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60Y1 -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460Y1 KR200473460Y1 KR2020130003648U KR20130003648U KR200473460Y1 KR 200473460 Y1 KR200473460 Y1 KR 200473460Y1 KR 2020130003648 U KR2020130003648 U KR 2020130003648U KR 20130003648 U KR20130003648 U KR 20130003648U KR 200473460 Y1 KR200473460 Y1 KR 2004734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smetic
- storage container
- cosmetics
- br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파우더형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리필이 가능토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외용기(110)(120)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면서 스프링(130)에 의해 탄력 설치되고, 내용기(110)의 내부에는 압축파우더형 화장품이 수납되는 별도의 수납용기(140)가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100)를 개폐토록 하면서도 출몰되는 브러쉬(240)를 가지는 화장도구(200)로 구성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용기(110)는 외주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111)을 가지는 걸림테(112)가 형성되고,
외용기(120)는 중심 내주면에 걸림턱(1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내용기(110)의 승강작동에 따른 간격을 제한토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22)가 구비되어 내,외용기(110)(120)가 이중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내,외용기(110)(120)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면서 스프링(130)에 의해 탄력 설치되고, 내용기(110)의 내부에는 압축파우더형 화장품이 수납되는 별도의 수납용기(140)가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100)를 개폐토록 하면서도 출몰되는 브러쉬(240)를 가지는 화장도구(200)로 구성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용기(110)는 외주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111)을 가지는 걸림테(112)가 형성되고,
외용기(120)는 중심 내주면에 걸림턱(1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내용기(110)의 승강작동에 따른 간격을 제한토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22)가 구비되어 내,외용기(110)(120)가 이중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파우더형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리필이 가능토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종류에 따라 화장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나, 주로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인 경우에는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화장솔이나 또는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버퍼 등 별도의 화장도구를 사용하여 화장토록 하는 것이 대체적인 방법이다.
예컨데, 화장솔로 이루어지는 화장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화장품용기에 수납된 압축 파우더형의 화장품을 화장솔에 묻힌 후, 해당되는 피부에 터치하거나 고르게 바르는 방법으로 화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화장품을 저장하는 화장품용기와 이의 화장품을 바르기 위한 화장도구가 각각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브러쉬 또는 스폰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화장도구는 대체적으로 오픈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관성은 물론이고 위생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 화장도구의 브러쉬나 스폰지를 화장도구의 몸체로부터 출몰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구성을 일예를 들어보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0480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이 연통 되도록 중공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단의 외주면에 힌지블록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에 도포구가 설치되고 상단이 몸체의 상부로 노출된 솔대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솔대에 형성된 제2걸림턱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힌지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시 몸체의 상부로 노출된 솔대를 하강시켜 도포구를 몸체의 하단으로 인출시키는 레버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포구가 출몰되는 화장도구를 사용시에는 몸체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솔대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도포구를 몸체의 하단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레버의 작동으로 도포구가 출몰되도록 구성된 것임에 따라 레버의 노출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구측으로 외부의 공기는 물론이고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비위생적이면서도 오염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밖에도 도포구가 출몰되는 화장도구들은 대부분 필기도구(만년필, 볼펜)에 적용되는 출몰유닛이 적용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에 내구성이 취약하여 사용중 쉽게 파손되거나 도포구가 출몰되는 기능을 상실하여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다른 방식의 구조에 있어서는 브러쉬를 출몰식으로 형성하는 브러쉬 화장품용기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449457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고안의 구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분말형의 화장품이 저장되어 하부캡에 의해 밀봉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회전용기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회전용기의 상부에는 몸체를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용기를 지지토록 하는 연결용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용기의 내측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브러쉬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통로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승, 하강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브러쉬용기가 설치되어 상부캡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용기를 잡고 회전용기를 회전시키게 되면, 브러쉬용기가 승강작동되어 브러쉬용기의 상부에 장착된 브러쉬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브러쉬를 피부에 밀착시켜 두들겨주거나 또는 문질러주면 회전용기내의 분말형 화장품이 브러쉬로 토출됨으로써 화장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등록고안은 분말형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화장품용기에 적합하는 것으로,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화장품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 지나치게 많이 토출되기 때문에 화장품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또다른 형태의 구조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국내 특허등록 제10-1246290호를 들 수 있다.
