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21Y1 - Digital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Digital lock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521Y1 KR200479521Y1 KR2020150000118U KR20150000118U KR200479521Y1 KR 200479521 Y1 KR200479521 Y1 KR 200479521Y1 KR 2020150000118 U KR2020150000118 U KR 2020150000118U KR 20150000118 U KR20150000118 U KR 20150000118U KR 200479521 Y1 KR200479521 Y1 KR 2004795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fic
- password
- input
- push button
- specific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시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패스워드 입력 시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제3 자에게 노출되거나 인지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이 보다 강화된 디지털 시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고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밀기버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을 따라 결합된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을 따라 결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전체가 상기 접점스위치에 접촉될 경우 접촉된 접점 스위치에 할당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신호입력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를 특정숫자, 특정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으로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숫자, 특정 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잠금해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출입문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key system, and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key system in which security is enhanced by preventing a password input when a password is input from being exposed or recognized by a third party.
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pen top, a push button mounted within the housing and adapted to move laterally, a conductor coupled along an outer wall of the push button, And a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assigned to the contact switch when the contact contacts the contact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utton A signal input unit includ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connected; The input signal generat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recognized as a specific number,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direction, or a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recognized specific number, specific character, specific direction or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outputting an unlock signal when the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And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driving the door to be unlocked.
Description
본 고안의 실시예는 디지털 시건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key system.
일반적인 디지털 시건 장치에는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 패드 또는 키 버튼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터치 패드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으로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In a typical digital keying apparatus, a keypad having a key button or a touch pad for displaying a key button on a screen is mounted, and a user inputs a password by pressing or touching the keypad or the touchpad.
그러나, 이러한 시건 장치는 패스워드 입력 시 패스워드가 제3 자에게 직접 노출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키 버튼이 닳게 되면서 제3 자가 패스워드를 인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ke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password is input, a password is directly exposed to a third party, or a key button that is mainly used is worn out, and a third party can recognize the password.
본 고안은 패스워드 입력 시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제3 자에게 노출되거나 인지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디지털 시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security device with enhanced security by preventing a password input when a password is input from being exposed or recognized by a third part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고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원통형의 밀기버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을 따라 결합된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을 따라 결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열된 다수의 접점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전체가 상기 접점스위치에 접촉될 경우 접촉된 접점스위치에 할당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특정숫자 또는 특정문자의 입력을 위한 제1 입력모드 및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의 입력을 위한 제2 입력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며,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될 경우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입력모드가 설정될 경우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의 일부만 활성화시키는 신호입력부;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 중 활성화된 접점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 중 입력신호가 발생된 접점스위치와 대응하는 해당 특정숫자, 특정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을 각각 출력하고, 출력된 특정숫자, 특정 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을 입력패스워드로 인식하며, 인식된 입력패스워드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가 서로 일치할 경우 잠금해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시건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은 상기 밀기버튼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이며, 상기 패스워드는 특정문자 또는 특정숫자로 미리 설정된 제1 패스워드와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으로 미리 설정된 제2 패스워드를 포함ㅎ할F는 특정문자를 백라이트 발광을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입력신호를 통해 인식된 특정숫자 또는 특정문자를 백라이트 발광을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는 키패드부, 또는 상기 입력신호를 통해 인식된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k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ed upper side, a cylindrical push button seated inside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moved laterally, a conductor coupled along an outer wall of the push button, And a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which are arrang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conductor and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erein when the pusher contacts the contact switch, A first input mode for inputting a specific number or a specific character and a second input mode for inputting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is activated when the first input mode is set, If the two input mode setting signal input activating only a portion of the multiple-contact switch; Wherein the first input mode and the second input mode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act switche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outputs a specific pattern,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s an input password And outputs a lock release signal when the recognized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 drive unit for receiving the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driving the lock unit to be unlocked, wherein the later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push button, F may include a first password set and a second password preset in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a specific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displaying a specific character through backlit light emission.
