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24Y1 -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 Google Patents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924Y1 KR200476924Y1 KR2020140006029U KR20140006029U KR200476924Y1 KR 200476924 Y1 KR200476924 Y1 KR 200476924Y1 KR 2020140006029 U KR2020140006029 U KR 2020140006029U KR 20140006029 U KR20140006029 U KR 20140006029U KR 200476924 Y1 KR200476924 Y1 KR 2004769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lection pattern
- sportswear
- pattern
- light source
- refl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2—Retroreflectiv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포츠 웨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운동 활동시 움직임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 스포츠 웨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rtsw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rtswear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in order to provide ease of movement in outdoor sports activities.
많은 사람들은 아름답고 건강한 신체를 가지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 요가 또는 필라테스와 같은 실내 운동과 걷기, 조깅, 등산 또는 자전거와 같은 실외 운동을 바쁜 일상 속에서도 계획하여 실시하고 있다.Many people plan outdoor exercise, such as weight training, yoga or pilates, and outdoor exercises such as walking, jogging, climbing or biking, in a busy daily routine to have a beautiful and healthy body.
이때, 사람들은 상기와 같은 실내 운동 및 실외 운동의 효과와 그 활동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땀의 흡수 및 배출이 원활하고 통풍이 잘되는 재질로 제작된 스포츠 웨어를 착용하고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effects of the indoor and outdoor exercises and the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people wear sportswear which is generally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absorbs and discharges sweat and is well ventilated.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국민 건강 증진 차원에서 주위 하천 옆이나 공원 등에 자동차 진입이 차단된 산책길 또는 자전거 전용 도로가 많이 조성되어 있어 사람들로 하여금 실외 운동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있다.In this situation, recently, there are many walking paths or bicycle-only roads that are blocked from entering the surrounding rivers or parks in order to promote public health, so that people are guided to make outdoor exercise more easily and safely.
그러나, 아무리 상기의 산책길 또는 자전거 전용 도로가 많이 조성되어 있어도, 이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결국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를 지날 수밖에 없으므로, 물체의 식별이 어두운 야간에 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스포츠 웨어를 착용한 사람을 미처 식별하지 못함에 따른 치명적인 교통사고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even if the above-mentioned promenade or a bicycle-only road is formed in a large number, it is necessary to pass the road on which the car travels in order to move to this location. Therefore, It is a reality that a fatal traffic accident can not be totally excluded due to not being able to identify i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운전자로 하여금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반사 패턴이 형성된 스포츠 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rtswear having a reflection pattern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at nigh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사용자의 야외 활동 시 착용하는 스포츠 웨어는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광원으로 재귀반사(retro-reflection)하기 위하여 형성된 반사 패턴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rtswear worn by a user in outdoor activities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reflection pattern formed for retro-reflection of light provided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to the light source do.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반사 패턴은 금속 물질이 포함된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ion pattern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film containing a metal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은(silver)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luminum or silv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반사 패턴은 신체의 각 근육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ive patter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long the boundary of each muscle of the body.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포츠 웨어는 상기 반사 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하는 투명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ortswe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cover for covering the reflection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반사 패턴은 사용자의 다리를 커버하는 부분에 상기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eflection pattern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on a portion of the user's leg.
