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61694Y1 - 단열 용기 - Google Patents

단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694Y1
KR200461694Y1 KR2020100012587U KR20100012587U KR200461694Y1 KR 200461694 Y1 KR200461694 Y1 KR 200461694Y1 KR 2020100012587 U KR2020100012587 U KR 2020100012587U KR 20100012587 U KR20100012587 U KR 20100012587U KR 200461694 Y1 KR200461694 Y1 KR 200461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gripping portion
container according
gripping
insul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246U (ko
Inventor
차규환
유기민
박은진
정리오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00012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694Y1/ko
Priority to PCT/KR2011/007729 priority patent/WO2012077905A1/en
Publication of KR20120004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6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단열 용기는 몸체, 플랜지 및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를 가져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 주변을 둘러싼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부와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부 측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단열 용기{INSULATED CONTAINER}
본 고안은 단열 기능을 갖는 단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고, 컵홀더와 같은 거치대에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단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열이 사용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단열 용기에 용기와 별도로 손잡이 또는 홀더를 끼우거나, 용기의 재질을 발포성을 변경시키거나, 용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단열 용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고, 거치대에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열 용기는 몸체, 플랜지 및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 주변을 둘러싼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부 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면상에서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부 및 상기 파지부 간에 단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열 용기에 따르면, 사용자는 몸체 대신에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서 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에 상관없이 단열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플랜지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단열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거나, 거치대에 의해 단열용기가 컵홀더와 같은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이에게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다소 간략화되거나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일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다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열용기(100)는 몸체(10), 플랜지(20), 제1 파지부(30), 제2 파지부(40), 및 덮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내용물을 수용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0)는, 일반적인 종이컵의 형상과 유사하게, 측면상에서 상기 플랜지(20)로부터 멀어지고 바닥부(11)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몸체(10)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20)는 상기 몸체(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5) 주변을 둘러싼다. 상기 플랜지(20)는 플랜지 상부(21), 플랜지 하부(22) 및 테두리부(23)를 포함하고, 측면상에서 상기 플랜지 상부(21) 및 상기 플랜지 하부(22) 각각의 표면은 제1 방향(D1)과 평행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11)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는 전제하에, 상기 플랜지 상부(21) 및 상기 플랜지 하부(22) 각각의 표면은 상기 바닥부(11)의 표면과 평행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상부(21)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경우에,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상기 덮개부(50)는 상기 플랜지 상부(2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 용기(100)에서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는 상기 플랜지 하부(22)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부(11) 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되, 상기 몸체(10)와 이격된다. 상기 제1 파지부(30)는 상기 몸체(10)와 제1 거리(L1)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파지부(40)는 상기 몸체(10)와 제2 거리(L2)만큼 이격될 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거리(L1) 및 상기 제2 거리(L2) 각각은 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들에서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 각각에서 상기 바닥부(11)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 각각에서 상기 플랜지 하부(22)와 인접한 부분보다 상기 몸체(10)와 더 멀리 이격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들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는 상기 몸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34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몸체(10)의 크기와 같은 요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 외에 상기 단열 용기(100)에 더 많은 파지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단열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가열된 내용물이 수용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몸체(10) 대신에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용물의 열이 상기 몸체(10)를 통하여 사용자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0)에 가열된 물이 수용된 경우에, 상기 몸체(10)에는 최소 상기 가열된 물의 90%이상의 열이 전달될 수 있으나,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에는 상기 가열된 물의 50% 미만의 열만이 전달되어 사용자는 상기 단열용기(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은 상기 플랜지(20)와 결합되되, 상기 테두리부(23)와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 하부(2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은 상기 테두리부(23)로부터 연장된 형상이 아닌, 상기 테두리부(23)와 이격되도록 상기 플랜지 하부(22)로부터 연장된다. 이에 따라, 측면상에서 상기 테두리부(23) 및 상기 제1 파지부(30) 간에 제3 거리(L3)만큼 단차가 발생되어 상기 플랜지 하부(22)에 걸림턱(15)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면상에서 상기 테두리부(23) 및 상기 제2 파지부(40) 간의 이격거리만큼 단차가 발생되어 상기 플랜지 하부(22)에 걸림턱(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측면상에서 상기 테두리부(23)는 상기 몸체(10)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플랜지 하부(22)에 걸림턱(1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컵홀더(미도시)와 같은 거치대에 상기 단열 용기(100)를 거치하는 경우에, 상기 단열 용기(100)는 상기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컵홀더에 용이하게 거치되고, 상기 컵홀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 각각은 상기 플랜지 하부(22)로부터 상기 바닥부(11) 측으로 상기 몸체(10)의 높이(H1)의 1/3 내지 2/3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0)의 높이(H1)가 85mm인 경우에, 측면상에서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 각각의 길이(L1)는 약 28mm 내지 약 56mm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0), 상기 플랜지(20),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50)를 제외한 상기 단열 용기(100)의 구성요소들은 사출법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제조될 수 있어 상기 단열 용기(100)의 제조원가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0), 상기 플랜지(20), 상기 제1 파지부(30), 및 상기 제2 파지부(4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용기(1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용기(10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파지부(30) 또는 상기 제2 파지부(40)가 외력(41)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더라도, 상기 외력(41)에 대응하여 탄성력(42)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4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0,40)이 내측으로 구부러져 컵홀더에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단열용기(100)는 상기 탄성력(42)에 의해 상기 컵홀더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열용기(101)는 몸체(10), 플랜지(20), 제1 파지부(35), 제2 파지부(45), 및 덮개부(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파지부들(도 2의 30 및 40) 각각은 측면상에서 바닥부(11)와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나,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파지부들(35, 45)은 측면상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경사진 방향들(D3,D4)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0)와 이격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5,45) 각각은 상기 플랜지(20)로부터 상기 바닥부(11) 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가까워지는 역구배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5,45) 각각은 상기 몸체(10)와 이격되는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5,45) 각각이 상기 몸체(10)와 상기 일정 범위 외로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상에서 상기 몸체(10)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35, 45) 각각이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단열 용기(101)는 상기 컵홀더에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열용기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열용기(102)는 몸체(10), 플랜지(20), 파지부(60), 및 덮개부(50)를 포함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5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열용기들(도 1의 100, 도 5의 101) 각각은 두 개의 파지부들을 가지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단열용기(102)는 하나의 파지부(60)를 갖는다. 그 대신에, 상기 파지부(60)는 상기 몸체(10)의 둘레의 1/2이상을 커버하여 상기 몸체(10)와 이격되고, 상기 파지부(60)의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몸체(10)는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파지부(60)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기 용이하지 않은 상기 파지부(60)의 일부분이 제거됨으로서 상기 단열용기(102)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파지부(6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60)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들(60)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60)를 파지할 때, 상기 돌출부들(6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파지부(6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몸체 11: 바닥부
15: 걸림턱 20: 플랜지
21: 플랜지 상부 22: 플랜지 하부
23: 테두리부 30: 제1 파지부
40: 제2 파지부 50: 덮개부
100: 단열 용기

