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63Y1 - Clamped Connector - Google Patents
Clamped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563Y1 KR200452563Y1 KR2020090007866U KR20090007866U KR200452563Y1 KR 200452563 Y1 KR200452563 Y1 KR 200452563Y1 KR 2020090007866 U KR2020090007866 U KR 2020090007866U KR 20090007866 U KR20090007866 U KR 20090007866U KR 200452563 Y1 KR200452563 Y1 KR 2004525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housing
- wires
- wire
- lower housing
- c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전선을 인입한 후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착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피복이 제거된 전선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는 클램프형 커넥터는, 코어부분이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의 일면을 안착하기 위한 홀인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코어부분의 일면이 각각 안착되는 부분에 제1 및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 상기 코어부분이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의 타면을 안착하기 위한 홀인 제3 및 제4가이드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만나는 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후크 부재;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측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mp-type connector that enables electrical connection to a stripped wire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of fastening the wir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then bind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n the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nd a second guide part, which is a hole for sea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the core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An upper housing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at portions at which one surface of the cor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respectively seated; A lower housing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parts, which are holes for seating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wherein the cor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seated by the first to fourth guide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connected to fix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plurality of hook members installed on the meet face;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 side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side the upper housing.
커넥터, 코어, 후크 Connector, core, hook
Description
본 고안은 피복을 벗겨낸 페어형 전선과 연결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전선을 인입한 후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착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피복이 제거된 전선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이행하는 클램프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a pair of wires stripped of the sheath,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wir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covering is simply performed by bind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lamped connectors implement electrical connections to removed wires.
비용절감과 함께 취미생활의 일환으로 소비자들이 자신의 개성과 취향에 맞춰 직접 물건을 만들어 사용하는 DIY(Do-It-Yourself) 트랜드가 널리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 드릴이나 직소기 등 DIY의 용이성을 위한 각종 제품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As part of hobbies and cost savings, DIY (Do-It-Yourself) trends, in which consumers make and use their ow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taste, are expanding widely. Recently, the ease of DIY such as electric drills and jigsaws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수리나 제조시에는 니퍼(Nipper)를 이용하여 페어형 전선의 피복의 일부를 잘라내어 코어 페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벗겨낸 후에, 전자 제품의 커넥터에 구비된 단자 페어와 상기 코어 페어를 연결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이러한 작업시 단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누전 또는 감전의 위험을 수반하므로 비숙련자에게는 까다로운 작업으로 여겨지고 있다. In general, when repairing or manufacturing electronic products, a part of the sheath of a pair of electric wires is cut off using a nipper and peeled off so that the core pai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n the terminal pair and the core pair provided in the connector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many cases, however, when the power failure is not stable, it is considered a difficult task for an unskilled person because it involves the risk of short circuit or electric shock.
이에 종래에는 전선의 종단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Therefore,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is urgently desired.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전선을 인입한 후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착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피복이 제거된 전선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mp-type connector that enables electrical connection to an uncoated wire by simply manipulat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fter inserting the electric wir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는 클램프형 커넥터는, 코어부분이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의 일면을 안착하기 위한 홀인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 중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코어부분의 일면이 각각 안착되는 부분에 제1 및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 상기 코어부분이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의 타면을 안착하기 위한 홀인 제3 및 제4가이드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만나는 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후크 부재;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측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 which is a hole for sea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exposed to the core portion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An upper housing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portions of one side of the cor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of the two guides; A lower housing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parts, which are holes for seating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wherein the cor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seated by the first to fourth guide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connected to fix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plurality of hook members installed on the meet face;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 side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side the upper housing.
상기한 본 고안은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피복이 제거된 전선과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connector is removed from the cover just a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부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3은 하부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housing of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lower housing.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클램프형 커넥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to 3,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는 크게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4)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상부 하우징(102)은 반원통형으로, 저면에는 피복이 벗겨져 제1 및 제2코어가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이 인입되기 위한 제1 및 제2가이드부(110,116)가 구비된다. The
