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752Y1 -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Google Patents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6752Y1 KR200436752Y1 KR2020060028337U KR20060028337U KR200436752Y1 KR 200436752 Y1 KR200436752 Y1 KR 200436752Y1 KR 2020060028337 U KR2020060028337 U KR 2020060028337U KR 20060028337 U KR20060028337 U KR 20060028337U KR 200436752 Y1 KR200436752 Y1 KR 2004367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pin
- press
- vertical movement
- base
- anv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3—Drive arrangements for movable carriers, e.g. turn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장착된 앤빌과 클림퍼의 간격 조절시, 앤빌의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포밍과정을 거쳐 연속된 연결편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단자핀을 수직이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편과 절단 및 분리시키는 수직이동축과, 상기 수직이동축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스몸체와, 상기 수직이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이 하강할 때 단자핀을 압착하는 클림퍼와, 베이스 상에 고정되어 상기 클림퍼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을 지지하는 앤빌 및 수직이동축의 상승 및 하강 작용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이송홀에 결속되는 후크로 단자핀을 이동시키는 단자핀 공급장치로 구성된 커넥터 단지핀용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단에 앤빌과 연동하여 수평이동 가능한 홀드다운블록이 구비되되, 상기 홀드다운블록의 하단에는 베이스에 천공된 장방형의 가이드공 내에 위치되는 블록연장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내에서 가이드공의 장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탭 조절나사가 상기 블록연장부를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된 구조로부터 탭 조절나사의 회전시 홀드다운블록이 전/후 이동되도록 한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공급되는 단자핀과 연결편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단자핀과 케이블의 체결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우측면도.
도 5는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우측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자핀 2 : 컷오프 탭(CUT-OFF TAB)
3 : 케이블 11 : 연결편
12 : 이송홈 20 : 프레스몸체
21 : 수직이동축 22 : 클림퍼(CLIMPER)
23 : 앤빌(ANVIL) 29 : 레이블링 다이얼
30 : 단자핀 공급장치 41 : 후크(HOOK)
50 : 베이스 50a : 가이드공
51 : 지지체 52 : 홀드다운블록
52a : 블록연장부 53 : 탭 조절나사
54 : 블록나사 55 : 지지나사
56 : 탭조절나사 56a : 공구 결속홈
57 : 나사고정블록 58 : 공구홀
59 : 고정나사 60 : 이송캠
61 : 선형이송면
본 고안은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 부품이 되는 커넥터 단자핀의 압착가공 작업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컷오프 탭을 조절 가능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공급되는 단자핀 및 연결편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자핀 및 케이블의 체결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사시도로서, 케이블 하네스의 부품이 되는 커넥터 단자핀은 연속된 판형의 재료를 펀칭 및 포밍함으로써 연결편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이를 프레스와 같은 기계에서 절단 및 압착할 때 내부에 케이블이 압착되어 상호 결합된다.
일 예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단자핀(1)은 연결편(11)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포밍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상기 연결편(11)에는 프레스 장치에서 주기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송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호 인접한 2개의 이송홀(12)과의 간격을 1클릭이라 하는데, 이러한 간격은 단자핀(1)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핀(1)은 후술하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서 케이블(3)의 일단을 압착시켜서 케이블(3)과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편(1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단자핀(1)을 연결편(11)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케이블(3)과 결합시키는 작용의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은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는, 포밍과정을 거쳐 연속된 연결편(1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단자핀(1)을 수직이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편(11)과 절단 및 분리시키는 수직이동축(21)과, 상기 수직이동축(21)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스몸체(20)와, 상기 수직이동축(2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21)이 하강할 때 단자핀(1)을 압착하는 클림퍼(22)와, 베이스(50) 상에 고정되어 상기 클림퍼(22)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1)을 지지하는 앤빌(23) 및 상기 프레스몸체(20)의 수직이동축(21)과 연동하여 수직이동축(21)이 상승할 때는 상기 연결편(11)에 형성된 이송홀(12)에 걸리는 후크(41)에 의하여 1클릭 전진시키고 하강할 때는 상기 후크(41)가 후퇴하여 다음 이송홀(12)에 장착되도록 하는 단자핀 공급장치(30)로 구성된다.
