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228Y1 -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 Google Patents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228Y1 KR200461228Y1 KR2020100006032U KR20100006032U KR200461228Y1 KR 200461228 Y1 KR200461228 Y1 KR 200461228Y1 KR 2020100006032 U KR2020100006032 U KR 2020100006032U KR 20100006032 U KR20100006032 U KR 20100006032U KR 200461228 Y1 KR200461228 Y1 KR 2004612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 fabric
- shawl
- function
- neck
-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6—Balaclava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부위를 감싸 목을 보온하는 목도리가 보온모자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필요 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도리 및 보온모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는, 방한을 위해 사람의 목부위에 착용되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섬유원단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그 둘레면이 마감처리된 이중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 섬유원단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섬유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섬유원단과 대응하는 제2 섬유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밀착수용됨으로써 그 내부에 머리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그 경계부를 표시하는 접이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도리가 환형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도 기본적인 목도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보온모자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wl, and more particularly, a shawl that wraps around the neck to keep the neck warm,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hawl and the warm ha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f necessary It relates to a shawl with function.
The shawl having the function of the heat insulating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wl worn on the neck of a person for cold protection,
The neckerchief,
The fiber fabric has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nished in a state where the fiber fabrics overlap each other, and a first fiber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fiber fabric on the other si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ber fabric. A second fiber fabric is formed, and between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fabrics is closely received inwar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accommodating the head therein. A body having a folding part indicating a boundary thereof so that one side thereof has an open space part; And
And a connecting mean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awl has an annular shape.
The shawl with the heat insulating ca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basic shawl can be maintained while being formed in a short length, and can be used by being transformed into a heat insulating cap as necessary.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부위를 감싸 목을 보온하는 목도리가 보온모자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필요 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도리 및 보온모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wl, and more particularly, a shawl that wraps around the neck to keep the neck warm,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hawl and the warm ha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f necessary It relates to a shawl having a function.
일반적으로 동절기 내지는 사람이 기온차를 느낄 때 외부로 노출된 신체의 목부위 또는 머리를 보온하기 위해 방한용품이 사용된다.In general, cold weather is used to keep the neck or head of the bod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erson or the winter feels the temperature difference.
주로 방한용품으로는 목부위에 착용 되어 목을 보온하기 위한 목도리와, 머리에 착용되어 머리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모자가 사용된다.Mainly used as cold protection items, a neckerchief for warming the neck to be worn on the neck, and a warming cap for warming the head to be worn on the head are used.
목도리는 목에 둘러져 나머지 부분을 이용하여 다수의 횟수로 반복적으로 감아 매듭을 형성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목부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목을 보온하게 된다.The shawl is wrapped around the neck and is repeatedly worn a number of times using the remainder to form a knot, and in particular, the neck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to keep the neck warm.
보온모자는 머리와 머리카락을 보호함과 아울러 보온 및 장식용으로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동절기에 외부온도가 낮을 경우 외출 및 야외 활동 시 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여 체온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보온성 및 방한성이 뛰어나 근래에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각광받고 있다.Insulation cap is worn on the head for warming and decoration as well as protecting the head and hair.In winter,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it protects the head from the cold during outdoor activities and outdoors, and keeps the body temperature. There is a spotlight in various age groups.
