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49769Y1 -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69Y1
KR200449769Y1 KR2020080001401U KR20080001401U KR200449769Y1 KR 200449769 Y1 KR200449769 Y1 KR 200449769Y1 KR 2020080001401 U KR2020080001401 U KR 2020080001401U KR 20080001401 U KR20080001401 U KR 20080001401U KR 200449769 Y1 KR200449769 Y1 KR 200449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bracket
rail
rail pip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63U (ko
Inventor
유근수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유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Priority to KR2020080001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6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6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레일파이프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차량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주(1)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지주(1)의 소정 높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어지는 레일파이프(10)가 연결 구성되어지는 가드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1)에는 레일파이프(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라켓(20)이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상하부에 날개부(22)가 대칭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날개부(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파이프(10)의 배면에는 가이드부(11)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드레일, 방호, 차량, 충돌, 브라켓, 수평레일, 지지와이어

Description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A FIXING BRACKET STRUCTURE FOR GUARD RAIL}
본 고안은 가드레일(Guard rai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의 설치 시공시 레일파이프를 지주에 고정 지지하여 주기 위한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로의 경우에는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양쪽이 나 중앙분리대에 방호책인 가드레일을 설치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격시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보도와 차도의 경계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차량이 보도를 침범함으로 인한 사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드레일은 대부분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서 수직상태로 다수의 지주(Post)가 세워지고, 지주의 일정 높이에는 가드레일이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각각의 가드레일은 연결슬리브가 연결부위에 끼워짐으로서 연결 구성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드레일은 지주와의 결합력이 약하여 약간의 외부충 격이 가해져도 쉽게 지주로 부터 이탈이 되어 흉물스럽게 방치되며, 이에 따른 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드레일은 차량 충돌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본연의 기능인 차량 방호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가드레일에서의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드레일의 자주와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히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력 발생시 쉽게 지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드레일의 방호 지지력이 증가되어질 수 있는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차량 방호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지주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지주의 소정 높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어지는 레일파이프가 연결 구성되어지는 가드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레일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하부에 날개부가 대칭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날개부 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파이프의 배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지주(1)에 고정 설치를 위해 체결볼트(26)가 삽입 체결되어지는 볼트체결공(21)이 형성됨과 함께 볼트체결공(21)에 체결되어지는 볼트머리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머리 안착홈(24)이 전면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고정브라켓(20) 내부에는 레일파이프(10)와 동일한 설치방향으로 지지와이어(25)가 관통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복수 개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가드레일은, 레일파이프의 지지가 슬라이딩 체결방식의 고정브라켓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전체적인 부품 결합이 탈거가 용이한 조립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시공이 용이함과 함께 부분적인 파손 발생시 해당부위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관리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 인장력으로 지지되어지는 지지와이어에 의한 충격력 분산구조를 이룸으로서 차량 충돌시 방호력을 더욱 증강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도로 양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레일파이프(10)는 일정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1)에 의해 소정 높이로 지지되어지게되는데, 상기 지주(1)에는 레일파이프(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라켓(20)이 고정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고정브라켓(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에 날개부(22)를 형성하는 대칭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레일파이프(10)의 배면에는 고정브라켓(20)이 삽입되어짐과 함께 날개부(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부(11)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20)에는 지주(1)에 고정 설치를 위해 체결볼트(26)가 삽입 체결되어지는 볼트체결공(21)이 형성됨과 함께 볼트체결공(21)에 체결되어지는 볼트머리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머리 안착홈(24)이 전면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고정브라켓(20) 내부에는 레일파이프(10)와 동일한 설치방향으로 지지와이어(25)가 관통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파이프(10)간 연결부위에는 반원형태를 이루는 연결 슬리브(30)가 양측에 삽입되어 상호간의 연결상태를 지지하게 되는데, 레일파이프(10)에는 상기 