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44411Y1 -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11Y1
KR200444411Y1 KR2020080014526U KR20080014526U KR200444411Y1 KR 200444411 Y1 KR200444411 Y1 KR 200444411Y1 KR 2020080014526 U KR2020080014526 U KR 2020080014526U KR 20080014526 U KR20080014526 U KR 20080014526U KR 200444411 Y1 KR200444411 Y1 KR 200444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ece
drainage
operating
s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연
Original Assignee
김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연 filed Critical 김광연
Priority to KR202008001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1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수버튼을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면 배수버튼의 승하강에 의해 세면대의 배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가 개시된다.
원터치, 세면대, 배수구, 배수버튼, 작동편

Description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ONE-TOUCH DRAINAGE DEVISE FOR WASHSTAND}
본 고안은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버튼을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면 배수버튼의 승하강에 의해 세면대의 배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의 배수장치는 일반적으로 레바식 개폐장치와 원터치식 개폐장치로 대별된다.
레바식 개폐장치는 세면대 후측에 돌출된 레바를 조작하면 상기 레바와 링크 연결된 배수마개가 승하강하여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방식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원터치식 개폐장치는 배수마개를 한번 가압하면 배수마개가 배수구를 개방시키고 한번 더 가압하면 배수마개가 배수구를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이 편리하여 요즘에 들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식 개폐장치의 일례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73518호에서는, "배수시설의 배수구부분에 고정되어 내부가 실질적인 배수구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수용되며 하강가능한 깊이를 갖는 마개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수용부의 하방에는 축심을 향하여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날개와 상기 고정날개의 내단에 고정된 통형의 파지통부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구비하는 배수전몸체; 및 상기 파지통부에 삽입되는 안내통과, 상기 안내통내부에 진출입가능케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배수마개가 고정되며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가능하게 이동로를 형성하되 상기 이동로의 상단에 걸착홈이 형성된 구동편과, 상기 구동편의 하강시 상기 이동로를 유동하며 상기 걸착홈에 걸려 하강위치에 상기 구동편을 정지시켜 상기 배수마개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게 하는 걸림쇠 및, 상기 구동편이 상기 안내통에서 상승위치에 존재하도록 상기 안내통에서 상기 구동편을 탄성지지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서, 상기 배수전몸체에 일체로 삽입장착되는 작동구를 포함하는 누름버튼식 배수구개폐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수구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걸림쇠의 단부가 이동로의 표면을 긁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하고 잔고장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세면대에 결합된 배수관의 배수구를 원터치 타입으로 개폐하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수장치는 하단 외주연에는 배수관의 횡판 체결너트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전면이 개방되는 승하강공간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승하강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전면에는 안착홈이 함몰형성되며, 상단 외주연에는 배수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너트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는 작동구와; 전면에는 상측 걸림홈과 하측 걸림홈이 형성된 작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구의 안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편과; 일단은 상기 고정구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구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하강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과; 상기 승하강공간의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고정구의 전면에 결합되며, 배면에는 상기 작동구가 승하강공간에서 승하강할 때 작동편의 직진이송을 가이드하는 직진이송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직진이송홈의 하측에는 작동편의 회전 및 회전정지를 반복적으로 이 루어지게 하는 회전안내홈이 함몰형성되는 이송안내구와; 서로 결합된 고정구의 상단과 이송안내구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구와 이송안내구를 서로 고정시키는 결합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가 적용된 세면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 내지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는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세면대에 결합된 배수관(10)의 배수구(11)를 원터치 타입으 로 개폐하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로서, 고정구(110), 작동구(120), 작동편(130), 탄성편(140), 이송안내구(150) 및 결합캡(16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110)는 하단 외주연에 상기 배수관(10)의 하측 내부에 형성된 횡판 체결너트(12)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1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는 전면이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의 승하강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의 측면 양측에는 체결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구(120)는 전체적으로 속이 찬 "C"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110)의 승하강공간(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면에는 안착홈(121)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작동구(120)의 안착홈(121)에는 후술할 작동편(130)의 삽입돌기(135)가 삽입되는 삽입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구의 상단 외주연에는 배수버튼(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너트(21)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편(130)은 전면에는 상측 걸림홈(131)과 하측 걸림홈(132)이 형성된 작동돌기(133)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구의 안착홈(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편(130)은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되는 회전판(134)과, 상기 회전판(134)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대략 V자 형상으로 커팅된 걸림홈(131, 132)이 상하측에 형성된 작동돌기(133)와, 상기 회전판(134)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34)이 안착홈(121)에 삽입되면 삽입돌기(135)는 삽입공(122)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작동구(120)가 고정구(1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140)은 바람직하게 코일스프링으로, 일단은 상기 고정구(110)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구(120)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하강공간(112)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편(140)은 