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256Y1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256Y1 KR200432256Y1 KR2020060024820U KR20060024820U KR200432256Y1 KR 200432256 Y1 KR200432256 Y1 KR 200432256Y1 KR 2020060024820 U KR2020060024820 U KR 2020060024820U KR 20060024820 U KR20060024820 U KR 20060024820U KR 200432256 Y1 KR200432256 Y1 KR 2004322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hydraulic cylinder
- track
- cylinder unit
- recovery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61K5/02—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s; Turntables integral with the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전/후단에 설치되며 철도차량이 궤도를 탈선시에 궤도에 복귀시키기 위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궤도(R)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C)의 전/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C)이 궤도(R)로부터 탈선시에 차량(C)을 궤도로 복구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있어서, 유압작동유의 유입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유니트(120)와, 상기 다수개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길이 신장시에 상기 차량(C)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빔(140)과,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가 신장시에 차량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블럭(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치, 궤도, 실린더
Description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의 구성을 보인 장착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a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의 일구성인 유압실린더유니트가 차량 전면에 장착된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4b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의 일구성인 유압실린더유니트가 차량 전면에서 기울어진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5a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 전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5b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5c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을 궤도 상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5d 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의해 차량의 탈선이 복구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의 요부 구성인 고정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탈선복구장치 120 ..... 유압실린더유니트
122 ..... 제1실린더 122' .... 제2실린더
123 ..... 오일유출입공 124 ..... 오일호스
124' .... 밸브 126 ..... 회전안내부
127 ..... 차폐판 128 ..... 지지빔결합부
128' .... 지지핀 140 ..... 하중지지빔
142 ..... 지지돌기 144 ..... 보관구
146 ..... 고정구 160 ..... 고정블럭
162 ..... 수용홈 C ..... 차량
P ..... 고정핀 P' ..... 이탈방지핀
R ..... 궤도 W ..... 바퀴
본 고안은 철도 차량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탈선된 철도차량을 궤도에 복구 시키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영역이 광범위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탈선복구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의 구성을 보인 장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선복구장치(1)는 차량(C)의 전/후면에 부착된 범퍼(B) 일측에 결합 장착되며, 상기 차량(C)이 궤도(10)로부터 이탈시에 차량(C)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들어올려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C)이 궤도(10)로 다시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범퍼(B)의 전면에는 브라켓트(3)가 부착되며 상기 브라켓트(3)로부터 이격된 전방에는 브라켓트(3)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판(4)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판(4)은 브라켓트(3)와 차단판(4)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6) 및 너트(3b)에 의해 상기 범퍼(B)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차단판(4)과 브라켓트(3) 사이의 좌/우측에는 유압실린더유니트(2)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는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에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유압실린더유니트(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상단부에는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천공된 원형관(2b)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관(2b)은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회전을 안내 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4)의 후방 좌/우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삽입 고정된 고정핀(3a)을 내부에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는 고정핀(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3a)의 선단부에는 이탈방지핀(5)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이탈방지핀(5)은 차단판(4)의 전면을 간섭하여 전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하단부에는 레일받침대(7)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받침대(7)는 궤도(11)를 내부에 수용하여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길이가 신장시에 차량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받침대(7)의 하단부에는 상방향으로 함몰된 레일홈(7a)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홈(7a)은 궤도(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받침대(7)는 궤도(11)와 차량(C) 사이의 탈선시 그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받침대(7)에서 전/후방으로는 구멍(7a)이 천공되며, 상기 구멍(7a)에는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하단부를 관통한 힌지핀(8)이 삽입된다.
