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55Y1 -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 Google Patents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655Y1 KR200477655Y1 KR2020150002320U KR20150002320U KR200477655Y1 KR 200477655 Y1 KR200477655 Y1 KR 200477655Y1 KR 2020150002320 U KR2020150002320 U KR 2020150002320U KR 20150002320 U KR20150002320 U KR 20150002320U KR 200477655 Y1 KR200477655 Y1 KR 2004776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support member
- reinforcing
- expansion
- enlar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단부가 넓게 굴착된 굴착공의 내부에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때, 철근이 굴착공 하단의 확경부 내부까지 배근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확장식 철근구조물은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이나 말뚝을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하면 확경부(1a)의 내부에서 확장부재(10)가 넓게 확대되어, 확경부(1a)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는 양단이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배치되므로, 각 바부재(11)가 상호 연동하여 모든 바부재(11)가 동시에 움직여 확장부재(10) 전체가 균일하게 확대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expandable smar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can be placed inside the narrow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xcavation hole when the concrete column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having a wide bottom portion excavated.
The expanded steel reinforc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lower end of the pile inserted into the drilling hole 1 formed with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a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enlarged member 10 is enlarged in the insid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a so that the concrete placed insid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a can be reinforced. In particular, since the bar members 11 of the expansion membe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ing shape so that the bar members 11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all the bar members 11 move simultaneously to move the extension member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hole can be uniformly enlarg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단부가 넓게 굴착된 굴착공의 내부에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때, 철근이 굴착공 하단의 확경부 내부까지 배근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expandable smar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can be placed inside the narrow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xcavation hole when the concrete column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having a wide bottom portion excavated.
일반적으로, 역타공법을 통해 건물의 지하층을 구축할 때는 지면에 굴착공을 형성하고, 굴착공에 말뚝을 시공하여 건물의 기초를 보강하도록 한다.
Generally, when constructing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backfilling method, a drilling hole is formed on the ground, and a pile is installed on the drilling hole to reinforce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이때, 말뚝의 지지력은 말뚝의 선단부 면적에 비례하므로, 굴착공을 충분히 큰 직경으로 굴착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is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tip of the pile, so that the excavation hole can be excavated with a sufficiently large diameter to secure a wid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crete column.
그런데, 이와같이 직경이 큰 굴착공을 굴착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cost to excavate a large-diameter excavation hole.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공(1)의 하단부만 넓게 확장되도록 굴착한 후, 굴착공(1)의 내부에 현장치기(제자리치기) 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하여 비용을 줄이면서도 콘크리트기둥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이때, 굴착공(1)의 하단부만 넓게 굴착하는 장비는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recently, as shown in Fig. 1, after drilling to expand only the lower end of the
그런데, 이와같이 하단부만 넓은 형태로 굴착공(1)의 내부에 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굴착공(1)의 내부에 철근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굴착공(1) 하단의 확경부(1a)의 내부에는 철근(2)이 배근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확경부(1a)의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부분은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When a reinforc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이러한 문제점은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할 때에 제한되지 않고,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말뚝을 시공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Such a problem is not limited when the concrete pile of the field striking is applied, but also when various kinds of piles are installed in the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기둥을 시공할 때, 확경부(1a)의 내부 전체에 철근(2)이 배근되도록 하는 새로운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inforcing bar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provided on an entire inner surface of a large diameter portion when a column is installed in a drilling hole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And to provide a new expandable smart reinforcing structure that allows the reinforcement to be reinforc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이 상호 연결되어 링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바부재(11)로 구성되어 둘레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며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배치되는 확장부재(10)와, 기단부는 상기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둘레부에 슬라이드 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를 상호 연결하여 확장부재(10)의 둘레부가 확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용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lling apparatus for drilling a drilling hole (drill hole),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장부재(1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에 고정되어 상하측의 바부재(11)를 상호 일체로 고정하는 연결부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부재(11)의 적어도 일단에는 링형태의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다른 바부재(11)의 단부를 상기 결합부(11a)에 끼워 바부재(11)가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end of the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11a)는 바부재(11)의 일단을 링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부재(11)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1b)가 구비되어, 바부재(11)의 타단을 다른 바부재(11)의 결합부(11a)에 끼우면 상기 절곡부(11b)재 결합부(11a)의 내측에 걸려 바부재(11)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양단이 상기 바부재(11)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바부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panding typ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link member (13)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r member (11) A reinforc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0)를 전진 또는 회동시켜 상기 확장부재(10)의 둘레부를 확장시키는 확장기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n expansion mechanism (30)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0) to extend or extend the periphery of the expansion member (10) by advancing or rotating the support member An expandable reinforc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0)가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의 둘레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장기구(30)는 바 또는 와이어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확장기구(3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지지부재(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1)과, 상기 고정수단(31)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철근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es " or "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고안에 따른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은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이나 말뚝을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하면 확경부(1a)의 내부에서 확장부재(10)가 넓게 확대되어, 확경부(1a)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는 양단이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배치되므로, 각 바부재(11)가 상호 연동하여 모든 바부재(11)가 동시에 움직여 확장부재(10) 전체가 균일하게 확대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xpandable smart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도 1은 하단부에 확경부가 형성된 굴착공에 철근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바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 a drilling hole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at a lower end thereof,
FIG. 2 is a side view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reinforcing steel structure for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 member of an expanding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reinforcing steel structure for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용 철근(2)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철근(2)은 수직철근(2a)과 원형의 수평철근(2b)을 엮어 제작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설치된다.