이는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로서 화장품용기의 케이스 내부에 분말상태의 화장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뚜껑과 함께 출몰이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외부로 돌출시켜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비사용시에는 케이스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시켜 뚜껑의 개방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장품을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저장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선등록 특허의 구조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체결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원통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진 가이드공이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관이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경에 삽입체결되고 분말형 화장품이 저장되면서 외주연에는 양측으로 슬라이드관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케이스의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힌지축을 가지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고정캡에 의해 설치되는 스폰지 재질의 분첩과,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개폐가능토록 설치되는 뚜껑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장품용기는 케이스를 잡고 슬라이드관을 회전작동시킴에 의해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용기와 분첩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고, 이에 뚜껑을 개방한 후, 분첩을 피부에 접촉시켜 문질러주거나 터치하게 되면 저장용기내의 분말형 화장품이 배출공을 통하여 분첩의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 역시 주로 분말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이의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분첩의 화장도구가 일체형인 하나의 물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선등록 특허에서 요구되는 효과는 충분히 가질지라도 그 구조적인 특성상 압축파우더의 화장품을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도구가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분첩으로서 브러쉬를 이용하는 화장도구일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다소 어려움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내의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화장도구만으로는 재사용이 쉽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저장용기들이 이중구조체로 이루어지기는 경우도 있지만, 분해 및 조립이 용이치 못하여 화장품을 전부 사용 후에는 화장품을 수납한 수납용기의 리필이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저장용기들이 이중구조체로 이루어지기는 경우도 있지만, 분해 및 조립이 용이치 못하여 화장품을 전부 사용 후에는 화장품을 수납한 수납용기의 리필이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화장품용기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각각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하면서도 상기 저장용기를 화장도구가 개폐토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성은 물론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각각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하면서도 상기 저장용기를 화장도구가 개폐토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성은 물론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내용기는 외용기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품을 사용시 압축된 파우더형의 화장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저장용기의 내,외용기를 상호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화장품을 전부 사용후 리필이 가능토록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은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브러쉬가 출몰되는 출몰식 화장도구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저장용기는 주로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이 수납되는 이중의 용기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용기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용기의 내부에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내용기에는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이 수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의 외용기내에 수납용기가 체결된 내용기를 삽입함과 아울러 억지끼움식으로 간단하게 눌러줌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손쉽고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화장품을 전부 사용한 후 리필이 필요한 경우에는 내용기내에 설치되는 수납용기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화장도구는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되어 뚜껑의 기능과 아울러, 화장도구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의 외용기내에 수납용기가 체결된 내용기를 삽입함과 아울러 억지끼움식으로 간단하게 눌러줌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손쉽고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화장품을 전부 사용한 후 리필이 필요한 경우에는 내용기내에 설치되는 수납용기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화장도구는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되어 뚜껑의 기능과 아울러, 화장도구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고안은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화장도구로 구성하여 원터치식으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시에는 저장용기를 화장도구가 안전하게 밀폐시켜 휴대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사용시에는 화장도구를 저장용기로 부터 분리시켜 화장도구의 브러쉬를 인출시킨 후, 저장용기내의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화장도구는 비사용시에는 저장용기를 밀폐시켜 화장품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의 기능을 가지는 것에 반하여, 사용시에 별도의 독립된 화장도구로서 저장용기내의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도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용기는 내,외용기의 이중용기체로 이루어지면서 화장품이 수납되는 내용기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됨으로써 화장도구를 사용시 브러쉬가 누르는 힘을 완충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이 브러쉬의 터치나 누름작동에 의해 크릭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저장용기를 이중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내,외용기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성을 좋게 하고, 화장품을 전부 사용한 후에는 수납용기만을 교체하여 리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저장용기를 이중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내,외용기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성을 좋게 하고, 화장품을 전부 사용한 후에는 수납용기만을 교체하여 리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1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도3의 분리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도5의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도1의 정단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도7의 분리단면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저장용기 분리사시도
도 10 및 도11은 저장용기의 내,외용기의 결합구성에 따른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1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도3의 분리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도5의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도1의 정단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도7의 분리단면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저장용기 분리사시도
도 10 및 도11은 저장용기의 내,외용기의 결합구성에 따른 설명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9 이하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조립에 따른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듯이 본 고안은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개구부를 개폐토록 하면서 저장용기내의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도구(20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향으로 오픈된 개구부를 가지는 내,외용기(110)(120)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설치되어 내용기(110)가 외용기(120)내에서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기(110)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111)을 가지는 걸림테(112)가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내부에는 압축된 파우더형의 화장품(C)이 수납된다.
