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26Y1 -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 Google Patents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726Y1 KR200466726Y1 KR2020120003752U KR20120003752U KR200466726Y1 KR 200466726 Y1 KR200466726 Y1 KR 200466726Y1 KR 2020120003752 U KR2020120003752 U KR 2020120003752U KR 20120003752 U KR20120003752 U KR 20120003752U KR 200466726 Y1 KR200466726 Y1 KR 2004667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wagon
- compressed air
- control valve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21—Railway control or brake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36—Other control devices or valves characterised by definite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차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는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가 제공되어 상기 개방부에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된 배관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배관패널의 전면에 가스켓 및 어댑터를 통해 제어밸브가 연결됨으로써, 종래 화차제동장치의 문제점인 박스의 내부에 밸브를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성의 저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gon braking device.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 box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rear is provided with a pipe panel formed of a double flow path in the opening portion, through a gasket and an adapter in the front of the pipe panel By connecting the control val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valve inside the box, which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ruck brake device.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차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gon braking device.
화차제동장치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서 개시하고 있다. 이중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화차제동장치를 설명하면, 통상의 화차제동장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압 제동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제동동작은 기관차에 구비된 제동밸브를 조작하게 되면, 제동밸브에 의해 발생한 감압신호가 각 화차와 연결된 제동배관을 통하여 각 화차에 취부된 제어밸브에 전달되며, 각 화차에 장착된 제어밸브는 전달된 감압신호에 따라 제동밸브를 제어하여 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The wagon braking apparatus is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patent document 4). When describing the wagon braking device with reference to (Patent Document 1), a conventional wagon braking device is applied with a pneumatic braking device using compressed air, the normal braking operation is to operate the brake valve provided in the locomotive, The decompression signal generated by the brake valv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valve mounted on each truck through the braking pipe connected to each truck, and the control valve mounted on each truck controls the brake valv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ressure reducing signal. have.
따라서 통상의 화차제동장치는 제어밸브가 제동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동배관 및 제동밸브와 압축공기배관라인으로 연결되고 있어 복잡한 배관라인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관라인의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 제동장치가 오동작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truck brake system is composed of a complicated piping line because the control valve is connected to the braking pipe, the braking valve and the compressed air pipe line to perform the braking functions, which causes a problem in part of the pipe l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braking device may malfunction, and may fail to perform a normal function.
또한 일단 압축공기배관라인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손상 부위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기온이 낮은 혹독한 환경에서 화차제동장치의 압축공기배관라인이 장시간 직접 노출되는 경우에는 배관라인 내에 발생한 응축수가 얼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제동장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once a problem occurs in the compressed air pipe l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ind the damaged area. In addition, when the compressed air pipe line of the wagon braking device is directly exposed for a long time in a low temperature harsh environmen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pipe line freezes and blocks the flow of compressed air, thereby preventing the braking device from performing its normal func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특허문헌 1)은 케이싱을 제공하고, 이를 화차의 하부에 취부한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압축공기배관라인과 연결된 밸브체를 설치하여 화차제동장치를 보호하며, 특히 겨울철 응축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를 구성하는 각 밸브의 연결배관을 일체로 이루어진 배관패널부에 구비하여 연결길이를 최소화하여 화차제동장치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1) typically provides a casing, and installs it in the lower part of the wagon, and installs a valve body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piping line in the casing to protect the wagon braking device, especially in winter It prevents condensate from freezing.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of each valve constituting the valve body is provided with an integrally formed pipe panel portion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brak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maintain and repair.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는 배관패널부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고 있어 밸브체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케이싱 내부에 배관패널부가 구비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배관패널부에 밸브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케이싱 내부에서 설치작업을 해야하는 관계로, 상기 밸브체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고 있다.
However,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valve bod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pipe panel part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That is, according to the said (Patent Document 1), although the piping panel part is provided in the casing, 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a valve body in the said piping panel part, the operator must install the inside of a casing, and installation of the said valve body is carried out. Workability | deterioration by this is falling.
