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7690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90Y1
KR200477690Y1 KR2020140004095U KR20140004095U KR200477690Y1 KR 200477690 Y1 KR200477690 Y1 KR 200477690Y1 KR 2020140004095 U KR2020140004095 U KR 2020140004095U KR 20140004095 U KR20140004095 U KR 20140004095U KR 200477690 Y1 KR200477690 Y1 KR 200477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main body
insertion 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창
Original Assignee
김남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창 filed Critical 김남창
Priority to KR2020140004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너트지지편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너트 및 고정부재를 순서대로 삽입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지지편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너트가 커버고정용 볼트 결합시 상기 볼트와 부합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본체와 커버를 손쉽고 편리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본체에 삽입되는 너트의 위치가 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버고정용 볼트 결합시 너트 위치에 의한 제품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본 고안은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성형 또는 너트 삽입 상태가 불량인 경우 본체로부터 너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본체와 커버를 손쉽고 편리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본체에 삽입되는 너트의 위치가 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결합할 때 너트 위치에 의해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옥내/외의 벽면 또는 기계장치 등의 중간에 설치되어, 텔레비전(TV) 분배기 또는 각종 통신용단자 등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함은 본체 내에 내용물을 수납한 후 커버를 조립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단자함은 본체 또는 커버 일부에 암나사홈을 형성한 후 본체와 커버가 조립된 상태에서 볼트를 암나사홈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본체와 커버의 조립 및 분리가 수 차례 이루어지면서 암나사홈이 파손되어 이후 볼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체와 커버가 조립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 너트를 삽입된 채 성형하는 인서트(insert) 성형을 하고, 볼트가 커버를 관통하여 본체 내부에 내삽된 너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단자함은, 본체를 내부에 너트가 미리 삽입된 상태로 성형해야 하므로, 본체 성형이 불량하거나 성형시 내삽된 너트의 위치가 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가 되면, 커버를 관통하여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가 너트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여 본체와 커버가 조립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 단자함을 폐기하는 대신에 자원절약을 위해 성형된 본체를 녹인 후 설계대로 다시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본체 내부에 삽입된 너트를 제거하기 위해 일일이 너트 삽입부를 파쇄하여 본체로부터 너트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이는 제품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볼트가 커버를 거쳐 본체에 마련된 암나사홈에 결합되어, 본체와 커버가 조립되는 구조를 각각 개시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1-0117921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3-0081087호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본체의 성형 또는 너트 삽입 상태가 불량인 경우 본체로부터 너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본체와 커버를 손쉽고 편리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결합할 때 너트 위치에 의해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벽면부를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면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관통공은 내부에 너트지지편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볼트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너트지지편에 의해 걸림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너트;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상단에 볼트삽입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너트지지편에 지지되어 있는 너트를 상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의 볼트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상측 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지지편에 지지되어 있는 너트와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벽면부의 상면에 상기 벽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형돌기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상기 선형돌기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선형의 결합홈; 및 상기 선형돌기부와 상기 결합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밀착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패킹;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관통공은, 상기 벽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지점까지 형성되는 볼트삽입구와, 상기 볼트삽입구에서 상기 벽면부의 하면까지 형성되되 상기 볼트삽입구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너트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삽입구와 상기 너트삽입구의 경계가 되는 단턱이 상기 너트를 걸림 지지하는 너트지지편이 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결합공에 걸림 지지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볼트삽입구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벽면부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외부설비 고정용 볼트를 위한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너트지지편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너트 및 고정부재를 순서대로 삽입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지지편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본체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결합할 때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성형 또는 너트 삽입 상태가 불량인 경우 본체로부터 너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상기 본체와 커버를 손쉽고 편리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너트의 위치가 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의 본체 내부에 너트를 미리 삽입하는 경우 너트 위치에 의해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자함의 본체, 커버, 너트, 고정부재 및 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자함의 본체, 커버, 너트, 고정부재 및 볼트의 결합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의 커버의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상에 표시된 T, L 및 W는 각각 두께 방향,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의하며, 본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이에 대해 커버가 위치하는 방향은 상측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자함의 본체, 커버, 너트, 고정부재 및 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자함의 본체, 커버, 너트, 고정부재 및 볼트의 