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4783Y1 - 아동용 세발자전거 - Google Patents

아동용 세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83Y1
KR200474783Y1 KR2020120008716U KR20120008716U KR200474783Y1 KR 200474783 Y1 KR200474783 Y1 KR 200474783Y1 KR 2020120008716 U KR2020120008716 U KR 2020120008716U KR 20120008716 U KR20120008716 U KR 20120008716U KR 200474783 Y1 KR200474783 Y1 KR 200474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ild
handle
rear whe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979U (ko
Inventor
강유옥
Original Assignee
강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유옥 filed Critical 강유옥
Priority to KR2020120008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8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연령 아동부터 고연령 아동까지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는, 길이 방향 중간에 안장이 마련되고, 안장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밀대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방에 결합하는 앞바퀴; 상기 프레임 후방 양측에 결합하는 뒷바퀴; 상기 프레임 전방 상부에 결합하고, 앞바퀴를 조향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뒷바퀴는 프레임상에서 회동 가능한 롤러암에 결합되어 프레임상의 밀대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롤러암을 회동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핸들은 양측 단부의 사이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샤프트상에 결합하는 캡 내주면의 돌기가 프레임의 핸들결합부 및 샤프트 하단부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홈과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상에서 회전 가능한 해제상태로부터 회전 불가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동용 세발자전거{tricycle for kids }
본 고안은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연령 아동부터 고연령 아동까지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 자전거는 두 개의 바퀴를 갖는다.
이때 일반 자전거의 두 개의 바퀴는 일 열로 배치되므로 초보자의 경우 중심 유지가 쉽지 않으므로 자전거 초보자 특히, 아동의 경우 일반 자전거를 통한 주행을 즐기기가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일반 자전거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세발자전거가 제안된바 있다.
세발자전거는 프레임의 전방에 핸들에 의해 진행 각도가 조절되는 앞바퀴가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뒷바퀴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세발자전거는 앞바퀴와 함께 두 개의 뒷바퀴가 지면에 접하게 되므로 삼점 지지에 의해 탑승자의 중심 유지 노력 없이도 자연스럽게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자전거를 통한 주행이 곤란한 아동들의 경우 세발자전거를 통해 주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세발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에 비해 소형이나 비교적 고연령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어서 신체가 왜소한 저연령 아동의 경우 페달에 발이 미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불가하므로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을 즐기게 된다. 즉, 안장에 저연령 아동을 앉힌 상태에서 보호자가 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 프레임을 밀어줌으로써 저연령 아동이 세발자전거 주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 프레임을 밀어주는 동작은 구부정한 자세에서 실시되므로 성인이더라도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 세발자전거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유모차 방식의 세발자전거가 제안된바 있다.
유모차 방식의 세발자전거는 프레임에 핸들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회전형 밀대가 마련된 것으로, 탑승 아동의 보호자가 밀대를 회전시킴에 따라 주행 중에 핸들 회전이 이루어져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유모차 방식의 세발자전거는 일반 세발자전거에 비해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으나, 방향 전환시 상당한 힘이 소요되고 좁은 장소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없는 등 주행이 원활치 못한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이루어질 때 아동이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 주행 방향의 전환이 보호자에 의한 밀대 움직임에 우선하여 아동에 의한 핸들 조작 방향을 따르게 되므로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만일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에 의한 핸들 조작이 애초 불가하게 할 경우 차후 저연령 아동이 성장하여 스스로 주행을 즐기고자 할 때 핸들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 및 아동 자신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연령 아동부터 고연령 아동까지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아동용 세발자전거가 보호자 도움에 의한 주행 및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과정에서 불편함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는, 길이 방향 중간에 안장이 마련되고, 안장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밀대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방에 결합하는 앞바퀴; 상기 프레임 후방 양측에 결합하는 뒷바퀴; 상기 프레임 전방 상부에 결합하고, 앞바퀴를 조향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뒷바퀴는 프레임상에서 회동 가능한 롤러암에 결합되어 프레임상의 밀대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롤러암을 회동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핸들은 양측 단부의 사이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샤프트상에 결합하는 캡 내주면의 돌기가 프레임의 핸들결합부 및 샤프트 