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8209Y1 -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09Y1
KR200478209Y1 KR2020130009777U KR20130009777U KR200478209Y1 KR 200478209 Y1 KR200478209 Y1 KR 200478209Y1 KR 2020130009777 U KR2020130009777 U KR 2020130009777U KR 20130009777 U KR20130009777 U KR 20130009777U KR 200478209 Y1 KR200478209 Y1 KR 200478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ope
heavy
door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138U (ko
Inventor
황기복
Original Assignee
황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복 filed Critical 황기복
Priority to KR2020130009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0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중량 도어와, 상기 고중량 도어에 구동휠을 설치하여 수평좌우로 이동시켜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는 구동휠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홈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고정편이 형성된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모터에 회전롤러가 연결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구동부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와 대응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보조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보조롤러에 연결되어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키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작동으로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와 고중량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에 로프가 삽입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레일의 홈과 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롤러와 보조롤러에 감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구동부의 회전롤러와 보조롤러를 로프로 연결한 다음, 상기 로프와 고중량 도어를 연결하여, 로프의 작동에 따라 고중량 도어가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레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에 따른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을 마련하고, 상기 구동부를 슬라이딩 작용시키기 위해 작동모터를 구비하여 좌우수평 작동할 수 있음으로써, 로프가 항상 평평한 상태에서 작동시켜 도어의 개폐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로프를 교체할 시, 아주 용이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Rail apparatus of heavy weight dooor}
본 고안은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방폭문, 기밀문이나 차수문 등과 같은 고중량의 무게를 가진 특수도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개폐작업을 할 수 있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중량 도어는 재난방지 및 특수시설의 방호를 위한 특수제작하는 특수문으로써, 미닫이 타입이나 여닫이 타입으로 특수 목적에서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수문의 종류는 방폭문 (BLAST PROOF DOOR), 방탄문 (BULLET RESISTANT DOOR), 차수문 (WATER RESISTANT DOOR) / 차수판(WATER RESISTANT PLATE), 기밀문 (AIR/GAS TIGHT DOOR), 차폐문 (RADIATION SHIELD DOOR), 방화문 (FIRE DOOR)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수 도어 중, 차수문은 기존건물, 신축건물의 침수방지의 가장 효과적인 대안으로써 건축물과 시설물의 침수로 인한 인명이나, 시설의 피해를 경감시키며, 국가적으로 연간 수천억의 예산절감 효과를 가진다.
차수문은 승각식 또는 벽면으로부터 여닫이 타입, 미닫이 타입으로 시공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여닫이 타입의 차수장치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미닫이 타입의 차수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살피면, 출입구를 지면과 양측벽이나 일측벽으로 유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작된 양측 또는 일측에 수밀부재가 부착된 차수문과, 상기 차수문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과, 상기 차수문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양측벽 차수문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수문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설치가 난이할 뿐더러, 한 쌍의 회동부재와 연결된 롤러체인이 작용함과 동시에, 각종 톱니 형태의 기어들이 연동되어 작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기어들의 이 부분이 마모되어 차수문을 이동시키는데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단에 구동모터 축에 회전롤러가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와 대응하여 일정한 거리를 갖고 구비되는 보조롤러를 마련하여, 상기 회전롤러와 보조롤러를 로프로 연결하되, 상기 로프 외주면에 고정부를 마련하여 고중량 도어와 고정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고중량 도어가 로프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레일장치 제공함으로써, 각종 지하공간에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로프와 고중량 도어가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로프의 작용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중량 도어를 이동할 수 있어, 종래의 각종 부품이 연결되어 상호 작용함으로 부품이 고장나 제대로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보다 신속하게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중량 도어와, 상기 고중량 도어에 구동휠을 설치하여 수평좌우로 이동시켜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는 구동휠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홈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고정편이 형성된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모터에 회전롤러가 연결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구동부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와 대응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보조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보조롤러에 연결되어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키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작동으로 고중량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와 고중량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에 로프가 삽입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레일의 홈과 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롤러와 보조롤러에 감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구동부의 회전롤러와 보조롤러를 로프로 연결한 다음, 상기 로프와 고중량 도어를 연결하여, 로프의 작동에 따라 고중량 도어가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레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에 따른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을 마련하고, 상기 구동부를 슬라이딩 작용시키기 위해 작동모터를 구비하여 좌우수평 작동할 수 있음으로써, 로프가 항상 평평한 상태에서 작동시켜 도어의 개폐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로프를 교체할 시, 아주 용이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발취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의 작용 후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가 안내부에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중량 도어(10)와, 상기 고중량 도어(10)에 구동휠(11)을 설치하여 수평좌우로 이동시켜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11)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레일부(20); 상기 레일부(20)는 구동휠(11)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홈(21a)이 형성된 레일(21)과, 상기 레일(21)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고정편(22a)이 형성된 보호케이스(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20)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모터(31)에 회전롤러(32)가 연결된 구동부(30);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부(30)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35)와, 상기 안내부(35)에 구동부(30)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20)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30)와 대응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보조롤러(40)와, 상기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에 연결되어 고중량 도어(10)를 이동시키는 로프(50)와, 상기 로프(50)의 작동으로 고중량 도어(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50)와 고중량 도어(10)를 고정하는 고정부(7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0)에 로프(50)가 삽입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레일(21)의 홈(21a)과 보호케이스(22)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에 감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럼, 본 고안에 구성요소 및 결합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레일부(20), 구동부(30), 보조롤러(40), 로프(50), 고정부(70)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일부(20)는 지하공간 바닥이나 고중량 도어(10)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며, 보통 고중량 도어(10)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휠(11)이 안내되기 위해 홈(21a)이 형성된 레일(21)이 마련되고, 본 고안의 특성상 로프(50)를 안내 및 보호하기 위해 레일(21) 하부에 보호케이스(2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1)의 축에 회전롤러(32)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롤러(3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프(5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부(30)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로프(50)를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해 안내부(35)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부(35)에서 구동부(30)가 좌 또는 우로 안내되는 작용 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롤러(40)는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에 연결된 회전롤러(32)와 상호 대응되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레일부(2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1)의 작용에 따라 회전롤러(32)와 상호 작용하여 로프(50)를 작동시켜 고중량 도어(10)를 레일(21)에 따라 수평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70)는 로프(50)와 고중량 도어(10) 일측면에 고정설치되어, 로프(50)의 이동에 따라 고중량 도어(10)를 수평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레일부(20)에 로프(50)가 삽입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0)를 구성하는 레일(21)의 홈(21a)에 상부측 로프(50)가 삽입관통한 다음, 보조롤러(40)를 감싼 후, 보호케이스(22) 내부로 하부측 로프(50)가 삽입관통하여 구동부(30)의 회전롤러(32)에 감기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로프(5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보호케이스(22) 내부에 한 쌍의 고정편(22a)을 추가로 연결형성할 수도 있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도면상 회전롤러(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 및 로프(50)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로프(5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고정부(70)에 의해 로프(50)와 고정된 고중량 도어(10)가 좌측으로 레일(21)을 따라 이동하여 공간을 폐쇄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도면상 회전롤러(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 및 로프(50)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로프(5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고정부(70)에 의해 로프(50)와 고정된 고중량 도어(10)가 좌측으로 레일(21)을 따라 이동하여 공간을 폐쇄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에서 항상 로프(50)가 평평한 상태에서 작동하기 위해 안내부(35)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35)에 구동부(30)를 연결설치하여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킨 후, 로프(50)를 평평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6)로 고정함으로써, 로프(50)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로프(50) 교체시에, 아주 용이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고중량 도어(10)를 수평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하공간 바닥에 레일부(2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부(20) 일측에 구동부(30) 마련하고, 레일부(20)의 타측에 보조롤러(40) 마련하되, 상기 구동부(30)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롤러(40)를 마련한 다음, 로프(50)로 각각 연결시켜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고중량 도어(10)를 수평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간단해 설치가 용이한 뿐더러, 로프(50)가 항상 평평한 상태에서 작동시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로프(50)를 교체할 시, 아주 용이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고중량 도어
11: 구동휠
20: 레일부
21: 레일
22: 보호케이스
30: 구동부
31: 구동모터
32: 회전롤러
40: 보조롤러
50: 로프
70: 고정부