결합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커버의 평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자함(1)은, 본체(1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자함(1)은 본체(10)에 커버를 고정시켜 본체(10)의 닫힌 상태가 연속하여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40), 너트(51), 및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베이스부(11) 및 베이스부(11)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벽면부(12-15)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는 베이스부(11)와 벽면부(12-15)가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본체(10)는 베이스부(11)와 벽면부(12-15)를 구분하여 제작한 후 베이스부(11)의 테두리에 각각의 벽면부(12-15)를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도록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 및 벽면부(12-15)의 구성에 의해,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대체로 사각박스 형상의 수납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에는 텔레비전 분배기, 각종 통신용 단자, 다수의 케이블 또는 케이블 연결기구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본체(10)는 옥내/외의 벽면 또는 기계장치 중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벽면부(12-15)는 내부에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8a-18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8a-18d)은 복수의 볼트(40)와 너트(51)의 결합이 단자함(1) 전체에 균형 있게 분산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된 벽면부(12-15)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하나씩 네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관통공의 위치와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 관통공은 동일한 벽면부에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볼트(40)는 머리부(40a), 머리부(40a)에서 하향 연장되며 관통공(18a-18d)의 상측 입구를 통해 결합되는 몸체부(40b), 및 몸체부(40b)에서 하향 연장되며 너트(51)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부(40c)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51)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통공(18a-18d)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후술하는 너트지지편에 의해 걸림되어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고정부재(50)는 육각형상의 몸체(50a)를 구비하며, 소정 길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너트삽입구의 길이에서 너트의 두께를 제외한 길이를 갖는 고정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50)의 전체 길이가 이보다 작은 경우 관통공(18a-18d)으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렵고, 고정부재(50)의 길이가 이보다 긴 경우 베이스부(11) 밖으로 고정부재(50)의 몸체(50a)의 하단부가 돌출되므로, 본체(10)를 옥내/외의 벽면 또는 기계장치 중간 등에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50)는, 몸체(50a)의 상단에, 관통공(18a-18d)에 너트(51)를 삽입한 상태에서 관통공(18a-18d)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후술하는 너트 지지편에 상단이 지지되어 있는 너트(51)의 저면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돌기(50b)가 구비된다. 지지돌기(50b)는 너트(51)가 관통공(18a-18d)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돌기(50b)는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볼트삽입홈(50c)이 형성되어 이 볼트삽입홈(50c)에는 너트(51)를 관통하여 하향 돌출되는 볼트(40)의 나사산부(40c)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관통공(18a-18d)의 구조 및 볼트(40)와 너트(51)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관통공(18a-18d)의 구조가 대동소이하므로, 하나의 관통공(18b)만 도시하여 설명하고. 이하 다른 관통공(18a, 18c-18d)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 예컨대 커버(30)가 배치되는 벽면부(12)의 상면과 가까운 지점에서, 관통공(18b)의 내부에는 너트지지편(183b)이 형성된다.
너트지지편(183b)에 의해, 관통공(18b)은 본체(10)의 벽면부(1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너트지지편(183b)이 위치한 지점까지 형성되는 볼트삽입구(181b)와, 본체(10)의 벽면부(12)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너트지지편(183b)이 위치한 지점까지 형성되는 너트삽입구(182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볼트삽입구(181b)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볼트(40)의 몸체부(40b) 및 나사산부(40c)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너트삽입구(182b)는 너트(5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육각형상의 너트와 고정부재를 사용하므로, 너트삽입구(182b)도 육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관통공(18a-18d)은, 너트삽입구(182b)의 직경이 볼트삽입구(181b)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에 너트삽입구(182b)와 볼트삽입구(181b)의 경계는 단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은 너트(51)가 안착되는 너트지지편(183b)이 된다. 다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관통공은 상기 너트 삽입구와 볼트삽입구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등 필요시 여러 형태로 구조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벽면부(12-15)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는 본체(10)를 벽면 또는 외부 기계와 같은 외부설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용 볼트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홈(19, 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9, 20)은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외부설비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30)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을 닫기 위한 것이며, 본체(10)와 대응되는 대체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0)에는 본체(10)의 벽면부(12-15)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8a-18d)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결합공(31-3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볼트결합공(31-34)은 내부에 볼트(40)의 몸체부(40b) 및 나사산부(40c)만 통과될 수 있는 직경의 관통공(31b-34b)을 갖는 볼트지지편(31a-34a)이 형성된다. 이에 볼트결합공(31-34)은 볼트지지편(31a-34a)을 기존으로 상측에 볼트(40)의 머리부(40a)가 걸림되어 안착 지지되는 머리지지부와 하측에 볼트(40)의 몸체부(40b) 및 나사산부(40c)가 관통하는 몸체관통부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40)의 몸체부(40b)는 상기 몸체관통부를 거쳐,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의 벽면부(12-15)에 형성된 관통공(18a-18d)의 상측 입구인 볼트삽입구(181b)를 통해 삽입되어, 볼트(40)의 하단부인 나사산부(40c)가 너트삽입구(182b)에 내삽되어 있는 너트(51)에 나사 결합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단자함(1)은, 너트삽입구(182b)에 너트(51)를 삽입한 후 이어서 고정부재(50)를 너트삽입구(182b)에 끼워 넣어 고정부재(50)의 지지돌기(50b)가 너트(51)를 상측으로 밀어 너트(51)가 관통공(18a-18d)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한 후, 본체(10) 상면에 커버(30)를 덮고 볼트결합공(31-34)과 관통공(18a-18d)을 통하여 각각의 볼트(40)를 삽입하여 볼트(40)의 나사산부(40c)가 너트삽입구(182b)에서 너트지지편(183b)과 고정부재(50)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51)와 결합됨으로써, 본체(10)와 커버(30)의 닫힘 상태가 연속하여 유지된다. 