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3302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02Y1
KR200473302Y1 KR2020120009872U KR20120009872U KR200473302Y1 KR 200473302 Y1 KR200473302 Y1 KR 200473302Y1 KR 2020120009872 U KR2020120009872 U KR 2020120009872U KR 20120009872 U KR20120009872 U KR 20120009872U KR 200473302 Y1 KR200473302 Y1 KR 200473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ces
insulating substrate
housing
connecto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707U (ko
Inventor
김학준
박태혁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0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0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단자들과 연결을 위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이 각각 장착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이 수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절연 기판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표면 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신호 케이블, 리벳 형태의 커넥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도체 검사 장치 등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채널 확보, 고주파 신호를 이용함에 따른 노이즈 감소, 인쇄회로기판의 배선 공간 확보를 위한 커넥터 크기 축소 등에 대한 요구가 있으므로 종래의 케이블 등을 사용하기에는 다소 제한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을 사용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493호에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따르면, 커넥터하우징에는 터미널들의 위치 및 방향을 정렬하는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터미널들 사이의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노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크기 축소 및 신호 노이즈 감소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단자들과 연결을 위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이 각각 장착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이 수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절연 기판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이 삽입되는 전면 그루브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기판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 그루브들 사이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후면 그루브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 그루브들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 각각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 공정을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플러그들 및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들이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상기 절연 기판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인접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중앙 부위는 상기 절연 기판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소켓들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 기판은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가 상기 소켓들의 내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단자에 연결을 위한 접점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에는 각각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의 전면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절연 기판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 기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기판의 전면에는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이 장착되는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은 인접하는 다른 절연 기판의 후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접하는 절연 기판에 의해 고주파 신호 전달시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가 충분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 감소를 위하여 별도의 차폐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전체적인 크기가 충분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선 영역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집적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선폭 감소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커넥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절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절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고안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고안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100,200)은 인쇄회로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는 제1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200)는 제2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100,200)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에 솔더링 공정을 통해 표면 실장 방식으로 결합될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100,200)은 플러그와 소켓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100)는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절연 기판들(120)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2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제1 클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제2 하우징(210)과 상기 제2 하우징(210)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 절연 기판들(220)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2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제2 클램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각의 제1 절연 기판(120)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단자들과 솔더링 공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 도 4 참조)이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 절연 기판(220)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단자들과 솔더링 공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 도 4 참조)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과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100,20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의 장착을 위하여 서로 인접하는 측면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150,250)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에 장착된 후 상기 개방된 일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을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스들(140,2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의 개방된 다른 측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150,25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150,250)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의 접지 단자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150,2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의 접지 단자들에 솔더링 공정을 통한 연결을 위하여 각각 접점 단자들(152,25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접지 용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커넥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절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절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10)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20)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이 삽입되는 제1 전면 그루브들(122)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절연 기판(120)의 전면에는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20)의 후면이 밀착되므로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제1 전면 그루브들(122)에 삽입된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은 상기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20)의 후면에 의해 커버되므로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장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20)이 고주파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차폐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고주파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커넥터(100) 전체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절연 기판(120)의 전면에 제1 전면 그루브들(122)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전면 그루브들(122)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후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면 그루브들(122) 사이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후면 그루브들(1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2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20)의 적층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20)의 돌기(126)와 대응하는 리세스(128)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전면 돌기(126)는 상기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20)의 후면 리세스(12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이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의 장착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1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면 그루브들(122)에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돌기(142)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제2 하우징(210)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20)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이 삽입되는 제2 전면 그루브들(222)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절연 기판(220)의 전면에는 인접하는 제2 절연 기판(220)의 후면이 밀착되므로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의 제2 전면 그루브들(222)에 삽입된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은 상기 인접하는 제2 절연 기판(220)의 후면에 의해 커버되므로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장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제2 절연 기판(220)이 고주파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차폐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고주파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커넥터(200) 전체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절연 기판(220)의 전면에 제2 전면 그루브들(222)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전면 그루브들(222)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의 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면 그루브들(222) 사이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2 후면 그루브들(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2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20)의 적층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인접하는 제2 절연 기판(220)의 돌기(226)와 대응하는 리세스(2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이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장착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2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면 그루브들(222)에는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돌기(242)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 각각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신호 트레이스들(140,2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의 제1 측면(132,23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트레이스들(140,2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에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제2 측면(13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110)에는 복수의 플러그들(1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타측 단부가 상기 플러그들(112)의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에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타측 단부가 통과되는 복수의 관통홀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러그(112) 양측에 각각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타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은 서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의 제1 측면(132)과 제2 측면(134)은 서로 인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중앙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 기판(120)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고주파 신호 전달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의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들 즉 상기 일측 단부들과 중앙 부위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40) 사이에서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 생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타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의 제1 측면(232)에 대향하는 제2 측면(23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210)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플러그들(112)에 대응하는 소켓들(2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기판(220)은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소켓들(212)의 내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10)에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소켓들(21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홀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의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40) 사이에서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 생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에는 각각 돌출부(136,2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들(150,25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들(120,220)의 돌출부들(136,236)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개구들(154,254)이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들(110,21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들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핀(114,2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 : 커넥터 110,210 : 하우징
112 : 플러그 212 : 소켓
120,220 : 절연 기판 122,222 : 전면 그루브
124,224 : 후면 그루브 140,240 : 신호 트레이스
150,250 : 클램프 152,252 : 접점 단자

Claims (13)

  1.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단자들과 연결을 위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이 각각 장착되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 기판들;
    상기 절연 기판들이 수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절연 기판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전면에는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이 삽입되는 전면 그루브들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 그루브들 사이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후면 그루브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전면 그루브들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리세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 각각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일측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플러그들 및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들이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상기 절연 기판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인접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중앙 부위는 상기 절연 기판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소켓들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 기판은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가 상기 소켓들의 내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의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단자에 연결을 위한 접점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들에는 각각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의 전면에는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절연 기판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리세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20009872U 2012-10-30 2012-10-30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473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72U KR200473302Y1 (ko) 2012-10-30 2012-10-3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72U KR200473302Y1 (ko) 2012-10-30 2012-10-30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07U KR20140002707U (ko) 2014-05-09
KR200473302Y1 true KR200473302Y1 (ko) 2014-06-25

Family

ID=514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87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3302Y1 (ko) 2012-10-30 2012-10-3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924B1 (ko) * 2017-09-06 2022-08-1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09625557A (zh) * 2018-12-10 2019-04-16 信丰文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制电路板运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62A (ko) * 1999-11-18 2001-06-25 루이스 에이. 헥트 와이어 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62A (ko) * 1999-11-18 2001-06-25 루이스 에이. 헥트 와이어 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07U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729B (zh) 一种连接器及其接触模块
US7517254B2 (en)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base element
TWI558026B (zh) 相鄰訊號接點間具有接地屏蔽件之插座連接器
CN201069846Y (zh) 线缆连接器组件
TWI523349B (zh) 具有接觸模組之電氣連接器
CN102790306B (zh) 电连接器
TWI548158B (zh) 電連接器組合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TWI648917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US92462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wo magnetic modules
US7736176B2 (en)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connecting terminal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3009567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act configuration
US114959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r for connecting between two circuit board connectors
US77758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
US20060292921A1 (en) 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US943176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JP7032312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200801714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electrical element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TWI476992B (zh) 具有信號及同軸接點之連接器組件
JP2015516109A (ja) 印刷回路基板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TWI608674B (zh) 信號轉接裝置及轉接器總成
US8419457B2 (en) Ant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3020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0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6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3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