The keypad unit may include a keypad unit for directly inputting a password or displaying a specific number or a specific character recognized through the input signal through backlight emiss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attern drawn along the direction.
삭제delete
또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신호입력부의 엔터키로 동작하는 돔키를 구비하고, 상기 밀기버튼을 관통하여 상기 돔키에 안착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further include a push button that i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dome key operated as an enter key of the signal input unit and is seated on the dome key through the push butt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콘통신모듈(beacon communication modu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휴대단말기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receive a password from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신호입력부는 출입 문, 가구 또는 서랍의 문 또는 상기 문의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ignal input unit may be installed at a door of a door, a door of a furniture or a drawer, or a handle of the doo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워드 입력 시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제3 자에게 노출되거나 인지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이 보다 강화된 디지털 시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gital key device in which security is enhanced by preventing a password input when a password is input from being exposed or recognized by a third part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의 다양한 타입과 그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패스워드 입력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과 신호 입력부의 신호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gital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digital key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ssword input mode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and a signal input method of the signal input unit.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applicant will now describe in detail the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의 다양한 타입과 그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패스워드 입력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과 신호 입력부의 신호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gital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digital key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ssword input mode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and a signal input method of the signal input uni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1000)는 신호 입력부(100), 제어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시건 장치(1000)는 키패드부(400A) 또는/및 디스플레이부(4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5, a
상기 신호 입력부(100)는 하우징(110, 120), 밀기 버튼(130), 도전체(14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신호 입력부(100)는 탄성부재(160)와 누름 버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하우징(110, 120)은 대략 납작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0)는 중앙부에는 상기 밀기 버튼(130)의 상부가 노출 및 돌출되기 위한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상기 하부 커버(120)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0)의 외측벽에는 상기 체결홈(112)과 각각 체결되는 체결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0)의 바닥면에는 고정봉(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123)은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 둘레를 따라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0)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접점 스위치(151)가 구비된 연성인쇄회로기판(15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밀기 버튼(130)은 상기 하우징(110, 120)의 내부에 안착되고, 상부 버튼(131)과 하부 버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버튼(131)은 상기 상부 커버(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110)의 상부로 노출 및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버튼(132)은 상기 하우징(110, 120)의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고정봉(152)과 탄성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기 버튼(130)에는 상기 상부 버튼(131)과 하부 버튼(132)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버튼(131)과 하부 버튼(132)은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버튼(131)이 상기 하부 버튼(132)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기 버튼(130)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측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The
상기 도전체(140)는 상기 하부 버튼(132)의 내측벽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부 버튼(132)의 외측벽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체(140)에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의 접점 스위치(151)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14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은 상기 하부 버튼(132)의 내측벽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도전체(141)의 돌출단(141)과 대향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접점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은 돔키(152)와 커넥터(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printed
상기 접점 스위치(151)들은 상기 밀기 버튼(130)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시계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점 스위치(151)들은 12시, 1~2시 사이, 3시, 4~5사이, 6시, 7~8시 사이, 9시, 10~11시 사이를 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총 8개의 접점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스위치(151)들은 상, 하, 좌, 우를 향하는 위치 각각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총 4개의 접점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점 스위치(151)들가 8개로 구성되되, 상, 하, 좌, 우와 대응하는 12시, 3시, 6시, 9시를 향하는 위치에 배열된 접점 스위치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접점 스위치(151)가 8개로 모두 활성화되는지(모드1) 또는 4개만 활성화되는지(모드2)에 따른 상기 신호 입력부(110)의 입력 모드를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접점 스위치(151)의 배열 구성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상기 접점 스위치(151)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 상에 상기 도전체(141)의 돌출단(141)과 대향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와는 다른 개수를 가지고 각각 배열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밀기 버튼(130)은 외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스위치(151)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전체(140)의 돌출단(141)과 접촉됨으로써 접속되고, 접속된 접점 스위치(151)에 각각 할당된 해당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 스위치(151)에 할당된 입력신호들은 상기 제어부(200)를 통하여 특정 숫자, 특정 문자, 특정 방향 또는 그 특정 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5, when the
