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88Y1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788Y1 KR200461788Y1 KR2020100011206U KR20100011206U KR200461788Y1 KR 200461788 Y1 KR200461788 Y1 KR 200461788Y1 KR 2020100011206 U KR2020100011206 U KR 2020100011206U KR 20100011206 U KR20100011206 U KR 20100011206U KR 200461788 Y1 KR200461788 Y1 KR 2004617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housing
- knob
- plunger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9/04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provided with vent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직 가동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플런저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한 플런저 샤프트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타단과 연결되는 플런저 미디엄과, 상기 플런저 미디엄과 연결되고 탄성 가동 가능한 플런저 베이스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switch unit including a switch knob mov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 switch plunger disposed vertically in the housing by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nd a switch operated by the switch plunger. The switch plunger provides a switch unit having a plunger shaft,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knob, a plunger medium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nger shaft, and a plunger base connected to the plunger medium and elastically movable.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이물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 to a printed circuit board due to liquid foreign matter.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BACKGROUND ART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In general, when operation in opposite directions is required, a seesaw switch device or sliding switch device is used such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ndow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for example,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f a vehicle. In particular, since various switch dev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these switch devices are required to be compact, and interference prevention between the switch devices is a necessity of the design.
종전 스위치 장치의 경우, 특히 시소 스위치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의 시소 운동을 통하여 소정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노브의 시소 운동을 통하여 가압력이 플런저로 전달되고 플런저가 소정의 스위치를 가동시켜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특히, 러버 패드를 사용하여 가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러버 패드에 배치되는 접점의 안정적인 가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러버 패드는 스위치 장치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이물의 유입으로 인한 기판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러버 패드는 하우징과 이질적 재료로 인하여 조립 중 러버 패드의 들뜸 현상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접점의 원활한 동작 확보가 불가능한 상태에 도달하는 오조립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러버 패드를 통한 액체 이물 유입 방지 이외에 별도의 배수구를 갖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배수로에 따라 장치가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기 어려웠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witch devi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eesaw switch device, a predetermined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esaw movement of the knob operated by the user.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lunger and the plunger activates the predetermined switch through the seesaw movement of the knob. Take a structure that generates a signal change. In particular,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ubber pad, stable operation of the contact point disposed on the rubber pad is essentially required. The rubber pad also functions to prevent substrate damage due to the inflow of liquid foreign matter flowing from the top of the switch device. However, in the rubber 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ue to the housing and the dissimilar materials, the assembly state of the rubber pad frequently reaches a state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smooth operation of the contact due to the lifting of the rubber pad during assembly.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liquid foreign matter through such a rubber pad, but has a structure having a separate drain, it was difficult to achieve a compact structure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according to the drainage.
또한, 스위치의 조작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부에 배치되는 램프 등의 빛이 스위치 노브로 전달되는 구조에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경우, 누광을 방지하기 위한 누광 차단 구조가 다양하게 구비되었으나, 종래의 누광 차단 구조의 경우 복잡한 광가이드 구조로 인하여 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In addition,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variety of light leakage block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in the structure in which light such as a lamp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knob to easily know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switch. However, the conventional light leakage blocking structure has also been accompanied by a problem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device due to the complicated light guide structure.