FIGS. 2 to 5 illustrate an expanding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emplified by being installed in a reinforcing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은 양단이 상호 연결되어 링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바부재(11)로 구성되어 상기 철근(2)의 하단 둘레부에 배치되는 확장부재(10)와, 기단부는 상기 철근(2)의 하단둘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를 상호 연결하여 확장부재(10)의 둘레부가 확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를 회동시켜 상기 확장부재(10)의 둘레부를 확장시키는 확장기구(30)로 구성된다.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for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바부재(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와이어 또는 철근(2)을 라운드 지게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단에는 링형태의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다른 바부재(11)의 단부를 상기 결합부(11a)에 끼워 바부재(11)가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11a)는 바부재(11)의 일단을 링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부재(11)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1b)가 구비되어, 바부재(11)의 타단을 다른 바부재(11)의 결합부(11a)에 끼우면 상기 절곡부(11b)가 결합부(11a)의 내측에 걸려 바부재(11)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바부재(11)를 상호 슬라이드시키면 확장부재(10)의 둘레부의 지름이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상기 확경부(1a)재는 3개의 바부재(11)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enlarged
또한, 상기 확장부재(1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연결부재(12)가 용접결합되어, 상하측의 바부재(11)를 상호 일체로 고정하므로써, 상하로 배치된 바부재(11)가 함께 연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하측에 위치된 확장부재(10)는 바부재(11)가 상호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지지부재(20)는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는 상기 철근(2)의 수평철근(2b)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는 선단부가 수평방향에서부터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바부재(11)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지지부재(20)가 각각 한 개의 바부재(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는 상기 바부재(11)와 동일한 금속와이어나 철근(2)을 벤딩하여 구성되거나, 강도가 높은 금속바 또는 금속파이프를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상기 확장기구(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0)가 철근(2)의 둘레부로 돌출되도록, 즉, 상향된 상태에서 하향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2,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용 철근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reinforcing structur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부재(10)의 두레부가 좁혀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철근(2)을 굴착공(1)의 내부로 삽입하여 철근(2)의 하단이 굴착공(1) 하단의 확경부(1a)에 도착되면 스프링으로 구성된 확장기구(30)에 의해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지지부재(20)가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따라,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부재(10)의 둘레부가 넓게 펴져 상기 확경부(1a)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10)가 펴지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공(1)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 when the supporting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식 철근구조물은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2)이나 말뚝을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하면 확경부(1a)의 내부에서 확장부재(10)가 넓게 확대되어, 확경부(1a)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는 양단이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배치되므로, 각 바부재(11)가 상호 연동하여 모든 바부재(11)가 동시에 움직여 확장부재(10) 전체가 균일하게 확대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xpanded steel reinforcing structur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1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연결부재(12)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여러개의 확장부재(10)가 상호 동일하게 확대 및 축소되어 커다란 구조물을 이루게 되고, 완성된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이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또한, 상기 확장부재(10)를 이루는 바부재(11)의 양단부에는 링형태의 결합부(11a)와 절곡부(11b)가 각각 형성되어, 바부재(11)의 양단을 서로 끼워 링형태의 확장부재(10)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저렴할 뿐 아니라, 강도가 높고 작동불량이나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A ring-shaped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된 스프링을 이용한 확장기구(30)가 구비되어, 상기 확장부재(10)가 굴착공(1)의 확경부(1a)에 도달하면 확장기구(30)에 의해 지지부재(20)가 회동되어 확장부재(10)가 확장되도록 하므로써, 확장부재(10)가 확실히 확장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철근(2)은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철근(2)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10)는 3개의 바부재(11)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확장부재(10)를 이루는 바부재(11)의 개수는 4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lthough the
또한, 상기 확장부재(10)는 원형의 링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각을 갖는 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에는 상하방향의 연결부재(12)가 용접결합되어 상하측의 바부재(11)가 상호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결부재(12)의 구조를 생략하여 각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확장부재(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와이어 또는 철근(2)을 라운드 지게 벤딩하여 구성된 바부재(11)와, 양단이 상기 바부재(11)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바부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13)로 구성된다.