상기 돔키(152)는 상기 하부 커버(120)의 바닥면 중심부에 안착되고, 상기 누름 버튼(171)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돔키(152)에 할당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돔키(152)와 누름 버튼(170)은 엔터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밀기 버튼(130)과 접점 스위치(151)를 통해 패스워드 입력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돔키(152)와 누름 버튼(170)을 통해 패스워드 입력완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200)가 패스워드 입력신호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The
상기 커넥터(153)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과 제어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밀기 버튼(130)과 접점 스위치(151)를 통해 발생된 패스워드 입력신호와 상기 돔키(152)와 누름 버튼(170)을 통해 발생된 패스워드 입력완료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밀기 버튼(13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상기 도전체(140)와 접점 스위치(151)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 버튼(13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밀기 버튼(13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 버튼(130)은 상기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체(140)와 접점 스위치(151)가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상기 누름 버튼(170)는 상기 밀기 버튼(130)의 관통구(113a)를 통해 삽입되는 누름봉(171)과, 상기 누름봉(17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돔키(152)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17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눌려지는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50)에서 발생된 패스워드 입력신호를 특정숫자, 특정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으로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숫자, 특정 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잠금해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비콘 통신 모듈(beacon communication module)(210)이 설치되어 상기 밀기 버튼(130)과 누름 버튼(170)이 아닌, 휴대 단말기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패스워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건 장치(1000)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해당 앱이 자동 실행되고, 실행된 앱을 통해 특정숫자, 특정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 등과 같이 표현되는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시건 장치(1000)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건 장치(1000)가 설치된 출입문, 가구 또는 서랍 등이 강제로 열리거나 상기 시건 장치(1000)가 파손될 경우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시건 장치(10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전력을 공급 받아 구동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상기 잠금 해제 신호에 따른 동작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디지털 시건 장치(1000)의 잠금부가 열리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의 다양한 타입과 그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패스워드 입력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As described abov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digital key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ssword input mode of a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건 장치(100)는 A, B, C, D 타입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A, B, C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는 모드 1(mode 1)로 동작할 수 있으며, D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는 모드 2(mode 2)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B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는 모드 2(mode 2)로도 동작 가능하다.The
상기 A 타입의 시건 장치에는 신호 입력부(100) 및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부(400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A 타입의 시건 장치의 경우 상기 키패드부(400A)를 이용하여 기존과 같이 사용자가 키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A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모드 1).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입력부(100)에는 8개의 접점 스위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기 버튼(130)을 해당 접점 스위치를 향해 밀어 줌으로써 패스워드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가 ‘1627’일 경우 상기 밀기 버튼(130)을 ‘1→6→2→7’순서로 대략 1초 동안씩 밀어준 후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누름 버튼(170)을 눌러 패스워드의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5/4’번과 ‘9/0’번에 해당하는 접점 스위치는 상기 밀기 버튼(130)으로 약 1초간 누를 경우 ‘4’번과 ‘9’번으로 인식되며, 2초간 누를 경우 ‘5’번과 ‘0’번으로 인식될 수 있다. 물론, 상기 A 타입의 시건 장치는 특정 숫자뿐만 아니라 특정 문자에 대한 입력도 가능하다. Also, a password can be input through the A-type signal input unit 100 (mode 1).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A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를 통해 특정 방향에 대한 입력도 가능하며(모드 2),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특정 방향에 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그려진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기 버튼(130)을 통해 ‘3?2?1?4?7?8?9’번을 각각 입력하고 상기 누름 버튼(170)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된 해당 숫자로 그려진 문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식된 문자 패턴은 ‘ㄷ’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키패드부(400A)는 백라이트 발광을 통해 ‘3, 2, 1, 4, 7, 8, 9’번 키패드를 점등함으로써 상기 A 타입의 시건 장치가 인식한 문자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ype
상기 B 타입의 시건 장치에는 신호 입력부(100)와 디스플레이부(400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B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는 상기 A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와 마찬가지로 패스워드와 문자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타입의 신호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문자 패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B)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상기 C 타입의 시건 장치에는 상기 키패드부(400A)와 디스플레이부(400B) 없이 신호 입력부(100)만 설치되어, 신호 입력부(100)를 통한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C 타입의 시건 장치의 경우 패드워드의 입력에 대한 흔적이나 내용을 제3 자가 전혀 알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In the C type touch screen device, only the