따라서, 본 고안은 기판으로의 액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로 누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liquid foreign matter onto a substrate and efficiently blocking light leakage in a compact structu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체결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직 가동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광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 상에는 돌출 형성되는 바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리브에는 상기 광출력부의 빛을 상기 스위치 노브를 향하여 안내하는 바디 리브 관통구가 형성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using having a housing body and a housing base coupled to the housing body;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witch unit including a switch knob one side of which is mov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 switch plunger disposed vertically in the housing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nd a switch that is operated by the switch plunger; And an optical output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ody ri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wherein the body rib guides light toward the switch knob. Provided is a switch unit in which a body rib through hole is formed.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바디 리브의 외측에는 상기 바디 리브가 배치되는 위치보다 낮게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하여 단차 형성되는 바디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단차부를 경계로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한 측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바디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body step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rib toward the housing base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body rib is disposed, the housing base on the boundary of the body step portion A body through-hol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toward which the housing body penetrates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base.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단부는 상기 바디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바디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관통구의 내측과 접촉 가능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an end of the switch knob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hole, and an end of the switch knob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hole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of the body through hole so as to detach the switch knob. A knob stopper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is.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가동 영역을 제한하는 바디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a body stopper for limiting a movable area of the switch knob may be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witch knob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 안착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안착부의 외측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영역을 구획 격리하기 위한 베이스 격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격리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에는 이물의 배출을 위한 베이스 배수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housing base is provided with a base substrate mounting portion for stably suppor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isolation portion for isolating the area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eated outside the base substrate mounting portion. In an area partitioned by the base isolator, a base drain hole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may be provided.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측부에는 인접한 다른 스위치 노브와 교차 배치되는 노브 누광 차단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a plurality of switch knobs may be provided, and a side of the switch knob may be provided with a knob light leakage blocking unit intersecting with another adjacent switch knob.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에는 상기 스위치 플런저의 관통을 허용하는 하우징 바디 플런저 관통구의 하단에는 상기 스위치 플런저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플런저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switch unit, the hous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nger stopper for limi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switch plunger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ody plunger through-hole which allows the switch plunger to penetrat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바디 리브 및 바디 관통구 등의 구조를 통하여 액체 이물의 유입으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First,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dy ribs and the body through-holes and the like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inflow of liquid foreign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하우징 바디의 일면 상에는 바디 단차부가 구비되고 바디 단차부를 기준으로 저위 영역에 바디 관통구 내지 바디 보조 관통구를 구비하여 액체 이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Second,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step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nd the body through-hole or body auxiliary through-hole in the lower region relative to the body step can be induced to smoothly discharge the liquid foreign matter.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의 노브 누광 차단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통한 누광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leakage through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of the adjacent switch knob through the knob light leakage blocking unit of the switch knob.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또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바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베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left sid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at another point in time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housing body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housing base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좌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또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바디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베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된다.Hereinafter, a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left sid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is shown, FIG. 4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t another point of view is shown, in FIG. 6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 un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in FIG. 7 another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int of view is shown, and FIG. 8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a housing body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gnored and, Fig. 9 is shown a schematic plan view of a housing base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부(300)와, 광출력부(400)를 구비한다. The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와 하우징 커넥터(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넥터(130)는 하우징 바디(110) 및 하우징 베이스(120)와 체결되어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루도록 한다. The