또한 상기 배관패널부는 내부에 다수의 배관라인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관라인들이 하나의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어 이를 회피하는 과정에서 케이싱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고정구와 간섭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를 외부로 확장하여 형성하고 있으며, 아울러 파이프브래킷을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ipe lines are formed inside the pipe panel part, and the pipe lines are formed in one plane, and in the process of avoiding this, a plurality of fixtures and interferences for coupling with the casing occur, thereby eliminating them. In order to extend the outside to form the fixture, and there is a problem using a pipe bracket.
또 상기 배관패널부에 설치되는 밸브체는 후방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직접 설치되고 있는데, 상기 플랜지의 크기가 밸브체보다 작아 이를 배관패널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케이싱 내부에서 L렌치 등을 통해 설치작업을 해야 하는 관계로, 이 역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valve body installed in the pipe panel portion is directly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formed at the rear, the size of the flange is smaller than the valve body to install it in the pipe panel portion, the operator is installed through the L wrench inside the casing, etc. As work must be done, this also acts as a factor that degrades workability.
따라서 본 고안은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서 개시하고 있는 화차제동장치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밸브 등의 설치작업과 관련된 작업성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that workability related to installation work such as a valve is deteriorated 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gon brake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Patent Document 4).
본 고안의 관점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화차를 제동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배관패널 등의 설치와 관련된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차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gon braking device that can easily improve workability associated with installation of a valve for braking a wagon using compressed air and a piping panel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valve. .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oint of view,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는 화차의 하부에 취부 가능하도록 상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so as to b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wagon,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is formed at the front so as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and an opening at the rear. Formed box;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박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왕래하는 유로가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 압축공기배관이 체결 가능하도록 외부에 배관라인이 형성된 배관패널;A piping panel installed in the box through the opening, the passage in which compressed air flows in and out of each other is formed in a double way, and a pipe line is form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compressed air pipe can be fastened to the passage;
상기 배관패널의 전면에 연결되어 유로와 연통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어밸브;A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panel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flows;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배관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제어밸브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통해 화차를 제동하는 로드 밸브;A load valve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and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ipe panel, and configured to brake the wagon throug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ntrol valve;
상기 제어밸브의 플랜지에 구비되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밸브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관패널에 설치된 어댑터;An adapter provided on the flange of the control valve, the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fasten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valve, the adapter being installed on the pipe panel through the fastening part;
상기 어댑터와 배관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하는 가스켓; 및A gasket installed between the adapter and the pipe panel to be airtight; And
상기 박스에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A cover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ox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를 포함한다.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x.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전방 상부에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box,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수용공간에는 가변 로드 밸브의 압축공기를 완해하는 신속완해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quick release valve for relaxing the compressed air of the variable load valve is provided.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ir ordinary and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own design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의 후방에 배관패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각종 밸브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공간활용도가 다양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piping panel at the rear of the box,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variety of valves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box,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ceiving space can be varied.
또한 제어밸브가 배관패널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어댑터를 미리 플랜지에 체결 후 상기 어댑터를 배관패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설치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켓을 통해 어댑터와 배관패널 사이를 기밀하여 압축공기의 새나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방지 및 제동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valv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pipe panel and the adapter is fastened to the flange in advance, the installation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dapter is connected to the pipe panel, there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In addition, the gasket allows airtightness between the adapter and the piping panel to prevent leakage of compressed air,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reducing braking performance.
한편 박스의 내부에 단열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됨으로써, 겨울철 결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수용공간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On the other hand, by selectively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the box,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reezing in the winter, the cover is installed in the box so as to be a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can be easily repaired.