한편, 상기 C 타입의 시건 장치는 키패드부(400A)나 디스플레이부(400B)가 설치되지 않거나 상기 A 및 B 타입의 시건 장치에서 키패드부(400A)나 디스플레이부(400B)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The C type keying device is implemented by disabling the functions of the
이러한 A, B, C 타입의 시건 장치는 출입문, 가구 또는 서랍 등의 문쪽에 설치될 수 있다. These type A, B, C type locking devices can be installed at doors such as doors, furniture or drawers.
상기 D 타입의 시건 장치는 상기 밀기 버튼(100)에 대한 특정 방향을 입력할 수 있다(모드 2). 이러한 경우 패스워드는 특정 방향 자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상, 하, 좌, 우’ 순서의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밀기 버튼(170)을 ‘상, 하, 좌, 우’ 순서로 밀고 나서 상기 누름 버튼(170)을 눌러 패스워드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D 타입의 패스워드는 ‘상, 하, 좌, 우’뿐만 아니라, ‘우, 좌, 하, 상’ 순서의 값으로 미리 설정하거나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될 수 있다. The type D pushing device can input a specific direction to the push button 100 (mode 2). In this case, the password can be a specific direction itself. For example, the password may be a value in the order of 'up, down, left, right' and the user may push the
이러한 D 타입의 시건 장치는 출입문, 가구 또는 서랍 등의 문 손잡이에 설치되어 간단한 방향 조작을 통해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Such a D typ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a door handle of a door, a furniture or a drawer, and can unlock the door through a simple directional opera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기 방식의 입력 버튼을 통해 패스워드 입력 또는 입력 행위가 제3 자에게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word input or input action is not exposed to the third party through push-type input buttons, thereby enhancing security.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출입문, 사무용 가구, 가정용 가구 또는 가방 등 잠금을 필요로하는 모든 시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ll locking devices requiring locks such as doors, office furniture, household furniture or bag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시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digital k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deviated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0: 디지털 시건 장치
100: 신호 입력부
110, 120: 하우징
130: 밀기 버튼
140: 도전체
150: 연성인쇄회로기판
160: 탄성부재
170: 누름 버튼
200: 제어부
210: 비콘 통신 모듈
300: 구동부
400A: 키패드부
400B: 디스플레이부
400C, 400C': 배터리부
400D: 모터부1000: Digital keying device
100: Signal input section
110, 120: housing
130: push button
140: conductor
15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60: elastic member
170: push button
200:
210: Beacon communication module
300:
400A:
400B:
400C, 400C ': battery part
400D:
Claims (5)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 중 활성화된 접점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스위치 중 입력신호가 발생된 접점스위치와 대응하는 해당 특정숫자, 특정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을 각각 출력하고, 출력된 특정숫자, 특정 문자,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을 입력패스워드로 인식하며, 인식된 입력패스워드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가 서로 일치할 경우 잠금해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시건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은 상기 밀기버튼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이며,
상기 패스워드는 특정문자 또는 특정숫자로 미리 설정된 제1 패스워드와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특정패턴으로 미리 설정된 제2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
A push button in the form of a cylinder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moved laterally, a conductor coupl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push button, and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facing the conductor And a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each of which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ich generates an input signal assigned to the contact switch when the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utton, A mode is set for a first input mode for inputting a specific number or a specific character and a second input mode for inputting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Wherein when the mode is set, all of the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are activated, and when the second input mode is set, Only some signal input activating the switch;
Wherein the first input mode and the second input mode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act switche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outputs a specific pattern, a specific character,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the specific direction as an input password And outputs a lock release signal when the recognized input password and the preset password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nd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driving the locking unit to unlock,
The lateral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push button,
Wherein the password includes a first password preset to a specific character or a specific number and a second password preset to a specific pattern drawn along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direction.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입력신호를 통해 인식된 특정숫자 또는 특정문자를 백라이트 발광을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또는 상기 입력신호를 통해 인식된 특정방향 또는 상기 특정방향을 따라 그려진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eypad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directly inputting a password or displaying a specific number or a specific character recognized through the input signal by backlight emiss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rawn pattern.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신호입력부의 엔터키로 동작하는 돔키를 구비하고,
상기 밀기버튼을 관통하여 상기 돔키에 안착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dome key th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operates as an enter key of the signal input unit,
And a push button that is pushed through the push button to be seated on the dome key.