하단부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홈과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상에서 회전 가능한 해제상태로부터 회전 불가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밀대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에 압착되어 프레임상에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프레임과 나선 물림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손잡이, 상기 몸체 다른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압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탑승 아동의 발 지지를 안착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는 일 단부에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제1결합편이 마련되어 제1결합편 회전에 의해 회동하고, 제1결합편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마련되어 고정볼트 체결에 의해 회전 또는 미회전 상태로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결합편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가 길이 가변형으로 되어 탑승 아동의 다리 길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밀대 상단에는 착탈식 차양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는 롤러암이 결합된 고정바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상에서 고정바가 회동함에 따라 고정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는 뒷바퀴의 롤러암이 프레임에 마련된 밀대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동하여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것인바, 저연령 아동과 동반하는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는 핸들이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인바, 보호자에 의한 주행 과정에서 핸들을 잠그게 되면 아동의 핸들 조작에 의한 주행 방향 전환이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저연령 아동과 동반하는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 과정에서 핸들을 해제하게 되면 아동의 핸들 조작에 따라 자유롭게 주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고연령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핸들과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프레임 상의 밀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밀대를 통한 방향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안착부재를 통한 탑승 아동의 발 지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차양막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에서 뒷바퀴의 고정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는 프레임(10)과, 앞바퀴(20)와, 뒷바퀴(30)와, 핸들(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길이 방향 중간에 안장(11)이 마련된 것이고, 안장(11)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밀대(1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에서 밀대(12)는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다.
밀대(12)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임으로써 밀대(12)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프레임(10)으로부터 밀대(12) 제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밀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에 의해 프레임(10)에 압착되는 것이다.
밀대(12)가 프레임(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3)에 의해 프레임(10)에 압착됨으로써 프레임(10)에 밀대(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대(1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13)는 프레임(10)과 나선 물림하는 몸체(13a), 상기 몸체(13a)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손잡이(13b), 상기 몸체(13a) 다른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압착편(13c)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10)에는 탑승 아동의 발 지지를 위한 안착부재(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에 탑승 아동의 발 지지를 위한 안착부재(14)가 마련됨으로써 주행시 페달(21)에 발이 미치지 않는 저연령 아동의 발이 지면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아동이 편한 자세로 주행을 즐길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발 늘어짐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착부재(14)는 프레임(10)에 힌지(14b) 결합하는 제1결합편(14a)이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프레임(10)상에서의 제1결합편(14a) 회전에 의해 안착부재(14)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안착부재(14)를 안장(11)에 탑승한 아동의 다리 각도에 따라 회동시키게 되면 탑승 아동의 발 지지가 편안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결합편(14a)은 프레임(1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4c)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결합편(14a)의 고정볼트(14c)가 프레임(10)에 체결됨으로써 제1결합편(14a)이 회전 또는 미회전 상태로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안착부재(14)에서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는 길이 가변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재(14)에서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가 길이 가변형으로 됨으로써 탑승 아동의 다리가 길거나 짧더라도 안착부재(14)를 통한 탑승 아동의 발 지지가 편안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의 길이 가변 방식은 통상의 어떠한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므로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의 길이 가변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홈(15a)이 형성된 2단의 핸들결합부(15)가 마련된다.