하우징 바디(110)의 외주 하단에는 바디 체결부(111)가 구비되는데, 바디 체결부(111)는 하기되는 하우징 베이스(120)의 베이스 체결부(121)와 서로 맞물리어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 단부에는 바디 커넥터 체결부(미도시)가 배치되고 하우징 커넥터(130)의 단부에는 커넥터 체결부(131)가 구비되는데, 이들은 서로 맞물림으로써 서로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A body fastening part 111 is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lower end of the
하우징 바디(110)의 상단에는 바디 회동부(113)가 배치되는데, 바디 회동부(113)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310)와 가동 가느하게 체결되어 스위치 노브(310)의 힌지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는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가 형성되는데,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를 통하여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스위치 플런저(320)가 안정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부(300)는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310) 및 스위치 플런저(320) 및 스위치(3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에는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310) 간의 동작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디 연장 리브(114)를 구비한다. 바디 연장 리브(114)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바디 연장 리브(114)는 스위치 노브(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310)의 동작 중 발생하는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A
바디 리브(115)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바디 리브(115)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바디 리브(115)의 중앙에는 바디 리브 관통구(115a)가 형성되는데, 바디 리브 관통구(115a)는 하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기되는 광출력부(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안내하여 스위치 노브(310)로 향하도록 한다. The
바디 리브(115)의 높이는 스위치 노브(310)의 높이의 약 0.4 내지 0.8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동작중 스위치 노브(310)와의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음료수 등의 이물이 침투하는 경우 바디 리브(115)를 넘어 하부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바디 리브(115)의 외측에는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가 배치되는데,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를 통하여 하기되는 스위치 플런저(320)가 관통 가동 가능한 구성을 취한다. A body plunger through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에는 바디 단차부(116)가 형성되는데, 바디 단차부(116)는 하우징 바디(110)의 영역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높은 위치를 갖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의 영역에 바디 리브(115) 및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가 배치되고,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를 갖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의 다른 영역에 바디 관통구(117)가 배치된다. 바디 관통구(117)는 일측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으로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를 점유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타측은 하우징 바디(110)를 관통하여 하우징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바디 관통구 출구(117a, 도 6a 참조)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A
따라서,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310) 상부에서 음료수 등의 이물이 침습되는 경우 이물은 스위치 노브(310)의 외면을 따라 하우징 바디(110)의 상면에 도달하는데, 이물은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높은 위치를 점유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바디 리브(115)를 넘어 바디 리브 관통구(115a)로 침습되지 않고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를 점유하는 영역으로 유동하여 바디 관통구(117)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Therefore, when foreign matter such as a beverage is infil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하우징 바디(110)에 배치되는 바디 단차부는 별도의 바디 보조 단차부(116a)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으로 높은 위치(110a)를 점유하는 영역(고위 영역)에 대비하여 낮은 위치를 점유하는 또 다른 영역(110c)를 구비하도록 구획되는데, 또 다른 낮은 위치를 점유하는 저위 영역(110c)에는 별도의 바디 보조 관통구(117b)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보조 관통구(117b)는 하우징 바디(110)를 관통하여 하부의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바디 보조 관통구(117b)가 연장 형성되어 향하는 하우징 베이스(120)는 베이스 격리부(125)에 의하여 영역 구분되는 하기되는 베이스 격리 영역(120b)과 연결된다. 하기되는 베이스 격리 배수 영역(120b)에는 별도의 베이스 배수구(127)가 구비되는데, 이를 통하여 음료수와 같은 액체성 이물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손상없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step portion disposed on the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으로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높은 위치를 점유하는 영역, 즉 고위 영역(110a, 도 4 참조)으로 바디 리브(115)의 인근에는 바디 스톱퍼(119)가 배치되는데, 바디 스톱퍼(119)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310)의 과도한 가동으로 인한 구성요소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 스톱퍼(119)는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 영역의 양단 내지 일단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 스톱퍼(119)가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 영역의 양단, 즉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축을 가로지르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스위치 노브(310)가 배치되는 양단 측에 배치되는데, 바디 스톱퍼는 일측에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스위치 노브(310)의 과도한 가동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하우징 베이스(120)는 하우징 바디(110)와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체결부(121)가 배치되는데, 베이스 체결부(121)는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바디 체결부(111)와 맞물리어 양자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20)의 내면에는 베이스 기판 안착부(123)가 배치되는데, 베이스 기판 안착부(123)에는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이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된다. The
또한, 하우징 베이스(120)의 내측에는 베이스 격리부(125)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격리부(125)는 하우징 베이스(120)의 영역을 구획 분할한다. 즉, 베이스 격리부(125)는 하우징 베이스(120)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격리부(125)는 하우징 베이스(120)의 영역을 베이스 기판 영역(120a)과 베이스 격리 배수 영역(120b)으로 분할 구획한다. 따라서, 상부의 하우징 바디(110) 측으로부터 유입된 액체 이물은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 영역(120a)을 거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하우징 베이스(120)의 베이스 격리 배수 영역(120b)에는 베이스 배수구(127)가 배치되는데, 베이스 배수구(127)를 통하여 베이스 격리 배수 영역(120b)으로 진입한 액체 이물은 베이스 기판 영역(120a)으로 침습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A
하우징 커넥터(130)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의 사이로 양자의 일단 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커넥터(130)에는 커넥터 체결부(131)가 배치되는데, 이는 하우징 바디(110) 및 하우징 베이스(120)의 커넥터 체결부(1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디 커넥터 체결부(미도시) 및 베이스 커넥터 체결부(122)와 맞물림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하우징 커넥터(130)가 원활하게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커넥터(130)의 양단은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를 통하여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연결되는 커넥터 핀(미도시)이 배치되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원활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이룰 수 있다. The
인쇄회로기판(200)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와 하우징 커넥터(13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20)에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안착부(123)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핀(미도시)과 연결되어 하우징 커넥터(130)를 통하여 제어부 등과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The printed
