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69Y1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569Y1 KR200448569Y1 KR2020090009694U KR20090009694U KR200448569Y1 KR 200448569 Y1 KR200448569 Y1 KR 200448569Y1 KR 2020090009694 U KR2020090009694 U KR 2020090009694U KR 20090009694 U KR20090009694 U KR 20090009694U KR 200448569 Y1 KR200448569 Y1 KR 2004485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reinforcement
- pile
- seating suppor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용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이 형성되는 안착지지부; 및 상기 안착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일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철근 삽입용 보스가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접이나 조립 작업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물류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두부 보강 작업의 수행 전에는 파일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가 제공된다.
다목적, 안전, 건축용 파일, 안전캡, 두부, 보강, 겸용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이나 조립 작업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물류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두부 보강 작업의 수행 전에는 파일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아파트, 빌딩, 교량 등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연약지반을 기초로 하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흔히 파일(PILE) 이용 공법이 사용된다.
강관 파일, PHC 파일, PC 파일 또는 RC 파일 등을 타입 공법(타격, 진동)이나 매입 공법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는 파일을 절단하고, 그 끝부분을 보강하는 이른바 두부보강을 시행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그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바닥 철근을 배근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항타한 파일과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을 시행함에 있어 다양한 두부보강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는 철근과 기타 부자재를 일일이 용접하거나 철사로 엮어서 만드는 두부 보강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두부 보강장치에 있어서는, 철근과 기타 부자재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소모적이고 번거롭기 때문에 건축 및 물류 비용이나 공기가 증가하게 되고, 또한 단순히 보강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이나 조립 작업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물류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두부 보강 작업의 수행 전에는 파일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용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이 형성되는 안착지지부; 및 상기 안착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건축용 파일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철근 삽입용 보스가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은 상기 안착지지부의 표면에 그 원주 방 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근 삽입용 보스는 상기 헤드부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철근 삽입용 보스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통과되는 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지지부 및 상기 헤드부는 딥드로잉, 사출 또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이나 조립 작업이 불필요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물류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두부 보강 작업의 수행 전에는 파일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와 철근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조립 사시도로서 철근이 조립된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가 파일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철근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일의 안전캡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철근 이 결합되면 두부 보강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와 달리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크게 안착지지부(20)와 헤드부(30)를 구비한다. 안착지지부(20)와 헤드부(30)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원반 형상을 갖는 안착지지부(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된다. 이처럼 안착지지부(20)가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철근이 결합되지 않은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파일의 안전캡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부보강 작업 전 노출된 파일의 단부로부터 추락하는 인명사고나 기타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안착지지부(20)의 표면에는 얇은 판체로 제작되는 안착지지부(20)에 강도를 보강시키는 수단으로서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21)이 형성된다.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21)의 위치는 안착지지부(20)의 상면과 하면 중 어떠한 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하지만, 안착지지부(20)가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21)이 헤드부(30)의 반대편 위치의 안착지지부(20)의 표면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21)은 한 줄로 형성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두 줄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안착지지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30)는 건축용 파일에 배치될 때 도 4 및 도 5처럼 파일의 내부로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헤드부(30)의 내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철근 삽입용 보스(31)가 형성된다.