연결 슬리브(30)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중공부(12)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각 고정브라켓(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와이어(25)는 첫번째와 마지 막 고정브라켓(20)에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마감체결이 이루어진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구(40)와 쐐기(41)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40)는 내부에 지지와이어(25)가 관통되어지는 통공(40")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통공(40") 일측은 구경이 점차 증가되어지는 테이퍼면(40')을 형성하고 있으며, 2개가 쌍을 이루는 쐐기(41)는 상기 테이퍼면(40')에서 압입되어지면서 지지와이어(25)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와이어(25) 마감체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3)에는 지지와이어(25)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인장구(5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인장구(50)는 지지와이어(25)를 압착 고정하고 있는 압착부(51)와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상태로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볼트부(52)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볼트부(52)에는 지지와이어(25)의 인장상태 조절을 위한 조절너트(53)가 끼워져 구비되어지게 된다.
특히, 조절너트(53)와 대응되는 고정브라켓(20) 부위에는 지지베어링(54)을 구성함으로서, 조절너트(53)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7은 체결너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가드레일의 설치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가드레일이 설치되어질 위치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지주(1)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지주(1)에 고정되어질 고정브라켓(20)을 레일파이프(10)의 가이드부(11)에 슬라이딩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고정브라켓(20) 부품의 볼트 체결공(21)에는 먼저 체결볼트(26)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일파이프(10)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레일파이프(10)에 가결합 되어져 있는 고정브라켓(20)을 해당 지주(1)와 대응되도록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브라켓(20)의 배면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체결볼트(26)의 단부를 지주(1)에 형성되어져 있는 볼트공(미도시)에 삽입시킨 후 너트(27)를 끼워서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때, 레일파이프(10)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다수개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지게 되는데, 각각의 연결부위에는 연결 슬리브(30)가 레일파이프(10)의 중공부(12)에 끼워짐으로서 연결 부위를 지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일파이프(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각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지지와이어(25)가 연결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각 고정브라켓(20)의 관통공(23)을 통해 지지와이어(25)가 관통삽입되어지면서 각각의 지주(1)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일측 지주(1)에 집중되는 충격력을 분산시킴과 함께 레일파이프(10)를 뒤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지지와이어(25)의 연결 설치가 완료되면 지지와이어(25)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단을 일정 인장력으로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구간의 초기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20)에 고정구(40)를 설치하여 지지와이어(25)가 관통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쐐기(41)를 압입함과 함께 지지와이어(25)를 당겨주어서 지지와이어(25)가 압입력에 의해 고정되어지도록 하고, 시공구간의 마지막 구간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20)의 관통공(23)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인장구(50)를 설치하여 지지와이어(25)의 인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인장구(50) 선단의 압착부(51)에 지지와이어(25) 단부가 압착 고정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져 있는 볼트부(52)에는 조절너트(53)를 끼워서 일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조절너트(53)가 지지베어링(54)에 의해 지지되는 가운데 회동되어짐에 따라 볼트부(52)와의 작용에 의해 인장구(50)가 일측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지지와이어(25)가 당겨지게 됨으로 인장력이 서서히 가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치가 완료되어진 본 고안의 가드레일 설치구조는 도 2의 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파이프(10)는 지주(1) 부위에서는 고정브라켓(2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지고, 각각의 연결부위에서는 연결 슬리브(30)에 의해 지지되어짐과 함께, 일정 인장력이 가해지는 지지와이어(25)에 의해 충격을 분산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분적인 조립 및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레일파이 프(10) 또는 고정브라켓(20)의 부분적인 파손 발생시 해당 부위만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관리가 용이하며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드레일 설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지지와이어(25)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에는 고정구(40)를 사용하고 타단에는 인장구(50)를 사용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양단을 모두 고정구(40)로 사용하거나 또는 모두 인장구(50)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가드레일의 내부 투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가드레일의 레일파이프와 고정브라켓 분리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브라켓 및 레일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고정브라켓 상세 구조도.
4b는 고정브라켓과 레일파이프의 분리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브라켓에 의한 레일파이프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와이어 고정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고정상태 단면 구조도.
6b는 고정구 부품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와이어 고정 설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10 : 레일파이프
11 : 가이드부 12 : 중공부
20 : 고정브라켓 21 : 볼트 체결공
22 : 날개부 23 : 관통공
24 : 볼트머리 안착홈 25 : 지지와이어
26 : 체결볼트 30 : 연결 슬리브
40 : 고정구 41 : 쐐기
50 : 인장구 51 : 압착부
52 : 볼트부 53 : 조절너트
54 : 지지베어링

Claims (5)