이러한 스포츠 웨어에 따르면, 상기 스포츠 웨어에 광원, 예컨대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다시 상기 자동차로 재귀반사하는 반사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가 상기 반사 패턴에 의해서 상기 스포츠 웨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 활동시 상기 스포츠 웨어를 착용함으로써, 상기 자동차와의 충돌로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portswear, by forming a reflection pattern that retroreflects light provided from a light source of a vehicle, for example, a headlight of an automobile having a risk of a traffic accident, back to the automobile, The sportswear can be easily identified. Accordingly, by wearing the sportswear at n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tal traffic accident, which may be caused by a collision with the automobile, so that safety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의 하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의 하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the bottom of a sports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ide shown in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the bottom of the sports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 sports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의 하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bottom of a sports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section cut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ower part show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100)는 사용자가 건강을 목적으로 한 야외 활동, 예컨대 걷기, 조깅, 등산 또는 자전거를 즐길 때 주로 착용하는 복장으로서, 상기의 야외 활동을 보다 편안하게 즐기기 위하여 신축성이 우수한 고탄력 특성을 가지면서 땀의 흡수 및 배출이 원활하고 통풍이 잘되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된다. 1 to 3, a
예를 들어, 상기 스포츠 웨어(100)는 상기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나일론 약 40%에 탄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약 40% 및 스판 약 20%가 혼합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러한 스포츠 웨어(100)에는 반사 패턴(200)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 패턴(200)은 자동차(10)의 전조등과 같은 광원(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광원(20)인 상기 자동차(10)로 재귀반사(retro-reflection)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반사 패턴(200)은 반사 특성을 갖는 금속 물질이 포함된 필름 형태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패턴(200)은 직물(210)을 매우 얇게 형성한 다음, 이 얇은 직물(210) 상에 상기 금속 물질을 박막(220) 형태로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210)은 탄성이 우수한 스판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박막(2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직물(210) 상에 입자 형태로 코팅됨으로써, 상기 반사 패턴(200) 자체는 약 10 내지 20%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반사 패턴(200)은 상기 금속 물질을 상기 스포츠 웨어(100)에 직접 접착제(미도시)를 통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 패턴(200)은 다수의 금속 입자들이 그 표면에 코팅된 금속사를 매우 얇은 직물 형태로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 패턴(200)에 포함된 금속 물질은 비교적 반사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은(silver)이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렇게 상기 반사 패턴(200)을 상기 직물(210) 상에 상기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220)이 입자 형태로 코팅된 필름 형태로 부착할 경우, 이 반사 패턴(200)의 자체 가지고 있는 약 10 내지 20%의 신축성에 의해서 이가 부착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신축률이 약 30% 감소될 수 있다. When the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 패턴(200)을 사용자 신체의 각 근육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시키면, 상기 반사 패턴(200)은 근육을 잡아주어 그 신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야외 활동 시 상당히 우수한 운동 능력을 얻게 되어 극대화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극대화된 운동 효과로 인해 신체 피로도를 극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반사 패턴(200)이 형성된 스포츠 웨어(100)는 장시간 반복적인 동작이 필요한 선수 또는 근로자에게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패턴(200)은 사용자 신체의 가장 큰 근육으로 이루어져 신체의 전반적인 활동을 관장하는 허벅지의 대퇴근 및 햄스트링(hamstring)과 엉덩이 대둔근의 경계 부위를 따라서 형성시키는 것이 상기의 효과를 위해서 더 바람직하다.When the
한편, 상기 스포츠 웨어(100)에 부착된 반사 패턴(200)은 사용자가 야외에서 장시간 반복적으로 활동할 경우, 상기 스포츠 웨어(100)와 접하는 부위에서 그 접착력이 저하되어 상기 스포츠 웨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면서 상기 반사 패턴(200)의 재귀반사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스포츠 웨어(100)는 상기 반사 패턴(200)을 커버하는 투명 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커버(300)는 외관상 보기 안 좋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반사 패턴(200)을 상기 스포츠 웨어(100)에 최초 부착할 때 일정 시간 커버하여 기본적인 부착력을 고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투명 커버(300)는 상기 반사 패턴(200)이 부착된 스포츠 웨어(100)를 일정 시간 사용한 후 상기 반사 패턴(200)을 장시간 그 형태를 유지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스포츠 웨어(100)에 광원(20), 예컨대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10)의 전조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다시 상기 자동차(10)로 재귀반사하는 반사 패턴(200)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차(10)의 운전자가 상기 반사 패턴(200)에 의해서 상기 스포츠 웨어(100)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 활동시 상기 스포츠 웨어(100)를 착용함으로써, 상기 자동차(10)와의 충돌로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특히, 상기 반사 패턴(200)을 사용자 신체의 각 근육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시킬 경우에는 사용자의 역동적인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반사 패턴(200)이 더 넓은 범위에서 반사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자동차(10)의 운전자는 더 어두운 장소에서도 상기 반사 패턴(200)을 더 쉽게 식별하여 상기의 안전을 더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들에서는 상기 스포츠 웨어(100)의 하의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상기의 설명들에 대하여 상기 스포츠 웨어(100)의 상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lower part of the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의 하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bottom of the sports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의 반사 패턴은 그 패턴 형상을 제외한 그 자체 구조에 대해서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reflection pattern in this embodiment can be the same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with respect to its own structure except for the pattern shape, a detailed description overlapping therewith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웨어(500)의 반사 패턴(60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커버하는 하의(700)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reflection pattern 600 of the sportswea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formed in the lower part 700 covering the user's legs.