Claims (4)

  1. 고중량 도어(10)와, 상기 고중량 도어(10)에 구동휠(11)을 설치하여 수평좌우로 이동시켜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11)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레일부(20);
    상기 레일부(20)는 구동휠(11)이 안내되기 위해 마련된 홈(21a)이 형성된 레일(21)과, 상기 레일(21)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고정편(22a)이 형성된 보호케이스(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20)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모터(31)에 회전롤러(32)가 연결된 구동부(30);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부(30)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안내부(35)와, 상기 안내부(35)에 구동부(30)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20)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30)와 대응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보조롤러(40)와,
    상기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에 연결되어 고중량 도어(10)를 이동시키는 로프(50)와,
    상기 로프(50)의 작동으로 고중량 도어(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50)와 고중량 도어(10)를 고정하는 고정부(7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0)에 로프(50)가 삽입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레일(21)의 홈(21a)과 보호케이스(22)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롤러(32)와 보조롤러(40)에 감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9777U 2013-11-27 2013-11-27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78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77U KR200478209Y1 (ko) 2013-11-27 2013-11-27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77U KR200478209Y1 (ko) 2013-11-27 2013-11-27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38U KR20150002138U (ko) 2015-06-04
KR200478209Y1 true KR200478209Y1 (ko) 2015-09-08

Family

ID=5351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777U Expired - Lifetime KR200478209Y1 (ko) 2013-11-27 2013-11-27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001A (zh) * 2019-08-27 2019-11-29 霍山知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人工开闭的智能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82B1 (ko) * 2006-08-31 2008-04-14 남기원 하부 구동형 자동문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82B1 (ko) * 2006-08-31 2008-04-14 남기원 하부 구동형 자동문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38U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JP2013159911A (ja) 開口部用防水装置
US20210123285A1 (en) Swing door operator
KR101493000B1 (ko)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US2346388A (en) Gate drive
CN104100197B (zh) 悬浮平移门
KR200478209Y1 (ko)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JP2016079641A (ja) 開口部の止水構造
JP2011157741A (ja) 引き戸式ドア装置
CN209277773U (zh) 一种防火卷帘门
CA3049323A1 (en) Insulated door
CN206955404U (zh) 电梯多功能防护门
KR101472211B1 (ko) 자동 개폐창문
KR20170000639A (ko) 도어의 개폐구조
KR200478596Y1 (ko) 도어의 개폐구조
KR101267612B1 (ko) 방폭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KR100820989B1 (ko) 방화도어 무빙프레임 시스템
KR20200021566A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CN203583317U (zh) 一种保温料箱
CN103807991B (zh) 空调器及其开关门驱动装置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KR200489460Y1 (ko) 배연창 개폐장치
KR101736286B1 (ko) 차수문
CN205532115U (zh) 一种用于井下避难硐室的阻燃防爆推拉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1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5021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9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