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387Y1 -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 Google Patents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4387Y1 KR200444387Y1 KR2020070011461U KR20070011461U KR200444387Y1 KR 200444387 Y1 KR200444387 Y1 KR 200444387Y1 KR 2020070011461 U KR2020070011461 U KR 2020070011461U KR 20070011461 U KR20070011461 U KR 20070011461U KR 200444387 Y1 KR200444387 Y1 KR 20044438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car
- blade
- incision
- holder shaft
- sectional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투관용 수술기구인 투관침에 있어, 복강수술에 따른 환자의 복부의 피부층을 뚫는 절개봉의 홀더축 단부를 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점차 확대되는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굴곡부를 가지면서 칼날 안내홈구간이 형성된 지점까지 완만하게 점차 확대되는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시킨 것으로, 제1삽입부, 굴곡부, 제2삽입부가 갖는 타원형의 단면적과 굴곡진 형상은 최초 칼날이 피부조직을 뚫고 진입하는데 힘이 덜 들고, 상기 칼날이 복부의 피부조직을 뚫고 나오는 시점에서는 통상적으로 투관침 하우징과 연결된 삽입관의 주름부가 복벽의 피부조직으로부터 저항을 받게 되어 더 이상의 진입하는 속도를 차츰 줄여 주는 작용으로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 전 투관침의 투관을 장기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관침, 복강경, 절개봉, 홀더축, 단부, 칼날
Description
본 고안은 투관침용 절개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시경 즉,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투관침의 삽입관(sleeve)을 관통하여 복부의 피부에 구멍을 냄과 동시에 투관침을 꽂아 고정하기 위한 절개봉의 선단부위의 형상을 개성하여 초기 복부의 피부에 접촉과 동시에 절개되는 과정에서 절개봉의 선단부가 피부조직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피부의 절개부분을 최소부위로 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복강경 내시경 수술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수술은 투관침(Trocar)이라는 투관용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내어 투관침를 통한 내시경 등의 수술기구를 복강 내의 수술부위에 진입시킨 다음, 별도로 제공되는 내시경으로서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시행하는 수술방식으로서, 담낭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출수 돌기 절제 술, 일반외과 수술 등에 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투관침(10)은 바디 캐비티(body cavity)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의료용 수술기구로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 하우징(11)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슬리브(sleeve)(이하, '삽입관'으로 칭함) 및 삽입관(12)의 상부로부터 관통되어 복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절개봉(13)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절개봉(13)은 투관침 하우징(11)의 상부로부터 관통하면서 삽입관(12)의 종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피부를 절개하면서 진입할 수 있도록 선단부분에 칼날(scalpel)(M)이 장치된다.
상기 칼날(M)은 절개봉(13)의 핸들(13b)부위에 마련된 레버(13c)의 조작에 따라 피부접촉과 동시에 칼날(M)이 절개봉(13)의 선단으로부터 자동 돌출되며, 이는 피부절개와 함께 복벽 내에 도입되면서 복부의 피부 조직층을 완전히 뚫고 지나가면 복강 내에서 더 이상 저항이 해제되고, 이러한 저항의 해제와 동시에, 칼날(13a)은 절개봉(13)의 선단 내측으로 자동 삽입되어 장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참고로, 상기 절개봉(13)은 상기 핸들(13b)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축부(13-2)와, 상기 슬라이드 축부(13-2)의 종단으로부터 일측이 동일 축 선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단부에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어 내부로부터 설치되는 상기 칼날(M)이 상기 레버(13c)의 작동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축(13-1)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홀더축(13-1)은 삽입관(1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 축 부(13-2)에 대해 내부적으로 설치되는 완충수단(도면에서 생략함)에 의해 탄력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13c)의 조작시에만 최초 슬라이드 축부(13-2)로 안내되면서 피부와 접촉시 칼날이 자동으로 돌출되며, 칼날(M)의 종단으로부터 받는 압이 제거되는 상태에서는 다시 칼날(M)이 홀더축(13-1)의 칼날 안내홈(13a)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서 작동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투관침(10)을 이용한 시술은 환자의 복부를 가스투입으로서 부풀게 한 상태에서 절개봉(13)의 핸들(13b)측 레버(13c)를 조작한 상태에서 복부에 밀착 가압시켜주면, 절개봉측의 예리한 칼날은 돌출과 동시에 피부를 도입하면서 복벽을 통해 진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칼날(M)의 도입과 홀더축(13-1)의 단부가 피부조직층 진입으로 인해 만들어진 천공부(perforation)를 통해서 삽입관(12)의 진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관(12)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주름부(12a)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관이 복벽에 밀착되는 형태가 되는데, 상기 톱니형상은 역방향으로 되어 있어, 복벽에 진입시와 달리 삽입관이 뒤로 후퇴되어 잘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복벽의 절개된 피부조직은 삽입관 외측둘레를 밀착한 상태가 되며, 상기와 같이 준비된 투관침 하우징을 통해 관통된 절개봉을 역으로 빼내고, 