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57323Y1 -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 Google Patents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23Y1
KR200457323Y1 KR2020100006902U KR20100006902U KR200457323Y1 KR 200457323 Y1 KR200457323 Y1 KR 200457323Y1 KR 2020100006902 U KR2020100006902 U KR 2020100006902U KR 20100006902 U KR20100006902 U KR 20100006902U KR 200457323 Y1 KR200457323 Y1 KR 200457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shutter
shutter glasses
light blocking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2020100006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부품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막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광차단막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둔두덩 사이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하여,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상기 광차단막부재가 자동으로 삽입 및 인출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연질의 재질로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액정 셔터 안경 내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WITH LIGHT SHIELD}
본 고안은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광차단막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둔두덩 사이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및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주사방식은 크게 순차 주사(progressive scanning) 방식 혹은 비 비월주사 방식, 및 비월 주사(interlaced scann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순차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한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통상 두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과,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액정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 셔터 안경 방식(또는 시분할방식)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영상을 볼 때, 조명 또는 태양광 등으로부터 조사된 외부의 광이 사용자의 눈과 액정 셔터 안경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외부의 광이 좌, 우안 액정에 반사되어 입체 영상을 선명하게 시청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광차단막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둔두덩 사이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하여,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상기 광차단막부재가 자동으로 삽입 및 인출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된 광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연질의 재질로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액정 셔터 안경 내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증대될 수 있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부품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막부재가 배치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부의 접힘에 의해 삽입되며, 상기 안경다리부의 펼침에 의해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감싸는 차단막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는 상기 안경다리부가 펼쳐질 경우, 상기 안경다리부의 내측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라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가 상기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품부는,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을 처리하는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와 배터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광차단막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둔두덩 사이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하여,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상기 광차단막부재가 자동으로 삽입 및 인출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연질의 재질로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액정 셔터 안경 내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증대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1, 2)이 결합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부(20)와; 상기 좌, 우안 액정(1, 2)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부품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부(10)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막부재(4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품부(30)는,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을 처리하는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와; 상기 구동회로부와 배터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을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1, 2)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이 보여지도록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부품부(30)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온, 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상기 스위치부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전원공급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전원차단 신호를 송출하여 구동회로부 및 배터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부(3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측부 내부 공간에 내장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 셔터 안경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공간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광차단막부재(40)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써,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막부재(40)는, 도 1 에서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과의 밀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질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또는 실크 또는 면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4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부(20)의 접힘에 의해 삽입되며, 상기 안경다리부(20)의 펼침에 의해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차단막부재(40)는, 도 2 에서와 같이,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42)와; 상기 차단부(42)의 둘레를 감싸는 차단막프레임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는 상기 안경다리부(20)가 펼쳐질 경우,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되어 상기 양단부(46)의 일부가 상기 안경다리부(20)의 내측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40)는 내부에 탄성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가 상기 안경다리부(20)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다리부(20)가 펼쳐질 경우,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경다리부(20)의 내측부를 따라 일정거리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가 상기 차단부(42)를 펼치면서 인출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부(20)가 접혀질 경우, 상기 안경다리부(20)가 접힘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안경다리부(20)의 내측부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 또한 상기 프레임부(10)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받아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는 상기 차단부(42)를 접으면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는, 도 2 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라운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부(20)가 접혀질 때, 인가되는 외력이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를 자연스럽게 밀어넣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경다리부(20)의 접힘 및 펼침에 대해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삽입 및 인출이 구현됨은 물론, 상기 안경다리부(20)의 반복적인 구동에도 상기 차단막프레임부(44)의 양단부(46)가 마모되지 않고 정상적인 차단막프레임부(44)의 슬라이딩 구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광차단막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둔두덩 사이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하여,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상기 광차단막부재가 자동으로 삽입 및 인출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막부재를 연질의 재질로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액정 셔터 안경 내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안 액정 2 : 우안 액정
10 : 프레임부 20 : 안경다리부
30 : 부품부 40 : 광차단막부재
42 : 차단막프레임부 44 : 차단부
46 :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

Claims (7)

  1.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부품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용자의 눈두덩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막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송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부의 접힘에 의해 삽입되며, 상기 안경다리부의 펼침에 의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또는 실크 또는 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감싸는 차단막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는 상기 안경다리부가 펼쳐질 경우, 상기 안경다리부의 내측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라운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부재는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차단막프레임부의 양단부가 상기 안경다리부의 접힘 및 펼침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부는,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처리하는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와 배터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20100006902U 2010-06-29 2010-06-29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02U KR200457323Y1 (ko) 2010-06-29 2010-06-29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02U KR200457323Y1 (ko) 2010-06-29 2010-06-29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23Y1 true KR200457323Y1 (ko) 2011-12-13

Family

ID=4556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0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323Y1 (ko) 2010-06-29 2010-06-29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2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71B1 (ko) * 2010-03-10 2010-07-12 김정훈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71B1 (ko) * 2010-03-10 2010-07-12 김정훈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13703U (zh) 一种用于手机的立体图像浏览装置
KR20110101944A (ko) 3d 안경, 3d 안경의 구동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CN203825300U (zh) 3d手机眼镜
US20130286303A1 (en) Shutter eyeglasses device
CN204101816U (zh) 虚拟现实眼镜
EP2532168B1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based on glasses using photochromatic lenses
CN102591026A (zh) 后挂式快门3d眼镜
CN204360024U (zh) 虚拟现实帽子
KR200457323Y1 (ko) 광차단막부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130005666U (ko) 3d 안경
KR200461816Y1 (ko) 가변식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110011910U (ko) 자동 온오프 기능을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CN205720880U (zh) 防蓝光vr设备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CN210168146U (zh) 一种使用单一同步信息的3d和2d画面显示系统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20120018667A (ko) 투과율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CN219871959U (zh) 可折叠式vr眼镜
TW200639440A (en) Stereo image generator
KR101339973B1 (ko)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CN202583603U (zh) 后挂式快门3d眼镜
CN202649603U (zh) 3d眼镜
JP5636295B2 (ja) 表示状態切替用眼鏡
CN202794713U (zh) 触摸按键3d眼镜
KR101215737B1 (ko)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6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8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91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