철근 삽입용 보스(31)는 헤드부(30)의 외면을 내면쪽으로 가압하여 마치 파이프(pipe)와 같이 형성된 부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철근 삽입용 보스(31) 역시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철근 삽입용 보스(31)는 헤드부(30)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6개의 철근이 조립되기 때문에 철근 삽입용 보스(31) 역시 헤드부(30)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6개 마련된다. 하지만, 이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헤드부(30)에는 철근 삽입용 보스(31)들 사이 사이에 다수의 통공(32)이 더 형성된다. 다수의 통공(32)은 두부 보강 작업 시 콘크리트가 통과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참고로, 헤드부(30)의 하단 모서리는 일정한 각도 또는 곡률로 모따기 처리된 모따기부(33)가 더 형성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안착지지부(20)와 헤드부(30)가 일체로 제작되고 있고, 또한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21), 철근 삽입용 보스(31) 및 통공(32)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작업 방법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던 두부 보강장치는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에서 안착지지부(20), 헤드부(30), 철근 삽입용 보스(31) 등에 대응되던 구성들, 예컨대 원형캡, 지지대 등의 구성들이 모두 분리된 형태였고, 이 들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철근과 원형캡, 지지대 등을 배치하여 상호 용접하거나 엮어야 했지만,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이나 고정 작업 등이 필요치 않는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기 때문에 공기 단축, 건축 비용, 물류 비용, 설치 비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철근을 꼽아 두부 보강용으로 사용되기 전까지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건축용 파일의 개구를 차폐하는 파일 안전캡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에 빈번히 발생되던 안전사고의 문제를 적절히 해소할 수 있고, 수거가 편리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특히, 커팅된 파일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시공 중에 개폐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건축용 파일은 PHC 파일이나 강관 파일 등 모든 건축용 파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10)는 공사 현상에 맞게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법은, 역드로잉, 딥드로잉, 사출, 이중사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체형 구조이기 때문에 철근과 기타 부자재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건축 및 물류 비용이나 공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철근을 결합시켜 실질적인 두부 보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는 파일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와 철근 간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조립 사시도로서 철근이 조립된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가 파일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20 : 안착지지부
21 :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 30 : 헤드부
31 : 철근 삽입용 보스 32 : 통공
Claims (5)
- 건축용 파일의 일단부에 안착지지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이 형성되는 링형의 안착지지부; 및상기 안착지지부의 내주연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건축용 파일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철근 삽입용 보스가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강도 보강용 비드라인은 상기 안착지지부의 표면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철근 삽입용 보스는 상기 헤드부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철근 삽입용 보스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통과되는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안착지지부 및 상기 헤드부는 딥드로잉, 사출 또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694U KR200448569Y1 (ko) | 2009-07-23 | 2009-07-23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694U KR200448569Y1 (ko) | 2009-07-23 | 2009-07-23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8569Y1 true KR200448569Y1 (ko) | 2010-04-26 |
Family
ID=4423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9694U KR200448569Y1 (ko) | 2009-07-23 | 2009-07-23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569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405Y1 (ko) * | 2001-06-01 | 2001-10-29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강관말뚝 두부 결합구 |
KR20050035525A (ko) * | 2002-07-01 | 2005-04-18 |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 모듈지지체에 의하여 고정되는 윈도우-리프팅 레일을가지는 차량도어 |
KR100791263B1 (ko) * | 2006-10-13 | 2008-01-04 | 김정빈 | 볼트식 파일캡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90069151A (ko) * | 2009-05-20 | 2009-06-29 | 최기화 |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
-
2009
- 2009-07-23 KR KR2020090009694U patent/KR2004485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405Y1 (ko) * | 2001-06-01 | 2001-10-29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강관말뚝 두부 결합구 |
KR20050035525A (ko) * | 2002-07-01 | 2005-04-18 |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 모듈지지체에 의하여 고정되는 윈도우-리프팅 레일을가지는 차량도어 |
KR100791263B1 (ko) * | 2006-10-13 | 2008-01-04 | 김정빈 | 볼트식 파일캡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90069151A (ko) * | 2009-05-20 | 2009-06-29 | 최기화 |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967B1 (ko) |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 |
KR200448569Y1 (ko) | 다목적 안전 두부 보강장치 | |
KR100689702B1 (ko) | 기초공사용 플라스틱 조립체 | |
JP2016191289A (ja) | 杭頭接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 |
JP5280228B2 (ja) | 鉄筋の組立構造 | |
JP6466196B2 (ja) |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JP6291178B2 (ja) | 柱梁構造 | |
KR102212514B1 (ko) | 결합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거푸집판넬 | |
JP6362141B2 (ja) | 鉄筋籠用の補強枠、フープ筋、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鉄筋籠 | |
KR200455415Y1 (ko) |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 |
JP6567368B2 (ja) |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JP6233753B2 (ja) | 杭頭構造及び杭頭構造の構築方法 | |
KR200448755Y1 (ko) |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 |
JP6353647B2 (ja) | 免震装置接合構造 | |
KR101317548B1 (ko) | 원형 지지판의 처짐 및 분리가 방지되는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 |
JP6937155B2 (ja) | 基礎パッキン用スペーサ | |
JP4918521B2 (ja) | 仮設用支柱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6161375A (ja) | 鋼管矢板及び鋼管矢板の連結構造 | |
KR100691240B1 (ko) |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 |
JP6327649B2 (ja) | 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と、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用のスパイラル筋 | |
JP6148589B2 (ja) | 集砂受枠の取付部材および雨水貯留浸透設備 | |
JP4404263B2 (ja) |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 |
JP6587802B2 (ja) | 配筋用スペーサおよび配筋方法 | |
KR200186124Y1 (ko) | 강관파일의 덮개구조 | |
JP7102063B2 (ja) | 建築物の接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