작동구(120)가 고정구(110)의 승하강공간(112)을 승하강할 때 작동구(12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송안내구(150)는 상기 고정구(110)의 승하강공간의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고정구(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면에는 상기 작동구(120)가 승하강공간에서 승하강할 때 작동구의 직진이송을 가이드하는 직진이송홈(151)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직진이송홈(151)의 하측에는 작동편(130)의 회전 및 회전정지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안내홈(152)이 함몰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편(130)이 회전안내홈(152)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면 배수버튼(20)이 배수구(11)를 밀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직진이송홈(151)은 작동구(120)가 승하강공간(112)을 승하강시 작동편(130)의 직진이송을 가이드하는 홈으로 그 폭은 작동돌기(133)의 폭보다 약 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홈(152)은 작동편(130)이 직진이송홈(151)을 경유한 다음 회전 및 회전정지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홈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전안내홈(152)의 하단 좌측에 제1걸림돌기(153)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안내구의 회전안내홈의 상단 우측에 제2걸림돌기(154)가 형성되며, 회전안내홈의 상단 좌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155)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홈의 하단 우측에는 제3걸림돌기(15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 및 경사면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할 본 고안의 작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안내구(15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110)의 하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벽을 지지하는 지지턱(157)이 형성되고, 이송안내구의 상측에는 작동편의 걸림홈(131, 132)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58)가 형성되며, 이송안내구의 배면 양단에는 상기 고정구의 체결돌기(113)가 체결되는 체결홈(1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캡(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고정구(110)의 상단과 이송안내구(150)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구(110)와 이송안내구(150)를 서로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고정구(110)의 바닥과 작동구(120)의 저면에 탄성편(140)의 양단을 지지시켜 고정구(110)의 승하강공간(112)에 배치한다. 이 후 이송안내구(150)를 고정구(110)에 결합하는 데, 이송안내구(150)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턱(157)을 상기 고정구 하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구의 하단내벽에 지지되게 하고 이송안내구(150)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돌기(158)가 작동편의 상측걸림홈(131)에 지지되게 하면 이송안내구의 배면 양단에 형성된 체결홈(159)에 고정구의 체결돌기(113)가 체결됨으로써 고정구(110)와 이송안내구(150)가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110)와 이송안내구(150)가 결합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의 승하강공간(112)내에서 작동구(12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고정구(110)와 이송안내구(150)가 작동구를 포삽하게 되며 작동구(120)는 탄성편(140)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된다. 이 후, 결합캡(160)을 서로 결합된 고정구(110)의 상단과 이송안내구(150)의 상단에 삽입시켜 고정구(110)와 이송안내구(150)를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는 고정구의 하측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111)를 배수관의 횡판 체결너트(12)에 결합시키고 작동구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123)를 배수버튼(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너트(21)에 결합시킴으로써 세면대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는 고정구(110), 작동구(120), 작동편(130), 탄성편(140), 이송안내구(150) 및 결합캡(160)으로만 구성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작동방법을 도3 내지 도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3은 탄성편(140)의 압축해제에 의해 작동구(120)가 상승하여 배수버튼(20)이 배수구(11)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작동편(130)의 상측걸림홈(131)이 이송안내구의 지지돌기(15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배수버튼(20)이 배수구(11)를 밀폐시키기 위해 배수버튼(20)을 가압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구(120)가 하강하면서 작동편(130)의 작동돌기(133)가 직진이송홈(151)을 경우하여 회전안내홈(152)에 진입한 후 작동돌기(133)의 하측 걸림홈(132)이 회전안내홈의 제1걸림돌기(153)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상태는 탄성편(140)이 압축된 상태인 데, 가압력을 해제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4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편(130)이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돌기(133)의 상측 걸림홈(131)이 상기 제2걸림돌기(154)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편(130)의 하단 좌측면이 경사면(155)에 걸려서 작동편(1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편의 회전이 정지되면 작동구가 승하강 동작을 멈쳐 배수버튼이 배수관의 배수구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세면대의 물을 다시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버튼(20)을 가압하여 작동구(150)를 재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동편(130)이 하강하여 작동편의 하단 우측면이 상기 제1걸림돌기(156)에 걸려 상측 걸림홈(131)이 하측 걸림홈(132)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면서 작동편의 상단 우측면이 제3걸림돌기(156)에 걸려 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버튼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편(14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구(120)가 재상승하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편(130)의 상단 좌측면이 상기 제2걸림돌기(154)에 걸려 작동편(130)이 시계방향으로 수직되게 회전되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이송홈(152)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의 작동을 정리하면, 배수버튼(20)을 한번 가압하면 작동돌기(133)가 직진이송홈(152)에서 회전이송홈(153)으로 인입된 후 회전이 정지되면서 배수구(11)의 밀폐상태가 개방상태로 변경되며, 다시 한번 배수버튼(20)을 가압하면 회전이송홈(153)에서 회전이 정지된 작동돌기(133)가 회전이송홈(153)에서 직진이송홈(152)으로 복귀하면서 배수구(11)의 개방상태가 밀폐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밀폐-개방-밀폐로 이루어지는 1사이클 동안에 작동 편(130)은 1/2 회전하게 되며 작동돌기(133)의 초기위치가 180도 바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는 종래와 같이 걸림쇠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 및 회전정지를 반복하는 작동편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가 적용된 세면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 내지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고정구 112: 승하강공간
120: 작동구 121: 안착홈
130: 작동편 131: 상측걸림홈
132: 하측걸림홈 133: 작동돌기
140: 탄성편 150: 이송안내구
151: 직진이송홈 152: 회전안내홈
153: 제1걸림돌기 154: 제2걸림돌기
155: 경사면 156: 제3걸림돌기
160: 결합캡