또한 박스의 내부에 신속완해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가변 로드 밸브의 압축공기를 신속하게 완해하여 재사용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제동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quick release valve is provided inside the box, the compressed air of the variable rod valve can be quickly released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reuse time and improve braking performan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의 내부 설치상태를 개방부를 통해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의 박스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측면 및 내부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의 배관패널에 가스켓, 어댑터 및 제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ternal installation state of the wagon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pening.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ox of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and internal coupling state by partially cutting the wagon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ket, an adapter and a control valve are installed in the piping panel of the wagon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본 고안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pecific aspects and specif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one side”, and “other sid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1)는 화차의 하부에 취부 가능하며, 내부에 제동밸브(Distributor) 및 가변 로드 밸브(Variable load vlave)가 설치되도록 속이 비어 있는 박스(Box), 상기 박스(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저장통(Air Reservoir) 및 압축공기배관(미도시)과 상기 제동밸브(20)를 연결하는 배관패널(30), 상기 배관패널(30)과 제어밸브(20) 사이에 구비된 어댑터(Adapter), 상기 어댑터(50)와 배관패널(30) 사이를 기밀하는 가스켓(Gasket) 및 상기 개방부(13)를 개폐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박스(10)는 두께(T) 2.3㎜강판을 통해 폭(800㎜), 높이(545㎜) 및 두께(320㎜)를 갖는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전,후방에 각각 개방부(13) 및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을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10)의 상부에 결합부(11)로써, 브래킷(Bracket)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화차의 하부에 취부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이러한 박스(10)는 겨울철 배관라인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결빙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단열재(미도)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12)이 형성된 박스(10)의 내벽에 통상의 단열재를 부착함으로써, 단열효과를 통해 응축수의 결빙 등의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The
상기 제동밸브(20)는 'P4a DISTRIBUTOR'로 지칭되는 밸브를 제공하고, 이를 수용공간(12)을 통해 노출된 배관패널(30)에 연결하여 공기저장통(34) 및 압축공기배관을 통해 공급되어 유로(31)를 통과한 압축공기를 내부에 충전하게 되며, 화차의 제동시 충전된 압축공기를 'KRF-3 VARIABLE LOAD VALVE'로 지칭되는 한 쌍의 가변 로드 밸브(21)에 공급하여 일종의 시그널을 줌으로써, 초기 제동 시에 신속히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동밸브(20) 및 가변 로드 밸브(21)와 관련하여서는 주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상기 배관패널(30)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저장통(34) 및 압축공기배관과 제어밸브(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축공기가 왕래하는 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1)와 연통하는 홀(32)이 외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32)을 통해 공기저장통(34) 및 압축공기배관이 배관패널(30)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제어밸브(20)에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공기저장통(34)은 상기 배관패널(30)에 직접 볼팅(Bolting) 설치되고, 압축공기배관은 통상의 배관플랜지를 홀(32)에 구비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3 to 4, the
이때 상기 유로(31)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배관라인과 달리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배관패널(30)의 내부에 이중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유로(31)와 연결된 홀(32)이 배관패널(30)의 측면 및 상면에 앞,뒤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부터 어렵지 않게 확인 가능하다.
In this case, unlike the conventional piping lin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the
즉 이와 같이 상기 배관패널(30)은 내부에 유로(31)가 이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로(31)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박스(1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33)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배관패널(30)은 박스(10)의 외부에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박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제어밸브(20) 및 가변 로드 밸브(21)를 설치하는데 따른 설치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12)에 네임 플레이트(Name Plate)를 설치토록 하는 등 다양한 공간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iping
이러한 배관패널(30)은 폭(770㎜), 높이(330㎜) 및 두께(41㎜)의 크기로 형성되어 박스(10)의 후방에 설치되어 폭(720㎜), 높이(280㎜)로 형성된 개구부(14)를 통해 전면이 수용공간(12) 상에 노출되며, 이와 같이 노출된 배관패널(30)의 전면에 제어밸브(20)와 한 쌍의 가변 로드 밸브(21)를 설치하게 된다.
The piping
또한 상기 제어밸브(20) 및 가변 로드 밸브(21)가 설치된 박스(10)의 내부 수용공간(12)에는 신속완해밸브(Quick release vlave)가 배치되어 제어밸브(20)를 통해 상기 가변 로드 밸브(21)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신속하게 완해하게 되는데, 상기 신속완해밸브(22)는 통상 한 쌍의 가변 로드 밸브(21) 사이에 배치되어 운용된다.