필요로 하는 각각 미세한 수술도구(세장용 집게, 가위)를 투입시켜 수술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투관침(10)에 있어, 절개봉(13)의 홀더축(13-1)의 형상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는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된 구간까지 원추형으로 형성된 구조인바, 이러한 구조는 최초 칼날(M)이 돌출된 상태에서 피부를 절개하면서 절개봉을 복벽으로 진입시켜 삽관하도록 함에 있어, 시술자는 상당한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최초 칼날부분이 피부를 절개하면서 절개봉의 홀더축 단부가 강압적으로 진입하는데 있어 그만큼 복부의 피부조직은 저항을 받고, 이는 복부의 피부조직층을 완전히 관통하기까지 상당한 압을 주면서 삽입관의 주름부가 위치한 부분까지 삽관시켜야 하는데,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됨에 따라 자칫 피부조직층을 순간적으로 칼날부위가 뚫고 복강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시술자의 실수로서 장기의 손상은 물론,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복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과정에서 칼날의 해제 작동은 될지라도 뾰족한 절개봉의 홀더측 단부분이 장기를 건드리게 되는 실수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투관침의 삽관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결국, 종래기술에 있어, 절개봉의 홀더축 단부는 원추형으로서 피부로부터 최초 삽관시 상당한 힘을 줄 수밖에 없어 상술한 바의 시술자의 실수가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내시경 즉,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투관침의 삽입관(sleeve)을 관통하여 복부의 피부에 구멍을 냄과 동시에 투관침을 꽂아 고정하기 위한 절개봉의 선단부위의 형상을 개성하여 초기 복부의 피부에 접촉과 동시에 절개되는 과정에서 절개봉의 선단부가 피부조직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시술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추형상의 뾰족한 단부로부터 세장(細長)형의 칼날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칼날 안내홈으로부터 피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칼날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축과, 일단으로부터 상기 홀더축의 타단측을 수용하고, 타단측에는 상기 칼날의 돌출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가 부착된 핸들이 일체로 구비된 슬라이드 축부로 이루어진 절개봉과; 상기 절개봉의 단부 및 각종 시술장비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투관침 하우징과; 상기 투관침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복부로부터 도입된 구멍에 지지되어 시술장비를 안내하는 삽입관;으로 구성된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에 있어서,
상기 칼날 안내홈이 형성되는 홀더축의 단부는 돌출된 칼날으로부터 연이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굴곡부를 가지면서 외측둘레는 삽입관의 직경에 가깝도록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날 안내홈이 형성되는 홀더축의 단부는 돌출된 칼날으로부터 연이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굴곡부를 가지면서 외측둘레는 삽입관의 직경에 가깝도록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투관용 수술기구인 투관침에 있어, 복강수술에 따른 환자의 복부의 피부층을 뚫는 절개봉의 홀더축 단부를 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점차 확대되는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굴곡부를 가지면서 칼날 안내홈구간이 형성된 지점까지 완만하게 점차 확대되는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시킨 것으로, 제1삽입부, 굴곡부, 제2삽입부가 갖는 타원형의 단면적과 굴곡진 형상은 최초 칼날이 피부조직을 뚫고 진입하는데 힘이 덜 들고, 상기 칼날이 복부의 피부조직을 뚫고 나오는 시점에서는 통상적으로 투관침 하우징과 연결된 삽입관의 주름부가 복벽의 피부조직으로부터 저항을 받게 되어 더 이상의 진입하는 속도를 차츰 줄여 주는 작용으로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 전 투관침의 투관을 장기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관침의 전반적인 사시도 및 절개봉을 도시한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추형상의 뾰족한 단부로부터 세장(細長)형의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고, 이 칼날 안내홈(13a)으로부터 피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칼날(M)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축(13-1)과, 일단으로부터 상기 홀더축(13-1)의 타단측을 수용하고, 타단측에는 상기 칼날(M)의 돌출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13c)가 부착된 핸들(13b)이 일체로 구비된 슬라이드 축부(13-2)로 이루어진 절개봉(13)과; 상기 절개봉(13)의 단부 및 각종 시술장비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투관침 하우징(11)과; 상기 투관침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복부로부터 도입된 구멍에 지지되어 시술장비를 안내하는 삽입관(12);으로 구성된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10)에 있어서,
상기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는 홀더축(13-1)의 단부는 돌출된 칼날(M)으로부터 연이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3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3a)로부터 굴곡부(3b)를 가지면서 외측둘레는 삽입관(12)의 직경에 가깝도록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3c)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는 홀더축(13-1)의 단부는 돌출된 칼날(M)으로부터 연이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3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3a)로부터 굴곡부(3b)를 가지면서 외측둘레는 삽입관(12)의 직경에 가깝도록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3c)가 형성된 구조이다.