스위치부(300)는 스위치 노브(310)와 스위치 플런저(320)와 스위치(33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310)는 일측이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 플런저(320)는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에 의하여 하우징(100)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330)는 스위치 노브(3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전달받는 스위치 플런저(320)에 의하여 가동된다. The
스위치 노브(310)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310)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바디 리브(1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310)의 일면 상에는 노브 아이콘(311)이 형성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광출력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외부로 출사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야간 시에 스위치 노브(310)의 정확한 위치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스위치 노브(310)의 일단에는 노브 스위치 회동부(313)가 배치되는데, 노브 스위치 회동부(313)는 하우징 바디(110)에 형성되는 바디 회동부(113)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스위치 노브(310)의 하면에는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가 배치되는데,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 도 8 참조)는 스위치 노브(310)의 하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스위치(330)를 가동시켜 소정의 전기 신호의 변화를 생성한다.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는 단순한 연장 돌기 구조를 취하나,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의 단부에는 별도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가동부 접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스위치(330)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A
스위치 노브(310)에는 노브 스톱퍼(315)가 배치되는데, 노브 스톱퍼(315)는 스위치 노브(310)의 일단,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 스위치 회동부(313)가 배치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된다. 노브 스톱퍼(315)는 상기한 바디 단차부(116)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를 점유하는 저위 영역(110b)에 배치되는 바디 관통구(117)에 삽입 배치되는데, 노브 스톱퍼(315)는 바디 관통구(117)의 내측과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스톱퍼(315)의 단부는 소정의 돌기 구조를 형성하는데, 바디 관통구(117)에 삽입된 노브 스톱퍼(315)의 단부는 바디 관통구(117)의 내측으로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 하면과 접촉 가능한 구조를형성하여 노브 스톱퍼(315)가 바디 관통구(117)를 통하여 원치 않게 인출되어 스위치 노브(310)가 하우징 바디(11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 가동에 의하여 스위치 플런저(320)는 수직 가동력을 제공받아 수직 가동된다. 스위치 플런저(320)는 본 실시예에서 바아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스위치 플런저(320)는 플런저 샤프트(321)와 플런저 베이스(323)를 포함한다. 플런저 샤프트(321)는 하우징 바디(110)에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데, 일단은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 노출되어 스위치 노브(310)에 형성되는 노브 스위치 가동부(312)에 의하여 가동된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가 배치되는데,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에 플런저 샤프트(321)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에 의하여 플런저 샤프트(321)의 가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플런저 베이스(323)는 플런저 샤프트(321)의 타단에 배치되는데, 플런저 베이스(323)는 플런저 샤프트(321)의 타단에 배치되어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의 안내를 따라 가동되는 플런저 샤프트(321)와 함께 가동된다. 플런저 베이스(323)는 하기되는 스위치(330)를 가동시켜 스위치(330)의 전기적 신호 출력의 변화를 생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베이스(323)의 면적은 플런저 샤프트(321)의 면적보다 큰 값을 갖는다. 즉, 플런저 샤프트(3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플런저 베이스(323)의 면적은 플런저 샤프트(321)의 면적보다 큰 값을 가짐으로써 하부의 스위치(330)의 보다 안정적인 가압 동작을 통한 푸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플런저 베이스(323)의 플런저 샤프트(321)보다 큰 면적으로 인하여 플런저 베이스(323)와 하우징 바디(110)는 소정의 스위치 플런저(32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하면으로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의 하단에는 플런저 스톱퍼(119a)가 배치되는데, 플런저 스톱퍼(119a)는 스위치 플런저(320)의 가동 범위를 제한한다. 플런저 베이스(323)는 플런저 샤프트(321)보다 큰 값을 구비하고 바디 플런저 관통구(112)의 플런저 샤프트(3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면적은 플런저 베이스(323)보다 작은 면적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3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330)에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고 스위치 플런저(320) 및 스위치 노브(310)가 원위치 복귀되는 경우 플런저 베이스(323)는 플런저 스톱퍼(119a)와 접촉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여 과도한 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 샤프트(321), 즉 스위치 샤프트(320)가 하우징 바디(11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스위치(330)는 스위치 노브(310) 및 스위치 플런저(3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수직 가압력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33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310) 및 스위치 플런저(320)를 통하여 인가되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축적된 복원력에 의하여 스위치(330), 스위치 플런저(320) 및 스위치 노브(310)는 원위치 복귀된다.The
광출력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빛을 출력한다. 광출력부(400)는 본 실시예에서 LED로 구현되는데, 광출력부(400)에서 출사되는 빛은 스위치 노브(31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노브 아이콘(311)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노브(3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The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스위치 노브(310)에는 광출력부(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외부로 제공하는 노브 아이콘(311) 등의 구조를 취하고 하우징 바디(110)에는 광출력부(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바디 리브 관통구(115a)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300)의 스위치 노브(310), 스위치 플런저(320) 및 스위치(330)와 광출력부(400)는 복수 개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인접 광출력부(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인근 스위치 노브(310)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수 개가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310)의 측부에는 인접한 다른 스위치 노브와 교차 배치되는 노브 누광 차단부(317,319)가 배치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노브 누광 차단부(317,319)는 노브 누광 상단 차단부(317)와 노브 누광 하단 차단부(319)를 포함하는데, 노브 누광 상당 차단부(317)와 노브 누광 하단 차단부(319)는 각각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갖는 스위치 노브에 각각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누광 상단 차단부(317)는 좌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스위치 노브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노브 누광 하단 차단부(319)는 두 개 중 나머지 하나의 스위치 노브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플런저(320)의 가동 방향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교차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하부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광출력부(400)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인근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로 전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해당 스위치 노브에만 출사되도록 하고 스위치 노브의 사이 틈을 통하여 외부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누광 차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스위치 노브의 측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서로 맞물리는 "ㄷ"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인접하는 스위치 노브의 사이를 통한 누광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The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스위치 유니트는, 바디 리브를 통하여 하부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액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ranges to take a structure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liquid foreign matter to the lower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body ribs.