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패턴(600)은 상기 스포츠 웨어(500)에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커버하는 부분에 상기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면,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 패턴(600)에 의해서 야간 활동 시 자동차(도 1의 10)의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다는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반사 패턴(600)에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다리가 길어 보이는 착시 효과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패턴(600)은 사용자의 다리에 형성된 근육 형태를 고려하여 종아리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reflection pattern 600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in the part of the sportswear 500 that covers the legs of the user. 1, not only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identify the driver of the automobile (10 in FIG. 1) at the time of night activity by the reflection pattern 600, but also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ttern 600 It is possible to induce an optical illusion effect in which the wearer's legs are worn by the wearer. At this time, the reflection pattern 60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calf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muscles formed on the legs of the user.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자동차 20 : 광원
100, 500 : 스포츠 웨어 200, 600 : 반사 패턴
210 : 직물 220 : 금속 박막
300 : 투명 커버 700 : 하의10: car 20: light source
100, 500:
210: fabric 220: metal foil
300: transparent cover 700: bottom
Claims (6)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광원으로 재귀반사(retro-reflection)하기 위하여 형성된 반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스포츠 웨어 상에 형성된 직물; 및
상기 직물 상에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은(silver)로 이루어진 금속 물질이 코팅된 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패턴은 신체의 각 근육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웨어.For sports wear worn by the user in outdoor activities,
And a reflection pattern formed to retroreflect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to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on pattern
A fabric formed on the sportswear; And
And a thin film coated with a metal material made of aluminum or silver on the fabric,
Wherein th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along a boundary portion of each muscle of th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029U KR200476924Y1 (en) | 2014-08-12 | 2014-08-12 |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029U KR200476924Y1 (en) | 2014-08-12 | 2014-08-12 |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924Y1 true KR200476924Y1 (en) | 2015-04-27 |
Family
ID=5343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0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924Y1 (en) | 2014-08-12 | 2014-08-12 |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924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578B1 (en) * | 2019-03-15 | 2020-05-25 | 박윤정 | Safety gar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78B2 (en) * | 1986-09-18 | 1995-01-11 | 東洋紡績株式会社 | Stretchable fabric for sports clothing |
KR200251641Y1 (en) * | 2001-07-21 | 2001-11-17 | 김관기 | The knee protective |
JP2002309416A (en) * | 2001-04-17 | 2002-10-23 | Komatsu Seiren Co Ltd | Retro-reflective wear and retro-reflective fabric used therefor |
KR100338991B1 (en) * | 1994-04-01 | 2002-12-26 |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 Clothing with Retroreflective Appliques |
-
2014
- 2014-08-12 KR KR2020140006029U patent/KR20047692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78B2 (en) * | 1986-09-18 | 1995-01-11 | 東洋紡績株式会社 | Stretchable fabric for sports clothing |
KR100338991B1 (en) * | 1994-04-01 | 2002-12-26 |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 Clothing with Retroreflective Appliques |
JP2002309416A (en) * | 2001-04-17 | 2002-10-23 | Komatsu Seiren Co Ltd | Retro-reflective wear and retro-reflective fabric used therefor |
KR200251641Y1 (en) * | 2001-07-21 | 2001-11-17 | 김관기 | The knee protectiv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578B1 (en) * | 2019-03-15 | 2020-05-25 | 박윤정 | Safety gar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0524B2 (en) | Integrated fabric system for apparel | |
US7856668B2 (en) | Article of apparel for resistance training | |
JP2008150768A (en) | Clothes and caps | |
CA2775762C (en) | Integrator for global elastic motion mode of human body | |
US20120174282A1 (en) | Performance Apparel With Flexible Portion | |
JP2008150767A (en) | clothes | |
US20140026284A1 (en) | Swimmer's headband | |
US20140259269A1 (en) | Personal reflective garment | |
KR101766644B1 (en) | Support Clothes for Muscle Strengthening | |
CA2629459A1 (en) |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 |
US6049908A (en) | Breathable body wear | |
US7455418B1 (en) | Reflective/glow in the dark safety band | |
KR200476924Y1 (en) | Sports wear having reflection pattern | |
CN201222993Y (en) | Protective garment | |
CN204050908U (en) | Shank protective equipment | |
JP6278436B2 (en) | Training tools | |
EP1627574A1 (en) | Sports garment | |
KR200437354Y1 (en) | Swimming cap | |
KR101093058B1 (en) | Heel shoes | |
US20140325872A1 (en) | Insole having liquid therein | |
CN207167928U (en) | A kind of detachable multi-angle multiple-blade spiral shock-absorbing function sole and its manufactured footwear | |
CN223026659U (en) | Flashing skating protective device | |
CN203828122U (en) | Outdoor nightwalk sportswear | |
CA2457827A1 (en) | The perfectore - a rubber or elastic body harness | |
SE525107C2 (en) | Joint protection and protective pads theref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81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00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41031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4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4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5011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