이때 상기 내용기(110)에 수납되는 화장품(C)은 알루미늄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수납용기(140)에 수납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전체적인 제조성 및 조립성을 좋게 하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화장품(C)의 수납용기(140)만을 교체하여 리필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용기(110)가 삽입되는 외용기(120)의 내주면에는 내용기(110)가 걸려져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121)이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경의 상단에는 화장도구(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역시 다수 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2)은 내용기(1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테(112)가 걸려져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용기(110)의 걸림테(11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절개홈(111)은 외용기(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22)의 간격 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반면에 걸림턱(121) 보다는 약간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용기(120)에 내용기(110)을 결합시에는 도10 및 도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내용기(110)의 절개홈(111)이 외용기(120)의 상단 결합돌기(122) 보다는 길게 형성됨에 따라 쉽게 통과되어 삽입체결되는 것이고, 이어서 결합돌기(122) 보다는 짧게 형성됨에 따라 억지끼움식으로 힘을 가하여 삽입체결하게 되면, 합성수지 재질이 가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내용기(110)의 걸림테(112)가 외용기(120)의 걸림턱(121)을 넘게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용기(120)의 걸림턱(121)에 내용기(110)의 걸림테(112)가 걸려져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임으로 내용기(110)는 외용기(120)내에서 승강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용기(120)와 내용기(110)의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탄력 설치되어 내용기(110)를 항상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130)은 저장용기(100)에 화장도구(200)를 결합시에는 이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기(11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는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화장도구(200)가 분리되는 즉시, 복귀력에 의해 내용기(110)를 밀어올리게 됨으로써 화장품(C)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고, 이와 아울러 화장도구(200)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사용시 브러쉬의 터치력에 의해 압축된 고형의 화장품(C)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장도구(200)는 첨부된 도면에서도 보듯이 저장용기(100)의 개구를 개폐하는 기능과 더불어, 분리된 후에는 독자적인 화장도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도구(200)는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삽탈되는 원통형의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측에 좌.우 공회전이 가능토록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내부에 체결되어 이의 회전동력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체(230)와, 상기 작동체(230)에 체결되어 케이스(210)의 외부로 출몰되는 브러쉬(2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하 개구되는 이중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하단부에는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삽입체결되도록 단턱으로 형성되는 개폐부(211)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되는 내경에는 후술할 브러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보관실이 형성되고, 내주면의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슬라이드홈(212)이 상향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11)는 케이스(21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면서도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게 되고, 이의 외주면에는 저장용기(100)의 결합돌기(122)와 대향되면서 이와 결합되는 결합턱(213)이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돌기(122)와 화장도구(200)의 결합턱(213)을 삼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들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220)는 케이스(210)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삽입체결되어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단부가 케이스(2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손잡이(221)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내부의 표면에는 내측으로 관통되게 경사진 경사슬라이드공(222)이 양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슬라이드공(222)은 양측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면서도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수직슬라이드홈(212)와 일치되어 조립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230)는 회전체(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220)의 정,역회전작동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으로 변환하여 승강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회전체(220)의 내경을 따라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연상에는 양측으로 작동핀(23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핀(231)은 외향 돌출되게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들은 회전체(220)의 경사슬라이드공(222)을 관통하여 케이스(210)의 수직슬라이드홈(212)에 삽입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회전체(220)의 회전작동에 따라 작동핀(231)이 경사슬라이드공(222)과 수직슬라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작동체(23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230)에는 브러쉬(240)가 조립체(250)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이 브러쉬(240)는 작동체(230)에 결합됨에 따라 동일한 스트로크로 승강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브러쉬(240)는 저장용기(100)내에 압축된 상태로 보관되는 화장품(C)을 용이하고도 부드럽게 바를 수 있도록 매우 부드럽고도 탄력있는 솔로 형성되는 것이며, 케이스(210)의 내경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240)는 화장품을 최종적으로 피부에 바르기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브러쉬가 아닌 스폰지나 기타 공지된 재질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저장용기(100)와 화장도구(200)가 각각 별도의 물품으로 구분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비되는 것으로, 휴대 및 보관시와 같이 비사용시에는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화장도구(200)를 결합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화장도구(200)의 하부를 삽입하게 되면, 화장도구(200)의 케이스(210) 전단에 형성된 개폐부(211)가 저장용기(100)의 내용기(110)를 누르게 되므로 내용기(110)는 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이를 수용하게 된다.