10...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110...하우징 바디 120...하우징 베이스
130...하우징 커넥터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부 310...스위치 노브
320...스위치 플런저 330...스위치10 ...
110 ...
130 ...
300 ...
320 ... switch
Claims (7)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 상에는 돌출 형성되는 바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리브에는 상기 광출력부의 빛을 상기 스위치 노브를 향하여 안내하는 바디 리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바디 리브의 외측에는 상기 바디 리브가 배치되는 위치보다 낮게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하여 단차 형성되는 바디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단차부를 경계로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한 측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바디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A housing having a housing body and a housing base engaged with the housing body;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witch unit including a switch knob one side of which is mov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 switch plunger disposed vertically in the housing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nd a switch that is operated by the switch plunger; And an optical output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ody rib protruding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he body rib is formed through the body rib through hole for guiding the light output of the light toward the switch knob,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body step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rib toward the housing base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body rib is disposed, the housing body on the side facing the housing base on the body step portion boundary Swit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through-hole is formed to penetrate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base from one surface of the.
상기 스위치 노브의 단부는 상기 바디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바디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관통구의 내측과 접촉 가능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The method of claim 1,
An end of the switch knob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hole,
And a knob stopper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witch knob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hole to be in contact with an inside of the body through hole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switch knob.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가동 영역을 제한하는 바디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The method of claim 1,
And a body stopper for limiting a movable area of the switch knob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witch knob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 안착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안착부의 외측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영역을 구획 격리하기 위한 베이스 격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격리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에는 이물의 배출을 위한 베이스 배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base is provided with a base substrate mounting portion for stably suppor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isolation portion for partitioning and separating the area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eated outside the base substrate mounting portion.
Switch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divided by the base isolator is provided with a base drain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상기 스위치 노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측부에는 인접한 다른 스위치 노브와 교차 배치되는 노브 누광 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kno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swit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switch knob is provided with a knob leakage block that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another switch knob adjacent.
상기 하우징 바디에는 상기 스위치 플런저의 관통을 허용하는 하우징 바디 플런저 관통구의 하단에는 상기 스위치 플런저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플런저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plunger stopper for limi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switch plunger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ody plunger through-hole allowing the passage of the switch plun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206U KR200461788Y1 (en) | 2010-11-01 | 2010-11-01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206U KR200461788Y1 (en) | 2010-11-01 | 2010-11-01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224U KR20120003224U (en) | 2012-05-09 |
KR200461788Y1 true KR200461788Y1 (en) | 2012-08-06 |
Family
ID=4661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120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1788Y1 (en) | 2010-11-01 | 2010-11-01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788Y1 (en) |
-
2010
- 2010-11-01 KR KR2020100011206U patent/KR20046178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224U (en) | 201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3499B1 (en) | Rotary switch unit | |
US20140233196A1 (en) | Switch device | |
US20130220063A1 (en) | Switch device | |
KR200461788Y1 (en)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
JP2012186060A (en) | Switch device | |
CN104658781B (en) | Door-window is switched | |
KR200468484Y1 (en) | Switch Assembly for Vehicle | |
KR101602496B1 (en) | 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 |
KR200435922Y1 (en) | Hood switch | |
EP3780053B1 (en) | Switch device | |
KR101110451B1 (en) | Slider unit switch and power window switch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1197996B1 (en) | Power window switching module | |
KR102675893B1 (en) | Push switch device and a switching unit with the same | |
KR102726889B1 (en) | Mirror Switch for Vehicle | |
KR200469355Y1 (en) | Door Lock Switch for Vehicle | |
KR200467290Y1 (en) |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 |
KR101125375B1 (en) |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 |
KR200460897Y1 (en) | Switching device unit for a vehicle | |
JP2014157695A (en) | Switch device | |
US12159761B2 (en) | Vehicle push switch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200480969Y1 (en) |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 |
KR200471413Y1 (en) | Sliding switch unit for locking/unlocking the operation of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of a vehicle | |
KR200457186Y1 (en) | Steering wheel switch unit | |
KR101171651B1 (en) | Switching device unit | |
KR200449432Y1 (en) | Hermetic device of heavy duty vehicle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0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