Claims (10)

  1.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 주변을 둘러싸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부와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부 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측면상에서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부 및 상기 파지부 간에 발생되는 단차에 의해 상기 플랜지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측면상에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플랜지와 직교하되 몰드 이격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바닥부로 내려갈수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가까워지는 역구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제1 파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파지부와 마주보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파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1mm 내지 10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부터 상기 바닥부 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몸체의 높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의 둘레의 1/2이상을 커버하고, 상기 파지부가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상기 몸체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와 가까워지도록 작용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KR2020100012587U 2010-12-06 2010-12-06 단열 용기 Expired - Lifetime KR200461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87U KR200461694Y1 (ko) 2010-12-06 2010-12-06 단열 용기
PCT/KR2011/007729 WO2012077905A1 (en) 2010-12-06 2011-10-18 Insulate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87U KR200461694Y1 (ko) 2010-12-06 2010-12-06 단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46U KR20120004246U (ko) 2012-06-14
KR200461694Y1 true KR200461694Y1 (ko) 2012-07-30

Family

ID=4620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87U Expired - Lifetime KR200461694Y1 (ko) 2010-12-06 2010-12-06 단열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1694Y1 (ko)
WO (1) WO201207790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831U (ko) 1987-03-20 1988-10-03
JP2003191940A (ja) 2001-12-21 2003-07-09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JP2003246367A (ja) 2002-02-21 2003-09-02 Miike Shokuhin Kogyo Kk 食品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448Y1 (ko) * 1993-08-31 1996-05-30 이근희 펄프제 음식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831U (ko) 1987-03-20 1988-10-03
JP2003191940A (ja) 2001-12-21 2003-07-09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JP2003246367A (ja) 2002-02-21 2003-09-02 Miike Shokuhin Kogyo Kk 食品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46U (ko) 2012-06-14
WO2012077905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2171A1 (en) Beverage container
RU2016122047A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е упаковки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устройств
CA3038163A1 (en) Food container
CN103767285A (zh) 食品容器
JP2007091338A (ja) 合成樹脂製角型壜体
KR200461694Y1 (ko) 단열 용기
KR20130107126A (ko) 선택적 결합사용이 가능한 트윈형 수용용기
KR101107726B1 (ko)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TW201116461A (en) Bottle-type container
TW200821222A (en) A wide hole PET vessel with handle
JP2013001441A (ja) 容器およびキャップ取付方法
JP4949531B2 (ja) 把手付きボトル
JP2011111210A (ja) ボトル
CN210054964U (zh) 硅胶饭盒
KR101870192B1 (ko) 립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JP2008030816A (ja) 合成樹脂製ボトル
KR20150106294A (ko) 포장용 용기
KR101410913B1 (ko) 페트 용기 손잡이 구조
JP3138502U (ja) 円筒状容器
KR101418070B1 (ko) 한손 병따개
KR101355042B1 (ko) 용기뚜껑 오프너
CN215324391U (zh) 梅形盖可堆叠罐装塑料容器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CN111212793A (zh) 容器罩
CN203958900U (zh) 盖和具有该盖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2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