이어서 화장도구(200)를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폐부(211)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턱(213)들이 저장용기(100)의 외용기(120)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22)와 각각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써 저장용기(100)의 상단을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화장도구(200)가 저장용기(100)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저장용기(100)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내용기(11)의 내부 수납용기(140)에 수납된 화장품(C)을 안전한 상태로 보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화장도구(200)를 저장용기(100)로 부터 역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화장도구(200)의 케이스(210) 전단 개폐부(211)에 형성된 결합턱(213)이 저장용기(100)의 외용기(120)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22)로 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화장도구(200)는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저장용기(10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100)는 화장도구(200)에 의해 개방되는 순간, 압축된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내용기(110)는 외용기(120)의 상단으로 상승작동되므로써 수납용기(140)에 수납되는 화장품(C)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내용기(110)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외주연상에 형성된 걸림테(112)가 외용기(120)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됨으로써 내용기(110)내의 수납용기(140)가 오픈되어 수납된 화장품(C)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장도구(200)는 저장용기(100)로 부터 분리됨으로써 저장용기(100)내의 화장품(C)을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저장용기(100)로 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브러쉬(240)가 케이스(2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화장도구(2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210)를 잡고 회전체(2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220)의 회전에 의해 이의 표면에 형성된 경사슬라이드공(222)도 회전되고, 이에 따라 경사슬라이드공(222)에 축결합된 작동체(230)의 작동핀(231)이 슬라이드 작동된다.
상기 작동핀(231)은 경사슬라이드공(222)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그 일부가 케이스(210)의 내경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슬라이드홈(212)에 체결되어 있음에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된다.
작동핀(231)의 승강작동에 따라 작동체(230)는 하강작동되면서 이 작동체(230)에 조립체(250)에 의해 결합된 브러쉬(240)도 동일한 스트로크로 하강됨으로써 브러쉬(24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도구(200)의 인출된 브러쉬(240)를 이용하여 저장용기(100)내에 수납된 압축파우더형의 화장품(C)을 찍어서 통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화장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화장도구(200)의 브러쉬(24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용기(100)내의 화장품(C)을 찍어서 눌러주더라도 저장용기(100)내의 스프링(130)의 탄성력 의해 완충됨으로써 압축된 고형의 화장품이 브러쉬(240)에 의해 크릭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화장이 종료되면, 화장도구(200)의 회전체(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브러쉬(240)를 케이스(210)의 보관실내로 함몰시킨 후, 상기 화장도구(200)를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삽입과 동시에 회전작동시킴으로써 저장용기(100)와 화장도구(200)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100)에 화장도구(200)를 결합시킬 경우, 저장용기(100)와 화장도구(200)에 설치되는 결합돌기(122) 및 결합턱(213)에 의한 결합력과 더불어, 저장용기(100)내에 설치되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긴밀히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용기(100)에 화장도구(200)를 결합 및 분리토록 하는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나사식으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통상에서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저장용기 110:내용기
111:절개홈 112:걸림테
120:외용기 121:걸림턱
122:결합돌기 130:스프링
140:수납용기 200:화장도구
210:케이스 211:개폐부
212:수직슬라이드홈 213:결합턱
220:회전체 221:손잡이
222:경사슬라이드공 230:작동체
231:작동핀 240:브러쉬
250:조립체
111:절개홈 112:걸림테
120:외용기 121:걸림턱
122:결합돌기 130:스프링
140:수납용기 200:화장도구
210:케이스 211:개폐부
212:수직슬라이드홈 213:결합턱
220:회전체 221:손잡이
222:경사슬라이드공 230:작동체
231:작동핀 240:브러쉬
250:조립체
Claims (5)
- 삭제
- 내,외용기(110)(120)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면서 스프링(130)에 의해 탄력 설치되고, 내용기(110)의 내부에는 압축파우더형 화장품이 수납되는 별도의 수납용기(140)가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100)를 개폐토록 하면서도 출몰되는 브러쉬(240)를 가지는 화장도구(200)로 구성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용기(110)는 외주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111)을 가지는 걸림테(112)가 형성되고,