물론 상기 힌지핀(8)의 선단에는 레일받침대(7)와 유압실린더유니트(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움 결합된 이탈방지핀(9)이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구멍(7a)은 차량(C)의 탈선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레일받침대(7)는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하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회전을 차단하는 별도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레일받침대(7)는 차량의 탈선을 복구시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사용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유압실린더유니트(2)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차량에 구비된 보관장소)에 보관해야만 하므로 분실 등으로 인하여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궤도(11)로부터 차량(C)의 탈선 정도에 따라 상기 레일받침대(7)의 구멍(7a) 위치를 조정해주어야 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길이 신장에 의해 차량(C)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레일홈(7b)에 궤도(11)가 삽입된 상태라야 하며, 만일 궤도(11)로부터 차량(C)이 탈선된 거리가 유압실린더유니트(2)의 최대 신장길이보다 멀 경우에는 좌/우측의 유압실린더유니트(2)가 서로 구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탈선복구장치(1)를 이용한 복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빔이 유압실린더유니트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됨으로써 관리 및 조작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과 궤도의 탈선 거리와 상관없이 차량의 탈선 복구가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탈선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전/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이 궤도로부터 탈선시에 차량을 궤도로 복구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있어서, 유압작동유의 유입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유니트와, 상기 다수개 유압실린더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의 길이 신장시에 상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빔과, 상기 하중지지빔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가 신장시에 차량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의 일측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 변화시에 차량의 전/후면에 대하여 유압실린더의 좌/우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와; 상기 하중지지빔과 결합되어 하중지지빔의 좌/우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가 하중지지빔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지지빔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안내부의 내부 일측에는, 일단부가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안내부 내부에 삽입되어 유압실린더유니트의 회동을 안내하는 고정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 전반부에는, 내부가 천공된 원판 모양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을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안내부의 전면을 차폐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전방에서 상기 회전안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폐판 및 회전안내부가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은, 전/후 길이의 중앙부 외경이 전/후반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지지빔의 양단부에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구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중지지빔을 보관시에 하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보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럭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궤도를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하중지지빔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블럭장착구멍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탈선복구장치의 보관 및 조작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탈선복구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100)는 궤도(R)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C)의 전/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C)이 궤도(R)로부터 탈선시에 차량(C)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바퀴(W)가 궤도(R) 상측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C)을 원위치로 복구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탈선복구장치(100)는, 유압작동유의 유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차량(C)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발생하는 유압실린더유니트(120)와,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하단에 결합된 가로로 긴 하중지지빔(140)과,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량(C)의 좌/우방향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블럭(도 5a의 도면부호 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는 차량(C)의 전면 하부 좌/우측에 동일한 크기로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차량(C)의 전면 좌/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는 차량(C)의 좌측에 설치된 제1실린더(122)와, 우측에 설치된 제2실린더(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122)와 제2실린더(122')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실린더(122)와 제2실린더(122')의 좌/우측 외주면에는 내부로 천공되어 유압작동유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오일유출입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유출입공(123)에는 오일호스(124)가 연결되며, 상기 오일호스(124)의 중앙부에는 상기 오일유출입공(123) 내부로 유압작동유의 유입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12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작동유가 제2실린더(122')의 좌측에 형성된 오일유출입공(123)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실린더(122)는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하중지지빔(14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차량(C)의 전/후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안내부(126)는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동그랗게 천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차량(C)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된 고정핀(P)이 삽입된다.
즉, 상기 차량(C)의 전/후면에는 회전안내부(126)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고정핀(P)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P)은 후단부가 차량(C)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P)이 회전안내부(126)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안내부(126)는 고정핀(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122) 및 제2실린더(122')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P)의 외주면 전반부, 즉 상기 회전안내부(126)의 전방에는 내부가 천공된 원판모양의 차폐판(127)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127)은 상기 고정핀(P)을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안내부(126)의 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핀(P')과 접촉하여 전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회전안내부(126)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폐판(127)의 전방에는 이탈방지핀(P')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핀(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127)의 전면 일부를 간섭하여 차폐판(127) 을 비롯한 회전안내부(126)가 고정핀(P)으로부터 전방향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P)의 전반부 외주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구멍(미도시)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P)의 외주면에 회전안내부(126) 및 차폐판(127)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 이탈방지핀(P')이 삽입 고정되면, 상기 회전안내부(126) 및 차폐판(127)은 이탈방지핀(P')의 간섭에 의해 전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핀(P)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중앙부의 외경이 양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도 4a 참조) 이것은 상기 고정핀(P)과 회전안내부(126)의 간섭량을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차량(C)이 궤도(R)로부터 탈선시에 도 4b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상기 