또한, 이송캠(60)의 선형이송면(61)은 수직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는 프레스몸체(20) 내의 수직이동축(21)이 초기 상승할 때 단자핀 공급장치(3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를 지나 경사부에서는 단자핀 공급장치(30)가 연결편(11)을 1클릭 전진시켜서 다음 단자핀(1)을 절단 대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스 장치는,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단자핀(1)이 앤빌(23) 상에 대기할 때, 단자핀(1)의 위치에 케이블(3)을 삽입시키면, 케이블(3)은 전도성 심체와 더불어 앤빌(23) 상에 위치한 단자핀(1)에 삽입되고, 이때 수직이동축(21)이 압착력을 받아 하강하면 클림퍼(22)가 단자핀(1)과 케이블을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단자핀(1)의 전/후측 선단에 형성된 컷오프 탭(CUT-OFF TAB)(2)은 단자핀(1)의 포밍과정과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에서 클림퍼(22)에 의해 연결편(11)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데, 상기 컷오프 탭(2)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단자핀(1)의 삽입 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추후 단자핀(1)이 연결되는 상대측 터미널과의 접속 상태가 불량하여 전기 전도가 고르지 않게 되고, 반대로 컷오프 탭(2)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케이블(3) 압착 과정에서 단자핀(1)이 손상되거나 케이블(3)의 외피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컷오프 탭(2)의 길이가 달라지는 원인은 수직이동축(21)이 수천회 이상 승/하강하는 반복적인 단자핀(1) 압착 작용에 의해 앤빌(23)과 클림퍼(22)의 간격이 잘 맞지 않게 되거나 변경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종래 프레스 장치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위치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종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저면도로서, 종래 앤빌(23) 및 앤빌(23)과 연동하는 홀드다운블록(52)의 위치 조절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앤빌(23)의 수평 이동과 연동하도록 마련된 홀드다운블록(52)은 베이스(50)의 하단에서 삽입된 블록나사(54)에 의해 베이스(5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홀드다운블록(52)과 지지체(51)는 각각 앤빌(23)의 수평이동방지를 위해 나사결합된 조절나사(53)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데, 상기 홀드다운블록(52)은 지지체(51)를 관통한 조절나사(53)에 의해 베이스(50)의 상단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홀드다운블록(52)이 이동될 때 안정적인 직선 이동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블록나사(54)는 베이스(50)에 천공된 장방형의 가이드공(50a)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스몸체(20)는 베이스(50)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된 지지나사(55)가 지지체(51)를 고정한 구조로부터 베이스(50)에 고정되며, 지지나사(55)는 지지체(51)를 베이스(5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종래 프레스 장치에 있어 컷오프 탭(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앤빌(23)과 클림퍼(22)의 간격을 조절할 때에는, 상기 조절나사(53)를 회전시킴으로써 홀드다운블록(52)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종래 구조에 의하면 홀드다운블록(52)의 전진 이동, 즉 도면 상 좌측으로의 이동은 가능한 구조이나, 후진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 경우, 홀드다운블록(52)의 이동은 매우 미세한 조절을 요하기 때문에, 자칫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홀드다운블록(52)의 전진 이동을 소기의 목적한 거리 이상 이동시키거나 또는 후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는 때에는, 이들을 분해해야만 하는 것이다. 즉 프레스 장치를 들어내어, 베이스(50)의 하단에서 블록나사(54)를 풀어준 후, 조절나사(53)를 풀어준다. 이후 손이나 고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앤빌(23)을 밀어서 후진시키고, 블록나사(54)를 조인 다음, 조절나사(53)를 회전시키면서 홀드다운블록(52)을 다시 전진시키는 공정을 통해 위치를 재조절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앤빌(23)와 클림퍼(22)의 간격 조절 작업은 매우 많은 시간과 복잡한 공정이 요구됨은 물론, 홀드다운블록(52)의 일방향 이동만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대단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장착된 앤빌과 클림퍼의 간격시, 다른 구조물의 분해 또는 나사의 조임상태의 해제 없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앤빌, 보다 구체적으로는 앤빌과 연동하는 홀드다운블록의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장치는, 포밍과정을 거쳐 연속된 연결편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단자핀을 수직이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편과 절단 및 분리시키는 수직이동축과, 상기 