheel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1 절개부의 둘레를 따라 호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protrude in the shape of an arc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cision.
또한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tray body and the edge of the tray body.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tray body is also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and at least one of the slopes of the protrusions can function as a third step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the second wheel seating portion have.
또한 상기 돌출부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ojectio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first incisions among the projections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third steps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each second wheel seat of the adjacent first incisions.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1 절개부들의 중심을 잇는 방향을 갖고 상기 제1 절개부 반경의 1배 내지 1.5배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1 가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 강화부와, 상기 제1 강화부들간을 잇는 가상의 선들의 교차점의 위치에 상기 제1 강화부들의 폭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제2 강화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관통된 형상의 제2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incisions and being included in a first virtual region defined by a width of 1 to 1.5 times the radius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The second incis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lines connecting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s to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except for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having the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s.
또한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cision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3회 이상 꺽임구조를 구비하는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tray body may be provided with a rim having a bending structure at least three times.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휠 안착부 내측의 불필요한 영역 등에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재료의 투입량 감소에 따른 내구성의 감소를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쇄할 수 있다.The wheel transpor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amount of the raw material input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n unnecessary area inside the wheel seating portion and can reduce the durability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the raw material by forming protruding portions of various shapes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제1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과, 타측면으로 돌출된 제2 단차부 및 제3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휠의 운반을 위한 하역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휠의 적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 transpor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wheel seating portion formed by the first step, the diameter of the wheel seating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stepped portion and the third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laminating operation of the wheel more easily in the unloading process for the whee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선행기술 1의 거치 바디 등을 생략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레이로부터의 하역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heel transpor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mounting body of the prior art 1, and the unloading operation from the tray can be further facilita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휠 운반용 트레이 일부의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휠 안착부 및 제2 휠 안착부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휠 안착부를 형성하는 제2 단차부 및 제3 단차부의 형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절개부의 형성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복수의 휠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ut-away view of a part of the wheel transporting tray of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wheel rest part and the second wheel rest part.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conditions for forming the second step portion and the third step portion forming the first wheel seat portion;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ormation position of a second cu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heels are stacked using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to 1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휠 운반용 트레이 일부의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제1 휠 안착부 및 제2 휠 안착부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제1 휠 안착부를 형성하는 제2 단차부 및 제3 단차부의 형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절개부의 형성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to 5,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utaway portion of the wheel transporting tray shown in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wheel rest part and the second wheel rest part,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conditions for forming the second step part and the third step part forming the first wheel rest part,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ormation position of a second cu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복수의 자동차 휠(W)을 운반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이용된다. 휠(W)은 측면부가 상부 및 하부로 향하도록 적층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측면부를 적층면(W1)이라 정의한다.The wheel transpor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ixing member for carrying a plurality of automobile wheels W. The wheel W is stacked such that its side faces are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is side face is defined as a laminated face W1.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105)를 구비한다. 트레이 몸체부(105)는 보관 및 운반 등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한 경우 직사각형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트레이 몸체부(105)에는 복수의 제1 절개부(110)들이 형성된다. 제1 절개부(110)는 휠의 안착면(W1)과 접촉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을 절개함으로써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절개부(110)는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10)의 둘레에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제1 휠 안착부(115)가 형성되며, 제1 휠 안착부(115)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단차부(120)들이 형성된다. 제1 단차부(120)들은 제1 휠 안착부(115)의 둘레에 구비되어 제1 휠 안착부(115)의 경계를 불연속적으로 구획한다. 제1 단차부(120)들은 압진공성형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면에서는 금형으로 가압하고 타측면에서는 진공으로 흡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러한 과정에서 제1 단차부(120)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휠 안착부(115)가 평평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firs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몸체부(105)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2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제2 단차부(130)는 앞서 설명한 제1 단차부(12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2 휠 안착부(115a)의 경계를 불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second