탈선복구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C)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길이를 연장시켜 차량(C)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상기 고정핀(P)의 중앙부와 전/후단부의 외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도 4b와 같이 차량(C)으로부터 탈선복구장치(100)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안내부(126)와 고정핀(P)의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굽힘응력량이 감소되므로 결국 상기 탈선복구장치(100)의 내구성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린더(122) 및 제2실린더(122')의 하단부 에는 지지빔결합부(12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빔결합부(128)는 하중지지빔(140)의 상면 좌/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와 하중지지빔(14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빔결합부(128) 내부에는 지지핀(128')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핀(128')은 하중지지빔(140)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42)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42)와 지지빔결합부(128)는 지지핀(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중지지빔(140)이 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더라도 상기 하중지지빔(140)과 유압실린더유니트(120)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하측에는 하중지지빔(140)이 구비된다. 상기 하중지지빔(14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면 좌/우측에는 전술한 지지돌기(14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42)의 좌/우측 즉,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하중지지빔(140)을 보관시에 하중지지빔(140)의 하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보관구(144)가 구비된다. 상기 보관구(144)는 차량(C)의 전면 좌/우측 단에 상단부가 결합 고정된 고정구(146)와 결합되어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방향 낙하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146)의 하단부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6)는 중앙부를 회전시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146)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고정구(146)의 하단부 와 보관구(144)의 걸림 구속을 해지시키게 되면 상기 하중지지빔(140)은 하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좌/우측 선단에는 전방으로 돌출 성형된 장착플렌지(148)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플랜지(148)는 고정블럭(160)이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장착플랜지(148)에는 다수개의 블럭장착구멍(149)이 상/하방향으로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럭(160)이 하중지지빔(14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블럭장착구멍(149)에 체결되면, 상기 고정블럭(160)은 유압실린더유니트(120)의 길이가 신장시에 상기 하중지지빔(140)과 같이 하방향으로 유동하여 지면 또는 궤도(R)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차량(C)의 좌/우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5a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블럭(16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 전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면 좌.우측에는 고정블럭(16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블럭(160)은 탈선복구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C)을 궤도(R)로 이동시에 차량(C)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블럭(160)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상방 함몰된 수용홈(16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62)은 내부에 상기 궤도(R)가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차량(C)이 궤도(R)로부터 이탈된 거리에 따라 궤 도(R)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62)의 좌/우 폭은 상기 궤도(R)의 상면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함몰된다. 따라서, 도 5c와 같이 상기 수용홈(162) 내부에 궤도(R)의 상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면은 궤도(R)의 상단부와 접촉한 상태로 좌/우 방향의 유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고정블럭(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블럭(160)은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핀(pin)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블럭(160)의 하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럭장착구멍(149)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럭(160)은 차량(C)의 탈선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럭장착구멍(149)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블럭장착구멍(149)으로부터 고정블럭(16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블럭(160)의 하부 외주면에 너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탈선복구장치(100)를 이용하여 탈선된 차량(C)을 복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 모습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가 탈선된 차량을 궤도(R) 상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보인 개 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d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의해 차량의 탈선이 복구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와 같이 상기 차량(C)이 궤도(R)로부터 좌측으로 탈선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W)를 궤도(R) 상측으로 원위치시키기 위해서는 고정구(146)의 하단부와 보관구(144)의 구속을 해지시켜야 한다.
즉, 상기 고정구(146)의 중앙부를 회전시켜 고정구(146)의 길이를 신장시킨 다음 상기 보관구(144)에 걸림 고정된 고정구(146)의 하단부를 상기 보관구(144)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도 5a 참조)
이후 상기 오일호스(124) 내부로 유압작동유를 주입하고 상기 밸브(124')를 조정하여 제1실린더(122) 및 제2실린더(122')의 상측에 천공 형성된 오일유출입공(123)을 통해서 유압작동유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유압작동유가 제1실린더(122) 및 제2실린더(122')의 상측을 통해 유입되면 상기 제1실린더(122) 및 제2실린더(122')는 길이가 신장되며(도 5b 참조)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바닥면은 궤도(R)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122)와 제2실린더(122')의길이 신장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C)은 하중지지빔(14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차량(C)이 탈선복구장치(1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122)의 길이는 더 신장시키고 상기 제2실린더(122')는 축소시키게 되면 상기 차량(C)은 도 5c와 같이 도 5a와 비교할 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바퀴(W)가 궤도(R)의 상측(차량(C)이 탈선되기 전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실린더(122)와 제2실린더(122')의 길이를 축소시켜 상기 차량(C)을 하방향으로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궤도(R)와 바퀴(W)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차량(C)은 도 5d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탈선 복구 작업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탈선복구장치(100)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고정구(146)의 하단부를 보관구(144)의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146)의 중앙부를 회전시켜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구(146)와 보관구(144)를 걸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구(146)와 보관구(144)의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하중지지빔(140)의 하방향 유동 및 낙하는 방지되며 보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고정블럭의 수용홈은 3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중지지빔의 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서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빔이 단일 구성으로 형성되고, 유압실린더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탈선복구장치의 부품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분실이 미연에 방지되며 차량의 신속한 탈선 복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핀(P)의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유압실린더유니트가 고정핀(P)을 중심으로 회전시에 내구성이 향상되어 회전안내부 및 고정핀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블럭을 별도로 구비하고 고정블럭에 다수개의 수용홈을 형성하여 차량의 좌/우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탈선 복구 작업시 안전성도 보장된다.
