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38661Y1 -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661Y1
KR200438661Y1 KR2020070004272U KR20070004272U KR200438661Y1 KR 200438661 Y1 KR200438661 Y1 KR 200438661Y1 KR 2020070004272 U KR2020070004272 U KR 2020070004272U KR 20070004272 U KR20070004272 U KR 20070004272U KR 200438661 Y1 KR200438661 Y1 KR 200438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splay unit
case
battery cell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070004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고유 기능인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또한,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발광 및 광고 또는 다양한 문양을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면에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회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휴대폰 본체에 수신된 링신호를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서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부, 링신호 검출부에 의하여 링신호가 검출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omitted}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2는 도1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
도4는 회로부의 구성 회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배터리 장치
10 : 케이스 20 : 전지셀
30 : 회로부 31 : 기판
32 : 프로세서 33 : 링신호 검출부
34 : 메모리 40 : 플러그
50 : 연결구 60 : 디스플레이부
61 : LED 100 : 휴대폰
110 : 충전장치
본 고안은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폰에 수신된 링 신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광이 가능하도록 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휴대폰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를 제안한바 있는데, 이는 소형 전지셀을 내장하고 충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다음 휴대폰의 전원이 모두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를 이용하여 임시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배터리 장치다.
이러한 소형 배터리 장치는 휴대폰의 액세서리 형태로 구비되는데, 액세서리 기능에 걸맞도록 전화가 걸려올 때 다양한 형태의 가시적 표현이 요구되고, 또한 기업체의 홍보 판촉물로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광고 문자, 또는 문양 등의 가시적 표현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의 고유 기능인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또한,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발광 및 광고 또는 다양한 문양을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면에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회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휴대폰 본체에 수신된 링신호를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서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부, 링신호 검출부에 의하여 링신호가 검출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연결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는, 기본적으로 휴대폰(100; 도 3참조)의 하단에 결합되어 휴대폰(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 능하며, 또한 케이스(10)에는 다수의 LED(61)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60)가 구비되어,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올 때 다양한 형태의 발광과, 더 나아가서는 문자 또는 문양 등이 가시적으로 표출된다.
케이스(1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몸체(12)와 덮개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의 크기는 소형으로서, 사용자는 휴대폰의 액세서리처럼 휴대폰의 고리에 결합하여 지니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12)는, 상호 결합된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2)의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부품들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플러그(40)가 돌출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연결구(50)의 장착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에는 다수의 LED(61)가 매트릭스 형태로 장착되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LED(61)는 굳이 매트릭스 형태뿐만 아니라 원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14)는, 상기 몸체(12)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부(14)가 몸체(12)로부터 열리는 경우, 몸체(1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플러그(40)가 외부로 노출된다. 플러그(40)는 휴대폰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덮개부(14)에는 고리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부(140)에는 끈 부재(142)가 결합되어 있다. 끈 부재(142)는 통상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부에 결합되어, 본 고안의 배터리 장치(1)를 휴대폰과 함께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기에 간편하다,
전지셀(20)은, 전원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구성부품이다. 본 고안의 경우 에는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이 사용되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기판(31)에 실장된 회로부(30)를 구비한다.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2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커버(12)로 이루어진 케이스(10)의 내부에 기판(31)이 장착되고, 이에 회로부(30)가 기판(31)에 실장되어 장착되며, 그 기판(31)의 이면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20)이 위치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지셀(20)은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로부(30)에는 외부의 전원이 입력되는 연결구(5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지셀(20)은 연결구(50)로부터 회로부(30)를 거쳐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다만,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러그(40)는, 케이스(10)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커넥터(102)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도 2에는 플러그(40)의 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플러그(40)에는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4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전지셀(2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한다.
도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102)는 휴대폰(100)의 하단에 형성된 홈 내에 마련된다. 입출력커넥터(102)는, 데이터와 같은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자는 물론, 휴대폰(10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 입출력커넥터(102)에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02)가 결합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된다.
연결구(5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지셀(20)에 회로부(30)를 거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결합된다.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는,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전원에 결합되는 본체(111)와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충전장치(110)이다. 그리고, 연결구(50)는 이러한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가 접속될 수 있는 소켓이다.
케이스(10)의 상부 커버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60)는 기판에 다수의 LED(61)가 장착된 형태로서, 매트릭스 형태로 n*n의 배열을 갖는다면 다양한 문자 또는 이모티콘 등의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60)는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올 때 구동될 수 있으며, 다른 방안으로는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오는 것과는 관계없이 미리 프로그램 되어진 순서대로 다양한 문자와 문양이 표시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4는 회로부(30)를 구성하는 상세 회로 블록도로서, 회로부(30)의 모든 구성 회로는 전지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링신호 검출부(33)는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올 때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프로세서(32)로 제공하는데, 이는 휴대폰 본체가 이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링 신호에 대하여 응답하는 신호를 방출하게 되고, 이때 이 방출되는 주파수의 유도전류를 링신호 검출부(33)에서 검출하여 전화가 걸려 온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프로세서(32)는 링신호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아 미리 메모리(34)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60)의 LED(61)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광고 문구, 광고 문양, 사용자의 이름, 다양한 이모티콘,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플래시 등이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34)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달리하는 경우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오지 않을 때는 간헐적으로 디스플레이부(60)를 구동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가시적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메모리(34)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연결구(5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되는데, 연결구(50)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시키는 경우 컴퓨터로부터 구동 프로그램을 프로세서(32)가 다운로딩하여 메모리(34)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표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고유 기능인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올 때 광고 또는 다양한 문양을 표시하도록 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광고 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표현을 가시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Claims (2)

  1.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면에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회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휴대폰 본체에 수신된 링신호를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서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부와, 링신호 검출부에 의하여 링신호가 검출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연결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20070004272U 2007-03-15 2007-03-15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0438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72U KR200438661Y1 (ko) 2007-03-15 2007-03-15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72U KR200438661Y1 (ko) 2007-03-15 2007-03-15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661Y1 true KR200438661Y1 (ko) 2008-02-27

Family

ID=4162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72U KR200438661Y1 (ko) 2007-03-15 2007-03-15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6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897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US20090027874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same
CN101753647A (zh) 分体式手机
KR20140037995A (ko) 엘이디가 구비된 전자제품용 케이스
KR101441677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KR20100129652A (ko) 발광벨트
US20130260835A1 (en) Electronics Case with Electroluminescent Panel
US20120106141A1 (en) Graphic light module for use with portable device
KR200438661Y1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190042155A (ko) 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가방의 디스플레이 패턴 제공시스템
EP2579122B1 (en) Notification device
KR200438663Y1 (ko) 광출사판을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CN210629140U (zh) 移动电源以及可充电式电子设备
JP2012075273A (ja) 充電器
JP3215852U (ja) 携帯型表示装置
CN111689474B (zh) 一种臭氧发生器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5150782A (ja) 携帯電話端末充電用フォルダ
CN104580589A (zh) 具有基于声音的信息提醒装置的手机及手机套
CN211456737U (zh) 带有发光图案的移动电源
CN217133495U (zh) 具有太阳能模组的显示屏幕
KR200280859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발광장치
KR20090011301U (ko) Lcd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100480078B1 (ko) 충전거치대의 충전표시 회로
KR20080003976U (ko) 광출사판을 구비한 충전식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