참고로, 첨부된 도 4에서는 상기 제1삽입부(3a)는 A-A단면선을 기준으로 뾰족한 단부에서부터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부는(3c) B-B단면선을 기준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A-A단면선을 기준으로 B-B단면선 사이에는 굴곡부(3b)가 형성되어 홀더축(13-1)의 측면상에서 볼 때 끝이 뾰족한 송곳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의 단면을 기준하여 볼 때 그 형상은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다.
한편, 첨부된 도 4에서 표시된 C-C기준선은 상기 제2삽입부(3c)로부터 타원형에서 점차적으로 진원의 직경을 갖는 원통부(3d)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원통부(3d)의 직경이 삽입관(12)의 내경에서 중간끼워맞춤 정도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절개봉(13)의 홀더축(13-1) 단부의 형상은 찌르기 용이한 뾰 족한 형태와 절개되는 피부속으로 진입에 유리한 납작한 형태가 합쳐진 형상으로서 최초 홀더축(13-1)의 칼날(M) 도입이 시작되면서 자연스럽게 피부 속으로 파고들기에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투관침(10)을 이용한 시술과정에서 절개봉(13)의 홀더축(13-1) 단부측 형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관침(10)을 이용한 시술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절개봉(13)을 투관침 하우징(11)에 관통하여 삽입관(12)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핸들(13b)에 마련된 레버(13c)의 조작한 다음, 대상 환자의 복부 표면상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서 복부의 피부조직에 구멍을 뚫어 시술을 한다.
상기 절개봉(13)측의 선단 내부에 설치된 칼날(M)은 시술자가 투관침(10)을 쥐고 대상인 복부를 누르면서 힘을 가함으로써, 복부 피부접촉과 아울러 돌출되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부의 피부조직을 도입하면서 뚫고 지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점차 삽입관(12)은 절개봉(13)에 의해 뚫어진 구멍을 따라 진입하고, 진입된 삽입관(12)의 주름부(12a)는 복벽 내의 피부조직에 걸려 압을 받으면서 진입한다.
상기와 같이 홀더축(13-1) 및 슬라이드 축부(13-2)는 삽입관(12)과 함께 전진하여 복부에 구멍을 내면서 진입함에 있어, 칼날(M) 방향과 뾰족한 단부로부터 확장 형성된 제1삽입부(3a)의 집입이 용이하고, 제1삽입부(3a)는 굴곡부(3b)에 의해 자연스럽게 피부진입과 동시에 제1삽입부(3a)보다 큰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3c)가 연속으로 진입됨으로써, 납작하면서 끝은 뾰족한 형상의 홀더 축(13-1) 단부는 복부의 피부조직을 뚫고 진입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는다.