Claims (8)
-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전/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이 궤도로부터 탈선시에 차량을 궤도로 복구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에 있어서,유압작동유의 유입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유니트와,상기 다수개 유압실린더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의 길이 신장시에 상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빔과,상기 하중지지빔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가 신장시에 차량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의 일측에는,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 변화시에 차량의 전/후면에 대하여 유압실린더의 좌/우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와;상기 하중지지빔과 결합되어 하중지지빔의 좌/우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유니트가 하중지지빔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지지빔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의 내부 일측에는,일단부가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안내부 내부에 삽입되어 유압실린더유니트의 회동을 안내하는 고정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 전반부에는,내부가 천공된 원판 모양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을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안내부의 전면을 차폐하는 차폐판과;상기 차폐판의 전방에서 상기 회전안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폐판 및 회전안내부가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전/후 길이의 중앙부 외경이 전/후반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빔의 양단부에는,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구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중지지빔을 보관시에 하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보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의 하면에는,상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궤도를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상기 하중지지빔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블럭장착구멍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820U KR200432256Y1 (ko) | 2006-09-14 | 2006-09-14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820U KR200432256Y1 (ko) | 2006-09-14 | 2006-09-14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256Y1 true KR200432256Y1 (ko) | 2006-11-30 |
Family
ID=417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820U KR200432256Y1 (ko) | 2006-09-14 | 2006-09-14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256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4948A (ko) | 2015-01-06 | 2016-07-15 | 한국철도공사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CN106218666A (zh) * | 2016-09-26 | 2016-12-14 | 王江山 | 液压复轨器 |
TWI569997B (zh) * | 2013-08-23 | 2017-02-11 | 三菱重工業股份有限公司 | 脫線修復裝置,保養用車輛及脫線修復方法 |
CN112918514A (zh) * | 2021-02-24 | 2021-06-08 | 重庆泰新鲜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交通救援用驱动式列车输电装置 |
-
2006
- 2006-09-14 KR KR2020060024820U patent/KR200432256Y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69997B (zh) * | 2013-08-23 | 2017-02-11 | 三菱重工業股份有限公司 | 脫線修復裝置,保養用車輛及脫線修復方法 |
KR20160084948A (ko) | 2015-01-06 | 2016-07-15 | 한국철도공사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CN106218666A (zh) * | 2016-09-26 | 2016-12-14 | 王江山 | 液压复轨器 |
CN112918514A (zh) * | 2021-02-24 | 2021-06-08 | 重庆泰新鲜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交通救援用驱动式列车输电装置 |
CN112918514B (zh) * | 2021-02-24 | 2024-05-28 | 青岛詹海轨道交通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轨道交通救援用驱动式列车输电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2256Y1 (ko)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
CA2948168C (en) | Lift device for vehicle | |
KR20100092425A (ko) | 차륜 가드 장치 | |
RU2514539C2 (ru) | Фиксирующая колодка, перемещаемая вдоль профиля и складываемая посредством поворота относительно него, для каждой шины 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еревози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й единицей | |
US7650844B2 (en) | Railway wagon | |
JP2009101864A (ja) | 軌陸作業車のサスロック装置 | |
JP6099371B2 (ja) | 鉄道車両 | |
JP2006182262A (ja) |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 |
CN102645313A (zh) | 碰撞试验中的试验车防翻装置 | |
US6202564B1 (en) | Double end derail | |
JP5971737B2 (ja) | レールロック機構 | |
JP6789560B1 (ja) | 脱輪・落下防止装置 | |
KR200229921Y1 (ko)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
US6520298B1 (en) | Rail brake, especially a holding brake | |
KR200182256Y1 (ko) |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 |
JP3112991U (ja) | 鉄道車両脱線復旧機 | |
ES2929332T3 (es) | Bogie ferroviario equipado con un sistema de variación de ancho y vehículo ferroviario que comprende dicho bogie ferroviario | |
US2491415A (en) | Vehicle stake body lock | |
JP3684035B2 (ja) | 軌道走行車の安全装置 | |
CN212074020U (zh) | 一种安全型梯车底盘 | |
RU2790995C2 (ru) |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луприцепов 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одобного полуприцепу | |
KR200243273Y1 (ko) | 철도차량 탈선복구장치 | |
JP3053829B2 (ja) | 給油装置 | |
CN210284227U (zh) | 一种防翻装置 | |
CN209992158U (zh) | 一种车辆后防护测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13 Effective date: 2009022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