상기 제1가이드부(110)는 피복이 벗겨져 외부로 드러난 제1전선의 제1코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코어 가이드부(114)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제1전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전선 가이드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코어 가이드부(114)와 제1전선 가이드부(112)는 코어 및 전선이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원통형을 가짐과 동시에 그 원주는 상기 코어 및 전선의 원주보다 작게 설정된다. 특히 상기 제1코어 가이드부(114)의 내측에는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 내에 구비된 제1커넥터측 전선(202)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200)가 설치된다. The
상기 제2가이드부(116)는 피복이 벗겨져 외부로 드러난 제2전선의 제2코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2코어 가이드부(120)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제2전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2전선 가이드부(118)로 구성된다. 상기 제2코어 가이드부(120)와 제2전선 가이드부(118)는 코어 및 전선이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원통형을 가짐과 동시에 그 원주는 상기 코어 및 전선의 원주보다 작게 설정된다. 특히 상기 제2코어 가이드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 내에 구비된 제2커넥터측 전선(206)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204)가 설치된다. The
상기 상부 하우징(102)은 저면 중 일측 종단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104)과의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힌지장치(106,108)가 설치된다. First an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02)은 저면 중 일부면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104)과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후크부재(122,124)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하부 하우징(104)은 반원통형으로, 상면에는 피복이 벗겨져 제1 및 제2코어가 외부로 드러난 제1 및 제2전선이 인입되기 위한 제3 및 제4가이드부(126,132)가 구비된다. The
상기 제3가이드부(126)는 피복이 벗겨져 외부로 드러난 제1전선의 제1코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3코어 가이드부(130)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제1전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3전선 가이드부(128)로 구성된다. 상기 제3코어 가이드부(130)와 제3전선 가이드부(128)는 코어 및 전선이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원통형을 가짐과 아울러 그 원주가 상기 코어 및 전선의 원주보 다 작게 설정된다. The
상기 제4가이드부(132)는 피복이 벗겨져 외부로 드러난 제2전선의 제2코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4코어 가이드부(136)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제2전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4전선 가이드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제4코어 가이드부(136)와 제4전선 가이드부(134)는 코어 및 전선이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원통형을 가짐과 아울러 그 원주는 상기 코어 및 전선의 원주보다 작게 설정된다. The
상기 하부 하우징(104)은 상면 중 일측 종단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02)과의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힌지장치(106,108)가 설치된다. The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04)은 상면 중 일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04)과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후크부재(138,14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는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페어형 전선을 안착시킨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example in which the pair-type wire is seated in the clamp-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페어형 전선의 제1전선(400)과 제2전선(404)은 미리 정해둔 제1길이만큼 차이나게 절단되며, 상기 제1전선(400)은 상기 제1길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제1코어(402)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피복이 벗겨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전선(404)은 상기 제1길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 제2코어(406)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피복이 벗겨진다. 상기 제1길이는 클램프형 커넥터(100)의 제1 내지 제4코어 가이드부(114,120,130,136)의 길이와 일치되게 결정된다.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된 페어형 전선의 제1전선(400)은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의 제1 및 제3가이드부(110,126)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제2전선(404)은 제2 및 제4가이드부(116,132) 사이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의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104)의 저면과 상면이 상기 제1 및 제2힌지장치(106,108)를 통해 서로 맞닿은 후에 상기 제1 내지 제4후크부재(122,124,138,140)에 의해 상기 결착상태가 유지된다. The
상기 결착상태의 유지시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400,404)의 제1 및 제2코어(402,406)는 제1 및 제2접속단자(200,204)와 연결되며, 그 연결상태가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전선(400,404)은 상기 클램프형 커넥터(100)의 제1 및 제2커넥터측 전선(202,206)와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When the binding state is maintained, the first an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형 커넥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형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부의 저면도.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housing portion of the clamp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형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부의 상면도. 3 is a top view of the lower housing portion of the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형 커넥터에 페어형 전선을 안착시킨 예를 도시한 도면.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 pair-type wire to the clamp-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866U KR200452563Y1 (en) | 2009-06-18 | 2009-06-18 | Clamped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866U KR200452563Y1 (en) | 2009-06-18 | 2009-06-18 | Clamped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862U KR20100012862U (en) | 2010-12-28 |
KR200452563Y1 true KR200452563Y1 (en) | 2011-03-08 |
Family
ID=4424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78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2563Y1 (en) | 2009-06-18 | 2009-06-18 | Clamped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563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437Y1 (en) | 2000-12-11 | 2001-07-19 | 주식회사 삼영테크노 | A clamp type sleeve connector |
-
2009
- 2009-06-18 KR KR2020090007866U patent/KR200452563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437Y1 (en) | 2000-12-11 | 2001-07-19 | 주식회사 삼영테크노 | A clamp type sleeve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862U (en) | 2010-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28376U (en) | Wire positioning structure | |
CN103825123B (en) | Terminal, terminal connecting device, motor with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motor | |
JP2011065978A (en) | Electric wire connector | |
US9444159B2 (en) | Terminal for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 |
KR101984729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connector having double insert molding structure, and a cable connector manufactured thereby | |
KR20160075296A (en) | Package case of electronic device | |
KR102316920B1 (en) | Printed circuit board with side access termination pads | |
US20190140375A1 (en) | Plug contact | |
CN204349021U (en) | A kind of electric connector an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 |
JP2006236854A (en) | Connector for pressure contact connection | |
CN207638110U (en) | Connection terminals and coaxial connectors | |
KR200452563Y1 (en) | Clamped Connector | |
WO2017115710A1 (en) | Method for producing cable with terminal, and cable with terminal | |
JP2014075245A (en) | Electric wir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ame | |
JP2007335395A (en) | Network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etwork cable | |
KR101103797B1 (en)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block | |
JP6674847B2 (en) | Motor stator assembling method and motor stator structure | |
JP2016051679A (en) | Cable connector | |
KR101164387B1 (en) | The device of connecting a branch line to a cable | |
JP3177894U (en) | connector | |
JP2009009748A (en) | Electric wire connecting device | |
US20160104950A1 (en) | Connector | |
KR20090009562U (en) | Wire connector | |
CN106450865B (en) | Plug connector assembly | |
CN204793248U (en) | Power supply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6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3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7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