FIG. 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도 6의 (a)와 같이, 확장부재(10)의 둘레부가 축소되고, 상기 지지부재(20)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회동되면, 확장부재(10) 전체의 둘레부가 확대된다.
6 (a),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용 철근구조물은 바부재(11)가 단순히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바부재(11)가 링크부재(13)에 의해 상호 완전히 연결되므로, 확장부재(10) 전체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의 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바부재(11)가 링크부재(13)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각 바부재(11)가 상호 연동되어 확장부재(10) 전체가 균일하게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기단부에는 철근(2)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1)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연장부(21)의 내측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철근(2)의 상부로 충분히 길게 연장된다.
7 show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oximal end of the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확장부재(10)가 좁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철근(2)을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한 후 작업자가 상기 확장기구(30)인 와이어의 상단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확장부재(10)가 넓게 펴지도록 한다.
Therefore, after inserting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용 철근구조물은 사용자가 와이어를 상측으로 당겨 지지부재(20)를 회동시키므로, 각각의 지지부재(20)가 회동된 상태를 사용자가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일측의 지지부재(20)가 회동되지 않아서 확장부재(10)가 완전히 확장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확장기구(30)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확장기구(30)를 강도가 높은 바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확장기구(30)로 지지부재(20)를 하측으로 밀어 회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user pushes the wire upward to rotate the supporting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1)과, 상기 고정수단(31)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수단(32)으로 구성된다.
8 show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상기 고정수단(31)은 상기 절근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2)에 걸려 지지부재(20)가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리로 구성된다.
The fixing means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roximal end and is engaged with a fixing
상기 고정해제수단(32)은 상기 고리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고리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고리와 지지부재(20)의 결합을 해제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철근(2)의 상부로 충분히 길게 연장된다.
The fixing releasing means (32) is constituted by a wire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ing and pulling the ring upward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ring and the supporting member (20) It extends long.
따라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고정수단(31)을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2)을 굴착공(1)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고정해제수단(32)인 와이어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와 지지부재(20)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부재(2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확장부재(10)의 둘레부가 확장된다.
Therefore, as shown by the solid line,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용 철근구조물은 상기 고정수단(31)에 의해 지지부재(2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철근(2)을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할 때, 의도하지 않게 지지부재(20)가 회동되어 확장부재(10)가 확대되고, 확대된 확장부재(10)가 굴착공(1)의 둘레면에 부딛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thus constructed is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자중에 의해 지지부재(2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20)에 별도의 스프링을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고정수단(31)은 전술한 고리 이외에, 상기 지지부재(20)에 끼워지는 키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ng, the fixing means 31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ways, including a key fitted to the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철근(2)에 수평방향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20)를 수평방향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이 하측으로 회동된 지지부재(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도록 설치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수직철근(2a)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를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2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확장부재(10)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또한, 상기 철근(2)에 철근(2)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슬라이드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20)가 스프링에 의해 철근(2)의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확장부재(10)가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slide guid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설치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method of 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확장용 철근구조물은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의 철근(2)의 하단 둘레부에 구비되어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의 시공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말뚝의 하단 둘레부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같이 확장용 철근구조물이 설치된 말뚝을 하단부에 확경부(1a)가 형성된 굴착공(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확장부재(10)가 확장되도록 한 후, 굴착공(1)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강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stitutions and effects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deem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1 : 굴착공 2 : 철근
10 : 확장부재 20 : 지지부재
30 : 확장기구1: excavation ball 2: reinforcing bar
10: extension member 20: support member
30: Expansion mechanism
Claims (4)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0)를 전진 또는 회동시켜 상기 확장부재(10)의 둘레부를 확장시키는 확장기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재(10)는 라운드 지게 벤딩하여 구성되는 바부재(11)와, 양단이 상기 바부재(11)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확장부재(10) 전체가 균일하게 확대되거나 축소되어지도록 각 바부재(11)가 상호 연결되어지는 링크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2) which is inserted into a drilling hole (1) formed by a plurality of bar members (11) whose both ends are mutually connected and arranged in a ring shape and whose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larged or reduced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And a proximal end portion thereof is slidably or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lower end of the pile and a distal end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a bar member (not shown) of the extension member 10 (11) are mutually connected to enlarge a peripheral portion of the expansion member (10)