Claims (2)

  1.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세면대에 결합된 배수관의 배수구를 원터치 타입으로 개폐하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수장치는
    하단 외주연에는 배수관의 횡판 체결너트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전면이 개방되는 승하강공간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승하강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전면에는 안착홈이 함몰형성되며, 상단 외주연에는 배수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너트에 결합고정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는 작동구와;
    전면에는 상측 걸림홈과 하측 걸림홈이 형성된 작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구의 안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편과;
    일단은 상기 고정구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구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하강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과;
    상기 승하강공간의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고정구의 전면에 결합되며, 배면에는 상기 작동구가 승하강공간에서 승하강할 때 작동편의 직진이송을 가이드하는 직진이송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직진이송홈의 하측에는 작동편의 회전 및 회전정지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안내홈이 함몰형성되는 이송안내구와;
    서로 결합된 고정구의 상단과 이송안내구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구와 이송안내구를 서로 고정시키는 결합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용 원터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구는
    회전안내홈의 하단 좌측에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안내구의 회전안내홈의 상단 우측에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회전안내홈의 상단 좌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홈의 하단 우측에는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배수버튼이 배수구를 밀폐시키기 위해 배수버튼을 가압하여 작동구가 하강하면 상기 작동돌기의 하측걸림홈이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려 작동편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며,
    탄성편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구가 상승하면 상기 작동돌기의 상측 걸림홈이 상기 제2걸림돌기에 걸려 작동편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편의 하단 좌측면이 상기 경사면에 걸려 작동편의 회전이 정지되며,
    배수버튼이 배수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배수버튼을 가압하여 작동구가 재하강하면 상기 작동편의 하단 우측면이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려 상측 걸림홈이 하측 걸림홈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면서 작동편의 상단 우측면이 제3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며,
    탄성편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구가 재상승하면 상기 작동편의 상단 좌측면이 상기 제2걸림돌기에 걸려 작동편이 시계방향으로 수직되게 회전되면서 상기 직진이 송홈으로 인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KR2020080014526U 2008-10-30 2008-10-30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4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26U KR200444411Y1 (ko) 2008-10-30 2008-10-30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26U KR200444411Y1 (ko) 2008-10-30 2008-10-30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411Y1 true KR200444411Y1 (ko) 2009-05-12

Family

ID=4134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4411Y1 (ko) 2008-10-30 2008-10-30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23B1 (ko) 2009-08-17 2009-11-12 삼흥워터링(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101406261B1 (ko) 2014-03-17 2014-06-12 채효덕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23B1 (ko) 2009-08-17 2009-11-12 삼흥워터링(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101406261B1 (ko) 2014-03-17 2014-06-12 채효덕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8948Y2 (ko)
US10865552B2 (en) Simplified drain plug with overflow release
US20060087128A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RU2442058C2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для сан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KR102382180B1 (ko) 싱크대 절수장치
KR200444411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CN202164673U (zh) 一种台控下水器
KR20120044706A (ko)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11269Y1 (ko)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CN216156714U (zh) 水槽用按压式水塞
KR20060114955A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JP7403099B2 (ja) 排水栓装置及び排水栓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11072918B2 (en) Toilet flapper
KR200310476Y1 (ko) 양변기용 2단 급수조절레버
KR20170051114A (ko) 세면기 배수트랩 구조
EP1607530A2 (en) Fastening device for fitting a control plate of a sanitary fixture to a supporting frame
KR20170028819A (ko)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KR200300464Y1 (ko) 문개방 고정구
KR200485863Y1 (ko) 변기용 플러시밸브
KR20080066274A (ko) 도어의 보조잠금장치
CN206903436U (zh) 单触式锁定装置
JP5849714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170060541A (ko) 세면기 배수트랩
JPH0415818Y2 (ko)
KR101210319B1 (ko) 세면대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0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4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