그러나, 상기의 방한용품은 기온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착용하기 때문에 목도리와 보온모자를 모두 착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목도리와 보온모자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을 안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ld weather products are selectively worn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so in order to wear both the shawl and the warming cap,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t, and the economical burden is required because the shawl and the warming cap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또한, 목도리의 경우는 목에 둘러져 나머지 부분을 이용하여 다수의 횟수로 반복적으로 감아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 길이가 길어야 하며, 매듭으로 마무리하여 착용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함께 특히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다루기가 매우 힘들고 상대적으로 길이로 인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eckerchief must be long because it is wrapped around the neck and repetitively wound a number of times using the rest of the neck, and must be finished with a knot to keep the wearer's wear, especially with young children. The case is very difficult to handle and has a relatively uneconomical disadvantage due to its length.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도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선택에 따라 보온모자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는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nd technical bia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wl with a warm hat function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warm hat according to the sel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wl fun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한을 위해 사람의 목부위에 착용되는 목도리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섬유원단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그 둘레면이 마감처리된 이중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 섬유원단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섬유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섬유원단과 대응하는 제2 섬유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밀착수용됨으로써 그 내부에 머리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그 경계부를 표시하는 접이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도리가 환형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awl worn on the neck of a person for cold protection, the shawl has a double structu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nished with the fiber fabric overlap each other, one side A first fiber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thereon, and on the other side, a second fiber fabric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fiber fabric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ber fabric, between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The body is formed by a fold portion indicating the boundary portion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the second fiber fabric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hea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n open spac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oupling mean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awl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이 경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된 방울 형상의 장식구와, 타단에는 상기 장식구가 끼워지는 연결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ans is a drop-shaped decorative tool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and the other end is a connecting ring to which the decorative tool is fitted.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섬유원단과 상기 제2 섬유원단 각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냅단추(똑딱이 단추)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may be used as a pair of snap buttons (tick button)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and the second fiber fabric.
이때, 상기 몸체의 섬유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니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ber fabric of the body is preferably any one of woven or knitted (knit).
한편, 상기 접이부에는 레이스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a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hawl having a thermal ca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목도리가 목도리 본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보온모자 기능도 갖도록 하여 휴대의 편리성과 함께 모자의 별도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The neckerchief has the function of the neckerchief and at the same time has a thermal cap function,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hat separately.
또한, 목도리가 연결수단에 의해 목부위에 착용됨에 따라 풀림이 방지되어 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목도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해결된다.In addition, as the shawl is worn on the neck by the connecting means, the loosening is prevented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finish the knot and the shawl is relatively lo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목도리가 보온모자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목도리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구성중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스냅단추가 목도리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aw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formed into a thermal insulation cap.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wearing a shaw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provided with a snap button shawl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ha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고안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평상시에 목을 감싸 목부위의 보온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선택에 따라 머리에 씌워지는 보온모자로 변형됨에 따라 목도리와 보온모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used to keep the neck around the neck to maintain the warmth, and is optionally transformed into a warming cap that is covered on the head provides convenien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hawl and the warming cap .
설명에 앞서, 후술하는 보온모자 기능을 갖는 목도리는의 형상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음으로 그 형상을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hape of the shawl with a thermal cap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just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shape.
목도리는 방한을 위해 사람의 목부위에 착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목을 보온한다.Shawls are worn on people's necks for cold weather, keeping the neck exposed to the outside.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도리(100)는, 섬유원단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그 둘레면이 마감처리된 이중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 섬유원단(1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섬유원단(12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대응하는 제2 섬유원단(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밀착수용됨으로써 그 내부에 머리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13)가 형성되도록 그 경계부를 표시하는 접이부(140)가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도리(100)가 환형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몸체(110)는 사람의 목부위에 감겨지는 것으로서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섬유원단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그 둘레면이 마감처리되어 이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섬유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니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ber fabric of the
직물(織物)은 날실과 씨실이 직각을 이루면서 짜여진 옷감으로, 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능직?수자직 등으로 분류된다. 직물의 짜임새는 옷감의 강도, 촉감, 내추성, 보온성, 통기성 등과 관련이 있으며,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견직물, 모직물, 마직물, 면직물 등으로 구분된다.Woven fabrics are woven fabrics in which warp and weft are formed at right angles, and are classified into plain weave, twill weave, and hand weave according to how they cross. The texture of the fabric is related to the strength, touch, heat resistance, warmth, breathability, etc. of the fabric, and is classified into silk, wool, hemp, and cotton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s used.
편물(編物)은 실이나 끈을 엮어서 만든 옷감 또는 그 제품으로, 메리야스로 널리 불리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손뜨기한 것은 편물, 기계뜨기한 것은 메리야스로 구분된다. 편물은 신축성과 탄력성이 풍부하고 보온성 및 통기성이 클 뿐만 아니라 가볍고 구김이 적은 특성이 있다.Knitted fabrics are fabrics made by weaving threads or strings, or their products, and are generally called Maryas, but generally hand-knitted are knitted and machine-knitted are Maryas. Knitted fabrics are not only stretchy, resilient, warmth and breathable, but also light and wrinkleless.