Further comprising an expansion mechanism (30)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0) for advancing or rotating the support member (20) to expand the circumference of the expansion member (10)
The extension member 10 includes a bar member 11 formed by bending in a round shape and both ends of the extension member 10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r member 11 so that the entire extension member 10 is uniformly enlarged or reduced And a link member (13) to which each bar member (11) is interconnected,
상기 확장부재(10)의 바부재(11)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확장기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0)가 철근(2) 또는 말뚝의 하단 둘레부의 둘레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The pile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2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pile,
The bar member 11 of the extension member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in the up-down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mechanism (30) comprises a spring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0) and elastically biasing the support member (20) to protrude into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2) Smart reinforcing steel struc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320U KR200477655Y1 (en) | 2015-04-10 | 2015-04-10 |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320U KR200477655Y1 (en) | 2015-04-10 | 2015-04-10 |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655Y1 true KR200477655Y1 (en) | 2015-07-09 |
Family
ID=5379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320U KR200477655Y1 (en) | 2015-04-10 | 2015-04-10 |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65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172B1 (en) * | 2022-06-07 | 2023-05-26 | 주식회사 케이에스기초건설 | Multi-blocking method and multi-blocking file using an integrated spr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structures for retaining constr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783A (en) * | 1991-07-22 | 1995-01-06 | Teruo Takei | Expansion reinforcement for bottom-enlarged foundation |
JPH11286933A (en) * | 1998-04-02 | 1999-10-19 | Kodama Concrete Kogyo Kk | Steel expansion pile by existing pile |
JP3131192B2 (en) * | 1989-05-19 | 2001-01-31 | アプライド・リサーチ・システムズ・エイアールエス・ホールディング・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 Promoters and their use |
KR200318814Y1 (en) * | 2003-03-21 | 2003-07-04 | 김명률 | Structure for arrangement of bar in a bell part of bell process |
-
2015
- 2015-04-10 KR KR2020150002320U patent/KR20047765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1192B2 (en) * | 1989-05-19 | 2001-01-31 | アプライド・リサーチ・システムズ・エイアールエス・ホールディング・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 Promoters and their use |
JPH073783A (en) * | 1991-07-22 | 1995-01-06 | Teruo Takei | Expansion reinforcement for bottom-enlarged foundation |
JPH11286933A (en) * | 1998-04-02 | 1999-10-19 | Kodama Concrete Kogyo Kk | Steel expansion pile by existing pile |
KR200318814Y1 (en) * | 2003-03-21 | 2003-07-04 | 김명률 | Structure for arrangement of bar in a bell part of bell proces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172B1 (en) * | 2022-06-07 | 2023-05-26 | 주식회사 케이에스기초건설 | Multi-blocking method and multi-blocking file using an integrated spr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structures for retaining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0327B1 (en) | Device for fling pile | |
JP5479042B2 (en) | Lin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nd lin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 |
KR101243928B1 (en)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wo excavating equipments and non welding type linked casing | |
KR101196459B1 (en) | Anchor with enlarged connection member for nut and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414756B1 (en) | Non welding type linked casing | |
KR200477655Y1 (en) | Smart expandable rebar structure | |
KR101377019B1 (en) | Reactive forcing device using guide rail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
KR200477653Y1 (en) | Smart expandable pre-fabricating reinforcement bar structure | |
KR20170081115A (en) | Movable pile and soil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0323112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 |
JP4914062B2 (en) | Two-tiered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358088Y1 (en) | Concrete mold holder of top piletype | |
JP2017193915A (en) |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ement cage | |
KR101135384B1 (en) |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ring beam | |
JP2017155478A (en) | Earth retaining preceding method of using adjustable wale | |
JP2022114198A (en) | Spring spacer, reinforcement cage, and underground pile installation method | |
JP6220659B2 (en) |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reaction force receiving member and top of column | |
JP5237726B2 (en) | Assembly rebar | |
CN114182933B (en) | Construction method of ground scaffold for ultra-high steep rock slope | |
KR101803767B1 (en) | Assembly for reinforcing head part of steel tube pile and steel tubepi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JP6499486B2 (en) | Pile rebar | |
CN113089685B (en) | Anchor cable drilled pile structure for deep foundation pit support and support method thereof | |
JP201918349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 |
KR101239899B1 (en) | Structures and production methods column mesh of 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mesh of slurry wall | |
KR20120133797A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