이때, 볼트(40)에서 너트(51)와 결합된 후 하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산부(40c)의 일부는 고정부재(50)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삽입홈(50c)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너트(51)가 너트지지편(183b)과 고정부재(50)에 의해 볼트(40)와 결합되는 부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본체(10)와 커버(30)를 간단한 볼트/너트 결합을 통해 손쉽고 편리하게 조립/분리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본체 내부에 너트를 미리 삽입한 후 성형되는 구조의 단자함에서 상기 너트가 상기 본체 내부에 휘거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어 발생되던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b을 참조하면, 본체(10)의 벽면부(12-15)의 상면(16)에 벽면부(12-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선형돌기부(17)가 형성되고, 커버(30)의 하면에는 선형돌기부(17)와 대응되게 선형의 결합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볼트(40) 결합 전에 본체(10)의 선형돌기부(17)와 커버(30)의 결합홈(35)을 끼움 결합하여 본체(10)와 커버(30)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볼트(40)와 너트(51)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본체(10)와 커버(30)의 조립 및 분리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홈(35)에는 필요시 선형돌기부(17)가 밀착 끼움 결합되도록 패킹(36)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단자함
10 ; 본체
11 ; 베이스부
12-15 ; 벽면부
17 ; 선형돌기부
18a-18d ; 관통공
19, 20 ; 고정홈
30 ; 커버
31-34 ; 볼트결합공
31a-34a ; 볼트지지편
31b-34b ; 관통공
40 ; 볼트
40a ; 머리부
40b ; 몸체부
40c ; 나사산부
50 ; 고정부재
50a ; 몸체
50b ; 지지돌기
50c ; 볼트삽입홈
51 ; 너트
181b ; 볼트삽입구
182b ; 너트삽입구
183b ; 너트지지편

Claims (5)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벽면부를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벽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지점까지 형성되는 볼트삽입구와, 상기 볼트삽입구에서 상기 벽면부의 하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볼트삽입구에 비해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너트와 대응되는 각형상 및 직경의 단면을 갖는 각형상의 너트삽입구와, 상기 볼트삽입구와 상기 너트삽입구의 경계가 되고 상기 너트의 상면이 걸림 지지되도록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너트지지편을 포함하는 복수의 관통공;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볼트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너트지지편에 의해 걸림되어 지지되는 각형상의 복수의 너트;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측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단에 상부 중앙부분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삽입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너트지지편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너트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상기 커버의 볼트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상측 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지지편에 지지되어 있는 너트와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 및
    상기 벽면부의 대각선 방향 모서리에는 상기 본체를 외부설비에 고정하는 외부설비 고정용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너트삽입구에 너트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너트삽입구에 끼워 넣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너트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너트가 상기 관통공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벽면부의 상면에 상기 벽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형돌기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상기 선형돌기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선형의 결합홈; 및 상기 선형돌기부와 상기 결합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선형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밀착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패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결합공에 걸림 지지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볼트삽입구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5. 삭제
KR2020140004095U 2014-05-29 2014-05-29 단자함 KR200477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95U KR200477690Y1 (ko) 2014-05-29 2014-05-29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95U KR200477690Y1 (ko) 2014-05-29 2014-05-29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90Y1 true KR200477690Y1 (ko) 2015-07-09

Family

ID=5379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95U KR200477690Y1 (ko) 2014-05-29 2014-05-29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8324A (zh) * 2018-06-05 2018-09-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箱体及电动车
KR20190048478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05Y1 (ko) * 2006-05-24 2006-08-02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KR200450185Y1 (ko) * 2008-06-19 2010-09-09 강성근 분전반용 부스바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05Y1 (ko) * 2006-05-24 2006-08-02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KR200450185Y1 (ko) * 2008-06-19 2010-09-09 강성근 분전반용 부스바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78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KR102066967B1 (ko) * 2017-10-31 2020-01-16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CN108598324A (zh) * 2018-06-05 2018-09-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箱体及电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1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US8967567B2 (en) Bracket pin assembly
US20080076304A1 (en) Assembly structure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200477690Y1 (ko) 단자함
US8348210B1 (en) Positioning device for shelves
US20070158630A1 (en) Post and rod linking device for a railing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CN104473433A (zh) 一种桌子连接件、桌架、桌子及桌子的安装方法
KR101783661B1 (ko) 대각형 제품 조립용 고정 플레이트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EP2149952A1 (en) Plural electrical mechanism carrier
KR101208357B1 (ko)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101766113B1 (ko) 조립식 선반
KR20170077230A (ko)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KR20190079572A (ko) 기둥 결합 구조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EP3434915B1 (en) Electrical device with nut retention slot
JP7419803B2 (ja) テーブル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JP5883069B2 (ja) 組立・分解可能容器
EP3399888B1 (en) Baby changing station
KR20140004470U (ko) 케이블트레이
KR20140002692U (ko) 가구용 다리
KR102248690B1 (ko) 회전 록킹 방식의 볼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