본 실시예에서는 편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온모자(200)로 변형되어 사용될 때 신축성과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며 보온성 및 통기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abric be made of a knitted fabric, because it is intended to have elasticity and elasticity when deformed and used as the thermal insulation cap 200, and is excellent in thermal insulation and breathability.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제1 섬유원단(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섬유원단(120)은 소정의 길이 즉 후술하게 되는 사람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는 제2 섬유원단(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섬유원단(130)은 상기 제1 섬유원단(1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어느 하나의 원단이 대응하는 원단의 내측으로 수용될 때 그 형상이 부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사이 즉 상기 몸체(110)의 중심부에는 접이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이부(140)는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상기 제1,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밀착수용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로 사람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13)를 형성하도록 그 경계부를 표시하는 것이다.A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섬유원단이 밀착수용되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보온모자(200)의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if any one of the fiber fabrics is closely received based on the boundary part, the thermal insulation cap 200 is worn on the head of a person.
이 경우, 머리가 수용되는 상기 공간부(113)의 일측이 개방되는 것은 당연하다.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접이부(140)는 상기 몸체(110)와 차별되도록 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다소 두텁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목도리(100)가 상기 보온모자(200)의 형상을 가질 때 사람의 이마와 밀착을 이루도록 하는 밴드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접이부(140)에는 상기 몸체(110)의 미적 감각을 높이도록 다양한 형상의 레이스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도 1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는,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도리(100)가 환형을 이루도록 하여 사람의 목부위에 착용된 사용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 1 or FIG. 4, the
상기 연결수단은 장식구(150)와, 연결고리(160)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ans is composed of a
상기 장식구(150)는 삼기 몸체(110)의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구(150)가 악세사리 개념을 갖도록 방울 형상으로 표시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연결고리(160)는 상기 장식구(150)가 형성된 제1 섬유원단(120)과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타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상기 장식구(150)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목도리(100)를 목부위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목도리(100)를 목부위에 얹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목도리(100)의 제1 섬유원단(120)과 제2 섬유원단(130)의 단부에 구비된 장식구(150) 및 연결고리(160)를 잡아 상기 장식구(150)를 연결고리(160)에 끼워 결합시킨다(도 4 참조).In order to wear the
이렇게 되면, 상기 목도리(100)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풀림이 방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목도리(100)가 상대적으로 길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In this case, as the
한편, 상기 연결수단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각 단부에 암수로 구비된 한 쌍의 스냅단추(170a,170b)(일명:똑딱이 단추)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ans is a pair of snap buttons (170a, 170b) (aka: tick) provided at each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목도리(1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장식구(150)와 연결고리(160) 또는 스냅단추(170a,170b)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밸크로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온모자(200) 기능을 갖는 목도리(100)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도 기본적인 목도리(100)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보온모자(200)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목도리(100)의 형상 및 원단종류, 접이부(140)의 형상, 연결수단의 종류, 장식구(150)의 형상 및 종류 등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For example, the shape and fabric type of the
100 : 목도리 110 : 몸체
113 : 공간부 120 : 제1 섬유원단
130 : 제2 섬유원단 140 : 접이부
150 : 장식구 160 : 연결고리
170a,170b : 스냅단추 200 : 보온모자100: shawl 110: body
113: space portion 120: the first fiber fabric
130: second fiber fabric 140: folding portion
150: ornament 160: link
170a, 170b: snap button 200: thermal insulation cap
Claims (5)
상기 목도리(100)는,
섬유원단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그 둘레면이 마감처리된 이중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 섬유원단(1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섬유원단(12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대응하는 제2 섬유원단(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밀착수용됨으로써 그 내부에 머리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13)가 형성되도록 그 경계부를 표시하는 접이부(140)가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도리(100)가 환형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이부(140)에는 레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모자(200) 기능을 갖는 목도리(100).In the shawl 100 worn on the neck of a person for cold protection,
The shawl 100 is,
The fiber fabric has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nished in the state of overlapping with each other, the first fiber fabric 1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fiber fabric 120 on the other side A second fiber fabric 1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ber fabric 120 is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fiber fabric 130 between the first fiber fabric 120 and the second fiber fabric 130.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olded portion 140 indicating the boundary portion so that the head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one side is opened to form a space 113 ; And
Consisting means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120 and the second fiber fabric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awl 100 to form an annular;
Shawl 100 having a function of a thermal insulation cap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portion 1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ace.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된 방울 형상의 장식구(150)와, 타단에는 상기 장식구(150)가 끼워지는 연결고리(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모자(200) 기능을 갖는 목도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Droplet-shaped ornament 15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120 and the second fiber fabric 130, and the other end is the connecting ring 160 is fitted with the ornament 150 Shawl 100 having a heat insulating cap 200,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섬유원단(120)과 상기 제2 섬유원단(130) 각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냅단추(170a,170b)(똑딱이 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모자(200) 기능을 갖는 목도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Shawl having a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snap buttons (170a, 170b) (tip button)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iber fabric 120 and the second fiber fabric 130 100.