상기 제어부는 비콘통신모듈(beacon communication modu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휴대단말기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beacon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 password from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eacon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신호입력부는 출입 문, 가구 또는 서랍의 문 또는 상기 문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input unit is installed at an entrance door, a door of a furniture or a drawer, or a handle of the d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18U KR200479521Y1 (en) | 2015-01-07 | 2015-01-07 | Digital lock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18U KR200479521Y1 (en) | 2015-01-07 | 2015-01-07 | Digital lock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521Y1 true KR200479521Y1 (en) | 2016-02-15 |
Family
ID=5535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1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521Y1 (en) | 2015-01-07 | 2015-01-07 | Digital lock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521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226843A (en) * | 2008-01-06 | 2008-07-23 | 余义伦 | Input controller for digital and character |
KR101425949B1 (en) * | 2012-08-24 | 2014-08-05 | (주)아이티버스 | Pushing type signal input device |
-
2015
- 2015-01-07 KR KR2020150000118U patent/KR20047952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226843A (en) * | 2008-01-06 | 2008-07-23 | 余义伦 | Input controller for digital and character |
KR101425949B1 (en) * | 2012-08-24 | 2014-08-05 | (주)아이티버스 | Pushing type signal inpu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44890B1 (en) | Keypa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pad module | |
KR100652755B1 (en) | Backlit touch and push input cell phones | |
CN106255789A (en) | The use of touch-surface and the electronic lock of abrasion equilibrium is carried out by random code input | |
KR100757448B1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425949B1 (en) | Pushing type signal input device | |
US9535466B2 (en) | Electronic assembly | |
JP5545673B2 (en) | Power window switch | |
RU2707492C2 (en) | Motion-based capacitive sensor system | |
CN106968534A (en) | Door handle | |
US20170332499A1 (en) | Module and electronic key using module | |
US20220254213A1 (en) |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Lock | |
KR20090103185A (en) | Mobile terminal having a moving keypad | |
KR200479521Y1 (en) | Digital locking device | |
CN109710098B (en) | Touch button with display screen and household appliance | |
CN206460437U (en) | Infrared in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terminal | |
KR100797673B1 (en) | Modular input device,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ler with same | |
CN103061616A (en) | Electronic lock device | |
CN103061615A (en) | Anti-theft method | |
CN211087052U (en) | Electronic equipment | |
CN108536457B (en) | Intelligent door lock | |
TW554360B (en) | Selector switch, especially a four-or multi-position switch | |
JP2006510245A (en) |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in particular, module with input device, mobile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 |
US20160155583A1 (en) |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key using same | |
JP5048549B2 (en) | Electronics | |
KR200373352Y1 (en) | A Electronic Door Lock Unit Having Automatic Mode Structure and Manual Mod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1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303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2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9111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