  1. 지주(1)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지주(1)의 소정 높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어지는 레일파이프(10)가 연결 구성되어지는 가드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1)에는 레일파이프(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라켓(20)이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상하부에 날개부(22)가 대칭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날개부(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파이프(10)의 배면에는 가이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지주(1)에 고정 설치를 위해 체결볼트(26)가 삽입 체결되어지는 볼트체결공(21)이 형성됨과 함께 볼트체결공(21)에 체결되어지는 볼트머리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머리 안착홈(24)이 전면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20) 내부에는 레일파이프(10)와 동일한 설치방향으로 지지와이어(25)가 관통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복수 개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일측에는 지지와이어(25)가 관통되어지는 내부 통공(40")을 형성하는 가운데 내부통공(40")의 일측은 구경이 점차 증가되어지는 테이퍼면(40')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구(40)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테이퍼면(40')에는 2개가 쌍을 이루는 가운데 지지와이어(25)를 압입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41)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3)에는 지지와이어(25)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인장구(5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인장구(50)는 지지와이어(25)를 압착 고정하고 있는 압착부(51)와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상태로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볼트부(52)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볼트부(52)에는 지지와이어(25)의 인장상태 조절을 위한 조절너트(53)가 끼워져 구비되어지고;
    상기 조절너트(53)와 대응되어지는 고정브라켓(20) 측벽에는 조절너트(53)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베어링(54)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파이프(10)는 가이드부(11)와 구획되어지며, 각각의 레일파이 프(10)간 연결부위에 끼워져 연결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 슬리브(30)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12)부가 형성되어진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KR2020080001401U 2008-01-30 2008-01-30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449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01U KR200449769Y1 (ko) 2008-01-30 2008-01-30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01U KR200449769Y1 (ko) 2008-01-30 2008-01-30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3U KR20090007863U (ko) 2009-08-04
KR200449769Y1 true KR200449769Y1 (ko) 2010-08-09

Family

ID=4129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01U Expired - Lifetime KR200449769Y1 (ko) 2008-01-30 2008-01-30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59B1 (ko) * 2017-06-27 2018-03-07 채진아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03B1 (ko) * 2011-04-05 2011-06-29 (주)대원시스템 조립식 난간의 레일 파이프 도난방지용 체결구
KR101710167B1 (ko) * 2016-08-01 2017-02-24 이희찬 충격흡수식 이중 차량용 방호울타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87Y1 (ko) * 1993-07-14 1996-07-22 장사각 가드레일
KR200234523Y1 (ko) 2001-02-20 2001-09-28 (주)경동기술공사 우레탄 고무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중앙분리대
KR20020034523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용 노광 설비
KR20030091835A (ko) * 2003-07-14 2003-12-03 김주성 호이스트 크레인용 부스-바
KR200391835Y1 (ko) * 2005-05-09 2005-08-10 오앤드허유로칸건설 주식회사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100602010B1 (ko) 2005-02-05 2006-07-19 (주)드림인기술 도로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87Y1 (ko) * 1993-07-14 1996-07-22 장사각 가드레일
KR20020034523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용 노광 설비
KR200234523Y1 (ko) 2001-02-20 2001-09-28 (주)경동기술공사 우레탄 고무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중앙분리대
KR20030091835A (ko) * 2003-07-14 2003-12-03 김주성 호이스트 크레인용 부스-바
KR100602010B1 (ko) 2005-02-05 2006-07-19 (주)드림인기술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91835Y1 (ko) * 2005-05-09 2005-08-10 오앤드허유로칸건설 주식회사 복합형 차량 방호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59B1 (ko) * 2017-06-27 2018-03-07 채진아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3U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843B1 (ko) 도로용 가드케이블
KR101103563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1928486B1 (ko) 휀스
KR200449769Y1 (ko)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KR101598405B1 (ko)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CN205557398U (zh) 景观缆索护栏
KR102091924B1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1280023B1 (ko) 가드레일
KR10116704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
KR20120035538A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KR20150129191A (ko)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083269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432896Y1 (ko) 와이어케이블을 이용하는 가드레일 지주보강구조
KR101065015B1 (ko) 자전거도로용 펜스
KR20160013498A (ko) 압착플레이트를 이용한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687830B1 (ko)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2412336B1 (ko) 원터치 결합과 신축구조를 갖는 가로대와 설치가 간편한 지주로 구성된 차선분리대
KR101085465B1 (ko) 도로의 난간 안전 설치대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2677471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0903214B1 (ko) 가드레일
KR200148808Y1 (ko) 차량 방호용 난간의 가드 레일
KR101049404B1 (ko) 가드레일
KR101170976B1 (ko) 차선규제봉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1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1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8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