제1 휠 안착부(115)에 휠의 적층면 중 하나가 안착되면, 타측의 적층면은 다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제2 휠 안착부(115a)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적층된다.When one of the laminated surfaces of the wheel is seated on the first
이 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휠 안착부(115a)의 경계의 직경(L2), 즉 서로 대향하는 제2 단차부(130) 및/또는 제3 단차부(1401) 간의 최대 거리는 제1 휠 안착부(115)의 경계의 직경(L1)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달리 설명하면, 제2 단차부(130)가 제1 단차부(120)에 비하여 제1 절개부(1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형성된다. 이는 복수의 휠들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휠들을 보다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휠 운반용 트레이 상에 제1층의 휠들을 적층한 후 제2 휠 운반용 트레이를 제1층의 휠들의 상부에 덮는 경우 제1 휠 운반용 트레이의 제1 단차부와 휠들이 적은 유격으로 안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제1 휠 운반용 트레이가 거치된 바닥면의 굴곡이나 휠의 거치된 상태에 따라 휠들의 상부의 각도 및 위치들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제1 단차부와 같이 적은 유격의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은 휠들의 정렬 등에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층의 휠들을 덮는 면의 휠 안착부는 보다 큰 유격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층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diameters L2 of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wheel rests 115a, that is, the
한편, 제2 단차부(130)는 주로 트레이 몸체부(105)의 모서리와 제1 절개부(110)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제1 절개부(110)의 둘레를 따라 호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또한 트레이 몸체부(105)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40a)들은 앞서 설명한 제2 단차부(130)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즉,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는 돌출부(140a)은 제1 절개부와 인접한 경사면(1401, 이하 제3 단차부라 함)이 앞서 설명한 제2 단차부(130)와 마찬가지로 제2 휠 안착부(115a)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ing
또한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는 돌출부(140a)들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0a)는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115a)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달리 설명하면, 제1 절개부(110)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1401)들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예를들어 설명하면, 제2 단차부(130) 또는 제3 단차부(1401)들은 앞서 설명한 제1 단차부와는 반대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단차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5에서는 130-b로 가정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2 휠 안착부의 경계를 형성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제1 단차부(120)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단차부(130) 및 제3 단차부(1401)들은 제1 절개부(110)의 중심(O)를 기준으로 한 최대 이격각도(A1)가 약 150도 이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도 5에서는 130-a 및 130-c로 가정한다). 휠의 사이즈 및 유격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으나, 약 150도 각도 이내에서 이격각도가 형성되어야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라도 제2 단차부(130) 및 제3 단차부(1401)에 의하여 휠이 안정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제1 강화부(R1)와 제2 강화부(R2)를 제외한 영역에 제2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강화부(R1)와 제2 강화부(R2)는 적층된 휠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단력이나 인장력 등이 작용하여 강도를 특히 보강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이는 제1 절개부를 비롯하여 절개된 영역이 증가할 수록 휠 운반용 트레이의 건전성을 위하여 중요하다.As shown in FIG. 6, the tray body may form a second cut in a region except for the first reinforcement R1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R2.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R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R2 are portions to which strength is to be particularly strengthened by applying shear force or tensile force when various external forces act on the laminated wheels. This is important for the health of the wheel transport tray as the incision area including the first incision is increased.
제1 강화부(R1)는 제1 절개부들의 중심(O)을 잇는 방향을 갖고 제1 절개부 반경의 1배 내지 1.5배의 폭(W1)으로 정의된다. 제2 강화부(R2)는 제1 강화부(R1)들간을 잇는 가상의 선들의 교차점의 위치에 개략적으로 제1 강화부(R1)들의 폭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2 절개부(1405)는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화부(R1)와 제2 강화부(R2)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강화부(R1)와 제2 강화부(R2)를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14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R1 is defined as a width W1 of 1 to 1.5 times the radius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having a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 O of the first incisions.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R2 is defined as a region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s R1 at a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of virtual lines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s R1. As shown in FIG. 1, the
트레이 몸체부(105)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3회 이상 꺽임구조를 구비하는 테두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꺽임구조라 함은 대략 90도의 방향으로 꺽이는 구로를 의미한다. 도 2의 경우 테두리부(150)는 트레이 몸체부(105)로부터 상방향, 측면방향, 하방향으로 3회 꺽임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테부리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운송 중 적층된 휠들 및 휠 운반용 트레이의 외부를 둘러싸는 포장지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edge of the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한 휠 적층구조 및 이와 관련된 하역작업을 설명한다. 도 7은 복수의 휠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a wheel laminating structure using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related load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heels are stacked using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 운반용 트레이(100)는 제1 단차부(120)가 돌출된 방향을 위로 하여 거치시킨 후 휠(W)들을 거치하여 1층을 형성한 후 또 다른 휠 운반용 트레이(100)를 덮는 방식으로 적층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휠 더미는 운송과정을 통하여 자동차 공장의 생산 라인으로 이동되고, 이 후 작업자가 휠 운반용 트레이(100)로부터 휠(W)을 분리하여 생산라인의 컨베이어에 투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제1 단차부가 생략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8 to 10, a wheel transporting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s. 7 to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heel transporting tray (the first step is omit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10) 들의 개수는 적층되는 휠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부(110)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단차부 이외에 다양한 형상 및 돌출 방향을 갖는 돌출부(140)들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number of the
제1 단차부, 제2 단차부, 돌출부(140) 중 제3 단차부들의 위치 관계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among the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have.