In addition, a quick release valve is disposed in the
한편 어댑터(50)는 폭(290㎜), 높이(175㎜) 및 두께(20㎜)의 크기로 형성되어 제어밸브(20)의 플랜지(20a)에 체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어밸브(20)를 배관패널(30)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유로(31)와 연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켓(40)은 상기 어댑터(50)와 배관패널(3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사이를 기밀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새나감을 방지하게 된다.
Meanwhile, the
도 3 내지 4를 통해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50)는 제어밸브(20)의 플랜지(20a)에 볼팅(Bolting) 구비되는데, 유로(31)와 연통하는 공기통로(51)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밸브(20)와 배관패널(30)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전체적인 크기가 상기 제어밸브(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곽에 체결부(52)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수용공간(12) 상에서 상기 체결부(52)를 이용하여 제어밸브(20)를 배관패널(3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3 to 4, the
이를 달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어밸브(20)는 플랜지(20a)에 어댑터(50)를 볼팅(Bolting) 하여 결합한 후 박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어댑터(50)에 형성되어 제어밸브(20)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52)를 통해 배관패널(30)과 연결됨으로써, (특허문헌 1)에 따른 밸브체의 설치와 대조하여 보더라도 설치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한편 커버(60)는 박스(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통해 탈부착하게 됨으로써, 개방부(13)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60)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박스(10)의 전방 상부에 힌지(Hinge)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15)에 커버(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각 밸브의 보수 등을 위한 상기 개방부(13)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커버(60)가 박스(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박스(10)의 후방에 배관패널(30)이 설치되며, 상기 배관패널(30)과 연결된 제어밸브(20), 가변 로드 밸브(21) 및 신속완해밸브(22)가 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 화차제동장치(1)는 박스(1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부(11)를 통해 화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저장통(34) 및 압축공기배관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제동밸브(20)가 상기 가변 로드 밸브(21)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화차를 제동하게 된다.
Therefore, the
이상 본 고안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화차제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wagon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m.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by the appended claims.
1 - 화차제동장치 10 - 박스
11 - 결합부 12 - 수용공간
13 - 개방부 14 - 개구부
15 - 힌지 20 - 제어밸브
20a - 플랜지 21 - 가변 로드 밸브
22 - 신속완해밸브 30 - 배관패널
31 - 유로 32 - 홀
33 - 체결구멍 34 - 공기저장통
40 - 가스켓 50 - 어댑터
51 - 공기통로 52 - 체결부
60 - 커버1-Wagon Braking System 10-Box
11-coupling part 12-receiving space
13-opening 14-opening
15-Hinge 20-Control Valve
20a-flange 21-variable rod valve
22-Quick Release Valve 30-Piping Panel
31-Euro 32-Hole
33-Tightening Hole 34-Air Reservoir
40-Gasket 50-Adapter
51-Air passage 52-Fastening part
60-cover
Claims (4)
상기 박스의 후방에 외부에서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왕래하는 유로가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 공기저장통 및 압축공기배관이 체결 가능하도록 유로와 연통하는 홀이 외부에 형성된 배관패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에 노출된 배관패널의 전면에 연결되어 유로와 연통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어밸브(Disrtibutor Valve);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에 노출된 배관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제어밸브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통해 화차를 제동하는 가변 로드 밸브(Variable load vlave);
상기 제어밸브의 플랜지에 구비되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밸브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관패널에 설치된 어댑터(Adapter);
상기 어댑터와 배관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하는 가스켓(Gasket); 및
상기 박스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화차제동장치.