외용기(120)는 중심 내주면에 걸림턱(1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내용기(110)의 승강작동에 따른 간격을 제한토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22)가 구비되어 내,외용기(110)(120)가 이중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648U KR200473460Y1 (ko) | 2013-05-09 | 2013-05-09 |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648U KR200473460Y1 (ko) | 2013-05-09 | 2013-05-09 |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3460Y1 true KR200473460Y1 (ko) | 2014-07-04 |
Family
ID=5199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648U KR200473460Y1 (ko) | 2013-05-09 | 2013-05-09 |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46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1845U (ko) * | 2014-11-20 | 2016-05-3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용 도구 |
KR101923187B1 (ko) | 2017-11-06 | 2018-11-28 | (주)씨앤씨인터내셔널 | 높낮이 조절형 도포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
WO2020149569A1 (ko) * | 2019-01-16 | 2020-07-23 | 펌텍코리아(주) |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3153A (ja) | 2001-09-27 | 2003-04-02 | Yoshino Kogyosho Co Ltd | ブラシ化粧品容器 |
KR200375537Y1 (ko) | 2004-11-09 | 2005-03-11 |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 화장용구 |
KR200443668Y1 (ko) * | 2007-07-03 | 2009-03-06 | 봉 우 이 | 화장용브러쉬 |
KR200449164Y1 (ko) * | 2007-12-31 | 2010-06-23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용 브러시 |
-
2013
- 2013-05-09 KR KR2020130003648U patent/KR20047346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3153A (ja) | 2001-09-27 | 2003-04-02 | Yoshino Kogyosho Co Ltd | ブラシ化粧品容器 |
KR200375537Y1 (ko) | 2004-11-09 | 2005-03-11 |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 화장용구 |
KR200443668Y1 (ko) * | 2007-07-03 | 2009-03-06 | 봉 우 이 | 화장용브러쉬 |
KR200449164Y1 (ko) * | 2007-12-31 | 2010-06-23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용 브러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1845U (ko) * | 2014-11-20 | 2016-05-3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용 도구 |
KR200488432Y1 (ko) * | 2014-11-20 | 2019-01-3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용 도구 |
KR101923187B1 (ko) | 2017-11-06 | 2018-11-28 | (주)씨앤씨인터내셔널 | 높낮이 조절형 도포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
WO2020149569A1 (ko) * | 2019-01-16 | 2020-07-23 | 펌텍코리아(주) | 화장도구가 구비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9134B1 (ko) |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 |
CN107224093B (zh) | 化妆品用密封包装 | |
US8944712B2 (en) | Cosmetic bottle with automatic extending applicator | |
KR101490709B1 (ko) |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 |
JP2017506971A (ja) |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 |
KR200473460Y1 (ko) |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 |
KR101711480B1 (ko) | 출몰식 브러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 |
KR101782508B1 (ko) | 회전형 립스틱 용기 | |
KR101886143B1 (ko) |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 |
KR102092204B1 (ko) |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평 회전식 화장품용기 | |
KR101246290B1 (ko) |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 |
KR101688623B1 (ko) | 튜브형 화장품 용기 | |
KR101876759B1 (ko) |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 |
KR200350245Y1 (ko) |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 |
KR200487039Y1 (ko) |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의 덮개 결합 구조 | |
KR20080062157A (ko) |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 |
KR101770581B1 (ko) | 도포팁에 내용물 저장이 가능한 립 메이크업 용기 | |
KR102130277B1 (ko) | 슬라이드식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 |
JP2018075363A (ja) | 化粧品の密封容器 | |
KR200468389Y1 (ko) |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 |
KR20190008655A (ko) |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 |
JP2002282043A (ja) | 粉体化粧料容器 | |
KR101877630B1 (ko) |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 |
KR200438527Y1 (ko) | 스윙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 |
KR102604248B1 (ko) |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