즉, 제1삽입부(3a), 굴곡부(3b), 제2삽입부(3c)가 갖는 타원형의 단면적과 굴곡진 형상은 최초 칼날이 피부조직을 뚫고 진입하는데 힘이 덜 들고, 상기 칼날이 복부의 피부조직을 뚫고 나오는 시점에서는 투관침 하우징(11)과 연결된 삽입관(12)의 주름부(12a)가 복벽의 피부조직으로부터 저항을 받게 되어 더 이상의 진입하는 속도를 차츰 줄여 주는 작용으로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이 복부의 피부 조직층을 완전히 뚫기 전까지 칼날(M) 진입은 제1삽입부(3a), 굴곡부(3b), 제2삽입부(3c)는 용이하게 진입하고, 칼날(M)이 복부 피부층을 완전히 뚫는 상태에서는 칼날(M)에 받는 압이 해제되어 칼날 안내홈(13a)으로 칼날이 자동으로 삽입되는 동작으로서 복강 내의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만큼 시술자는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절개봉(13)의 홀더축(13-1) 단부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어서 진입되는 삽입관(12)의 투관이 용이하고 복부 피부층이 뚫는 시점에서는 삽입관(12)측 주름부(12a)가 피부층으로부터 저항을 받는 작용으로서 보다 안전한 시술의 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투관침용 절개봉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투관침용 절개봉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관침용 절개봉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봉의 단부를 도시한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봉의 단부를 도시한 도 4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a: 제삽입부 3b: 굴곡부
3c: 제2삽입부 M: 칼날
10: 투관침 11: 투관침 하우징
12: 삽입관 12a: 주름부
13: 절개봉 13-1: 홀더축
13-2: 슬라이드축부
Claims (1)
- 원추형상의 뾰족한 단부로부터 세장(細長)형의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고, 이 칼날 안내홈(13a)으로부터 피부를 절개시키기 위한 칼날(M)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축(13-1)과, 일단으로부터 상기 홀더축(13-1)의 타단측을 수용하고, 타단측에는 상기 칼날(M)의 돌출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13c)가 부착된 핸들(13b)이 일체로 구비된 슬라이드 축부(13-2)로 이루어진 절개봉(13)과; 상기 절개봉(13)의 단부 및 각종 시술장비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투관침 하우징(11)과; 상기 투관침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복부로부터 도입된 구멍에 지지되어 시술장비를 안내하는 삽입관(12);으로 구성된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10)에 있어서,상기 칼날 안내홈(13a)이 형성되는 홀더축(13-1)의 단부는 돌출된 칼날(M)으로부터 연이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뾰족한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1삽입부(3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3a)로부터 굴곡부(3b)를 가지면서 외측둘레는 삽입관(12)의 직경에 가깝도록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부(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461U KR200444387Y1 (ko) | 2007-07-12 | 2007-07-12 |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461U KR200444387Y1 (ko) | 2007-07-12 | 2007-07-12 |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0445U KR20090000445U (ko) | 2009-01-15 |
KR200444387Y1 true KR200444387Y1 (ko) | 2009-05-11 |
Family
ID=4129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1461U KR200444387Y1 (ko) | 2007-07-12 | 2007-07-12 |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4387Y1 (ko) |
-
2007
- 2007-07-12 KR KR2020070011461U patent/KR20044438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0445U (ko) | 200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45297B2 (ja) | 可撓性のある内視鏡安全針 | |
EP2391286B1 (en) | Transapical mini-introducer homeostasis valve and punch | |
KR101904628B1 (ko) | 슬라이딩 봉합선 그라스퍼 | |
US20200197042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laparoscopic surgery | |
US6048354A (en) | Sliding knife and needle assembly for making a portal for endoscopic or arthroscopic surgery | |
US8911463B2 (en) | Bladed/bladeless obturator for use in a surgical trocar assembly | |
US6916328B2 (en) | Percutaneous cellulite removal system | |
US8728121B2 (en) | Puncture needle and medical procedure using puncture needle that is performed via natural orifice | |
EP2486879B1 (en) | Guide device | |
EP2311394A1 (en) | Cannulated arthroscopic knife | |
US5269754A (en) | Laparoscopic cholangiogram device | |
JPH1147154A (ja) | 内視鏡用処置具 | |
WO2013105993A2 (en) |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capability | |
US5531757A (en) | Methods and stabilized 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percutaneously without a trocar | |
US20170071599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ound closure | |
KR102336100B1 (ko)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
KR200445693Y1 (ko) |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 | |
JPH05269141A (ja) | 結合型腹腔鏡式電気外科器具及びプローブ装置 | |
US20130035639A1 (en) | Method for access needle with pre-loaded wire guide and device | |
US9486130B2 (en) | Trocar system | |
KR200444387Y1 (ko) | 투관침용 절개봉의 단부구조 | |
US20090216195A1 (en) | Surgical Needle or Introducer with Precise Penetrator | |
EP3689255B1 (en) | Recoverable percutaneous anchor | |
US20050015113A1 (en) | Guide system for controlled manipulation of surgical instruments | |
US10426496B2 (en) | Method for surgically removing a tumor from a woman's brea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