프레임(10)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홈(15a)이 형성된 2단의 핸들결합부(15)가 마련됨으로써 핸들결합부(15)의 홈(15a)과 핸들(40)의 샤프트(41) 하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43)에 형성되는 홈(43a)이 상하로 이어지는 상태에서 핸들(40)의 샤프트(41)에 결합되는 캡(42) 내주면의 돌기(42a)가 핸들결합부(15)의 홈(15a)과 플랜지부(43)의 홈(43a)을 관통하게 되면 프레임(10)상에서의 핸들(40) 회전이 방지되므로 핸들(4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밀대(12) 상단에는 차양막(16)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의 밀대(12) 상단에 차양막(16)이 마련됨으로써 차양막(16)을 통해 햇빛과 비가 안장(11)에 탑승한 아동에게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양막(16)은 착탈식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막(16)이 착탈식으로 됨으로써 차양막(16)이 불필요한 경우 밀대(12)로부터 차양막(16)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차양막(16)의 착탈방식은 끼움방식 또는 볼트 체결방식 등의 통상의 어떠한 방식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므로 차양막(16)의 착탈방식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앞바퀴(20)는 프레임(10) 전방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앞바퀴(20)에는 페달(21)이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앞바퀴(20)에 페달(21)이 마련됨으로써 안장(11)에 탑승한 아동 스스로가 페달링을 실시하게 되면 앞바퀴(20)가 구르며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뒷바퀴(30)는 프레임(10)에서 회동 가능한 롤러암(31)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뒷바퀴(30)는 프레임(10) 상의 밀대(1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롤러암(31)을 회동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뒷바퀴(30)가 프레임(10) 상의 밀대(1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롤러암(31)을 회동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것임으로써 주행중에 보호자가 밀대(1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뒷바퀴(30)의 롤러암(31)을 회동시킴에 따라 주행 방향이 자유롭게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뒷바퀴(30)는 롤러암(31)이 결합된 고정바(도면부호 미표시)가 프레임(10)에 힌지(31b)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바퀴(30)의 롤러암(31)이 결합된 고정바(도면부호 미표시)가 프레임(10)에 힌지(31b) 결합됨에 따라 프레임(10)상에서 고정바를 회동시키게 되면 뒷바퀴(30)의 고정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바의 힌지(31b)에는 프레임(10)에 고정바를 고정하는 고정볼트(31c)가 마련되는바, 고정볼트(31c) 체결에 의해 고정바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뒷바퀴(30)에는 제동장치(32)가 마련될 수 있다.
뒷바퀴(30)에 제동장치(32)가 마련됨으로써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이루어질 때 보호자가 뒷바퀴(30)에 마련되는 제동장치(32)를 작동시키게 되면 뒷바퀴(3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주행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동장치(32)는 뒷바퀴(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제동장치(3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핸들(40)은 프레임(10) 전방 상부에 결합하는 것이고, 앞바퀴(20)를 조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40)의 양측 단부 사이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샤프트(41) 하단부에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홈(43a)이 형성된 플랜지부(43)가 마련되고, 샤프트(41)상에는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기(42a)가 형성된 캡(42)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의 샤프트(41)에 마련되는 플랜지부(43)에 형성된 홈(43a)을 프레임(10)의 핸들결합부(15)에 형성된 홈(15a)과 상하로 이어지도록 하고, 핸들(40)의 샤프트(41)상에 결합한 캡(42) 내주면의 돌기(42a)를 샤프트(41)의 플랜지부(43)에 형성된 홈(43a)과 프레임(10)의 핸들결합부(15)에 형성된 홈(15a)을 관통하도록 결합하게 되면 프레임(10)상에서의 핸들(40)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핸들(4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를 통한 주행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는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10)에는 상부로 돌출된 밀대(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뒷바퀴(30)는 밀대(1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레임(10) 후방에 위치하는 보호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2)를 파지한 후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뒷바퀴(30)의 롤러암(31)이 회동하게 되므로 밀대(12)가 밀리거나 당겨지는 측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안장(11)에 저연령 아동을 탑승시킨 상태에서 보호자가 밀대(12)를 밀어가며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보호자에 의한 주행 과정에서 안장(11)에 탑승한 아동이 핸들(40)을 조작하게 되면 보호자에 의한 주행에 간섭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핸들(40)은 