수직이동축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스몸체와, 상기 수직이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이 하강할 때 단자핀을 압착하는 클림퍼와, 베이스 상에 고정되어 상기 클림퍼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을 지지하는 앤빌 및 상기 수직이동축의 상승 및 하강 작용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이송홀에 결속되는 후크에 의해 단자핀을 이동시키는 단자핀 공급장치로 구성된 커넥터 단지핀용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단에 앤빌과 연동하여 수평이동 가능한 홀드다운블록이 구비되되, 상기 홀드다운블록의 하단에는 베이스에 천공된 장방형의 가이드공 내에 위치되는 블록연장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내에서 가이드공의 장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탭 조절나사가 상기 블록연장부를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된 구조로부터 탭 조절나사의 회전시 홀드다운블록이 전/후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탭 조절나사의 일단은 베이스의 측면에 고정된 나사고정블록에 접하여 베이스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나사고정블록에 탭 조절나사의 선단과 연통된 공구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탭 조절나사의 일단에 공구와 결속되어 공구로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공구결속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며, 하기 설명을 통해 본 고안이 구성 및 작용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의 저면도로서, 도 6 내지 도 8의 각 제시된 도면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도 3 내지 도 5의 각 제시도면의 개선된 대응 도면이므로, 이들을 각각 대비하여도 본 고안의 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먼저, 도 3의 개선 구조인 도 6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는, 포밍과정을 거쳐 연속된 연결편(11)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단자핀(1)을 수직이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편(11)과 절단 및 분리시키는 수직이동축(21)과, 상기 수직이동축(21)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스몸체(20)와, 상기 수직이동축(2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21)이 하강할 때 단자핀(1)을 압착하는 클림퍼(22)와, 베이스(50) 상에 고정되어 상기 클림퍼(22)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1)을 지지하는 앤빌(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는 상기 프레스몸체(20)의 수직이동축(21)과 연동하여 수직이동축(21)이 상승할 때는 상기 연결편(11)에 형성된 이송홀(12)에 걸린 후크(41)에 의하여 1클릭 전진시키고, 하강할 때는 상기 후크(41)가 후퇴하여 다음 이송홀(12)에 장착되도록 하는 단자핀 공급장치(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송캠(60)의 선형이송면(61)은 수직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는 프레스몸체(20) 내의 수직이동축(21)이 초기 상승할 때 단자핀 공급장치(3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고 상기 수직부를 지나 경사부에서는 단자핀 공급장치(30)가 연결편(11)을 1클릭 전진시켜 다음 단자핀(1)을 절단하기 위해 대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스 장치는,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단자핀(1)이 앤빌(23) 상에 대기할 때, 단자핀(1)의 위치에 케이블(3)을 삽입시키면, 케이블(3) 은 전도성 심체와 더불어 앤빌(23) 상의 단자핀(1)에 삽입되고, 수직이동축(21)이 압착력을 받아 하강하면 클림퍼(22)가 단자핀(1)과 케이블(3)을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단자핀(1)이 케이블(3)을 압착시킬 때, 앤빌(23)과 클림퍼(22)는 단자핀(1)을 케이블(3)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작용과 동시에 단자핀(1)을 연결편(11)으로부터 절단, 분리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작용에 의해서 단자핀(1)의 단부에는 컷오프 탭(2)이 생성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컷오프 탭(2)의 길이는 단자핀(1)의 하측에서 지지되는 앤빌(23)과 수직이동축(21)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클림퍼(22)의 간격, 또는 앤빌(23)과 클림퍼(22)의 사이드 커터(SIDE CUTTER)(22a)의 간격에 의해서 정해지는데, 단자핀(1)의 압착 과정에서 단자핀(1) 또는 케이블(3)의 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단자핀(1)과 연결되는 터미널(미도시)에 정확하게 접속되기 위해서는 컷오프 탭(2)이 지나치게 길거나 또는 지나치게 짧지 않고 적정한 길이를 유지해야만 한다.
상기 클림퍼(22)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단지핀(1)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커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일종의 사이드 커터(22a)는 단자핀(1)을 연결편(11)으로부터 절단시키는 작용을 통해 단자핀(1)의 단부에 형성된 컷오프 탭(2)을 형성한다.