100: 휠 운반용 트레이
110: 제1 절개부
115: 제1 휠 안착부
115a: 제2 휠 안착부
120: 제1 단차부
130: 제2 단차부
140, 140a: 돌출부
150: 테두리부
1401: 제3 단차부100: Wheel transport tray
110: first incision section
115: first wheel seat portion
115a: a second wheel seat portion
120: First step
130: Second step
140, 140a:
150:
1401: Third step
Claims (8)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측부의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As a fixing member for carrying a plurality of wheels,
A tray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first incision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ray body and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laminated surfaces of the wheel side portions;
A plurality of first step portions protruding from a first surface of the tray body portion and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a first wheel seat portion on which a laminated surface of the wheel is se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teeth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a second wheel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tray body and projecting a laminated surface of the whee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first incision, And a second step portion,
Wherein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second wheel seating portion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a boundary of the first wheel seating portion.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1 절개부의 둘레를 따라 호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tepped portion protrudes in an arc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incised portion.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tepp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tepped portion and the edge of the tray body portion.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로서 기능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y body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And one side inclined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ojections functions as a third step forming a discontinuous boundary of the second wheel seat.
상기 돌출부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단차부가 구비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protrusions located between adjacent first incisions of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with a pair of third stepped portions forming discontinuous boundaries of respective second wheel seating portions of the adjacent first incisions.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1 절개부들의 중심을 잇는 방향을 갖고 상기 제1 절개부 반경의 1배 내지 1.5배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1 가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 강화부와, 상기 제1 강화부들간을 잇는 가상의 선들의 교차점의 위치에 상기 제1 강화부들의 폭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제2 강화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관통된 형상의 제2 절개부가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y body includes: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having a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incisions and being included in a first virtual region defined by a width of 1 to 1.5 times the radius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Wherein a second incision is formed at a position of an intersection of imaginary lines in a region penetrating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s.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3회 이상 꺽임구조를 구비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ame portion having a bending structure at least three times is formed on an edge of the tray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895U KR200485262Y1 (en) | 2017-09-15 | 2017-09-15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895U KR200485262Y1 (en) | 2017-09-15 | 2017-09-15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262Y1 true KR200485262Y1 (en) | 2017-12-13 |
Family
ID=6125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895U KR200485262Y1 (en) | 2017-09-15 | 2017-09-15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262Y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89741A (en) * | 1999-04-01 | 2000-10-17 | Topy Ind Ltd | Protective plate for loading wheel, and wheel loader using the protective plate |
JP3561875B2 (en) * | 1999-11-05 | 2004-09-02 | アイロップ式会社 | Packing elements for tire wheels |
JP3589748B2 (en) * | 1994-07-25 | 2004-11-17 | 三甲株式会社 | Transport tray |
JP3187877U (en) * | 2013-10-08 | 2013-12-19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Sheet packaging material |
JP2014108808A (en) * | 2012-11-30 | 2014-06-12 | Toppan Printing Co Ltd | Tray for wheel |
KR101452685B1 (en) | 2014-06-05 | 2014-10-21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
2017
- 2017-09-15 KR KR2020170004895U patent/KR200485262Y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9748B2 (en) * | 1994-07-25 | 2004-11-17 | 三甲株式会社 | Transport tray |
JP2000289741A (en) * | 1999-04-01 | 2000-10-17 | Topy Ind Ltd | Protective plate for loading wheel, and wheel loader using the protective plate |
JP3561875B2 (en) * | 1999-11-05 | 2004-09-02 | アイロップ式会社 | Packing elements for tire wheels |
JP2014108808A (en) * | 2012-11-30 | 2014-06-12 | Toppan Printing Co Ltd | Tray for wheel |
JP3187877U (en) * | 2013-10-08 | 2013-12-19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Sheet packaging material |
KR101452685B1 (en) | 2014-06-05 | 2014-10-21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78789B1 (en) | Aircraft panel production method | |
US9630743B2 (en) | Tray for carrying vehicle wheel | |
CN205365346U (en) | Dump body | |
AU2004205432B2 (en) | Structural I-beam automotive suspension arm | |
US20100147809A1 (en) | Method of Laser Welding | |
US20020014008A1 (en) | Production of vehicles | |
JP2001513733A (en) | LAMINATED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A2916719C (en) | Seam welding method and vehicle body | |
KR2020002075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hickness-varied metal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ed part, and processing machine | |
JP5631258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utomobile side panel | |
KR200485262Y1 (en)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
KR200486566Y1 (en) | 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 |
JP5149696B2 (en) | Pneumatic tire with sound control | |
JP3564939B2 (en) | Lamination method for tailored blanks | |
KR10140649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heel for vehicle and wheel for vehicle formed therefrom | |
JP2022129059A (en) | Structural member for vehicle | |
KR20190100903A (en) | Car wheel transport method using wheel transport tray | |
JP2009184703A (en) | Wheel carrying board | |
US12145652B2 (en) | Vehicle truss member | |
US20230174161A1 (en) | Vehicle Truss Member | |
CN1232363C (en) | Method for controlling tensile weld movement of split welding plate | |
KR20200138473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 Vehicle Parts | |
JP5858870B2 (en) | Panel parts manufacturing method and press line | |
KR20190030634A (en) | A tray for transport car wheel | |
JP2003137488A (en) | Passenger conve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Z032 | Request for utility model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18106000012 |
|
Z073 |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 ||
Z132 |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utility model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