A box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be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go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side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n opening formed at a rear side thereof;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x from the outside, and the flow path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comes and goes is formed in a double way with different paths therein, and th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to allow the air storage and the compressed air piping to be coupled to the outside A formed piping panel;
A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panel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opening and communicating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flows;
A variable load valve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and installed at a front surface of the pipe panel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brake the wagon throug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ntrol valve;
An adapter provided on the flange of the control valve, the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fasten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valve, the adapter being installed on the pipe panel through the fastening part;
A gasket installed between the adapter and the pipe panel to be airtight; And
A cover installed in the box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Wagon brak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박스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gon bra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x.
상기 박스의 전방 상부에 힌지(Hinge)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inge (Hinge)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box, the wagon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installed rotatably on the hinge.
상기 박스의 수용공간에는 가변 로드 밸브의 압축공기를 완해하는 신속완해밸브(Quick release valv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x is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quick release valve (Quick release valve) to relax the compressed air of the variable load val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752U KR200466726Y1 (en) | 2012-05-07 | 2012-05-07 |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752U KR200466726Y1 (en) | 2012-05-07 | 2012-05-07 |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6726Y1 true KR200466726Y1 (en) | 2013-05-06 |
Family
ID=5371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752U KR200466726Y1 (en) | 2012-05-07 | 2012-05-07 |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72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656Y1 (en) | 2015-04-30 | 2016-02-22 | 주식회사 주은기공 | Control valve for goods train braking apparatus |
KR20170013662A (en) * | 2015-07-28 | 2017-02-07 | 주식회사 주은기공 | Goods train brak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2085Y1 (en) | 2002-07-19 | 2002-10-18 | 대금산업 주식회사 | Structure for casing a braking system for a goods train |
-
2012
- 2012-05-07 KR KR2020120003752U patent/KR200466726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2085Y1 (en) | 2002-07-19 | 2002-10-18 | 대금산업 주식회사 | Structure for casing a braking system for a goods trai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656Y1 (en) | 2015-04-30 | 2016-02-22 | 주식회사 주은기공 | Control valve for goods train braking apparatus |
KR20170013662A (en) * | 2015-07-28 | 2017-02-07 | 주식회사 주은기공 | Goods train braking system |
KR102075742B1 (en) * | 2015-07-28 | 2020-02-10 | 주식회사 주은기공 | Goods train brak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42673B1 (en) | Internal ventilating diaphragm piston brake actuator | |
CN102164793B (en) | For the valve gear that braking and the attendant equipment of self-propelled vehicle Pneumatic braking system control | |
CN109204373B (en) | integrated air brake device for railway vehicle | |
BR112012027924A2 (en) | bellows floating ball valve seal and seal c | |
KR200466726Y1 (en) | Braking system for a freight train | |
CN102416854B (en) | Vehicle door edge inflatable seal system | |
CN106427974B (en) | 104 distributing valve air pressure monitoring modulars | |
CN107531256A (en) | System for bracket to be installed to coupler head | |
CN202927186U (en) | Emergency shutoff bottom valve of oil tank truck | |
CN100381317C (en) | Brake controller | |
CN205423668U (en) | Viscoelasticity shock absorber | |
ITBS20120097A1 (en) | VALVE WITH ALUMINUM BODY AND ANTI-CORROSION SYSTEM | |
CN204726438U (en) | A kind of novel locomotive module connection structure | |
CN103189256B (en) | For the control cock system of the compressed air brake of guideway vehicle | |
RU2727429C2 (en) | Caliper brake compressible gasket seal of railway car | |
CN105864521B (en) | A kind of firm formula pipe-supporting device and Pipe installing adjusting method | |
KR20170081476A (en) | Control box for pusher axle system of vehicle | |
CN106402494B (en) | A kind of pipeline support apparatus | |
CN203379789U (en) | Combined air dryer | |
CN102678664A (en) | Hydraulic support oil cylinder and crane | |
GB2482414A (en) | Aircraft shock absorber with double seal arrangement | |
KR200479656Y1 (en) | Control valve for goods train braking apparatus | |
CN203297931U (en) | Stainless steel welded gas cylinder for high-purity gas | |
CN106051311B (en) | A kind of durable type pipe-supporting device | |
CN106090443A (en) | A kind of sealed support means of pipe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