잠금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이어서 아동의 핸들(40)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이 방지되므로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핸들(40)의 플랜지부(43)에 형성된 홈(43a)과 프레임(10)의 핸들결합부(15)에 형성된 홈(15a)을 상하로 연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40)의 샤프트(41)상에 결합하는 캡(42) 내주면의 돌기(42a)를 샤프트(41)의 플랜지부(43)에 형성된 홈(43a)과 프레임(10)의 핸들결합부(15)에 형성된 홈(15a)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프레임(10) 상에서의 핸들(40)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핸들(4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는 탑승 아동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10)에는 탑승 아동의 발 안착을 위한 안착부재(14)가 마련되어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14)에 탑승 아동의 발을 안착시키게 되면 주행 과정에서 탑승 아동의 발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탑승 아동은 편안한 자세에서 주행을 즐길 수 있게 되고, 주행 과정에서 자칫 하부로 늘어진 발이 지면의 돌출물과 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착부재(14)는 일 단부에 프레임(10)상에서 회전하는 제1결합편(14a)이 마련된 것이고, 제1결합편(14a)에는 프레임(1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4c)가 마련된 것인바, 제1결합편(14a) 회전을 통해 안착부재(14)를 탑승 아동의 다리 각도에 따라 회동시키고 고정볼트(14c) 체결을 통해 회전된 제1결합편(14a)을 프레임(10)에 고정시키게 되면 안착부재(14)를 통해 탑승 아동의 발을 보다 편안한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착부재(14)에서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는 길이 가변형인바, 탑승 아동의 다리 길이에 따라 제1결합편(14a)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안착부재(14)를 통해 탑승 아동의 발을 보다 편안한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밀대(12)의 상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차양막(16)이 마련되어 있는바, 차양막(16)이 탑승 아동에게 햇빛과 비가 미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탑승 아동은 쾌적한 상태에서 주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는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핸들(40)은 잠금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이어서 아동의 핸들(40)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이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므로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핸들(40)의 플랜지부(43)에 형성되는 홈(43a)과 프레임(10)의 핸들결합부(15)에 형성되는 홈(15a)을 관통하는 캡(42) 내주면의 돌기(42a)를 샤프트(41)의플랜지부(43)에 형성된 홈(43a)과 핸들결합부(15)의 홈(15a)으로부터 빼내면 프레임(10)상에서의 핸들(40)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아동의 핸들(40)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뒷바퀴(30)는 롤러암(31)이 결합된 고정바가 프레임(10)상에서 회동함에 따라 고정 각도가 조절되는 것인바,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이루어질 때 전진 및 후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진을 목적으로 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상에서 고정바를 회동시켜 뒷바퀴(30)를 눕히고 탑승 아동이 좌우 요동을 반복하게 되면 롤러암(31)이 기울게 됨에 따라 방향성을 갖게 되는 뒷바퀴(30)가 지그재그턴을 반복하며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페달링 없이도 전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후진을 목적으로 할 때 프레임(10)상에서 고정바를 회동시켜 롤러암(31)을 수직에 근접하게 세우게 되면 뒷바퀴(30)는 일반 바퀴와 마찬가지로 방향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뒷바퀴(30)의 진행 각도와 앞바퀴(20)의 진행 각도가 일치할 수 있어 후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동용 세발자전거(A)는 뒷바퀴(30)의 롤러암(31)이 밀대(12)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동하는 것인바, 프레임(10) 후방에 위치하는 보호자가 프레임(10)에 마련된 밀대(12)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뒷바퀴(30)가 자유롭게 방향 전환되므로 저연령 아동과 동반하는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핸들(40)이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인바, 보호자에 의한 주행 과정에서 핸들(40)을 잠그게 되면 아동의 핸들(40) 조작에 의한 주행 방향 전환이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저연령 아동과 동반하는 보호자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 과정에서 핸들(40)을 해제하게 되면 아동의 핸들(40) 조작에 따라 자유롭게 주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고연령 아동 본인에 의한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1 : 안장
12 : 밀대 13 : 체결부재
13a : 몸체 13b : 손잡이
13c : 압착편 14 : 안착부재
14a : 제1결합편 14b : 힌지
14c : 고정볼트 15 : 핸들결합부
15a : 홈 16 : 차양막
20 : 앞바퀴 21 : 페달
30 : 뒷바퀴 31 : 롤러암
31b : 힌지 31c : 고정볼트
32 : 제동장치 40 : 핸들
41 : 샤프트 42 : 캡
42a : 돌기 43 : 플랜지부
43a : 홈 A : 세발자전거

Claims (7)