또한, 일종의 인너 커터(INNER CUTTER)(22b)는 단자핀(1)을 케이블(3) 상에 압착시켜 단자핀(1)과 케이블(3)을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물론, 도 2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그 형태는 단자핀(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림퍼(22)는 3개의 커터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단자핀(1)을 연결편(11)에서 절단하는 역할을, 또 하나는 단자핀(1)과 케이블(3)의 외피를 상호 압착 고정하는 역할을, 다른 하나는 단자핀(1)과 케이블(3)의 내부에 있는 전도성 심체를 상호 고정함으로써 단자핀(1)이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클림퍼(22) 구성은 예시된 설명의 구성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수직이동축(21)이 압착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클림퍼(22)가 단자핀(1)과 케이블(3)을 압착하는 압착과정이 수천 내지 수만 회 반복되는 동안, 기계적,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앤빌(23)과 클림퍼(22)의 간격이 처음 설정한 상태에서 흐트러져 컷오프 탭(2)의 길이가 적정의 수준으로 생성되지 않고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압착과정 또는 추후 터미널과의 접속 과정에서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50) 상에서 앤빌(23)과 연결되어서 앤빌(23)과 연동하게 구성된 홀드다운블록(52)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앤빌(23)과 클림퍼(22)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3 내지 도 5 구조의 각 도면에 대응하여, 개선된 구조를 보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홀드다운블록(52)은 베이스(5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베이스(50)를 관통하는 한 쌍의 블록나사(54)에 의해서 베이스(5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각 블록나사(54)는 베이스(50)에서 장방형으로 천공된 한 쌍의 가이드공(50a)을 각각 관통하여 홀드다운블록(52)이 전/후 이동을 할 때 블록나사(54) 역시 가이드공(50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홀드다운블록(5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블록연장부(52a) 역시 가이드공(50a) 내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블록연장부(52a)에는 베이스(50) 내에서 가이드공(50a)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탭 조절나사(56)가 관통하여, 블록연장부(52a)와 탭 조절나사(56)가 상호 나사결합되고, 이와 같은 나사결합구조는, 탭 조절나사(56)가 회전할 때 도 7 및 도 8의 화살표와 같이 홀드다운블록(52)은 가이드공(50a)의 장방향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55는 베이스(50) 상에 위치되는 프레스몸체(2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직이동축(21)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나사(55)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래 기술의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탭 조절나사(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50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공(50a) 내에서 노출된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 단부는 베이스(50) 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탭 조절나사(56)의 조립은 베이스(50)의 측면(도 7 및 도 8의 도면 상 좌측면)으로부터 끼워져 가이드공(50a)을 지나 블록연장부(52a)를 각각 관통시켜서 일단을 베이스(50)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킨 다음, 타단은 나사고정블록(57)에 접하도록 하여 베이스(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나사고정블록(57)은 중앙에 공구홀(58)이 천공됨과 동시에 고정나 사(59)에 의해서 베이스(5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탭 조절나사(56)가 베이스(5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고, 상기 공구홀(58)은 탭 조절나사(56)의 선단과 연통되어서 드라이버 공구나 렌치 공구(미도시)가 공구홀(58)로 삽입되어 탭 조절나사(56)의 타단과 접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탭 조절나사(56)의 타단에는 상기 드라이버 공구 또는 렌치(WRENCH) 공구와 결속될 수 있도록 공구결속홈(56a)이 구비되는데, 상기 공구결속홈(56a)은 (-)자형 드라이버 공구가 접하도록 (-)자형 절개홈이 형성되거나, (+)자형 드라이버 공구가 접하도록 (+)자형 절개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다각형 렌치(WRENCH) 공구 중 어느 하나가 결속되기 위하여 삼각홈, 사각홈, 오각홈 또는 육각홈 등 다각형의 홈이나 기타 별 모양의 홈 등 여러가지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되지 않은 기타 다른 공구에 의해서 탭 조절나사(56)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탭 조절나사(56)의 선단에 형성된 공구결속홈(56a)의 종류에 해당하는 적절한 공구를 공구홀(58)에 끼워 넣고 공구결속홈(56a)과 공구를 일치시킨 뒤, 좌/우 회전시키면 탭 조절나사(56)와 나사결합된 홀드다운블록(52)이 베이스(5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앤빌(23)을 정밀하게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클림퍼(22)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의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의하면, 앤빌과 연동하는 홀드다운블록의 하단에 블록연장부가 돌출되어 베이스에 천공된 장방형의 가이드공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고, 탭 조절나사가 베이스의 가이드공 및 블록연장부를 관통하되,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통해서 구조물의 분해나 고정용 나사의 조임 해제를 하지 않고서도 탭 조절나사의 회전만으로 앤빌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앤빌과 클림핑의 간격 조절 작업을 매우 간단하고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홀드다운블록을 고정하는 한 쌍의 블록나사를 비롯하여 블록연장부가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홀드다운블록의 전/후 방향 이동시 흔들리거나 유동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직선 왕복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앤빌과 클림핑의 정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한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이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목적 및 구성으로부터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하기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4)