상기 몸체(110)의 섬유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니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모자(200) 기능을 갖는 목도리(100).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ber fabric of the body 110 is a shawl 100 having a function of a thermal insulation cap 200,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k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032U KR200461228Y1 (en) | 2010-06-09 | 2010-06-09 |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032U KR200461228Y1 (en) | 2010-06-09 | 2010-06-09 |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579U KR20110011579U (en) | 2011-12-15 |
KR200461228Y1 true KR200461228Y1 (en) | 2012-06-28 |
Family
ID=4687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032U KR200461228Y1 (en) | 2010-06-09 | 2010-06-09 |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22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023Y1 (en) * | 2013-04-26 | 2014-08-1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Multipurpose warm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63526U (en) | 1982-04-26 | 1983-10-31 | 吉川 誠 | A hat that can be used as a muffler |
KR850003130Y1 (en) * | 1984-02-20 | 1985-12-24 | 이진경 | Useful knitted muffler |
JPH1060716A (en) | 1996-08-12 | 1998-03-03 | L Kk | Scarf |
JP2009191409A (en) | 2008-02-15 | 2009-08-27 | Vox Inc | Muffler also usable as cap |
-
2010
- 2010-06-09 KR KR2020100006032U patent/KR200461228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63526U (en) | 1982-04-26 | 1983-10-31 | 吉川 誠 | A hat that can be used as a muffler |
KR850003130Y1 (en) * | 1984-02-20 | 1985-12-24 | 이진경 | Useful knitted muffler |
JPH1060716A (en) | 1996-08-12 | 1998-03-03 | L Kk | Scarf |
JP2009191409A (en) | 2008-02-15 | 2009-08-27 | Vox Inc | Muffler also usable as ca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023Y1 (en) * | 2013-04-26 | 2014-08-1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Multipurpose warm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579U (en) | 2011-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8819B2 (en) | Dual-purpose neck gaiter | |
US20040210984A1 (en) | Novel article of clothing | |
US20120324624A1 (en) | Scarf with hood | |
US20110055999A1 (en) |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 |
KR200461228Y1 (en) | muffler having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cap | |
KR200490048Y1 (en) | 2-way type winter mask for winter sports | |
US20140223636A1 (en) | Reversible sun visor | |
US20070055207A1 (en) | Garments | |
KR200463694Y1 (en) | muffler with warming pocket for ear | |
KR200463941Y1 (en) | Neck warmer | |
KR200461363Y1 (en) | Muffler | |
KR200399093Y1 (en) | Cap having fur muffler | |
KR200437244Y1 (en) | Hood for suncap | |
KR200474023Y1 (en) | Multipurpose warmer | |
JP3181049U (en) | Towel with clasp | |
KR200462106Y1 (en) | Cap with muffler function | |
CN212280102U (en) | Dual-purpose braided cap | |
CN211983836U (en) | Warm-keeping cold protective clothing | |
KR200459269Y1 (en) | A multi function warming device | |
KR20100132622A (en) | A hat having function of winding-portable | |
KR200488491Y1 (en) | A Hat having Removalble Visor | |
KR200450942Y1 (en) | Versatile shawl | |
KR200453288Y1 (en) | Double-sided shading wool by attaching and detaching decorative members | |
JP3192937U (en) | Multifunctional tubular composite | |
KR101312566B1 (en) | Multipurpose fur shawl with length exten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