  1. 길이 방향 중간에 안장이 마련되고, 안장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밀대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방에 결합하는 앞바퀴;
    상기 프레임 후방 양측에 결합하는 뒷바퀴;
    상기 프레임 전방 상부에 결합하고, 앞바퀴를 조향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뒷바퀴는 프레임상에서 회동 가능한 롤러암에 결합되어 프레임상의 밀대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겨 롤러암을 회동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핸들은 양측 단부의 사이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샤프트상에 결합하는 캡 내주면의 돌기가 프레임의 핸들결합부 및 샤프트 하단부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홈과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상에서 회전 가능한 해제상태로부터 회전 불가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밀대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에 압착되어 프레임상에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프레임과 나선 물림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손잡이, 상기 몸체 다른 일측 선단에 결합하는 압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탑승 아동의 발 지지를 위한 안착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일 단부에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제1결합편이 마련되어 제1결합편 회전에 의해 회동하고, 제1결합편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마련되어 고정볼트 체결에 의해 회전 또는 미회전 상태로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결합편으로부터 이어지는 부위가 길이 가변형으로 되어 탑승 아동의 다리 길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밀대 상단에는 착탈식 차양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는 롤러암이 결합된 고정바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상에서 고정바가 회동함에 따라 고정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세발자전거.
KR2020120008716U 2012-09-27 2012-09-27 아동용 세발자전거 KR200474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16U KR200474783Y1 (ko) 2012-09-27 2012-09-27 아동용 세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16U KR200474783Y1 (ko) 2012-09-27 2012-09-27 아동용 세발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79U KR20140001979U (ko) 2014-04-04
KR200474783Y1 true KR200474783Y1 (ko) 2014-10-13

Family

ID=5199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16U KR200474783Y1 (ko) 2012-09-27 2012-09-27 아동용 세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298B1 (ko) * 2015-01-09 2015-03-18 김갑수 유아자전거
CN108438119A (zh) * 2018-03-05 2018-08-24 平湖市至爱童车有限公司 一种具有遮阳功能的童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468A1 (de) 1998-12-23 2000-07-06 Puky Gmbh & Co Kg Anordnung zur wahlweisen Arretierung der Lenkungseinrichtung eines Kinderfahrzeuges
JP2004136713A (ja) 2002-10-15 2004-05-13 Aidesu Kk 子供用三輪車
KR101010117B1 (ko) 2010-05-03 2011-01-24 신혜영 후륜 조향식 자전거
KR200459089Y1 (ko) 2011-09-26 2012-03-21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468A1 (de) 1998-12-23 2000-07-06 Puky Gmbh & Co Kg Anordnung zur wahlweisen Arretierung der Lenkungseinrichtung eines Kinderfahrzeuges
JP2004136713A (ja) 2002-10-15 2004-05-13 Aidesu Kk 子供用三輪車
KR101010117B1 (ko) 2010-05-03 2011-01-24 신혜영 후륜 조향식 자전거
KR200459089Y1 (ko) 2011-09-26 2012-03-21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79U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842B2 (en) Multi-passenger tricycle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EP2072388B1 (en) Ride-on toy having movable footrest
JP2008030741A (ja) ベビーカーのフレーム
KR200474783Y1 (ko) 아동용 세발자전거
US9193371B2 (en) Child's active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JP5267781B2 (ja) ステッキハンドル自転車
KR20170049182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108502006B (zh) 一种儿童推车
KR200448196Y1 (ko) 어린이용 삼륜 자전거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CN103112531A (zh) 一种新型童车
KR200451119Y1 (ko) 유아용 세발자전거
CN203078675U (zh) 一种新型童车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CN211364826U (zh) 一种童车手把转向结构
CN203332182U (zh) 多功能两用母婴车
CN221273177U (zh) 一种儿童车的推杆组件及儿童车
KR101007823B1 (ko) 자전거 겸용 유모차
CN107985490B (zh) 一种滑板婴儿车
JP2011063254A (ja) 転倒しない安全自転車
CN216140047U (zh) 一种代步婴儿车
KR101814900B1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