- 포밍과정을 거쳐 연속된 연결편(11)의 일측에 연결된 단자핀(1)을 수직이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편(1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시키는 수직이동축(21)과, 상기 수직이동축(21)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스몸체(20)와, 상기 수직이동축(2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21)이 하강할 때 단자핀(1)을 압착하는 클림퍼(22)와, 베이스(50) 상에 고정되어 상기 클림퍼(22)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1)을 지지하는 앤빌(23) 및 상기 수직이동축(21)의 상승 및 하강 작용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편(11)에 형성된 이송홀(12)에 결속되는 후크(41)에 의해 단자핀(1)을 이동시키는 단자핀 공급장치(30)로 구성된 커넥터 단지핀용 프레스에 있어서,상기 베이스(50) 상단에 앤빌(23)과 연동하여 수평이동 가능한 홀드다운블록(52)이 구비되되, 상기 홀드다운블록(52)의 하단에는 베이스(50)에 천공된 장방형의 가이드공(50a) 내에 위치되는 블록연장부(52a)가 돌출 형성되고,상기 베이스(50) 내에서 가이드공(50a)의 장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탭 조절나사(56)가 상기 블록연장부(52a)를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된 구조로부터 탭 조절나사의 회전시 홀드다운블록이 전/후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탭 조절나사(56)의 일단은 베이스(50)의 측면에 고정된 나사고정블 록(57)에 접하여 베이스(5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나사고정블록(57)에 탭 조절나사(56)의 선단과 연통된 공구홀(5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탭 조절나사(56)의 일단에 공구와 결속되어 공구로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공구결속홈(56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공구결속홈(56a)은 (-)자, (+)자형 드라이버 공구, 다각형 렌치(WRENCH) 공구 중 어느 하나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8337U KR200436752Y1 (ko) | 2006-10-24 | 2006-10-24 |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8337U KR200436752Y1 (ko) | 2006-10-24 | 2006-10-24 |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6752Y1 true KR200436752Y1 (ko) | 2007-10-01 |
Family
ID=4162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8337U KR200436752Y1 (ko) | 2006-10-24 | 2006-10-24 |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675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686B1 (ko) | 2008-06-23 | 2010-01-29 | (주)티에이치엔 | 프레스 |
-
2006
- 2006-10-24 KR KR2020060028337U patent/KR2004367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686B1 (ko) | 2008-06-23 | 2010-01-29 | (주)티에이치엔 | 프레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32937B2 (ja) |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 |
JP3221544B2 (ja) | 圧着機組立体、端子圧着ユニットおよび自動端子圧着装置 | |
JP6100138B2 (ja) | 端子送り装置、端子圧着機用アプリケータ、端子圧着機及び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 | |
US2760195A (en) | Electrical eyelet applicating machine | |
DE2928704A1 (de) |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anschluss einer reihe von kabeln an entsprechende kontakte | |
KR200436752Y1 (ko) | 컷오프 탭 조절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 |
US4001931A (en) | Wire termination method | |
US4754636A (en) | Connector locating device for crimping tools | |
DE2014494C3 (de) | Verfahren und Maschine zum Andrücken U-förmiger Zwingen an Leiterenden | |
US9972958B2 (en) | Press-fitting device | |
CN111370967B (zh) | 一种具有压料机构的端子压接模具 | |
DE4100797A1 (de) | Anordnung zum bearbeiten von leitungsbuendeln | |
US3965558A (en) | Wire termination apparatus | |
DE3787062T2 (de) | Halbautomatischer Anschlussapparat für Bandkabel. | |
US3798734A (en) | Component preforming machine | |
EP0001678B1 (en) | Wire deploying apparatus | |
KR101997685B1 (ko) |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 |
US5967399A (en) | Electric wire pressure welding apparatus and pressure welding method | |
EP3616279B1 (en) | Crimp tooling having guide surfaces | |
KR200455418Y1 (ko) | 단자결착기의 전선스토퍼 | |
JPH0145953B2 (ko) | ||
US20160072245A1 (en) | Apparatus for use in the crimping of end fittings onto a cable | |
KR20080099733A (ko) |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 |
DE102004025430B4 (de) | Werkzeug zum Anbringen von Drähten an einem Verbinder | |
CN114026749B (zh) | 用于加工芯线末端套管的料盒和用于压紧芯线末端套管的手动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